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833B1 -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833B1
KR101979833B1 KR1020170111378A KR20170111378A KR101979833B1 KR 101979833 B1 KR101979833 B1 KR 101979833B1 KR 1020170111378 A KR1020170111378 A KR 1020170111378A KR 20170111378 A KR20170111378 A KR 20170111378A KR 101979833 B1 KR101979833 B1 KR 101979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cleaning
fix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5201A (ko
Inventor
유선철
조현우
성민성
송석용
조한길
표주현
김병진
김주환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11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833B1/ko
Publication of KR20190025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원통형 수조 내부를 수압에 의해 청소하기 위한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조의 청소장치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면이 세워지도록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고정되어 어류가 양식되는 수조를 청소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수조의 일단면에 고정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 일단면의 중앙 부분에 일단이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수조 내측면 부근까지 연장된 회전레버; 상기 회전레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수조의 타측면 부근까지 연장되며, 고압의 세척수가 일단으로 공급되고 상기 고압의 세척수가 토출되는 복수개의 토출구가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고압의 세척수로 상기 수조 내측면을 세척하는 세척수 파이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 {Washing apparatus for raising tank}
본 발명은 원통형 수조 내부를 수압에 의해 청소하기 위한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뱀장어 양식용 종묘는 전용 수조에서 양식된다. 뱀장어의 양식용 종묘는 대부분 자연산 실뱀장어 자원에 의존하기 때문에 매년 실뱀장어 채포량에 따라 종묘가격이 결정된다. 자연 채포량에 의존하므로 실뱀장어의 수급 관리가 어려웠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동북아시아 몇몇 국가에서 인공종묘생산에 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뱀장어 양식은 일본의 경우, 인공종묘생산 성공과 완전양식에 성공하였으나, 산업화를 위한 인공종묘의 대량 생산에는 성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 세계적으로 뱀장어가 고갈 상태이고, 많은 양을 소비하는 세계 최대 뱀장어 소비국인 일본과 한국은 물론 중국과 대만에서도 최근 소비가 크게 증가하면서 수요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실뱀장어 치어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에 이어 우리나라도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2번째로 인공 실뱀장어 생산에 성공하였으나 대량생산에는 전세계적으로 성공을 이룬 국가가 없다.
일반적으로 어류의 사료는 가루, 환, 액상사료로 나눌 수 있는데 가루 사료는 수조내 사육수를 혼탁하게 하고 환모양의 사료는 자어가 섭취하기에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액상사료를 사용한다. 액상사료는 물과 섞이지 않은 성질 때문에 수조 내에서 그 무게 때문에 수조바닥으로 가라앉는다.
소규모 수조에서 사육되는 크기가 작고 낮은 유영력을 가진 실뱀장어 초기 자어는 물의 순환이 없거나 약하면 액상사료와 혼합되어 사망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정수준의 물의 순환이 필요하고, 그 순환이 강하면 액상사료가 수조 전체에 퍼져 배출구로 빠져나가는 양이 많아질 뿐만 아니라 액상사료가 자어와 조우할 수 있는 기회도 낮아 사료효율이 떨어지고 자어 자체의 스트레스도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에 의한 양식 수조의 경우 뱀장어 자어용 먹이는 쉽게 부패가 일어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먹이를 투입한 다음 초기 자어가 섭취하고 남은 잔여 사료를 최대한 제거해 주어야 하지만, 청소는 대부분 작업자의 인력에 의존하게 하기에는 노동력이 과다하게 투입되고, 매우 비생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74901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초기 뱀장어 자어용 먹이가 투입 후 초기 자어가 섭취하고 남은 잔여 사료의 부패가 일어나기 전에 자동으로 최대한 잔여사료를 청소해 줄 수 있는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면이 세워지도록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고정되어 어류가 양식되는 수조를 청소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수조의 일단면에 고정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 일단면의 중앙 부분에 일단이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수조 내측면 부근까지 연장된 회전레버; 상기 회전레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수조의 타측면 부근까지 연장되며, 고압의 세척수가 일단으로 공급되고 상기 고압의 세척수가 토출되는 복수개의 토출구가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고압의 세척수로 상기 수조 내측면을 세척하는 세척수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은, 상기 