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568B1 - 고크롬페라이트계스테인레스강의소둔조건설정방법 - Google Patents

고크롬페라이트계스테인레스강의소둔조건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568B1
KR100340568B1 KR1019970074582A KR19970074582A KR100340568B1 KR 100340568 B1 KR100340568 B1 KR 100340568B1 KR 1019970074582 A KR1019970074582 A KR 1019970074582A KR 19970074582 A KR19970074582 A KR 19970074582A KR 100340568 B1 KR100340568 B1 KR 100340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annealing temperature
annealing
relationship
usef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4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4716A (ko
Inventor
김희산
이용득
박미남
Original Assignee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70074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0568B1/ko
Publication of KR19990054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4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2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81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labs; for bil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 열교환기 및 건축외장벽 등의 소재로 사용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합금원소의 함량에 따른 소둔조건을 정량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량%로, C:0.010%이하, N:0.02%이하, Si:0.5%이하, Mn:0.5%이하, P:0.03%이하, S:0.004%이하, O:0.01%이하, Ti:0.18%이하, Cu:1.0% 이하, Mo:4% 이하, Cr:20-35%, Nb::0.4%이하 및 나머지 Fe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슬라브를 열간압연하고, 열연판 소둔한 다음, 산세하고, 냉간압연하여 냉연판을 얻고, 이 냉연판을 최종소둔하는 것을 포함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목표로 하는 최종소둔판의 결정입도(ASTM No.)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결정입도(ASTM No.)와 C+N, Cr, Mo, Nb, Ti의 함량(중량%)을 이용하여 하기 식에 의해 소둔온도(T1(K))를 구하는 단계;
a)상기 강에 함유된 성분이 (%Nb)/( (C+N,ppm)-0.2×%Ti)<12을 만족하는 경우 아래의 식에 의해 구하고,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b)상기 강에 함유된 성분이 (%Nb)/( (C+N,ppm)-0.2×%Ti)≥12을 만족하는 경우 아래의 식에 의해 구하고,
Figure pat00004
상기에서 구한 소둔온도(T1(K))가 아래의 유용소둔온도(T2(K)) 보다 크면 상기 구한 소둔온도(T1(K))에서 소둔을 행하는 단계; 및
Figure pat00005
상기에서 구한 소둔온도(T1(K))가 유용소둔온도(T2(K)) 보다 작은 경우 유용소둔온도(T2(K)) 보다 크게 되도록 C+N, Cr, Mo, Nb, Ti의 성분을 제어하여 소둔온도(T1(K))를 구하고, 이 구한 소둔온도(T1(K))에서 소둔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 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최종소둔조건 설정방법에 관한 것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고 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소둔조건 설정방법{A method for setting up annealing condition of high-alloyed ferritic stainless steels}
본 발명은 해수 열교환기 및 건축외장벽 등의 소재로 사용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금원소의 함량에 따른 소둔조건을 정량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 크롬 폐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20-30% Cr)은 입계 부식성 및 인성 때문에 용도가 해수용 열교환기나 해안가 지역에서 건축외장벽재로 제약되어 왔으며, 이들 성질 특히, 인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미세합금(Ti, Nb, Cu, Al)을 첨가하여 새로운 강종개발이 연구되고 있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인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2%정도의 Ni의 첨가를 통해 내식성의 감소 없이 인성을 향상시킨 29%Cr-4%Mo-2%Ni강종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Alleghey Ludlum). 이외에도 요시히로(Yoshihiro) 등은 0.06-0.2%P첨가는 내식성을 향상시킨다고 보고한 바 있다(BP O 603 402 Al). 또한, 포항제철에서 1996년에 연구된 결과에 따르면 Al의 첨가는 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상기 미세합금의 첨가에 의한 제품의 성질을 개선시키는 방법 이외에 결정립크기의 조절을 통한 제품의 성질을 개선시키는 방법이 있다. 즉,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냉연판의 소둔조건을 제어하여 인성 및 내식성이 좋은 결정립크기를 만드는 것이다. 그런데,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의 결정립크기는 Ti, Nb, Al, C, N 등의 원소함량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반해, 첨가원소에 따른 소둔조건의 관계가 보고된 바 없어 소둔조건을 강종에 따라 정량적으로 설정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합금원소의 함량에 따른 고 Cr페라이트강의 소둔조건을 정량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소둔시 결정립크기를 제어하여 인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강성분에 따른 소둔온도와 결정립크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a)는 26%Cr-4%Mo강에 대한 것이고,
도 1(b)는 26%Cr-2%Mo강에 대한 것이며,
도 1(c)는 22%Cr-2%Mo강에 대한 것이다;
도 2는 결정립에 미치는 Nb, Al의 영향을 나타내는 미세조직사진으로,
도 2(a)는 Nb 첨가강(시편번호 22)이고,
도 2(b)는 Ti, Al 첨가강(시편번호 23)이다.
