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390Y1 - 단무지용 무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단무지용 무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390Y1
KR200193390Y1 KR2019980013672U KR19980013672U KR200193390Y1 KR 200193390 Y1 KR200193390 Y1 KR 200193390Y1 KR 2019980013672 U KR2019980013672 U KR 2019980013672U KR 19980013672 U KR19980013672 U KR 19980013672U KR 200193390 Y1 KR200193390 Y1 KR 2001933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sh
washing
chain
opera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483U (ko
Inventor
유중지
Original Assignee
유중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중지 filed Critical 유중지
Priority to KR2019980013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390Y1/ko
Publication of KR200000034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4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3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무지용 무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하여 전, 후방 양측으로 설치된 구동기어가 각각의 체인으로 회동되게 설치되며, 상기 체인과 체인 사이에는 양단으로 회전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된 평기어와 맞물려 회전될 수 있도록 다수의 이송브러쉬롤러가 설치되는 이송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는 상면에 설치된 회전모터의 풀리와 연결된 벨트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브러쉬롤러와 직교방향으로 세척브러쉬롤러가 설치되며, 그 상측으로 다수의 분사노즐이 설치된 분사관이 설치되는 보조프레임이 본체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봉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세척부와; 이 세척부의 보조프레임 일단에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작동모터의 캠과 힌지결합되어 설치된 작동바의 일단과 힌지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봉 상에서 왕복운동시키는 작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무지용 무 세척장치를 제공하므로서, 단무지용으로 사용되는 무의 표피에 손상없이 이물질 등을 깨끗하고 세밀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단시간 내에 많은 량의 무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 단무지용 무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무지용 무 세척장치(An apparatus for washing the radish).
본 고안은 단무지용 무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단무지용으로 사용되는 무의 표피에 손상없이 이물질 등을 깨끗하고 세밀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단시간 내에 많은 량의 무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 단무지용 무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무지용으로 사용되는 무를 세척하는 종래의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첫째, 물이 담겨 있는 큰 수용용기에 무를 다량으로 넣은 다음, 작업자가 솔 등을 이용한 수작업에 의하여 일일이 무의 표피에 부착 또는 형성되어 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세척하는 방법으로, 이러한 방법은 수작업으로 인하여 무의 표피에 부착되거나 형성된 이물질 등을 깨끗하고 세밀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은 있었으나, 수작업으로 인한 생산성의 저하와, 작업자의 많은 노동력에 따른 작업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세척장치(100)를 사용하여 단무지용 무를 세척하였는 데, 먼저, 그 구성은 상측에 도어(92)에 의하여 개폐되는 유입부(96)가 형성된 케이스(90)의 일면에 구동모터(80)의 구동기어(82)와 연동될 수 있도록 다수의 연동기어(72)가 설치되고, 이 연동기어(72)에는 상기 케이스(90) 내부에 표면으로 도 5에서와 같이 외주면에 연마석 등이 부착되어 있는 제거부(74)가 형성된 제거롤러(70)가 연결되어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90)의 상면에는 물 등을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관(110)이 설치되고, 바닥면에는 배수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외주면에 연마석 등이 부착된 제거롤러(70) 대신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와이어브러쉬롤러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세척장치(100)에서의 무 세척방법은 먼저, 케이스(90)의 내부로 유입부(96)를 통하여 세척하고자 하는 무를 다량으로 넣은 후, 케이스(90)의 일측으로 설치된 구동모터(80)를 작동시켜 구동함에 따라 구동기어(82)가 회전되면서 이와 맞물려 있는 연동기어(72)를 연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케이스(90)의 상면으로 설치된 물공급관(110)을 통하여 물을 공급하므로서, 무의 표피를 더욱더 원활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연동기어(72)가 