수조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1패널; 상기 수조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2패널;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을 연결하는 연결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을 관통하고 나사결합되어, 조임에 따라 상기 수조에 상기 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타이밍풀리; 상기 제1타이밍풀리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축이 고정되어 함께 회전되는 제2타이밍풀리; 및 상기 제1타이밍풀리와 제2타이밍풀리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레버의 일단은 상기 제2타이밍풀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인 자유단에는 상기 세척수 파이프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수 파이프에 상기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튜브가 통과하는 슬롯이 상기 회전레버의 몸체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타이밍풀리의 외경이 상기 제2타이밍풀리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면이 세워지도록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고정되어 어류가 양식되는 수조를 청소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수조의 일단면에 고정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 일단면의 중앙 부분에 일단이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수조 내측면 부근까지 연장된 회전레버; 상기 회전레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수조의 타측면 부근까지 연장되며, 고압의 세척수가 일단으로 공급되고 상기 고압의 세척수가 토출되는 복수개의 토출구가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고압의 세척수로 상기 수조 내측면을 세척하는 세척수 파이프; 상기 세척수 파이프의 타단에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세척수 파이프와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는 롤러; 상기 세척수 파이프로부터 고압의 세척수가 토출될 때 그 압력에 의해 상기 세척수 파이프가 휘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수조의 타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환형의 제1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은 상기 롤러의 회전반경보다 작은 내측의 회전 반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조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보다 큰 회전 반경의 제2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 파이프의 타단이 처지는 한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작업자의 선택 또는 정해진 시간에 자동으로 세척수 파이프가 작동되어 수조를 세척하게 되어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2) 본 발명은 세척수 파이프가 수조와 거의 밀착된 상태에서 이물질이 고착될 위치를 고압의 세척수로 세척하게 되기 때문에 수조의 깨끗한 환경을 유지하여 자어의 생존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의 일부 투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에서 수조를 제외한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반대 쪽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면이 세워지도록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고정되어 어류가 양식되는 수조(10)를 청소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수조(1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원통형의 탱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뉘어진 상태에서 상단부로부터 일정거리까지 절개되어 개방부(11) 형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수조(10)는 상단부까지 물을 채우면 넘치게 되어 있고, 통상 중앙이나 그 보다 높은 높이에 배수구(10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단까지 수면이 이르기 전에 배수구(100)로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수조(10)에는 뱀장어 자어를 생육하기 위하여 물과 먹이가 공급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자어의 먹이는 일부 섭취되고 수조(10) 내부에 남은 것들이 빠른 시간 내에 부패가 일어나 자어 양식에 커다란 피해를 주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프레임(20), 구동부(30), 동력전달부, 회전레버(70), 그리고 세척수 파이프(8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10)의 일단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수조(10)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1패널(21)과, 상기 수조(1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2패널(22)과, 상기 제1패널(21)과 상기 제2패널(22)을 연결하는 연결패널(24)과, 상기 제2패널(22)을 관통하고 나사결합되어, 조임에 따라 상기 수조(10)에 상기 프레임(20)을 고정하는 고정볼트(23)를 포함한다.
이때, 이번 실시예에서는 도 3을 참고하면, 고정볼트(23)를 하나만을 사용하여 프레임(20)을 상기 수조(10)에 조립 고정하고 있으나, 더 많은 수의 고정볼트와 더 넓은 패널들을 사용하게 되면 그 고정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것은 물론이다.
