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1466B1 - 팩시밀리장치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466B1
KR100341466B1 KR1019960039025A KR19960039025A KR100341466B1 KR 100341466 B1 KR100341466 B1 KR 100341466B1 KR 1019960039025 A KR1019960039025 A KR 1019960039025A KR 19960039025 A KR19960039025 A KR 19960039025A KR 100341466 B1 KR100341466 B1 KR 100341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lectrostatic
area
received
facsimile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148A (ko
Inventor
타쿠 소네오카
Original Assignee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64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4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0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 H04N2201/3209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of a telephone nu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Abstract

팩시밀리통신의 수취인이 확실하게 데이터를 받았는지 어떤지를 송신측에서 확인하려면, 전화번호 등으로 직접 문의할 필요가 있다.
수신한 데이터는 RAM(17)에 기억되고, CPU(11)가 이 RAM(17)에 기억된 데이터가 소정의 기간내에 읽어 내보냈는지 어떤지를 검출하고, RAM(17)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가 소정의 기간내에 읽어 내보냈는지 어떤지를 NCU(망 제어장치)을 제어해서 발신처의 장치에 통지한다.

Description

팩시밀리 장치
본 발명은, 팩시밀리 장치에 관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ITU(국제통신연합)-T근고로 규정되어 있는 비표준기능을 이용한 팩시밀리 장치에 관한다.
팩시밀리 통신에 관해서는 ITU에 의해 수순과 기능의 표준(표준수순과 표준기능)이 정해져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표준을 방해 하지 않는 범위에서 표준이외의 기능(비표준기능)을 설정해서, 비표준 수순의 실행에 의해 이용하는 것도 인정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정에서 각 제조자에 있어서는 독자의 기능을 편집한 팩시밀리 장치를 제조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동일 제조자의 제조에 관한 팩시밀리 장치의 상호간에 있어서는 그와 같은 독자의 비표준기능을 이용한 팩시밀리 통신이 가능하다. 그와 같은 팩시밀리 통신의 비표준기능의 한가지로서 진전기능이라고 칭해지는 기능이 알려지고 있고, 친전기능 이라는 것은, 수취인을 지정해서 발호기(발신측장치)에서 원고의 데이터가 송신되었을 경우에 피호기(수신측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데이터를 메모리의 일부 영역을 확보하므로써 설정되고 있는 친전박스에 일단 측적하는 동시에 수취인이 누구인가를 알아서 지정된 수취인에 미리 등록 되어 있는 암호번호를 입력했을 경우에만 수신한 데이터가 본래의 원고상태로 표시 또는, 프린트 종료되는 기능이다. 따라서, 이 친전기능을 이용하자면, 피호기에 있어서 친전박스가 설정되어 있는 것과, 그것에 비어있는 영역이 있다는 것, 친전통신의 수취이놔 암호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친전기능을 이용해서 송신된 친전데이터가 피호기(수신측장치)에 있어서 메모리에 기억된 채로 방치 되었을 경우, 주로, 메모리 용량의 관계로부터 일반적으로는 일정시간(예를 들면, 일주간, 일개월간)경과후에 자동적으로 소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수취인이 데이터를 집어내기 이전에 정전 등에 의하여 장치의 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에도 데이터는 소거된다. 또, 발호기(송신측장치)에 있어서도 수취인이 확실하게 데이터를 받았는지 어떤지를 확인하자면 전화등으로 직접 문의할 필요가 있다.
