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8111B1 - 인삼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인삼 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8111B1
KR100508111B1 KR10-2003-0065247A KR20030065247A KR100508111B1 KR 100508111 B1 KR100508111 B1 KR 100508111B1 KR 20030065247 A KR20030065247 A KR 20030065247A KR 100508111 B1 KR100508111 B1 KR 100508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drum
stirring
stripping
stirr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8730A (ko
Inventor
김인기
Original Assignee
김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기 filed Critical 김인기
Priority to KR10-2003-0065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8111B1/ko
Publication of KR20050028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8Devices for topping or skinning onions or flower bulb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2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by peeling-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3/00Cutting
    • Y10S83/929Particular nature of work or product
    • Y10S83/932Edible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을 세척하고 껍질을 벗겨 제거하는 인삼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삼의 탈피과정이 외부로 노출되게 교반벨트로 인삼을 뒤집어 가면서 고압으로 물을 분사하여 인삼을 세척하고 껍질을 벗겨 제거함으로서 작업과정이 간편하고 인삼의 손상을 방지하는 인삼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터와 펌프가 설치된 동력부와, 세척 및 탈피작업이 수행되는 구동부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에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분사관이 설치된 종래의 인삼 탈피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상부와 전방쪽이 개방되게 설치된 드럼과; 상기 드럼 사이에 양측으로 회전가능케 설치되며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상ㆍ하부롤러와; 상기 드럼의 양쪽 내측면에 위치하고 반원형의 곡면형상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상ㆍ하부롤러에 감겨져 설치되고 양측 안쪽면에 다수개의 가이드롤러가 장착되며 외측면에 다수개의 교반날개가 부착된 교반벨트와; 상기 드럼의 전방쪽에 아래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양측단이 전방으로 돌출된 배출홀더와; 상기 교반벨트의 상측에 위치하게 드럼의 양측으로 설치된 분사관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인삼 탈피장치{The skin device a ginseng}
본 발명은 인삼을 세척하고 껍질을 벗겨 제거하는 인삼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인삼의 세척 및 탈피과정이 외부로 노출되게 교반벨트로 인삼을 이송시켜 뒤집어 가면서 고압으로 물을 분사하여 인삼을 세척하고 껍질을 벗겨 제거함으로서 작업자가 인삼의 탈피상태를 관찰하면서 작업을 진행함으로 작업과정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인삼의 손상을 방지하는 인삼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삼은 수삼, 백삼, 홍삼으로 분류하며, 이중에서 수삼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채취된 상태 그대로의 인삼을 말하고, 백삼은 수삼을 세척한 후 햇볕에 건조시킨 인삼을 말하며, 홍삼은 6년근의 수삼을 증기에 쪄서 건조시킨 황갈색의 인삼을 말한다. 이중 홍삼은 다른 인삼이나 약재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인체에 매우 유익한 성분들(Maltol, Ginsenoside-rh2, Panaxtriol 등)을 함유하고 있어 여러 약재들 중에서 영약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에서 채취된 수삼을 백삼으로 가공하기 위해선 먼저 수삼을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시키는 과정이 필요하고, 또한 홍삼은 세척된 수삼을 증삼과정과 냉각과정을 다수회 반복하여 수행하고 이를 건조시켜 가공하며, 상기 수삼의 세척과정에서 껍질(외피)을 벗겨 탈피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
인삼을 세척하고 껍질을 벗겨 제거하는 작업은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최근에는 자동화된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인삼의 세척과정과 탈피과정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선행기술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325302호(인삼 탈피기)로 선 등록 되었다.