연동됨으로서, 이 연동기어(72)와 연결되어 케이스(90) 내부에 설치된 제거롤러(70)가 연동되면서 케이스(90) 내부로 수용되어 있는 무의 표피에 형성 또는 부착된 이물질 등을 상기 제거롤러(70)의 제거부(74)가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무의 세척이 완료되면 바닥면으로 형성된 배수구를 개방시켜 케이스(90)의 내부에 넣어졌던 물을 배수시킨 다음, 세척이 완료된 무를 유입부(96)를 통하여 인출시키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세척장치(100)에 있어서는 무의 세척과정에서 다량으로 넣어지는 무 중에서 제거롤러(70)의 표면인 제거부(74)와 맞닿아 있는 무의 표피에 형성 또는 부착된 이물질 등 만이 제거되고, 무와 무 사이에서 유동되는 무는 세척되지 않는 문제점으로 인해 다시 여러번 재세척해야 하는 번거러운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또한, 제거롤러(70)로 인하여 무의 표피에 형성 또는 부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제거롤러(70)의 표면이 연마석과 같은 제거부(74)로 인하여 무의 표피에 형성 또는 부착된 이물질 등이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무의 표피를 박피시키는 관계로 박피된 이물질 등이 오히려 무의 살에 침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침투된 이물질 등을 제거해야 하는 새로운 공정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치된 제거롤러(70) 대신에 도시되지 않은 와이어브러쉬롤러를 사용할 경우에도 상기 상술한 문제점과 같은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단무지용으로 사용되는 무의 표피에 손상없이 이물질 등을 깨끗하고 세밀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단시간 내에 많은 량의 무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세척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 2는 본 고안 세척장치의 세척부가 작동부에 의하여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측면도이며,
도 3은 세척부의 회전모터에 의하여 세척브러쉬롤러가 회전되는 것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4은 종래 사용되는 단무지용 무 세척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종래 사용되는 제거롤러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세척장치 10 : 이송부
11 : 본체프레임 12 : 구동모터
14 : 구동기어 16 : 체인
18 : 이송브러쉬롤러 18a : 회전기어
19 : 평기어 20 : 세척부
21 : 가이드봉 22 : 회전모터
22a : 풀리 23 : 벨트
24 : 세척브러쉬롤러 26 : 분사관
26a : 노즐 28 : 보조프레임
30 : 작동부 32 : 작동모터
32a : 캠 34 : 작동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단무지용 무를 세척하고자 사용되는 세척장치에 있어서, 본체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하여 전, 후방 양측으로 설치된 구동기어가 각각의 체인으로 회동되게 설치되며, 상기 체인과 체인 사이에는 양단으로 회전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된 평기어와 맞물려 회전될 수 있도록 다수의 이송브러쉬롤러가 설치되는 이송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는 상면에 설치된 회전모터의 풀리와 연결된 벨트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의 이송브러쉬롤러와 직교방향으로 세척브러쉬롤러가 설치되며, 그 상측으로 다수의 분사노즐이 설치된 분사관이 설치되는 보조프레임이 본체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봉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세척부와; 이 세척부의 보조프레임 일단에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작동모터의 캠과 힌지결합되어 설치된 작동바의 일단과 힌지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봉 상에서 왕복운동시키는 작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무지용 무 세척장치를 제공하므로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작동부는 작동모터와 작동바 대신에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실린더에 의하여 가이드봉 상에서 세척부를 왕복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세척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 2는 본 고안 세척장치의 세척부가 작동부에 의하여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측면도이며, 도 3은 세척부의 회전모터에 의하여 세척브러쉬롤러가 회전되는 것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로서, 본체프레임(11)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12)에 의하여 전, 후방 양측으로 설치된 구동기어(14)가 각각의 체인(16)으로 회동되게 설치되며, 상기 체인(16)과 체인(16) 사이에는 양단으로 회전기어(18a)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1)의 양측에 설치된 평기어(19)와 맞물려 회전될 수 있도록 다수의 이송브러쉬롤러(18)가 설치되는 이송부(10)와;
상기 본체프레임(11)의 상부에는 상면에 설치된 회전모터(22)의 풀리(22a)와 연결된 벨트(23)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10)의 이송브러쉬롤러(18)와 직교방향으로 세척브러쉬롤러(24)가 설치되며, 그 상측으로 다수의 분사노즐(26a)이 설치되어 물공급관(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는 분사관(26)이 설치되는 보조프레임(28)이 본체프레임(11)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봉(21)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세척부(20)와;