또, 최근의 팩시밀리 장치는 비교적 대용량의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어서 수신한 데이터를 통상적으로는 즉시, 용지에 프린트 종료하지만, 설혹 용지가 없어졌을 경우에는 수신한 데이터를 일단 메모리에 기억해 두고, 용지가 보충된 후에 프린트 종료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수신측에서 조작을 실수하고, 혹은, 정전 등에 의해 전원이 차단 되어서 메모리의 데이터가 소거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수취인이 확실하게 데이터를 받았는지 어떤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전화 등으로 직접 문의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본적으로는 수취인에게 데이터를 받았는지 어떤지를 송신측에서 확인할 수 있는 팩시밀리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 비표준기능의 한가지인 친전기능을 이용해서 통신을 할 경우에 수취인이 데이터를 받았는지 어떤지를 송신측에서 확인할 수 있는 팩시밀리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팩시밀리 장치는 수신환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기억수단에 기억된 데이터가 소정기간 내에 읽어 내보냈는지 어떤지를 검출하는 수단과,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가 소정의 기간 내에 읽어 내보냈는지 어떤지를 송신처의 장치에 통지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팩시밀리 장치로 수신한 친전데이터와, 그 송신처의 전화번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그 기억수단에 기억된 친전데이터가 소정의 기간내에 읽어 내보냈는지 어떤지를 검지하는 수단과,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친전데이터가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에도 읽어 내보내지않을 경우에도 그 뜻을 가리키는 정보를 상기한 송신처의 전화번호에 발호해서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팩시밀리 장치는 수신환 친전데이터와, 그 송신처의 전화번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그 기억수단에 기억된 친전데이터가 소정의 기간 내에 읽어 내보냈는지 어떤지를 검출하는 수단과 소정의 기간이 경과될 때까지에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친전데이터가 읽어 내보내질 경우에는 그 뜻을 가리키는 정보를 상기한 송신처의 전화번호에 발호해서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팩시밀리 장치의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팩시밀리 장치의 동작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의 팩시밀리 장치의 RAM영역 설정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팩시밀리 장치의 친전(親展)테이블의 내용을 나타내는 모식도.
-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1) ---------------------- CPU,
(17) ---------------------- RAM,
(17T) --------------------- 친전테이블영역,
(17B) --------------------- 친전박스영역.
본 발명에 관한 팩시밀리 장치는, 기억수단에 기억된 데이터가 소정의 기간내에 읽어 내보냈는지 어떤지를 검출하고, 데이터가 소정의 기간 내에 읽어 내보냈는지 어떤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송신처의 장치에 통지된다.
또, 본 발명의 팩시밀리 장치는, 기억수단에 기억된 친전데이터가 소정의 기간 내에 소정의 기간이 경과된 후에도 읽어 내보내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그 뜻을 가리티는 정보가 데이터의 송신처 장치에 송신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팩시밀리 장치는, 기억수단에 기억된 친전데이터가 소정의 기간내에 읽어 내보냈는지 어떤지가 검출되고, 소정의 기간이 경과 될 때까지의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친전 데이터가 읽어 내보내어졌을 경우에는 그 뜻을 가리키는 정보가 데이터의 송신처에 송신된다.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팩시밀리 장치의 하나의 구성예를 가리키는 블록도이다.
참고부호 (11)은 제어장치로서 기능하는 CPU이고, 버스(10)를 통하여 표시장치로서 기능하는 LCD(액정표시 디바이스)(12)와 그 드라이버(13), 입력장치로서 기능하는 키 매트릭스(14)와 그 인터페이스(1/F)(15), 이 팩시밀리 장치의 동작수순의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 있는 ROM(16), 수신한 데이터, 송신해야할 데이터 등을 일시 기억하는 기억수단으로서 기억하는 RAM(17), 2치 화상신호의 부호화/복호화 장치로서 기능하는 코오덱크(CODEC)(18) 등의 디지털신호 처리를 담당하는 부분과 접속되어 있다.
또, CPU(11)는 버스(10)를 통하여 원고를 읽어들이는 CCD(전화 결합소자)(21)와, 그것에 의해 읽어들인 아날로그 화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화상처리부(22), 디지털 화상신호를 용지에 인쇄하는 프린터(23) 등의 화상의 읽어들임과, 인쇄를 하는 부분과 접속되어 있다.
또, CPU(11)는 버스(10)를 통하여 이 장치를 통신회선망(40)에 접속하는 망제어장치(NCU)(31)와, 모뎀(32) 등의 통신기능을 담당하는 부분과도 접속되어 있다.
또, 참조부호 (35)는 타이머를 가리키고 있다. 이 타이머(35)는 절대시각(년월일시 분초)을 계시하는 소위 이얼타이머로서, 필요에 따라서 SCD12에 일부와/또는 시각을 표시할 수가 있는 동시에 CPU(11)에 의해 절대시각이 참조된다.