도 3은 Nb, Al에 따른 최소소둔온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최종소둔조건 설정방법은, 중량%로,C:0.010%이하, N:0.02%이하, Si:0.5%이하, Mn:0.5%이하, P:0.03%이하, S:0.004%이하, O:0.01%이하, Ti:0.18%이하, Cu:1.0% 이하, Mo:4% 이하, Cr:20-35% 및 나머지 Fe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슬라브를 열간압연하고, 열연판 소둔한 다음, 산세하고, 냉간압연하여 냉연판을 얻고, 이 냉연판을 최종소둔하는 것을 포함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목표로 하는 최종소둔판의 결정입도(ASTM No.)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결정입도(ASTM No.)와 C+N, Cr, Mo의 함량(중량%)을 이용하여 하기 식에 의해 소둔온도(T1(K))를 구하는 단계;
Figure pat00006
상기에서 구한 소둔온도(T1(K))가 아래의 유용소둔온도(T2(K)) 보다 크면 상기 구한 소둔온도(T1(K))에서 소둔을 행하는 단계; 및
Figure pat00007
상기에서 구한 소둔온도(T1(K))가 유용소둔온도(T2(K)) 보다 작은 경우 유용소둔온도(T2(K)) 보다 크게 되도록 C+N, Cr, Mo의 성분을 제어하여 소둔온도(T1(K))를 구하고, 이 구한 소둔온도(T1(K))에서 소둔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소둔조건 결정방법은, 중량%로, C:0.010%이하, N:0.02%이하, Si:0.5%이하, Mn:0.5%이하, P:0.03%이하, S:0.004%이하, O:0.01%이하, Ti:0.18%이하, Cu:1.0% 이하, Mo:4% 이하, Cr:20-35%, Nb::0.4%이하 및 나머지 Fe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슬라브를 열간압연하고, 열연판 소둔한 다음, 산세하고, 냉간압연하여 냉연판을 얻고, 이 냉연판을 최종소둔하는 것을 포함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목표로 하는 최종소둔판의 결정입도(ASTM No.)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결정입도(ASTM No.)와 C+N, Cr, Mo, Nb, Ti의 함량(중량%)을 이용하여 하기 식에 의해 소둔온도(T1(K))를 구하는 단계;
a)상기 강에 함유된 성분이 (%Nb)/( (C+N,ppm)-0.2×%Ti)<12을 만족하는 경우 아래 식에 의해 구하고,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b)상기 강에 함유된 성분이 (%Nb)/( (C+N,ppm)-0.2×%Ti)≥12을 만족하는 경우 아래 식에 의해 구하고,
Figure pat00011
상기에서 구한 소둔온도(T1(K))가 아래의 유용소둔온도(T2(K)) 보다 크면 상기 구한 소둔온도(T1(K))에서 소둔을 행하는 단계; 및
Figure pat00012
상기에서 구한 소둔온도(T1(K))가 유용소둔온도(T2(K)) 보다 작은 경우 유용소둔온도(T2(K)) 보다 크게 되도록 C+N, Cr, Mo, Nb, Ti의 성분을 제어하여 소둔온도(T1(K))를 구하고, 이 구한 소둔온도(T1(K))에서 소둔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대상강종은 중량%로, C:0.010%이하, N:0.02%이하, Si:0.5%이하, Mn:0.5%이하, P:0.03%이하, S:0.004%이하, O:0.01%이하, Ti:0.18%이하, Cu:1.0% 이하, Mo:4%이하, Cr:20-35%를 함유하고, 여기에 Al무첨가 또는 Al:0.03-0.13%, 여기에 Nb미 첨가 또는 Nb::0.4%이하를 함유하여 조성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이며 그 한정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 및 N는 인성 및 내식성을 저감시키므로 이들 물성의 저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들 원소 함량의 각각의 최대치는 0.01%, 0.02%이다. 이들 원소는 소둔시 입계성장을 억제한다.
