KR100341912B1 - 자동차용 트렁크의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트렁크의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912B1
KR100341912B1 KR1020000027715A KR20000027715A KR100341912B1 KR 100341912 B1 KR100341912 B1 KR 100341912B1 KR 1020000027715 A KR1020000027715 A KR 1020000027715A KR 20000027715 A KR20000027715 A KR 20000027715A KR 100341912 B1 KR100341912 B1 KR 100341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gage
trunk
vehicle
trunk room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6764A (ko
Inventor
이재혁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20000027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1912B1/ko
Publication of KR20010106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9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26Rigid partitions inside vehicles, e.g. between passengers and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which protect the occupants against personal attack from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트렁크의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급정거 및 후방 충돌시 트렁크룸(10)에 수납된 수하물이 내부로 침입하여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휠하우스(20) 양측부에 장착되며, 몸체 상,하로는 휠하우스(20)와 고정되는 접합면(31)이 구비되고, 몸체 중앙부로는 절곡되어 내측으로 공간부(32)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32)의 일측면에는 거취홈(33)이 위치되고, 상기 공간부(32) 내측으로는 안착부(34)가 구비되는 측면 고정부(30)와;
상기 측면 고정부(30) 내측으로 트렁크룸(10)의 바닥면(15)에 장착되며, 몸체 후측으로는 트렁크룸(10)의 바닥면(15)과 소정의 거리를 갖고, 끼움부(42)가 구비된 지지판(41)이 형성되는 바닥면 고정부(40)와;
상기 바닥면 고정부(40)의 끼움부(42)와 측면 고정부(30)에 횡방향으로 끼워져 급정거 및 후방충돌시 수하물의 실내 침입을 방지하는 차단바(50)로 구성되므로, 차량의 급정거시나 후방 충돌시 수하물이 내부로 침입되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트렁크의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 {Luggage interception bar for automobile trunk}
본 발명은 자동차용 트렁크의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트렁크 룸 내측으로 차단바를 설치하여 차량의 급정거시나, 충돌 사고시 수하물의 실내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트렁크는 각종 수화물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간이며, 또한, 차량의 후방 충돌시 충격을 완하시키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트렁크는 내부로 보다 많은 수하물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상호 간섭을 최소화 시키는 범위 내에서 트렁크를 형성하고 있다.
즉, 트렁크의 내부에 급정거 시나 후방 충돌시 트렁크에 수납된 수하물이 내부로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후방 충돌시 트렁크의 손상을 방지하는 별도의 장치들은 트렁크의 공간확보를 위하여 배제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 유럽 등지에서는 관련법규로 트렁크의 수화물이 급정거시나 후방 충돌시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를 법제화 시켜 시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 자동차용 트렁크의 내부에는 단순히 트렁크의 공간 용적률을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트렁크룸 내부에 별도의 장치(급정거시나 후방충돌시 수하물이 내부로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는)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로, 사고 발생시 탑승객의 안전이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후방충돌시 트렁크 룸의 변형이 쉽게 발생되어 경미한 사고시에도 차량 및 인적 손실이 크게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트렁크 룸 내측으로 차단바를 설치하여 차량의 급정거시나, 충돌 사고시 수하물의 실내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트렁크의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고 발생시 트렁크 룸의 수하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 및 탑승객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트렁크의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트렁크의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자동차의 트렁크 룸 내부로 본 발명인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의 차단바의 측면 고정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차단바의 측면 고정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차단바의 정면 고정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의 차단바를 바닥면에서 고정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트렁크 15 - 바닥면
20 - 휠하우스 30 - 측면 고정부
31 - 접합면 32 - 공간부
33 - 거취홈 34 - 안착부
35 - 안착홈 36 - 단턱부
40 - 바닥면 고정부 41 - 지지판
42 - 끼움부 43 - 힌지부