상기 세척부(20)의 보조프레임(28) 일단에는 상기 본체프레임(11)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작동모터(32)의 캠(32a)과 힌지결합되어 설치된 작동바(34)의 일단과 힌지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봉(21) 상에서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작동부(30)로 구성된 세척장치(1)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에서 이송브러쉬롤러(18)의 브러쉬는 짧고, 세척브러쉬롤러(24)의 브러쉬는 상기 이송브러쉬롤러(18)의 브러쉬 보다는 길게 형성되며, 그 재질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작동부(30)는 작동모터(32)와 작동바(34) 대신에 도시되지 않은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실린더에 의하여 가이드봉(21) 상에서 세척부(20)를 직선왕복운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세척부(20)에 설치된 회전모터(22)와, 이 세척부(20)를 가이드봉(21) 상에서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작동부(30)의 작동모터(32)를 각각으로 분리하여 설치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동력이 큰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여 세척부(20)의 세척브러쉬롤러(18)를 회전시키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른 기어 등을 사용하여 세척부(20)를 직선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기를 인가하여 구동모터(12)와 회전모터(22) 및 작동모터(32)를 구동시키게 되면 이송부(10)의 본체프레임(11)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12)가 구동됨에 따라 체인(16)으로 연결된 구동기어(14)가 구동되면서 상기 체인(16)과 체인(16) 사이에 설치된 이송브러쉬롤러(18)가 회동하게 되고, 이때, 이송브러쉬롤러(18)는 양단으로 형성된 회전기어(18a)가 본체프레임(11)에 설치된 평기어(19)와 맞물려 있는 관계로 상기 체인(16)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체인(16)이 이동되는 과정은 구동기어(14)에 형성된 기어의 홈이 체인(16)으로 결합되어 있는 이송브러쉬롤러(18)의 축에 삽입되어 회전되면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송부(10)가 구동되면 이송부(10)의 이동방향으로 세척하고자 하는 무를 이송브러쉬롤러(18)의 길이에 따라 1 ∼2개 정도를 이송브러쉬롤러(18) 사이에 재치하게 되면 체인(16)으로 인해 이송브러쉬롤러(18)가 이동되면서 본체프레임(11)에 설치된 평기어(19)에 회전기어(18a)가 맞물려 있는 이송브러쉬롤러(18)가 자체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이송브러쉬롤러(18) 사이에 재치된 무가 이송브러쉬롤러(18)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부(10)의 이송브러쉬롤러(18) 사이에 재치된 무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모터(12)가 구동됨과 동시에 세척부(20)의 보조프레임(28) 상면으로 설치된 회전모터(22)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모터(22)의 풀리(22a)와 연결된 세척브러쉬롤러(24)가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세척브러쉬롤러(24)의 상측으로 설치되어 물공급관과 연결된 분사관(26)의 분사노즐(26a)에서는 무의 표피에 형성 또는 부착된 이물질 등의 제거가 용이하게 함은 물론 세척효도 갖을 수 있도록 물을 분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세척부(20)는 작동부(30)의 작동모터(32)에 의하여 상기 작동모터(32)의 캠(32a)과 작동바(34)로 일단이 연결되어 있어, 세척부(20)가 가이드봉(21) 상에서 이송브러쉬롤러(18)의 이동방향과 직교되게 직선왕복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이송부(10)의 이송브러쉬롤러(18)에 재치되어 이송되는 무는 세척부(20)의 세척브러쉬롤러(24)에 의하여, 다시말해서, 이송브러쉬롤러(18)에서 자체적으로 회전되고 있는 무가 상기 가이드봉(21) 상에서 작동부(30)에 의하여 이송브러쉬롤러(18)의 이동방향과 직교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세척부(20)의 회전모터(22)에 의해 회전되는 세척브러쉬롤러(24)에 의하여 무의 표피에 형성된 실뿌리나, 부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세척브러쉬롤러(24)의 상측에 물공급관과 연결된 분사관(26)의 분사노즐(26a)을 통하여 분사되는 물에 의하여 무의 표피를 더욱더 깨끗하고 세밀하게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이송부(10)의 이송브러쉬롤러(18)는 이송브러쉬롤러(18) 사이에 재치되는 무를 세척하는 효과 보다 이송브러쉬롤러(18) 사이에서 무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과 동시에 세척부(20)의 세척브러쉬롤러(24)에 의하여 세척되는 과정에서 무가 이송브러쉬롤러(18)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송부(10)와 세척부(20)를 거쳐 세척이 완료된 무는 이송부(10)의 계속되는 회동에 따라 타측으로 상기 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용기 등으로 적재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에서 세척부(20)를 가이드봉(21) 상에서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작동부(30)는 