Si은 탈산 및 내산화성을 증가시키는 원소로 인성의 감소를 억제하기 위해 0.5%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n은 탈산을 증가시키는 원소로 0.5% 초과의 경우에는 개재물인 MnS을 형성하여 내식성을 감소시키므로 0.5%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은 내식성뿐 아니라 인성을 감소시키므로 0.03% 이내로 제한한다. S은 내식성을 감소시키므로 0.004%이하로 첨가한다. O는 개재물 함량을 증가시켜서 인성 및 내식성을 감소시키므로 0.01%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좋다.
Cu는 환원성 분위기에서 내식성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내공식 저항성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과다한 첨가는 응력부식저항성 및 열간가공성을 감소시키므로 1.0% 이내로 제한한다.
Al은 탈산을 위해 첨가시키는 원소로서 내식성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산소의 함량이 0.003%이하일 경우 오히려 강중의 산화성 개재물량을 증가시키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Al의 함량이 0.03%이하에서는 내식성 향상효과가 관찰되지 않으며 Al 함량이 0.13% 초과시 내식성의 향상없이 개재물의 함량만 증가되므로 Al은 0.03-0.13%로 첨가한다. 또한, Al은 소둔시 Nb이 첨가된 강에서 개재물이 혼립되는 현상을 고 적정한 입계 성장을 도운다.
Nb과 Ti은 예민화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원소이나 인성의 열하를 가져오므로 내식성을 고려하여 첨가량을 각각 0.4%이하, 0.18%이하로 한다. Ti은 소둔시 결정립의 속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Nb 는 결정립 성장을 억제하고 강중에 결정립 혼립 현상을 야기시킨다.
Cr과 Mo은 내식성을 증가시키나 인성을 감소시키므로 Cr, Mo의 적정범위는 각각 20-35%, 4%이하로 제한한다. 소둔시 결정립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하다.
이하, 본 발명을 소둔조건 설정방법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 표 1의 조성을 가지는 30Kg 잉고트를 진공 유도로에서 용해 후 Ar 분위기에서 1200℃에서 2시간동안 열처리를 통해 균일화처리를 하였다.
시편번호 화학성분(중량%)
Cr Mo Nb Ti Al C+N Si Mn P S O
1-2 22.61 2.01 - - - 0.0204 0.30 0.30 0.030 0.0019 0.011
2 22.53 1.99 0.12 0.047 - 0.0150 0.31 0.30 0.030 0.0019 0.0063
3 22.1 2.03 0.21 0.092 - 0.0178 0.31 0.30 0.030 0.0020 0.01
4 22.15 2.02 0.31 0.11 - 0.0218 0.30 0.30 0.029 0.0020 0.0083
5 22.4 2.05 0.12 0.12 0.056 0.0210 0.30 0.29 0.028 0.0024 0.0062
6 22.1 2.0 0.22 0.12 0.070 0.0203 0.30 0.29 0.030 0.0025 0.0041
7 22.2 2.0 0.34 0.12 0.083 0.0210 0.25 0.24 0.028 0.0026 0.0021
1 22.2 2.05 - - - 0.0177 0.31 0.29 0.029 0.0022 0.032
18 22.2 2.07 0.28 0.05 - 0.0175 0.31 0.29 0.029 0.0025 0.006
10 26.2 4.1 - - - 0.0113 0.29 0.30 0.030 0.0020 0.016
11 25.9 4.2 - - - 0.0250 0.29 0.30 0.029 0.0020 0.018
13 25.9 4.1 0.25 0.072 - 0.0250 0.30 0.29 0.029 0.0025 0.01
12 25.95 4.07 0.11 0.094 - 0.0270 0.29 0.29 0.029 0.0024 0.0046
14 26.1 4.1 0.34 - - 0.0320 0.28 0.30 0.029 0.0026 0.014
15 26.0 4.2 0.10 0.012 0.065 0.0248 0.30 0.29 0.029 0.0023 0.0038
16 26.0 4.0 - 0.055 0.0260 0.29 0.29 0.029 0.0026 0.006
17 25.8 4.1 0.13 0.06 0.0234 0.29 0.29 0.029 0.0024 0.0039
14-2 26.1 4.1 0.34 - - 0.0258 0.29 0.29 0.030 0.0023 0.012
20 26.2 2.1 - - - 0.021 0.29 0.3 0.029 0.0022 0.013
21 26.2 2 0.23 0.09 - 0.0202 0.3 0.3 0.029 0.0021 0.0096
22 26.2 2.1 0.33 - - 0.024 0.3 0.3 0.029 0.0022 0.0079
23 26 2.02 0.23 0.11 0.062 0.024 0.29 0.3 0.029 0.0022 0.0040
24 26.2 2.0 0.33 - 0.064 0.027 0.29 0.3 0.029 0.0022 0.0034
25 26.2 2.0 0.3 0.064 0.065 0.0254 0.29 0.3 0.028 0.0022 0.0045
상기와 같이 균질화 열처리후 6mm 두께로 열간압연하고 수냉한 다음, 1000℃에서 1분 30초 동안 소둔 열처리한 후 냉간압연하여 1.5mm 두께로 가지는 냉연판을 얻었다.