상기 회전레버(70)와 세척수 파이프(80)가 함께 회전되면서 세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동시 회전 중심에 대하여 모멘텀이 발생하게 되고, 그 힘은 프레임(20)이 받아 견뎌야 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고정볼트 수를 늘릴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들(21,22)을 상기 수조(10)의 일면 상단으로부터 끼워 삽입하고, 바로 고정볼트(23)를 조여 조립 및 고정이 완성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신속한 조립과 분해를 보장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프레임(20)에 고정되어 있고,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는 전기 구동모터(30)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프레임(20)의 연결패널(24) 상단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축에 후술하는 제1타이밍풀리(40)가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이와 연결된 부품들도 결국 모두 상기 프레임(20)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이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구동부(3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상기 회전레버(70)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부(3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타이밍풀리(40)와, 상기 제1타이밍풀리(4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상기 회전레버(70)의 회전축(61)이 고정되어 함께 회전되는 제2타이밍풀리(60)와, 상기 제1타이밍풀리(40)와 제2타이밍풀리(60)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에 타이밍벨트(50)와 제1,2타이밍풀리(40,60)를 적용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범위에서 구동모터(30)가 정역회전하기 때문에 정확한 각도 범위에서 상기 세척수 파이프(80)가 정역회전하면서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타이밍풀리(40)의 외경이 상기 제2타이밍풀리(6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설계함으로써 안정적인 동력전달이 가능해지고 상기 세척수 파이프(80)의 정확한 정역회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타이밍벨트(50) 대신에 체인 형식을 적용할 수도 있고, 타이밍풀리들(40,60) 대신에 타이밍기어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회전레버(7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10) 일단면의 중앙 부분에 일단이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수조 내측면 부근까지 연장된다.
이때,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세척수 파이프(80)에 상기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튜브(90)가 통과하는 슬롯(70a)이 상기 회전레버(70)의 몸체에 구비된다. 상기 세척수 공급튜브(90)는 상기 수조(10)로 들어온 다음, 상기 슬롯(70a)을 통하여 상기 회전레버(70)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세척수 파이프(80) 후방에 연결되어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레버(70)의 슬롯(70a) 구조에 의해 작동시 상기 세척수 공급튜브(90)가 상기 회전레버(70)와 함께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세척수 공급튜브(90)가 돌아다니지 않도록 방지한다.
상기 세척수 파이프(8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회전레버(7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수조(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수조(10)의 타측면 부근까지 연장되며, 고압의 세척수가 일단으로 공급되고 상기 고압의 세척수가 토출되는 복수개의 토출구(80a)가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고압의 세척수로 상기 수조(10) 내측면을 세척한다.
이때, 상기 세척수 파이프(80)는 수조(10) 내측면에 고압의 세척수를 효율적으로 공급하여 세척하기 위하여 되도록이면 수조(10) 내측면에 가깝게 밀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수 파이프(80)의 토출구(80a)는 상기 세척수 파이프(8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형성되되, 상기 토출구(80a)는 고압의 세척수가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수조(10) 내측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도 4를 기준으로 세척수 파이프(80)의 최하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세척수 파이프(80)의 복수개의 토출구(80a)는 그 직경이 모두 고르게 형성될 수도 있고, 압력이 고르게 토출되도록 세척수의 입구 부분은 직경을 작게 하고, 세척수 파이프(80) 끝단으로 갈수록 토출구(80a) 직경이 증가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수조(10)의 일부를 투시하여 내부 구성 부품들이 보이도록 도시하고 있다. 상기 수조(10)의 일측면에 상기 프레임(20)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20)에 구동모터(30), 제1타이밍풀리(40), 타이밍벨트(50), 회전레버(70), 세척수 공급튜브(90), 그리고 세척수 파이프(8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0) 상단에 구동모터(30)가 고정되어 있고, 구동모터(30)의 구동력은 제1타이밍풀리(40), 타이밍벨트(50), 제2타이밍풀리(60)를 거쳐 상기 회전레버(70)에 전달되어 상기 회전레버(7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물론 이때 구동모터(30)는 일정각도마다 정역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세척수 공급튜브(90)도 상기 회전레버(70)의 슬롯(70a)에 일부가 끼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레버(7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프레임(20)의 후방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0)의 후방의 고정볼트(23)를 상기 수조(10)의 몸체가 제1, 2패널(21,22)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조이게 되면 상기 프레임(20)이 상기 수조(10)에 고정된다. 상기 세척수 공급튜브(90)는 상기 회전레버의 슬롯(70a)을 통과하여 세척수 파이프(80) 후방에 연결된 것을 볼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구돔모터(30)가 작동되면 구동력을 제1타이밍풀리(40), 타이밍벨트(50), 제2타이밍풀리(60)를 거쳐 상기 회전레버(70)의 회전축에 전달된다. 상기 회전레버(70)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정역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세척수 공급튜브(90)를 통하여 고압의 세척수가 세척수 파이프(80)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세척수 파이프(80)는 도 4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정역회전하면서 토출구(80a)를 통하여 토출되는 세척수로 상기 수조(10) 내측면을 세척하게 된다.