상기 선 등록된 선행기술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외주면에 다수의 배출공이 천공된 회전통이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통은 본체와 도어로 구성되어 도어가 개폐되게 설치되며, 회전통의 내부에는 펌프를 통해 고압으로 탈피수가 분사되는 탈피수파이프가 장착되고, 상기 탈피수파이프는 길이 방향으로 좌우 요동하여 회전통 안에서 인삼을 세척하고 고압으로 분사되는 탈피수로 인삼 껍질을 탈피하여 제거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회전통에 설치된 도어를 통해 소정량의 인삼을 투입하고 회전통의 구동과 함께 펌프를 작동시켜 회전통이 회전하면서 고압으로 탈피수가 분사되어 인삼을 세척하는 동시에 껍질을 탈피하는 것으로, 회전통이 회전함에 따라 투입된 인삼이 뒤섞이면서 뒤집어지고 탈피수가 고압으로 인삼에 분사되어 세척과 탈피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선 등록된 선행기술은 도어가 설치된 회전통이 인삼을 투입하고 밀폐시킨 후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통 안에 투입된 인삼의 세척 및 탈피상태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 작업 도중에 회전통과 펌프를 정지시킨 후 도어를 열고 인삼의 세척 및 탈피상태를 관찰한 다음 작업을 속행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는 한편 작업 시간이 지연되고, 또한 세척 및 탈피시간이 과다할 경우 고압으로 분사되는 탈피수에 의해 인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세척 및 탈피작업이 완료된 인삼은 회전통에서 도어를 열고 작업자가 손으로 집어내는 실정으로 사실상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인삼 탈피기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인삼의 세척 및 탈피과정이 외부로 노출되게 교반벨트로 인삼을 이송시켜 뒤집어 가면서 고압으로 물을 분사하여 인삼의 세척 및 탈피작업을 수행함으로서 작업자가 인삼의 세척 및 탈피상태를 관찰하면서 작업을 진행함으로 작업과정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인삼의 손상을 방지하는 인삼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가 모터와 펌프가 설치된 동력부와, 인삼의 세척 및 탈피작업이 수행되는 구동부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에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인삼을 세척 및 탈피하는 분사관이 설치된 종래의 인삼 탈피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상부와 전방쪽이 개방되게 설치된 드럼과; 상기 드럼 사이에 양측으로 회전가능케 설치되며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상ㆍ하부롤러와; 상기 드럼의 양쪽 내측면에 위치하고 반원형의 곡면형상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상ㆍ하부롤러에 감겨져 설치되고 양측 안쪽면에 다수개의 가이드롤러가 장착되며 외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교반날개가 부착된 교반벨트와; 상기 드럼의 전방쪽에 아래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양측단이 전방으로 돌출된 배출홀더와; 상기 교반벨트의 상측에 위치하게 드럼의 양측으로 설치된 분사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삼의 세척 및 탈피과정이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인삼의 세척 및 탈피상태를 관찰하면서 작업을 진행하도록 구성된 인삼 탈피장치로서,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도 1 내지 도 11 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자세히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프레임으로 형성된 본체가 모터(11)와 펌프(12)가 설치된 동력부(10)와, 인삼의 세척 및 탈피작업이 수행되는 구동부(20)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20)에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인삼을 세척 및 탈피하는 분사관(17)이 설치된 종래의 인삼 탈피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의 위치에 상부와 전방쪽이 개방되게 설치된 드럼(21)과; 상기 드럼(21) 사이에 양측으로 상ㆍ하 수평하게 한쌍의 롤러를 설치하되 전ㆍ후방으로 상호 이격되어 회전가능케 설치되며 모터(11)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상ㆍ하부롤러와(22)(23); 상기 드럼(21)의 양쪽 내측면에 위치하고 반원형의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 단부가 상ㆍ하부롤러(22)(23)의 샤프트(23a)에 근접하게 설치된 가이드레일(25)과; 상기 상ㆍ하부롤러(22)(23)에 감겨져 반원형의 곡면형상으로 설치되고 양측 안쪽면에 가이드레일(25)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개의 가이드롤러(33)가 장착되며 외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교반날개(32)가 부착되어 드럼(21) 내부에 수용되게 설치된 교반벨트(30)와; 상기 드럼(21)의 개방된 전방쪽에 아래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양측단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배출홀더(27)와; 상기 교반벨트(30)의 상측에 위치하게 드럼(21)의 양측으로 설치되고 다수개의 노즐(17a)이 장착된 분사관(17);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본체는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사각형체로 형성되고, 여기서 본체는 모터(11)와 펌프(12) 등이 설치되는 동력부(10)와, 상기 동력부(10)에서 동력과 고압으로 펌핑되는 물을 제공받아 인삼의 세척 및 탈피작업이 수행되는 구동부(2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본체의 동력부(10)에는 종래 인삼 탈피기의 구조와 같이 프레임의 상부로 모터(11)가 고정 설치되고, 모터(11)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펌프(12)가 장착되며, 상기 모터(11)의 동력을 구동부(20)로 전달하는 수개의 스프라켓(14)(14a)(14b)과 체인(15)(15a)(15b)이 장착되는 한편 커버(18)가 밀폐되게 설치된다.