상기 냉연판의 성분변화에 따른 입계 크기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최종소둔 온도 및 소둔시간을 각각 910-1050℃, 30-60초 변화시켜 최종소둔한 다음, 영상분석기를 사용하여 입계크기를 분석하고, 강종별 최종소둔온도에 따른 입계크기의 변화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결과를 가지고 합금원소에 따른 입계크기(ASTM No.)와 소둔온도(T)의 관계를 실험실적으로 알아본 결과 아래 식 1로 표현할 수 있음을 알았다.
[관계식 1]
Figure pat00013
여기서, a, b, c는 상수로서, a, c는 소둔시간을 포함한 상수이고, b는 활성화에너지의 합이다.
상기 관계식 1를 가지고 각 합금원소에 따른 결정립크기와 소둔온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먼저, Cr과 결정립크기와의 관계를 구한 결과 아래의 관계식 2를 얻었다.
[관계식 2]
Figure pat00014
상기 식 2에서 상수는 표 1의 시편 26-28로 부터 얻어진 입계크기 자료를 바탕으로 구한 결과 a1은 9.72×10-4였다.
Mo과 결정립크기와의 관계를 구한 결과 아래의 식 3을 얻었다.
[관계식 3]
Figure pat00015
상기 식 3의 상수는 시편 29-31로 부터 얻어진 입계크기 자료를 바탕으로 구한 결과 a2은 0.0293이었다.
C + N에 대해서는 상기 관계식 2, 3을 이용하여 Cr, Mo의 영향에 의해 변화된 입계 크기를 보정하는 아래의 식 4, 5를 구하고, 이 식을 가지고 C + N에 대하여 관계식을 구한 결과 그 식은 아래 식 6과 같다.
[관계식 4]
Figure pat00016
[관계식 5]
Figure pat00017
여기서, ASTM*은 Cr, Mo의 영향에 의해 변화된 입계 크기를 보정하는 값이며, T(K)에서 K는 절대온도이다.
따라서, 식 4와 식 5을 정리하면 Cr, Mo, C+N에 따른 결정립크기와 소둔온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식 6]
Figure pat00018
상기 식 6에서 상수는 시편 1, 1-2, 10, 11, 20으로 부터 얻어진 입계크기 자료를 바탕으로 구한 결과 a1은 9.72×10-4, a2은 0.0293, a3는 1.58×10-3, b3는 23169, c3는 -13.3였다.
상기 관계식 6으로 부터 C+N의 농도가 200ppm인 강에서 ASTM No.8인 입계를 얻기 위하여 요구되는 소둔온도는 음의 값이 되며, 이는 압연조직의 제거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압연온도가 900℃이하에서는 소둔후에도 많은 압연조직이 존재하였다.
다음으로 Nb, Ti의 영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강중의 C, N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요구되는 (Ti+Nb)/(C+N)은 12 정도이다. 즉, (Ti+Nb)/(C+N)가 12이하의 경우 결정립크기에 미치는 원소는 Nb이외에 잔류 C, N이며, (Ti+Nb)/(C+N)이 12이상일 경우 잔존해 있는 C, N의 양은 거의 극소량이므로 미량 C, N의 영향은 무시될 수 있고 Nb에 의한 결정립성장의 억제 효과는 더 이상 효과적이지 않다. 그러므로, 상기 관계식 1을 사용할 때 농도의 항을 (Ti+Nb)/(C+N)으로 수정하였으며, (Ti+Nb)/(C+N)가 12이상일 경우 12로 하였고, 또한, (Ti+Nb)/(C+N)가 12이하 일 때 잔류 C, N의 영향을 보정하기 위해 상기 관계식 5로 부터 얻어진 식을 첨가하였다.