이와 같은 도 1에 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팩시밀리 장치의 동작은 ROM(16)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CPU(11)에 의해 제어되는데 그 일반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다. 또, 팩시밀리 통신은 ITU-T에 의해 2개의 장치 사이의 통신회선을 접속하기 위한 위상 A(호칭설정), 메시지(본래 송신수신 되어야 할 원고의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여러 가지 약속한 일을 그것보다 먼저 교환하기 위한 위상B(프리메시지 수순), 메시지를 교환하기 위한 위상c(메시지 전송), 메시지가 종료한 것과, 그 확인을 위상D(포스트 메시지 수순), 2개의 장치 사이의 통신회선을 차단하기 위한 위상 E(호출개방)의 5위상으로 단계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통상적인 팩시밀리 통신을 실시할 경우, 오퍼레이터는 키 매트릭스(14)를 조작해서 송신을 하는 것을 지시하는 동시에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다이얼하고, 송신해야 할 원고를 CCP(21)에 읽어 받아들인다. 이것에 대응해서 CPU(11)는 먼저, 위상A의 호출설정을 행한다. 즉, CPU(11)는 NCU(31)에 지시를 하고, 통신회선망(40)과 접속해서 발호동작을 한다.
한편, CCD(21)에 의해 원고로부터 읽어 받아들인 아날로그 화상신호는, 화상처리부(20)에 의해 디지털 화상신호로 변환되고, 또, 코오덱크(18)에 의해 소위 란렌그스 부호화 방식인 모디화이드·리이드(Modified Read)방식 등에 의하여 부호화(압축) 되어서 일단 RAM(17)에 저장된다.
호출 설정에 의하여 통신 상대의 팩시밀리 장치와 회선이 접속되면, CPU(11)는 위상(B)의 프리메시지 수순을 실시하므로써 쌍방의 장치에 요구되는 기능의 식별과 선택을 한다.
그 다음에 CPU(11)는 신호의 위상과, 같은 기간으로 맞추면서 위상C의 메시지 전송, 즉, 통신 상대방으로 본래 송신되어야 할 원고에서 얻어진 부호화 디지털 화상신호(메시지)를 모뎀(32)과, NCU(31)를 통하여 송신한다.
메시지의 전문을 송신이 끝나면, CPU(11)는 위상D의 포스트 메시지 수순, 즉, 메시지의 종료와 확인을 실시한다. 이 확인이 얻어지면 CPU(11)는 NCU(310에 지시를 보여해서 회선의 절단, 즉, 위상E의 호출을 개방한다.
이상이 통상적인 팩시밀리 통신의 발호기 측에서의 기본적인 동작이지만, 피발호기 측에서 수신을 할 경우의 기본적인 동작은 아래와 같다.
피발호기에서는, 상대 장치(발호기)로부터의 호출 설정에 의해 NCU(31)가 통신회선망(40)과 접속되면, CPU(11)는 먼저 위상B의 프리메시지 수순을 실시하므로써 발호기와의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 다음에 CVPU(11)는 위상C의 메시지 전송에 의해 수신해야 할 원고의 부호화 디지털 화상신호를 NCU(31)와 모뎀(32)을 통하여 수신한다.
이 부호화 디지털 화상신호는 모뎀(32)에서 일단, RAM(17)에 저장된다. RAM(17)에 축적된 부호화 디지털 화상신호는, 통상적으로는 즉시, 코덱크(18)에 의해 본래의 디지털 화상신호에 순차적으로 복호되고, 그냥 그대로 프린터(23)에 부여되어서 용지에 인쇄되거나, 혹은 드라이브(13)로부터 LCD에 부여되어서 화상표시 된다. 단, 프린터(23)에 용지가 없을 경우, 또는 오퍼레이터가 희망하는 순서가 적정한 설정을 하고 있을 경우에는 RAM(17)에 저장된 메시지는 그냥 그대로 기억되어서 출력되지는 않는다.
수신해야 할 원고의 신호를 모두 수신하면, CPU(11)는 발호기와의 사이에서 위상(D)의 포스트메시지 수순을 교환하고, 그것이 확인되면 위상E의 호출개방으로 통신을 종료한다.