상기 수조(10)에 공급되는 자어의 먹이는 섭취하고 남은 것들은 자중에 의해 수조(10)의 최대하단부에 모여 굳어져 부착되는데, 이러한 세척 동작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는, 도 5를 참고하면,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면이 세워지도록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고정되어 어류가 양식되는 수조(10)를 청소하기 위한 장치로서, 프레임(20), 구동모터(30), 동력전달부, 회전레버(70), 세척수 파이프(180), 롤러(181), 제1가이드레일(1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수조(10)의 일단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프레임(20)에 고정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0)와, 상기 구동모터(3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때, 상기 회전레버(70)는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10) 일단면의 중앙 부분에 일단이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수조(10) 내측면 부근까지 연장된다.
이때, 상기 세척수 파이프(180)는 상기 회전레버(7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수조(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수조(10)의 타측면 부근까지 연장되며, 고압의 세척수가 일단으로 공급되고 상기 고압의 세척수가 토출되는 복수개의 토출구가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고압의 세척수로 상기 수조 내측면을 세척한다.
이때, 상기 롤러(181)는 상기 세척수 파이프(180)의 타단에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세척수 파이프(180)와 평행한 회전축을 가진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레일(13)은 상기 세척수 파이프(180)로부터 고압의 세척수가 토출될 때 그 압력에 의해 상기 세척수 파이프(180)가 휘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수조의 타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롤러(181)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레일(13)은 상기 롤러(181)의 회전반경보다 작은 내측의 회전 반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조(10)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3)보다 큰 회전 반경의 제2가이드레일(12)이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 파이프(181)의 타단이 처지는 한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구동모터(30)의 구동력은 동력전달수단을 거쳐, 상기 회전레버(70)에 전달되고, 상기 회전레버(70)는 정역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세척수 파이프(180)의 세척수 토출에 의해 수조 내측면을 세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세척수 파이프(18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롤러(181)가 상기 제1가이드레일(13)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세척수의 압력이 아주 고압이라도 세척수 파이프(180)가 휘어지거나 들리지 않게 된다. 반대로, 시간이 경과하여 상기 세척수가 파이프(180)가 외력 등에 의해 처지게 되더라도, 상기 제2가이드레일(12)에 의해 상기 수조 내측면에 접촉하지 않고 더 이상 처지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수조
12 : 제2가이드레일 13 : 제1가이드레일
20 : 프레임 30 : 구동모터
40 : 제1타이밍풀리 50 : 타이밍벨트
60 : 제2타이밍풀리 70 : 회전레버
80 : 세척수 파이프 90 : 세척수 공급튜브

Claims (9)

  1.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면이 세워지도록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고정되어 어류가 양식되는 수조를 청소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수조의 일단면에 고정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 일단면의 중앙 부분에 일단이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수조 내측면 부근까지 연장된 회전레버;
    상기 회전레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수조의 타측면 부근까지 연장되며, 고압의 세척수가 일단으로 공급되고 상기 고압의 세척수가 토출되는 복수개의 토출구가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고압의 세척수로 상기 수조 내측면을 세척하는 세척수 파이프;
    를 포함하는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수조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1패널;
    상기 수조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2패널;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을 연결하는 연결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을 관통하고 나사결합되어, 조임에 따라 상기 수조에 상기 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볼트;
    를 포함하는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타이밍풀리;
    상기 제1타이밍풀리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축이 고정되어 함께 회전되는 제2타이밍풀리; 및
    상기 제1타이밍풀리와 제2타이밍풀리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
    를 포함하는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의 일단은 상기 제2타이밍풀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인 자유단에는 상기 세척수 파이프가 설치된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파이프에 상기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튜브가 통과하는 슬롯이 상기 회전레버의 몸체에 구비된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이밍풀리의 외경이 상기 제2타이밍풀리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