50 - 차단바 60 - 볼트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급정거 및 후방 충돌시 트렁크룸(10)에 수납된 수하물이 내부로 침입하여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휠하우스(20) 양측부에 장착되며, 몸체 상,하로는 휠하우스(20)와 고정되는 접합면(31)이 구비되고, 몸체 중앙부로는 절곡되어 내측으로 공간부(32)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32)의 일측면에는 거취홈(33)이 위치되고, 상기 공간부(32) 내측으로는 안착부(34)가 구비되는 측면 고정부(30)와;
상기 측면 고정부(30) 내측으로 트렁크룸(10)의 바닥면(15)에 장착되며, 몸체 후측으로는 트렁크룸(10)의 바닥면(15)과 소정의 거리를 갖고, 끼움부(42)가 구비된 지지판(41)이 형성되는 바닥면 고정부(40)와;
상기 바닥면 고정부(40)의 끼움부(42)와 측면 고정부(30)에 횡방향으로 끼워져 급정거 및 후방충돌시 수하물의 실내 침입을 방지하는 차단바(5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자동차용 트렁크의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는 트렁크룸(10)의 내측 횡방향으로 바닥면(15)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승된 위치에 차단바(50)가 측면 고정부(30)와 바닥면 고정부(40)에 의해 고정되므로, 차량의 급정거시나 후방 충돌시 수하물이 내부로 침입되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자동차의 트렁크 룸 내부로 본 발명인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의 차단바의 측면 고정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차단바의 측면 고정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차단바의 정면 고정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의 차단바를 바닥면에서 고정시키는 상태를 요부 확대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자동차용 트렁크의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의 측면 고정부(30)는 차량의 휠하우스(20) 양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 고정부(30)는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몸체 상,하로는 휠하우스(20)와 고정되는 접합면(31)이 구비된다.
상기 측면 고정부(30)의 접합면(31)은 휠하우스(20)에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접에 의한 방식이 아닌 통상의 고정방식 역시 무방하다.
한편, 상기 측면 고정부(30)의 몸체 중앙부로는 절곡되어 내측으로 공간부(32)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32)의 일측면에는 거취홈(33)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32)의 내측으로는 안착부(34)가 위치 고정되어 후술될 차단바(50)를 거취시킴과 동시에 위치고정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측면 고정부(30)의 공간부(32)에 설치되는 안착부(34)는 몸체에 차단바(50)를 견고하게 위치 고정시킬 수 있는 반원형의 안착홈(3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단바(50)를 위치고정 시킨 후 거취홈(33)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거취홈(33)은 하부에 단턱부(36)가 형성되어 있어 거취후 차단바(5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렁크룸(10)의 바닥면에는 차단바(50)를 바닥면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 고정부(40)가 설치된다.
상기 바닥면 고정부(40)는 몸체 후측으로 트렁크룸(10)의 바닥면(15)과 소정의 거리를 갖고, 끼움부(42)가 구비된 지지판(41)이 형성되고, 트렁크룸(10)의 바닥면(15)는 볼트(60) 등과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바(50)는 트렁크룸(10)의 내측에서 횡방향으로 위치되면서, 양측으로는 측면 고정부(30)에 의해 위치 고정되고, 저면으로는 바닥면 고정부(40)의 지지판(41)에 형성된 끼움부(42)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 트렁크룸(10) 내부에서 견고하게 위치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닥면 고정부(40)의 지지판(41) 하측으로는 힌지부(43)를 형성하여 차단바(50)를 절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즉, 바닥면 고정부(40)의 힌지부(43)를 이용하여, 트렁크룸(10)에 수하물을 적재하지 않거나, 적재되는 양이 적을 때에는 힌지부(43)를 이용하여 바닥면(15)에 차단바(50)를 안착시켜 트렁크룸(10)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차단바(50)는 어린이가 탑승할 경우에는 유아 안전장치를 지지하는 장치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트렁크룸(10) 내측부에 측면 고정부(30)와 바닥면 고정부(40)에 의해 고정되는 차단바(50)를 설치하므로 써, 급정거 및 후방 충돌시 수하물이 내부로 침입되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트렁크룸(10)의 내측부에 급정거시나 후방충돌시 수하물이 침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차단바(50)를 설치하므로 써, 차량 및 탑승객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단바(50)는 어린이가 탑승할 경우 유아 안전장치의 지지장치로도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차량의 급정거 및 후방 충돌시 트렁크룸(10)에 수납된 수하물이 내부로 침입하여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휠하우스(20) 양측부에 장착되며, 몸체 상,하로는 휠하우스(20)와 고정되는 접합면(31)이 구비되고, 몸체 중앙부로는 절곡되어 내측으로 공간부(32)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32)의 일측면에는 거취홈(33)이 위치되고, 상기 공간부(32) 내측으로는 안착부(34)가 구비되는 측면 고정부(30)와;
    상기 측면 고정부(30) 내측으로 트렁크룸(10)의 바닥면(15)에 장착되며, 몸체 후측으로는 트렁크룸(10)의 바닥면(15)과 소정의 거리를 갖고, 끼움부(42)가 구비된 지지판(41)이 형성되는 바닥면 고정부(40)와;