동력부(10)에서 모터(11)의 동력과 펌프(12)의 고압수를 제공받아 인삼의 세척 및 탈피작업이 수행되는 구동부(20)의 구성은 상부와 전방쪽이 개방된 구조의 드럼(21)이 프레임 위에 놓여 설치되고, 상기 드럼(21)의 개방된 사이에 양측으로 배치되게 한쌍의 상ㆍ하부롤러(22)(23)가 장착되며, 드럼(21)의 양쪽 내측면에 반원형의 곡면형상으로 가이드레일(25)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상ㆍ하부롤러(22)(23)에 감겨져 회전하고 가이드레일(25)을 따라 이동하는 교반벨트(30)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드럼(21)은 인삼의 세척 및 탈피량에 따라 소정의 크기로 제작되며, 대략 상부와 전방쪽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동력부(10)의 측면으로 프레임 위에 놓여 설치되며, 상기 드럼(21)의 개방된 사이에 양측으로 수평하게 상ㆍ하 한쌍의 상ㆍ하부롤러(22)(23)가 설치된다.
상기 상ㆍ하부롤러(22)(23)는 드럼(21) 사이에 양측으로 상ㆍ하 수평하게 설치하되, 전ㆍ후방으로 상호 이격되어 샤프트(23a)가 회전가능케 설치되며, 동력부(10)에서 모터(11)의 동력을 스프라켓(14)(14a)(14b)으로 전달받아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하게 설치되고, 또한 외주면에 작은 돌기를 다수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드럼(21)의 양쪽 내측면에 위치하는 가이드레일(25)은 도면의 도 6 과 같이 반원형의 곡면형상으로 설치하되, 대략 상부쪽이 개구된 곡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 단부는 외측으로 벌어져 상ㆍ하부롤러(22)(23)의 샤프트(23a)에 근접하게 위치하며, 안쪽에 가이드홈(25a)이 형성된 구조로 설치된다.
상ㆍ하부롤러(22)(23)에 감겨져 설치되는 교반벨트(30)는 전체적으로 다수개의 배수공(31)이 천공되어 물이 자유롭게 배출되게 형성되며, 양측 안쪽면에 가이드레일(25)의 가이드홈(25a)에 내삽되어 가이드레일(25)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개의 가이드롤러(33)가 브라켓(34)에 의해 장착되고, 외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교반날개(32)를 설치하되, 교반날개(32)는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하 높낮이가 다르게 형성되며, 높고 낮은 순서로 설치된다.
상기 교반날개(32)를 높고 낮은 순서로 배열하여 설치함으로서 교반날개(32) 사이에 내삽된 인삼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줄여 인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교반벨트(30)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교반날개(32)의 상단부가 점점 좁아짐으로 인삼을 가압하여 손상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교반벨트(30)는 동력부(10)에서 모터(11)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상ㆍ하부롤러(22)(23)에 감겨지고 안쪽면에 장착된 다수개의 가이드롤러(33)가 반원형의 곡면형상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25)의 가이드홈(25a)에 내삽되므로 교반벨트(30)는 가이드레일(25)의 형상과 같이 대략 전방쪽이 개방된 반원형의 곡면형상으로 설치되며, 상ㆍ하부롤러(22)(23)의 구동으로 가이드레일(25)을 따라 회전하여 이동하게 된다.
또한 드럼(21)의 개방된 전방쪽에는 세척 및 탈피작업이 완료된 인삼의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홀더(27)가 설치되는 것으로, 배출홀더(27)는 드럼(21)의 개방된 전방쪽에 아래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양측단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동력부(10)에 설치된 펌프(12)를 통해 고압으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관(17)은 교반벨트(30)의 상측에 위치하게 드럼(21)의 양측으로 설치되고, 하측부로 경사각을 갖게 다수개의 노즐(17a)이 장착되며, 여기서 분사관(17)은 상하 회전되어 노즐(17a)이 요동하는 구조로서, 동력부(10)의 펌프(1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풀리(13)의 샤프트에 편심축(16)이 장착되고, 상기 편심축(16)과 분사관(17)에 부착된 고정편(17b) 사이에 링크대(16a)가 설치되어 편심축(16)의 회전시 분사관(17)이 소정 범위로 상하 회전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분사관(17)의 상측부에 위치하게 드럼(21)의 양측면에 고정바(24)가 장착되어 드럼(21)을 견고하게 지지 고정하며, 드럼(21)의 개방된 전방쪽 하단에는 분사관(17)의 노즐(17a)에서 분사된 물이 모아져 배수되는 배수관(26)이 설치되고, 본체의 프레임 저면에는 다수개의 바퀴가 장착되어 이동이 간편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인삼은 적당량을 전방쪽이 개방된 형태의 교반벨트(30)위에 올려 투입하며, 이상태에서 작동스위치(19)를 "온"시켜 모터(11)를 정회전시키면 모터(11)가 구동함과 동시에 펌프(12)가 작동하고, 모터(11)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ㆍ하부롤러(22)(23)가 회전하여 교반벨트(30)가 가이드레일(25)을 따라 후방쪽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며, 펌프(12)의 작동으로 분사관(17)의 노즐(17a)에서 고압으로 물이 분사되면서 인삼의 세척 및 탈피작업이 진행된다.