  7.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면이 세워지도록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고정되어 어류가 양식되는 수조를 청소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수조의 일단면에 고정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 일단면의 중앙 부분에 일단이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수조 내측면 부근까지 연장된 회전레버;
    상기 회전레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수조의 타측면 부근까지 연장되며, 고압의 세척수가 일단으로 공급되고 상기 고압의 세척수가 토출되는 복수개의 토출구가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고압의 세척수로 상기 수조 내측면을 세척하는 세척수 파이프;
    상기 세척수 파이프의 타단에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세척수 파이프와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는 롤러;
    상기 세척수 파이프로부터 고압의 세척수가 토출될 때 그 압력에 의해 상기 세척수 파이프가 휘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수조의 타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환형의 제1가이드레일;
    를 포함하는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레일은 상기 롤러의 회전반경보다 작은 내측의 회전 반경을 따라 형성된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보다 큰 회전 반경의 제2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 파이프의 타단이 처지는 한계를 설정하는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
KR1020170111378A 2017-08-31 2017-08-31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 KR101979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378A KR101979833B1 (ko) 2017-08-31 2017-08-31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378A KR101979833B1 (ko) 2017-08-31 2017-08-31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201A KR20190025201A (ko) 2019-03-11
KR101979833B1 true KR101979833B1 (ko) 2019-05-20

Family

ID=6575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378A KR101979833B1 (ko) 2017-08-31 2017-08-31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8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2306A (zh) * 2020-07-23 2020-10-23 杨军 一种基于液体胶水的养殖罐清洁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85378B (zh) * 2023-10-19 2024-01-02 烟台核信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改良型塑料滤板及立式压滤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007Y1 (ko) 2006-09-29 2007-01-05 양병욱 전복양식구 세척장치
KR101402645B1 (ko) 2013-11-21 2014-06-03 대한민국 뱀장어 초기 자어 사육수조 청소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111B1 (ko) * 2003-09-19 2005-08-18 김인기 인삼 탈피장치
KR20150113755A (ko) * 2014-03-31 2015-10-08 김대훈 전복 치패장 세척장치
KR101750748B1 (ko) * 2015-01-12 2017-07-11 이상재 전복양식조 세척장치
KR101749015B1 (ko) 2017-01-19 2017-06-20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육상 양식 사육 수조용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007Y1 (ko) 2006-09-29 2007-01-05 양병욱 전복양식구 세척장치
KR101402645B1 (ko) 2013-11-21 2014-06-03 대한민국 뱀장어 초기 자어 사육수조 청소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2306A (zh) * 2020-07-23 2020-10-23 杨军 一种基于液体胶水的养殖罐清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201A (ko) 201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833B1 (ko)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
CN206760463U (zh) 一种水产养殖饲料投放装置
CN103814659A (zh) 人参排种器
CN207628570U (zh) 一种节水型的种子水选装置
CN210995229U (zh) 一种农产品种植用拌种装置
CN205357747U (zh) 水产养殖池壁清洗装置
CN214508857U (zh) 一种水产养殖供氧装置
CN207476681U (zh) 一种用于蟹水产养殖的放料装置
CN209886307U (zh) 一种连续式藜麦清洗装置
CN210444864U (zh) 一种深层土壤施肥装置
JP3849666B2 (ja) 養殖ホタテ貝の洗浄装置
CN111919528A (zh) 一种玉米免耕播种机开沟装置
JP4583422B2 (ja) 植物栽培用循環成長装置
CN105960855A (zh) 用于山药模块化种植的挖土碎土加肥装土车
CN207235841U (zh) 一种高密度集约化龙虾养殖装置
CN214431115U (zh) 一种渔业养殖用自动投料装置
CN114631414A (zh) 一种清洗消毒牧草种子的系统
CN212544804U (zh) 一种用于玉米育种的栽培架装置
CN210808159U (zh) 一种马铃薯施肥装置
KR101977096B1 (ko) 양식 수조의 먹이주입 및 청소장치
CN210537397U (zh) 一种用于大葱种植的开沟施肥栽苗覆土一体机
CN209030901U (zh) 一种水产养殖供氧装置
CN213549562U (zh) 一种用于青核桃去皮的农业机械装置
CN218959464U (zh) 一种与螺旋输送式播种机配套的排种器
CN215302380U (zh) 一种水产养殖用的投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