먼저, (Ti+Nb)/(C+N)<12일 경우 Nb, Ti에 따른 소둔온도와 결정립의 관계는 아래 식 7과 같다.
[관계식 7]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여기서, (C+N*, ppm)=(C+N,ppm)-(%Nb/12)×104-(%Ti/5)×104
다음으로 (Ti+Nb)/(C+N)≥12일 경우는 관계식 8과 같다,
[관계식 8]
Figure pat00021
또한, 본 발명의 용해재의 경우 대부분이 Ti, Nb복합 첨가된 강(14, 14-2, 16, 22, 24는 제외)이고, Ti이 강중의 탄소, 질소를 제거하기 위해 요구되는 농도는 강중의 탄소, 질소 합의 5배 정도(Ti-5×(C+N))이다. 그러나, Ti탄질화물 형성에 의한 결정립크기에 미치는 영향은 미소하지만, 실제 Nb와 반응하기 위한 유효 탄질화물의 농도는 (C+N)-0.2×Ti처럼 같이 감소하므로 상기 식 7와 식 8은 다음의 식 7-1과 8-1과 같이 변경되어진다.
(Nb)/( (C+N)-0.2×Ti)<12일 경우
[관계식 7-1]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Nb)/( (C+N)-0.2×Ti)≥12일 경우
[관계식 8-1]
Figure pat00024
이때, 상기 식 2와 식 3을 사용하여 Cr, Mo의 영향에 의해 변화된 입계크기를 보정하여 상기 식 7-1과 8-1은 각각 식 9와 10으로 나타낼 수 있다.
[관계식 9]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관계식 10]
Figure pat00028
( 여기서, a1,a2, a3, a4, b3,b4,c4,c5는 상수이고, (C+N*, ppm) = (C+N,ppm) - (%Nb/12)×104-(%Ti/5)×104임)
한편, 시편 2-5, 18, 12-14, 21, 22로 부터 얻어진 입계크기 자료를 대입한 결과 , 식 9와 식 10의 상수가 얻어졌다. 즉, a1은 9.72×10-4, a2은 0.0293, a3는 1.58×10-3, a4는 0.113, b3는 23169, b4는 2000, c4는 -10.6, c5는 -27.6이었다.
이상의 관계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실험식이 얻어졌다.
1)Nb미 첨가시 식 6으로 부터,
Figure pat00029
2)Nb첨가시 식 9와 식 10으로 부터,
a)상기 강에 함유된 성분이 (%Nb)/( (C+N,ppm)-0.2×%Ti)<12을 만족하는 경우 관계식 9에 의해 구하고,
[관계식 9]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b)상기 강에 함유된 성분이 (%Nb)/( (C+N,ppm)-0.2×%Ti)≥12을 만족하는 경우 관계식 10에 의해 구하고,
[관계식 10]
Figure pat00033
따라서, Nb이 미첨가된 강종은 상기 관계식 6에 그 강성분 함량 및 얻고자 하는 결정립크기를 대입하면 적정소둔온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Nb이 첨가된 강종은 상기 관계식 9 및 10에 강성분의 함량 및 얻고자 하는 결정립크기를 대입하면 적정소둔온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의하면 Al은 결정립크기의 혼립을 억제하고(도 2에 결정립사진 참고), 결정립성장을 억제시켜 성형성 뿐만 아니라, 인성도 증가시키므로 소둔조건설정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Al은 소둔온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들어 Al이 0.006% 첨가된 강과 Al이 첨가되지 않은 강에 대해 최소소둔온도 변화를 알아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Al이 첨가된 강은 소둔온도가 낮았다. 즉, (Ti+Nb)/(C+N)가 16이하에서 Al첨가에 의한 소둔온도의 저감은 25℃정도였고, (Ti+Nb)/(C+N)가 증가함에 따라 저감효과는 증가하였다. 일반적으로 강중에첨가되는 Ti, Nb의 안정화비는 (Ti+Nb)/(C+N)가 12라는 것을 고려할 때 소둔온의 저감효과는 약 25℃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식 6과 식 9 및 10에서 소둔온도 유용범위는 도 3을 회귀분석하여 구한 결과, Al을 미첨가한 경우의 유용소둔온도(T2(K))는 식 11과 같으며, Al을 첨가한 경우의 유용소둔온도(T2(K))는 식 12와 같다.
