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1438B1 - 오징어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오징어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438B1
KR100341438B1 KR1020000013299A KR20000013299A KR100341438B1 KR 100341438 B1 KR100341438 B1 KR 100341438B1 KR 1020000013299 A KR1020000013299 A KR 1020000013299A KR 20000013299 A KR20000013299 A KR 20000013299A KR 100341438 B1 KR100341438 B1 KR 100341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id
conveyor
washing
cu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3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1511A (ko
Inventor
한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웨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웨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웨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000013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1438B1/ko
Publication of KR20010091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4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작업이 쉽고 빠르게 진행됨으로써 작업성이 개선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인건비의 절감은 물론, 깨끗하고 위생적인 제품을 얻을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을 심화시키지 않게도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피가공 오징어(10)를 올려 놓아 연속하여 일률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콘베이어(11)와, 오징어(10)가 상기 콘베이어(11)에 의해 이송되면서 지나게 될 때 적정 깊이로 배따기되도록 하는 컷팅부(12)와, 배따기 된 오징어(10)가 콘베이어(11)에 의해 연속하여 이송되면서 지나게 될 때 넓게 펼쳐지도록 하는 펼침부(16)와, 배따기 된 상태에서 펼쳐진 오징어(10)가 콘베이어(11)에 의해 연속하여 이송되면서 지나게 될 때 내장이 훑어내어지도록 하는 내장 적출부(13)와, 오징어(20)를 소정 고정상에서 세척시키는 세척부(14)와, 가공된 오징어(20)를 세척한 오수가 모여지도록 하는 집수부(15)와, 상기한 바와 같은 콘베이어(11)와 컷팅부(12)와 펼침부(16)와 내장 적출부(13)와 세척부(14) 및 집수부(15) 등이 복합적으로 설치된 프레임을 덮는 덮개본체(18)를 포함하게 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오징어 가공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오징어 가공장치{Manufacturing device for cuttle fish}
본 발명은 오징어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징어의 배따기 작업과 오징어 내장 적출작업 및 세척작업 등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 오징어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오징어는 오징어를 말려 두었다가 섭취하는 기호식품으로, 우선 포획된 오징어를 배따기하고, 내장을 훑어낸 다음 세척하여 말리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건오징어를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작업은 많은 인력에 의해 일일이 수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하기가 곤란하고 가공시간이 길게 소요되며 인건비를 상승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내장 등의 적출물을 가공시에 세척수와 함께 근해로 흘려보내게 되기 때문에 근해 바다를 오염시키게 된다는 다른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의 곤란성을 해소하며, 작업이 빠르게 이루어져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적출물을 별도로 수거할 수 있게 되어 환경오염의 방지에 일조할 수 있게 되도록 하는 오징어 가공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징어 가공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징어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징어 가공장치를 덮개 개방상태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징어 가공장치를 덮개 개방 상태로 도시한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징어 가공장치에 의한 작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오징어 가공장치 11 : 콘베이어
12 : 컷팅부 13 : 내장 적출부
14 : 세척부 15 : 집수부
16 : 펼침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징어를 올려 놓아 연속하여 이송시키는 콘베이어와, 오징어가 상기 콘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면서 적정 깊이로 배따기 되도록 하는 컷팅부와, 배따기 된 오징어가 콘베이어에 의해 연속하여 이송되면서 펼쳐지도록 하는 펼침부와, 배따기 된 상태에서 펼쳐진 오징어가 콘베이어에 의해 내장을 훑어내어 별도로 수거하는 내장 적출부와, 배따기 된 상태에서 펼쳐지고 내장이 적출된 오징어가 콘베이어에 의해 연속하여 이송되면서 세척되도록 하는 세척부, 세척부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별도로 집수하는 집수부와, 상기한 콘베이어와 컷팅부와 펼침부와 내장 적출부와 세척부와 집수부가 내장상태로 설치되도록 하며, 피가공 오징어를 낱개씩 진입시킬 수 있는 오징어 진입부가 형성된 덮개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징어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징어 가공장치는 도 1과 도 2 및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베이어(11), 컷팅부(12), 펼침부(16), 내장 적출부(13), 세척부(14), 집수부(15)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이 복합적으로 설치된 프레임을 덮개본체(18)로 덮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콘베이어(11)는 피가공 오징어(10)를 올려 놓아 연속하여 일률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오징어(10)가 상기 콘베이어(11)에 의해 이송되면서 컷팅부(12)를 지나게 될 때 적정 깊이로 배따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5 참조).