이때, 교반벨트(30)위에 올려져 투입된 인삼은 교반벨트(30)의 이동에 따라 교반날개(32)에 걸려서 상부로 끌어 올려지며, 상부로 끌어 올려진 인삼은 교반날개(32)가 점차 아래로 기울어짐에 따라 아래로 낙하되면서 뒤집어져 섞이게 되고, 이러한 반복과정에서 노즐(17a)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되는 물이 인삼의 외피에 부딪침으로서 인삼에 붙은 흙이나 기타 이물질이 세척되고, 또한 고압수에 의해 연질의 외피가 벗겨져 탈피됨으로서 인삼의 세척 및 탈피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분사관(17)의 노즐(17a)에서 고압으로 분사된 물은 교반벨트(30)위에 올려진 인삼을 세척 및 탈피시킨 다음 교반벨트(30)에 천공된 다수개의 배수공(31)을 통하여 드럼(21)의 하측 내부로 떨어지고, 드럼(21)의 전방쪽 하단에 설치된 배수관(26)으로 모아져 정화조로 유입된다.
인삼의 세척 및 탈피작업은 작업자가 세척 및 탈피상태를 관찰하면서 진행되며, 세척 및 탈피작업이 완료되면 모터(11)와 펌프(12)를 정지시킨 다음 전방쪽의 배출홀더(27) 아래에 용기를 배치하고, 다시 작동스위치(19)를 "온"시켜 모터(11)를 역회전시키면 모터(11)의 구동으로 상ㆍ하부롤러(22)(23)가 역회전함으로서 교반벨트(30)가 전방쪽으로 회전 이동하여 교반벨트(30)위에 올려진 인삼을 교반날개(32)가 전방쪽으로 이송시키며, 전방으로 이송된 인삼은 교반날개(32)가 점차 기울어짐에 따라 배출홀더(27)의 경사면에 떨어져 용기에 담기게 된다.
작업이 완료된 인삼을 모두 배출하면 다시 교반벨트(30)위에 적당량의 인삼을 올려 투입하고, 모터(11)와 펌프(12)를 구동시켜 작업을 진행하며, 본 발명에서 노즐(17a)이 장착된 분사관(17)이 상하로 회전하여 노즐(17a)이 요동함으로서 인삼의 세척 및 탈피효과를 높이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인삼의 세척 및 탈피과정이 외부로 노출되게 다수개의 교반날개(32)가 장착된 교반벨트(30)를 반원형의 곡면형태로 설치하여 인삼을 뒤집어 섞어가면서 고압으로 물을 분사하여 세척 및 탈피작업이 진행됨으로 작업상태를 작업자가 관찰할 수 있어 인삼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삼의 세척 및 탈피과정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되고, 특히 반원형의 곡면형상으로 설치된 교반벨트와 교반날개로 인삼을 이송시켜 뒤집어 가면서 고압으로 물을 분사하여 인삼의 세척 및 탈피작업을 수행함으로서 작업자가 인삼의 세척 및 탈피상태를 관찰하면서 작업을 진행함으로 작업과정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인삼의 탈피상태를 수시로 확인하여 인삼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일부분 정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동력전달을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인삼의 세척 및 탈피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과 교반벨트의 설치상태 평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벨트와 상ㆍ하부롤러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사관의 상하 회전구조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동력부 11: 모터 12: 펌프
13: 풀리 14: 스프라켓 15: 체인
16: 편심축 17: 분사관 17a: 노즐
20: 구동부 21: 드럼 22: 상부롤러
23: 하부롤러 25: 가이드레일 26: 배수관
27: 배출홀더 30: 교반벨트 32: 교반날개
33: 가이드롤러 34: 브라켓

Claims (5)

  1. 프레임으로 형성된 본체가 모터(11)와 펌프(12)가 설치된 동력부(10)와, 인삼의 세척 및 탈피작업이 수행되는 구동부(20)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20)에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인삼을 세척 및 탈피하는 분사관(17)이 설치된 종래의 인삼 탈피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의 위치에 상부와 전방쪽이 개방되게 설치된 드럼(21)과; 상기 드럼(21) 사이에 양측으로 상ㆍ하 수평하게 한쌍의 롤러를 설치하되 전ㆍ후방으로 상호 이격되어 회전가능케 설치되며 모터(11)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상ㆍ하부롤러와(22)(23); 상기 드럼(21)의 양쪽 내측면에 위치하고 반원형의 곡면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25)과; 상기 상ㆍ하부롤러(22)(23)에 감겨져 설치되고 양측 안쪽면에 다수개의 가이드롤러(33)가 장착되며 외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교반날개(32)가 부착되어 드럼(21) 내부에 수용되게 설치된 교반벨트(30)와; 상기 드럼(21)의 개방된 전방쪽에 아래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양측단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배출홀더(27)와; 상기 교반벨트(30)의 상측에 위치하게 드럼(21)의 양측으로 설치되고 다수개의 노즐(17a)이 장착된 