[관계식 11]
여기서, f1, g1, h1은 상수이며, f1=1195.43, g1=0.5005, h1=1.336이다.
[관계식 12]
Figure pat00035
여기서, f2, g2, h2은 상수이며, Al을 0.006% 첨가할 때, f2=1169.7이고, g2=633.23, h2=2.53×10-13이다,
따라서, 식 6, 9. 10으로 부터 소둔온도(T1(K))를 구하고, 이 구한 소둔온도(T1(K))가 유용소둔온도(T2(K))보다 크면 구한 소둔온도(T1(K))가 적정소둔온도이다.
만약, 상기에서 구한 소둔온도(T1(K))가 유용소둔온도(T2(K)) 보다 작은 경우 유용소둔온도(T2(K)) 보다 크게 되도록 C+N, Cr, Mo, Nb, Ti의 성분을 제어하여 소둔온도(T1(K))를 구하고, 이 구한 소둔온도(T1(K))에서 소둔을 행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을 제조할 때, 인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결정입도를 갖도록 소둔조건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중량%로, C:0.010%이하, N:0.02%이하, Si:0.5%이하, Mn:0.5%이하, P:0.03%이하, S:0.004%이하, O:0.01%이하, Ti:0.18%이하, Cu:1.0% 이하, Mo:4% 이하, Cr:20-35% 및 나머지 Fe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슬라브를 열간압연하고, 열연판 소둔한 다음, 산세하고, 냉간압연하여 냉연판을 얻고, 이 냉연판을 최종소둔하는 것을 포함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목표로 하는 최종소둔판의 결정입도(ASTM No.)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결정입도(ASTM No.)와 C+N, Cr, Mo의 함량(중량%)을 이용하여 하기 식에 의해 소둔온도(T1(K))를 구하는 단계;
    [관계식 6]
    Figure pat00036
    (여기서, a1, a2, a3, b3, c3은 상수)
    상기에서 구한 소둔온도(T1(K))가 아래의 유용소둔온도(T2(K)) 보다 크면 상기 구한 소둔온도(T1(K))에서 소둔을 행하는 단계; 및
    [관계식 11]
    Figure pat00037
    (여기서, f1, g1, h1은 상수)
    상기에서 구한 소둔온도(T1(K))가 유용소둔온도(T2(K)) 보다 작은 경우 유용소둔온도(T2(K)) 보다 크게 되도록 C+N, Cr, Mo의 성분을 제어하여 소둔온도(T1(K))를 구하고, 이 구한 소둔온도(T1(K))에서 소둔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 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최종소둔조건 설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 a1은 9.72×10-4, a2은 0.0293, a3는 1.58×10-3, b3는 23169, c3는 -13.3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에 Al이 0.03-0.13%의 범위로 함유되는 경우 상기 유용소둔온도(T2(K))는 다음의 관계식 12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관계식 12]
    Figure pat00038
    (여기서, f2, g2, h2은 상수)
  4. 제 1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 f1=1195.43, g1=0.5005, h1=1.336, f2=1169.7, g2=633.23, h2=2.53×10-13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중량%로, C:0.010%이하, N:0.02%이하, Si:0.5%이하, Mn:0.5%이하, P:0.03%이하, S:0.004%이하, O:0.01%이하, Ti:0.18%이하, Cu:1.0% 이하, Mo:4% 이하, Cr:20-35%, Nb::0.4%이하 및 나머지 Fe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슬라브를 열간압연하고, 열연판 소둔한 다음, 산세하고, 냉간압연하여 냉연판을 얻고, 이 냉연판을 최종소둔하는 것을 포함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목표로 하는 최종소둔판의 결정입도(ASTM No.)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결정입도(ASTM No.)와 C+N, Cr, Mo, Nb, Ti의 함량(중량%)을 이용하여 하기 식에 의해 소둔온도(T1(K))를 구하는 단계;
    a)상기 강에 함유된 성분이 (%Nb)/( (C+N,ppm)-0.2×%Ti)<12을 만족하는 경우 관계식 9에 의해 구하고,
    [관계식 9]
    Figure pat00039
    Figure pat00040
    Figure pat00041
    b)상기 강에 함유된 성분이 (%Nb)/( (C+N,ppm)-0.2×%Ti)≥12을 만족하는 경우 관계식 10에 의해 구하고,
    [관계식 10]
    Figure pat00042
    ( 여기서, a1,a2, a3, a4, b3,b4,c4,c5는 상수이고, (C+N*, ppm) = (C+N,ppm) - (%Nb/12)×104-(%Ti/5)×104임)
    상기에서 구한 소둔온도(T1(K))가 아래의 유용소둔온도(T2(K)) 보다 크면 상기 구한 소둔온도(T1(K))에서 소둔을 행하는 단계; 및
    [관계식 11]
    Figure pat00043
    (여기서, f1, g1, h1은 상수)
    상기에서 구한 소둔온도(T1(K))가 유용소둔온도(T2(K)) 보다 작은 경우 유용소둔온도(T2(K)) 보다 크게 되도록 C+N, Cr, Mo, Nb, Ti의 성분을 제어하여 소둔온도(T1(K))를 구하고, 이 구한 소둔온도(T1(K))에서 소둔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 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최종소둔조건 설정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 a1은 9.72×10-4, a2은 0.0293, a3는 1.58×10-3, a4는 0.113, b3는 23169, b4는 2000, c4는 -10.6, c5는 -27.6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에 Al이 0.03-0.13%의 범위로 함유되는 경우 상기 유용소둔온도(T2(K))는 다음의 관계식 12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관계식 12]