또, 배따기 된 오징어(10)가 콘베이어(11)에 의해 연속하여 이송되면서 펼침부(16)를 지나게 될 때 펼쳐지고(도 5 참조), 배따기 된 상태에서 펼쳐진 오징어(10)가 콘베이어(11)에 의해 연속하여 이송되면서 내장 적출부(13)를 지나게될 때 내장이 훑어내어져 별도로 수거된다.
또, 배따기 된 상태에서 펼쳐지고 내장이 적출된 가공 오징어(20)가 콘베이어(11)에 의해 연속하여 이송되면서 세척부(14)를 지나게 될 때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가공된 오징어(20)를 세척한 오수는 집수부(15)에서 집수되어 별도의 정화장치로 송수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콘베이어(11), 컷팅부(12), 펼침부(16), 내장 적출부(13), 세척부(14), 집수부(15) 등이 복합적으로 설치된 프레임을 덮개본체(18)로 덮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상기 덮개본체(18)에는 오징어 진입구(17)가 형성되어 있고 또 장치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반(19)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오징어 진입구(17)를 통해 피가공 오징어(10)를 위치 정렬시키는 안내판부(172)와 V홈부(172) 및 진입공(171)이 덮개본체(18)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컷팅부(12) 및 내장 적출부(13)의 컷터(121)와 브러쉬(131)가 피가공 오징어(10)의 크기에 따라 조절손잡이(123)에 의해 깊이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콘베이어(11)는, 안내판(172) 하부에서 진입되는 피가공 오징어(10)를 컷팅부(12) 측으로 유입시키는 하부콘베이어(115)와, 상기 하부콘베이어(15)의 상측에 배치되어 오징어(10)의 머리 부분을 컷팅부(12)로 유입시키는 측부콘베이어(111)와, 상기 측부콘베이어(111)를 구동시키는 피동럴러(112) 및 구동롤러(113)와, 펼침부(16) 후단 부위에서 오징어(10)의 이송을 안내하는 상부콘베이어(11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컷팅부(12)는 측부콘베이어(111)의 'V'자 정점에서 적당한 높이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컷터(121)와, 상기 컷터(121)를 축 고정하여 지지하는 컷터축(122) 및 상기 컷터축(122)을 회전시키는 컷터롤러(1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펼침부(16)는, 컷터(121)의 날에의해 절개된 오징어(10)의 절결부와 접하게 되면서 'V'자 정점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도록 안내하는 V측판(161)과, 상기 V측판(161)을 적당한 힘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지지하게 되는 몸체(162)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장 적출부(13)는, 절개되어 펼쳐진 오징어(10)의 내장을 훑어 내는 브러쉬(131) 및 브러쉬축(132)과, 브러쉬축(132)을 회전시키는 브러쉬롤러(133)와, 상기 브러쉬롤러(133)을 구동시키는 브러쉬벨트(13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척부(14)는, 각 작업공정마다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142)과, 이들이 장착되어지는 파이프(141) 및 이들이 연결되어 소정 압력으로 세척수를 분사노즐(142)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급수원으로의 세척수 펌프(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사노즐(142)들은 임의의 부위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가늘고 휘기 쉬운 유연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오징어 가공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징어 진입대(17)에서 피가공 오징어(10)를 머리 부분으로부터 진입시키면하부콘베이어(115)에 의해 유도되면서 컷팅부(12)의 컷터(121) 쪽으로 정렬되면서 이송된다.
이때, 오징어(10)가 컷팅부(12)의 컷터(121)를 지나게 되면서 원판형 컷터(121)에 의해 오징어(10)의 몸통 부분을 절개시키게 되며(도 5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오징어(10)는 연속하여 이송된다.
또, 몸통이 절개된 오징어(10)는 콘베이어(11)에 의해 연속 이송되어 펼침부(16)의 V측판(161) 정점으로 위치되고, 이러한 펼침부(161)를 지나게 되면서 절개된 몸통이 넓게 펼쳐진다(도 5 참조).