작동모터(32)와 작동바(34) 대신에 유압이나 공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실린더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세척장치에서는 무의 표피에 형성되거나 부착된 이물질 등을 무의 표피에 손상없이 이송부와 세척부를 통하여 깨끗하고 세밀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단시간 내에 많은 량의 무를 원활하게 세척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단무지용 무를 세척하고자 사용되는 세척장치에 있어서, 본체프레임(11)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12)에 의하여 전, 후방 양측으로 설치된 구동기어(14)가 각각의 체인(16)으로 회동되게 설치되며, 상기 체인(16)과 체인(16) 사이에는 양단으로 회전기어(18a)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1)의 양측에 설치된 평기어(19)와 맞물려 회전될 수 있도록 다수의 이송브러쉬롤러(18)가 설치되는 이송부(10)와; 상기 본체프레임(11)의 상부에는 상면에 설치된 회전모터(22)의 풀리(22a)와 연결된 벨트(23)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10)의 이송브러쉬롤러(18)와 직교방향으로 세척브러쉬롤러(24)가 설치되며, 그 상측으로 다수의 분사노즐(26a)이 설치된 분사관(26)이 설치되는 보조프레임(28)이 본체프레임(11)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봉(21)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세척부(20)와; 이 세척부(20)의 보조프레임(28) 일단에는 상기 본체프레임(11)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작동모터(32)의 캠(32a)과 힌지결합되어 설치된 작동바(34)의 일단과 힌지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봉(21) 상에서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작동부(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무지용 무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30)는 작동모터(32)와 작동바(34) 대신에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실린더에 의하여 가이드봉(21) 상에서 세척부(20)를 직선왕복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무지용 무 세척장치.
KR2019980013672U 1998-07-24 1998-07-24 단무지용 무 세척장치 KR2001933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672U KR200193390Y1 (ko) 1998-07-24 1998-07-24 단무지용 무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672U KR200193390Y1 (ko) 1998-07-24 1998-07-24 단무지용 무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483U KR20000003483U (ko) 2000-02-15
KR200193390Y1 true KR200193390Y1 (ko) 2000-09-01

Family

ID=19536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672U KR200193390Y1 (ko) 1998-07-24 1998-07-24 단무지용 무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3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400B1 (ko) 2007-04-11 2007-10-18 이재호 무 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292B1 (ko) * 2002-11-07 2005-06-10 김성부 고압수를 이용한 구근류(감자/고구마/당근 등) 세척 및탈피장치
CN117089432B (zh) * 2023-10-19 2024-01-26 山西辰洪百味食品有限公司 一种调味品醋生产用淋醋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400B1 (ko) 2007-04-11 2007-10-18 이재호 무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483U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0883A (en) Apparatus for cleaning of an endless conveyor belt
KR20100033709A (ko) 벨트 컨베이어 청소장치
KR101954020B1 (ko) 원통형 배터리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CN112692693B (zh) 一种具有回收功能的钢筋用除锈装置
KR102114166B1 (ko) 구근류 탈피장치
CN110558363B (zh) 一种不伤鱼身的自动打鳞机
KR200193390Y1 (ko) 단무지용 무 세척장치
US11969768B2 (en) Washer peeler cleaning system
JP4234881B2 (ja) ブランケット胴洗浄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420106B1 (ko) 마른 고추 세척장치
KR200365598Y1 (ko) 무우 세척장치
CN213826106U (zh) 一种水利机械用清洗装置
CN2208455Y (zh) 食品清洗机
KR200203166Y1 (ko) 인삼 세척장치
CN221082637U (zh) 一种用于核桃采摘后清洗装置
KR100508111B1 (ko) 인삼 탈피장치
CN219967505U (zh) 花岗岩提锈机
CN214385874U (zh) 一种带有辅助冲洗机构的鱼类加工用打鳞机
CN221017632U (zh) 一种门窗加工清洗机
CN214324615U (zh) 一种钢网清理工具
CN218610584U (zh) 一种板材冲切废料的再利用去污器
CN219679619U (zh) 用于生猪宰杀的清洗消毒装置
CN213595285U (zh) 一种胶带机干式和湿式综合清扫装置
CN216539751U (zh) 一种用于卷帘门生产用的清洁装置
CN218692039U (zh) 一种凸轮分割器加工零部件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