    Figure pat00044
    (여기서, f2, g2, h2은 상수)
  8. 제 5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 f1=1195.43, g1=0.5005, h1=1.336, f2=1169.7, g2=633.23, h2=2.53×10-13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74582A 1997-12-26 1997-12-26 고크롬페라이트계스테인레스강의소둔조건설정방법 KR100340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582A KR100340568B1 (ko) 1997-12-26 1997-12-26 고크롬페라이트계스테인레스강의소둔조건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582A KR100340568B1 (ko) 1997-12-26 1997-12-26 고크롬페라이트계스테인레스강의소둔조건설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716A KR19990054716A (ko) 1999-07-15
KR100340568B1 true KR100340568B1 (ko) 2002-07-18

Family

ID=3748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4582A KR100340568B1 (ko) 1997-12-26 1997-12-26 고크롬페라이트계스테인레스강의소둔조건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05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2387B2 (ja) * 2010-10-14 2013-02-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熱性と加工性に優れ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716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9142B2 (ja) 浸炭焼入れ性の優れた炭素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92951B2 (ja) オゾン含有水用二相ステンレス鋼
CN111433382B (zh) 具有优异的抗高温氧化性的铁素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AU2013308922B2 (en) Ferritic stainless steel with excellent oxidation resistance, good high temperature strength, and good formability
JP3247244B2 (ja) 耐食性と加工性に優れたFe−Cr−Ni系合金
KR100340568B1 (ko) 고크롬페라이트계스테인레스강의소둔조건설정방법
JPS6043433A (ja) 耐食性および靭性に優れたクラツド鋼板の製造方法
JP7174853B2 (ja) 成形性及び高温特性に優れた低Cr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13095A (ja) 耐硝酸腐食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ステンレス鋼
JP3455047B2 (ja) 加工性及びローピング特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薄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003054A (ja) 二相ステンレス鋼
JP3001614B2 (ja) 極軟質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H06240411A (ja) 強度、靱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2相ステンレス鋼、および、2相ステンレス鋼材の製造方法
JPH09104953A (ja) 耐食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クラッ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247360A (ja) 高強度かつ耐食性、耐応力腐食割れ性の優れた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00131038A (ko) 내식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JPH08291332A (ja) 成形性と耐リジング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US20230287549A1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deep drawing
JPH06336659A (ja) 熱間加工性に優れた高合金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3276303B2 (ja) 初期発銹の起こりにくい耐銹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US20230357879A1 (en) Highly corrosion-resistant austenite stainless stee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3023014B2 (ja) 超深絞り用冷延極軟鋼板
JPH073327A (ja) 製造時の耐時期割れ性に優れる準安定オーステナイト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JP2971192B2 (ja) 深絞り用冷延鋼板の製造方法
KR100325708B1 (ko) 해수부식저항성이우수한고크롬페라이트계스텐인레스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