분사관(1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탈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드럼(21)의 개방된 전방쪽 하단에 분사관(17)의 노즐(17a)에서 분사된 물이 모아져 배수되는 배수관(2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탈피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교반벨트(3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교반날개(32)는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되고, 상하 높낮이가 다르게 형성되며, 높고 낮은 순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탈피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교반벨트(30)는 상ㆍ하부롤러(22)(23)에 감겨져 설치되고, 가이드레일(25)에 형성된 가이드홈(25a)에 다수개의 가이드롤러(33)가 내삽되어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곡면형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탈피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동력부(10)의 샤프트에 편심축(16)이 장착되고, 상기 편심축(16)과 분사관(17)에 부착된 고정편(17b) 사이에 링크대(16a)가 장착되며, 편심축(16)의 회전으로 분사관(17)이 상하 회전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탈피장치.
KR10-2003-0065247A 2003-09-19 2003-09-19 인삼 탈피장치 KR100508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247A KR100508111B1 (ko) 2003-09-19 2003-09-19 인삼 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247A KR100508111B1 (ko) 2003-09-19 2003-09-19 인삼 탈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730A KR20050028730A (ko) 2005-03-23
KR100508111B1 true KR100508111B1 (ko) 2005-08-18

Family

ID=37385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247A KR100508111B1 (ko) 2003-09-19 2003-09-19 인삼 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8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16B1 (ko) * 2007-03-21 2008-01-30 (주)명성기계 구근류 탈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897B1 (ko) * 2006-07-11 2008-02-1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도라지 박피 장치
KR101979833B1 (ko) * 2017-08-31 2019-05-2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
KR102229281B1 (ko) * 2019-02-08 2021-03-18 (주)승진유공압테크 종패분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16B1 (ko) * 2007-03-21 2008-01-30 (주)명성기계 구근류 탈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730A (ko) 200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82262A (zh) 白芨饮片智能生产线
CN108435638A (zh) 一种中药材清洗装置
KR100508111B1 (ko) 인삼 탈피장치
CN107503078A (zh) 波轮洗衣机的控制方法
CN107156879A (zh) 剥皮装置
CN210869379U (zh) 一种鸭蛋生产加工装置
CA2206678C (en) Automated crustacean cleaning and cu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4336151A (zh) 一种旋转式喷头贝壳类海鲜清洗设备
CN208266501U (zh) 滚筒洗衣机及其喷淋系统
KR200459692Y1 (ko) 골프공 세척장치
CN214854020U (zh) 一种冷冻蚬清洗装置
JPH06169693A (ja) 製茶機の洗浄方法と装置
KR100393994B1 (ko) 세탁기의 세탁수 재순환 장치
CN213194936U (zh) 一种便于清洗的食用植物油生产用蒸炒装置
CN214133040U (zh) 一种防伤根茎的滚筒式洗药机
CN112586768B (zh) 一种农产品加工用萝卜批量清洗装置
CN210747147U (zh) 一种草莓加工清洗装置
CN209939757U (zh) 喷涂设备输送带清洗装置
JP5046417B1 (ja) 食品洗浄用脱水カゴの水洗方法及び水洗装置
CN112474497A (zh) 一种清洗效果好的西洋参清洗装置
KR100235907B1 (ko) 은행 자동탈피기 및 세척기
JPH07100293A (ja) 洗濯機の濯ぎ脱水処理方法及び装置
KR200193390Y1 (ko) 단무지용 무 세척장치
CN106982912B (zh) 一种高效的肠衣清洗机
CN214207127U (zh) 一种用于扒瓜机的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