또, RAM(17)에 저장된 메시지는, 오페레이터가 필요에 따라서 나중에 프린터(23)에 의해 용지에 인쇄하거나, 또는 LCD(12)에 표시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도 1에 표시되어 있는 팩시밀리 장치의, 본 발명에 특징적인 비표준기능 내의 한가지인 친전기능을 이용할 경우의 수신측 팩시밀리 장치의 동작 수준에 대하여 그것을 나타내는 도 2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RAM(17)은, 도 3의 모식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친전 테이프여역(17T)과 친전 박스영역(17B)과, 그 밖의 영역(17A)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친전박스 영역(17B)과, 그 밖의 영역(17A)은, 명확한 경계가 있는 것은 아니고, 그 외의 영역(17A)중에 실요에 따라서 친전박스 영역(17B)이 설정된다.
친전기능을 이용해서 팩시밀리 통신을 할 경우, 수신측의 팩시밀리 장치에 있어서 친전번호와, 그것에 대응하는 친전자명과, 암호번호의 설정이 사전에 필요하며, 또, 그 수신측 팩시밀리 장치가 송신측의 팩시밀리 장치로부터 친전통신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그 설정되어 있는 친전번호, 수신일시, 송신처번호, 친전데이터가 기억된 친전박스의 시작 주소를 기억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도 3에 표시되어 있듯이 RAM(17)에는, 그것들을 기억하기 위한 친전테이블영역(17T)이 준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표시되어 있듯이 친전테이블영역(17T)에는 친전번호영역(171)친전자명영역(172), 암호번호영역(173), 수신시각영역(174), 송신처번호영역(175), 친전박스 시작 주소영역(176)이 설치되어 있다.
친전번호영역(171)은, 이 예에 있어서는 1에서 8까지의 8영역이 미리 준비되어 있고, 각자의 친전번호에 대응한 친전자명영역(171)과, 암호번호영역(172)에 수신측의 팩시밀리 장치에서 등록된 친전자명과, 암호번호가 대응부여되어서 등록된다. 또, 수신측의 팩시밀리 장치가 친전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에는 지정되어 있는 친전번호에 대응해서 그 수신일시가 있는 친전번호에 대응해서 그 수신일시가 수신일시영역(174)에, 그 친전데이터의 송신처의 팩시밀리 장치의 전화번호가 송신처번호영역(175)에 친전박스영역(17B) 속의 친전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시작 주소가 친전박스 시작 주소영역(176)에 각각 기억된다.
예를 들자면, 어떤 인물「무라타」가 친전기능에 의한 수신을 희망할 경우 자신의 친전번호(예를 들자면 1)과 친전자명(예를 들자면 1234)를 키매트릭스(14)를 조작해서 팩시밀리 장치에 등록해 둘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설정을 미리 해두므로써 수신한 친전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친전박스영역(17B)이 RAM(17)에 확보되는 동시에 친전번호 1에 대응해서 친전자명 무라타와 암호번호"1234"가 친전테이블영역(17T)이 영역(171, 172)과 173에 각각 등록된다.
이와 같은 등록이 미리 실시되고 있는 수신측의 팩시밀리 장치가 친전통신에의해 예를 들자면 비표준수순에 의해 친전번호 1이 지정된 친전데이터를 수신 했을 경우, 그 친전데이터는 프린터(23)에 의해 프린트 종료되지 않고, LCD(12)에 의해 표시되지도 않고, 반드시 RAM(17)의 친전박스영역(17B)에 친전번호 1의 친전데이터로서 기억되는 동시에 친전테이블영역(17T)의 친전번호 1에 대응하는 수신일시영역(174)에 타이머(35)로부터 읽어 받아들여진 수신일시(예를 들면 960120 08:30, 즉, 1996년 1월 20일 8시 30분)이, 또, 송신처 번호영역 175에는 송신측의 팩시밀리 장치의 전화번호(예를 들자면 012-34-5678)이 친전박스 시작 주소영역 176에는, 그 친전데이터가 기억된 친전박스의 시작 주소(예를 들자면 8000)가 각각 기억된다.
그리고, 그 친전번호 1에 대응해서 미리 등록되어 있는 암호번호(1234)가 키매트릭스(14)로부터 입력되었을 경우에만, CPU(11)는 친전번호 1에 대응하는 친전박스 시작 주소영역(176)에서 주소를 읽어들여 그것에 따라서 친전데이터를 RAM(17)의 친전박스영역(17B)에서 내보낸다.