    상기 바닥면 고정부(40)의 끼움부(42)와 측면 고정부(30)에 횡방향으로 끼워져 급정거 및 후방충돌시 수하물의 실내 침입을 방지하는 차단바(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렁크의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고정부(40)의 지지판(41) 하측으로는 힌지부(43)를 설치하여 차단바(50)를 선택적으로 절첩시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렁크의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
KR1020000027715A 2000-05-23 2000-05-23 자동차용 트렁크의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 KR100341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715A KR100341912B1 (ko) 2000-05-23 2000-05-23 자동차용 트렁크의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715A KR100341912B1 (ko) 2000-05-23 2000-05-23 자동차용 트렁크의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764A KR20010106764A (ko) 2001-12-07
KR100341912B1 true KR100341912B1 (ko) 2002-06-26

Family

ID=19669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715A KR100341912B1 (ko) 2000-05-23 2000-05-23 자동차용 트렁크의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19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231B1 (ko) * 2000-12-06 2002-12-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해치백형 자동차의 수화물 차단부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2151U (ja) * 1983-09-20 1985-04-1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荷室構造
JPH01117941A (ja) * 1987-08-03 1989-05-10 United Technol Corp <Utc>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の燃焼器
KR19980012987U (ko) * 1996-08-29 1998-06-05 양재신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충격흡수장치
KR19980053170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차단바를 포함하는 리어 시트 접힘 장치
KR19990031927U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자동차용 트렁크의 화물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2151U (ja) * 1983-09-20 1985-04-1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荷室構造
JPH01117941A (ja) * 1987-08-03 1989-05-10 United Technol Corp <Utc>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の燃焼器
KR19980012987U (ko) * 1996-08-29 1998-06-05 양재신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충격흡수장치
KR19980053170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차단바를 포함하는 리어 시트 접힘 장치
KR19990031927U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자동차용 트렁크의 화물 지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231B1 (ko) * 2000-12-06 2002-12-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해치백형 자동차의 수화물 차단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764A (ko) 200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5455B2 (en) Exterior airbag for vehicles
US20100059972A1 (en) Exterior Air-Bag for Vehicles
US6315338B1 (en) Vehicle brush guard apparatus
US6312008B1 (en) Airbag system with energy absorption bracket
JPH0764280B2 (ja) オープンカーの後部車体構造
KR100341912B1 (ko) 자동차용 트렁크의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
JPH10226363A (ja) 自動車のサイドストラクチャ構造
US6425628B1 (en) Luggage restraining structure
JP2911574B2 (ja)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KR20050029833A (ko) 자동차의 후석용 에어백
KR200158287Y1 (ko) 자동차의 후방측면 충격 흡수장치
KR100373646B1 (ko) 자동차의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
JPH0538998A (ja) エアバツグセンサの配置構造
US6007087A (en) Vehicle steering wheel with airbag module
KR0171344B1 (ko) 에어백을 이용한 트렁크 안전장치
JPS6021318Y2 (ja) 自動車用シ−トヒンジ
JP3392811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WO2022202673A1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取付構造
FR2798633A1 (fr) Dispositif constitue de plusieurs coussins gonflables se deployant a l&#39;exterieur d&#39;un vehicule
KR0139441Y1 (ko)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충격흡수장치
KR100210142B1 (ko) 차량용 도어의 임팩트 빔 장착구조
KR200148522Y1 (ko) 조수석 에어백 장착구조
JPS62105743A (ja) エアバツグ取付装置
KR100336363B1 (ko) 차량용 에어백 하우징
KR013902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