또, 몸통이 펼쳐진 오징어(10)는 분사노즐(142)를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1차적으로 세척되면서 상부콘베이어(114)에 의해 연속 이송되며, 이로써 내장 적출부(13)를 지나게 됨으로써, 내장 적출부(13)의 브러쉬(131)에 의해 내장이 훑어내어지고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후 장치의 덮개본체(18)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오징어 가공장치는, 동력에 의해 배따기 및 내장 훑어내기 등의 작업이 연속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이 쉽고 빠르게 진행되며, 이로써 작업성이 개선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인건비의 절감은 물론, 깨끗하고 위생적인 제품을 얻을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 오징어를 포획한 즉시 선상에서 전량 가공할 수 있어 내장 등의 적출물 및 세척수를 바다물에 직접 희석시키게 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심화시키지 않게된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그 선단의 진입부에 올려 놓여지는 오징어를 전(全) 공정에 걸쳐 연속하여 이송시키는 콘베이어;
    상기 콘베이어 선단부 양측에 V자 형으로 배열되어 상기 콘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오징어를 양측을 압박하여 위로 불룩하게 만드는 한 쌍의 측부 콘베이어;
    상기 측부 콘베이어 끝단 상부에서 회전되는 컷터를 가지고 상기 측부 콘베이어에 의해 불룩해진 채로 이송되어 오는 오징어의 배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는 컷팅부;
    상기 컷팅부의 배출 측에 나팔형으로 배열된 V 측판으로 상기 컷팅부에서 절개되어 배따기 된 오징어를 펼치고 그 V 측판의 배출측의 콘베이어 상의 양측에 나란히 설치된 한 쌍의 상부 콘베이어로써 상기 V 측판에 의해 펼쳐진 오징어의 양측을 상기 콘베이어 상면에 압박하면서 이송하여 배따기 된 오징어가 펼쳐진 상태로 이송되게 하는 펼침부;
    상기 상부 콘베이어 사이에 오징어 이송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브러쉬들로써 상기 펼침부에 의해 펼쳐진 상태로 이송되는 오징어의 내부을 훑어내어 오징어 내장을 적출하는 내장적출부;
    상기 콘베이어 상에 상기 컷팅부에서 상기 펼침부의 끝단까지 배열된 복수 개의 분사노즐들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내장적출부에 의해 적출된 내장을 분리하면서 오징어를 세척하는 세척부;
    상기 콘베이어를 내장하면서 상기 콘베이어의 하부에서 상기 세척부에서 분사된 세척수와 오징어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집수하는 하부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 가공장치.
KR1020000013299A 2000-03-16 2000-03-16 오징어 가공장치 KR100341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299A KR100341438B1 (ko) 2000-03-16 2000-03-16 오징어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299A KR100341438B1 (ko) 2000-03-16 2000-03-16 오징어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511A KR20010091511A (ko) 2001-10-23
KR100341438B1 true KR100341438B1 (ko) 2002-06-21

Family

ID=19655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299A KR100341438B1 (ko) 2000-03-16 2000-03-16 오징어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14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969B1 (ko) * 2004-08-11 2006-06-09 김수권 편육기
CN112841277B (zh) * 2021-01-21 2023-06-30 南京六六创业科技有限公司 一种鱿鱼头部解剖剔骨和去皮一体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729Y1 (ko) * 1993-05-25 1996-01-25 주식회사 제일산업 오징어 할복 및 내장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729Y1 (ko) * 1993-05-25 1996-01-25 주식회사 제일산업 오징어 할복 및 내장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511A (ko) 2001-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0338B1 (ko) 조개처리방법과 그 방법에 사용되는 조개처리장치
CN111480679B (zh) 一种海参处理设备
US40205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skin from salted, seasoned or otherwise pre-treated fish, preferably herring filets
CN111528262B (zh) 一种鱼的去鳞去脏一体机
KR100341438B1 (ko) 오징어 가공장치
CN112931590A (zh) 一种冻干鳕鱼丝制备设备及其制备工艺
US66923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nimal intestines
CA2206678C (en) Automated crustacean cleaning and cu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CN217471125U (zh) 一种冲浪清洗机
KR200200067Y1 (ko) 콩나물 세척기
CN214854020U (zh) 一种冷冻蚬清洗装置
KR100509172B1 (ko) 오징어 가공기
CN213307192U (zh) 一种丁香鱼加工用鱼身切断清洗装置
KR100367173B1 (ko) 오징어 가공장치
KR20010100151A (ko) 오징어 가공기
KR100508111B1 (ko) 인삼 탈피장치
CN207369990U (zh) 一种虾清洗输送装置
CN111838282A (zh) 一种小龙虾自动清洗去头一体化装置
KR960009531Y1 (ko) 딸기꼭지 절단장치
CN216262341U (zh) 一种畜牧草料清洗装置及其清洗机构和排料机构
CN107716525A (zh) 一种软体动物处理设备及处理工艺
CN214854013U (zh) 用于鱼类加工的开肚去脏机
CN115226753B (zh) 鱼糜加工设备
KR101461806B1 (ko) 고압을 이용한 마늘 껍질 박피장치
CN213281340U (zh) 一种罗非鱼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