읽어 내보내진 친전데이터는, 코데트(18)에서 복호된 다음에 프린터(23)에 의해 용지에 인쇄되거나, 또는, CCD(12)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친전기능을 이용해서 팩시밀리 통신을 할 경우, 그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수신측의 팩시밀리 장치는, 친전번호와 그것에 대응하는 친전자명과 암호번호가 미리 등록되어 있고, 또, RAM(17)의 친전박스영역(17B)에 빈곳이 있으면, 다시 말하면 RAM(17)에 친전박스영역(17B)을 설정할 수 있는 여유가 있는 것을 전제로 된다.
또, 친전기능을 이용해서 팩시밀리 통신을 할 경우, 송신측의 팩시밀리 장치는, 오퍼레이터는, 키매트릭스(14)를 조작해서 송신을 하는 것을 지시하는 동시에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다이얼하고, 다시 친전기능을 이용할 것과 메시지의 수신인의 인물에 대응하는 친전번호(미리 확인해 둘 필요가 있다)를 키매트릭스(14)의 조작에 의해 설정한 다음에 송신해야 할 원고를 CCD(21)에 읽어 받아들여 원고의 데이터(이하, 친전데이터라고 함)를 송신한다. 단, 이후의 송신측 팩시밀리 장치의 동작은, 통상적인 송신일 때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송신측 팩시밀리 장치에서 친전데이터를 수신한 수신측 팩시밀리 장치는, 도 2의 플로우챠트에 표시되어 있듯이 동작한다.
수신측 팩시밀리 장치에 있어서는 CPU(11)가 항상, 데이터의 수신을 감시하고 있다(스텝S11). 그리고,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에는, CPU(11)는 각자가 친전데이터인지 아닌지를 조사해서(스텝S12). 친전데이터일 경우에는 CPU(11)는 그 친전데이터를 RAM(17)의 친전박스영역(17B)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그 친전데이터가 수신된 일시, 송신측전화번호와 그 친전데이터가 기억된 친전박스영역(17B)의 시작 주소를 친전테이블영역(17T)의 친전번호 1의 영역에 대응하는 각 영역(174, 175, 176)에 기억된다.
그리고, CPU(11)는 친전데이터를 수신한 것과 그 친전번호 1에 의거하여 지정된 수취인의 인물명(친전자명)을 친전테이블영역(17T)의 친전자명영역(172)에서 읽어 낸보내 친전수신 통지를 프린터(23)로부터 출력하거나, 또는 CDD(12)에 표시한다. 또 수신한 데이터가 친전데이터 이외의 데이터일경우에는 각각에 대응한 처리가 행해진다(스텝 S21).
친전수신통지가 출력된 후에는 CPU(11)는 타이머(35)에 의해 경과시간(예를 들면 일주일, 일개월)의 감시를 실시하는 동시에 친전데이터가 친전박스영역(178)에서 출력되었는지 어떤지를, 즉시 송신측에 있어서 친전데이터의 수취인으로서 지정한 인물이 암호번호를 입력해서 친전데이터의 출력을 지시했는가 어떤가를 반복해서 점검한다(스텝 C14, S15). 친전데이터의 출력이 지시되기 이전에 소정시간이 경과했을 경우에는 CPU(11)는 RAM(17)의 친전박스영역(17B)에 기억되고 있는 친전데이터를 소거하고(스텝S22). 친전테이블영역(17T)의 송신처 번호영역(175)으로부터 송신측의 팩시밀리 장치의 전화번호를 읽어 내보내 NCU(31)를 제어하므로써 발호동작을 하고, 친전데이터가 지정된 수취인에게 수취되지 않는 것을 가리키는 미달통지를 송신한다(스텝 S23).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친전데이터의 수취인이 키매트릭스(14)를 조작해서 친전번호와 그것에 대응하는 빠른 암호번호를 입력해서 친전데이터의 수취를 지시했을 경우에는 CPU(17)의 친전박스에서 읽어 내보내 프린터(23)로부터 프린트 종료하거나, 또는 CCD(12)에 표시출력하는 동시에 친전박스영역(17B)에서 소거해서(스텝 S16), 친전테이블영역(17T)의 송신처번호영역(175)으로부터 송신측의 팩시밀리 장치의 전화번호를 읽어 내보내 NCU(31)를 제어하므로써 발호동작을 실시하고, 친전데이터가 지정한 수취인에게 수취된 것을 가리키는 친전확인통지를 송신측의 랙시밀리 장치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 S17).
또,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미달통지와 친전확인통지의 쌍방을 행하고 있지만, 어느 한쪽만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 미달통지와 친전확인통지의 통신형태는 팩시밀리통신의 메시지 형식 또는 특유의 코드형식의 어느 것이라고 가능하지만 특유의 코드형식을 채용할 경우에는 송신측의 팩시밀리 장치에 그 코드를 해석해서 표시장치에 표시하거나, 또는 프린트출력하는 기능을 부가할 필요가 발생된다. 그러나, 팩시밀리통신의 메시지형식을 채용할 경우에는 특별한 기능을 부가할 필요없이 수신할 수가 있다. 따라서, 불통지와, 친전확인통지의 통신형태는, 팩시밀리통신의 메시지형식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했듯이 본 발명에 관한 팩시밀리 장치에 의하면 수취인에게 데이터를 받았는지 어떤지를 송신측에서 확인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팩시밀리 장치에 의하면, 비표준기능의 한가지인 친정기능을 이용해서 통신을 할 경우에 수취인이 데이터를 받았는지 어떤지를 송신측에서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수신한 친전데이터와 그 송신처의 전화번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친전데이터를 소정 기간내에 읽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수단, 및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친전데이터를 상기 소정 기간 경과후에도 읽어내지 않을 경우 그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전화번호로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 기간내에 상기 친전데이터를 읽어내지 않을 경우 친전데이터를 소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장치.
KR1019960039025A 1996-02-02 1996-09-09 팩시밀리장치 KR1003414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17575A JPH09214717A (ja) 1996-02-02 1996-02-02 ファクシミリ装置
JP96-17575 1996-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148A KR970064148A (ko) 1997-09-12
KR100341466B1 true KR100341466B1 (ko) 2002-09-12

Family

ID=11947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025A KR100341466B1 (ko) 1996-02-02 1996-09-09 팩시밀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H09214717A (ko)
KR (1) KR100341466B1 (ko)
CN (1) CN1115855C (ko)
HK (1) HK1003195A1 (ko)
TW (1) TW3845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5290B2 (ja) 2002-02-28 2006-02-15 シャー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通信装置
CN100403762C (zh) * 2006-09-30 2008-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非实时无线传真系统和方法以及传真服务器
JP5391745B2 (ja) * 2009-03-09 2014-01-1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制御方法、画像形成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3869A (ja) * 1985-11-25 1987-06-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フアクシミリ装置の蓄積デ−タ管理方式
JPH05110874A (ja) * 1991-10-15 1993-04-30 Fuji Xerox Co Ltd 親展機能を備えたフアクシミリ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3869A (ja) * 1985-11-25 1987-06-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フアクシミリ装置の蓄積デ−タ管理方式
JPH05110874A (ja) * 1991-10-15 1993-04-30 Fuji Xerox Co Ltd 親展機能を備えたフアクシミ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84597B (en) 2000-03-11
KR970064148A (ko) 1997-09-12
HK1003195A1 (en) 1998-10-16
JPH09214717A (ja) 1997-08-15
CN1115855C (zh) 2003-07-23
CN1162231A (zh) 1997-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5601A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JPH03154566A (ja) グループ3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341466B1 (ko) 팩시밀리장치
EP11331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use of specific communications service
JP2001077993A (ja) 通信端末装置、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CN1980305A (zh) 通信终端装置及通信方法
KR100222694B1 (ko) 팩시밀리에서 수신정보 기록방법
JP2007088981A (ja) 通信端末装置
JP4118533B2 (ja) ファクシミリ複合機及びその画像処理方法
JP2765869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3723009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1152860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KR100255366B1 (ko) 팩시밀리에서 원고 수신시 페이저 자동 호출 방법
JPH0556249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200330438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9980066107A (ko) 팩시밀리에서 수신 거부방법
JPH09252368A (ja) データ通信装置
JPH09214714A (ja) ファクシミリ通信方法及びファクシミリ装置
JPH04180343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4101561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1077969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4200073A (ja) 画像伝送装置
JPH0529228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10341288A (ja) 通信端末装置
JPH05153313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