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749B1 -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749B1
KR100338749B1 KR1019980053483A KR19980053483A KR100338749B1 KR 100338749 B1 KR100338749 B1 KR 100338749B1 KR 1019980053483 A KR1019980053483 A KR 1019980053483A KR 19980053483 A KR19980053483 A KR 19980053483A KR 100338749 B1 KR100338749 B1 KR 100338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eveloper
concentration
light emi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8470A (ko
Inventor
엄윤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53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8749B1/ko
Publication of KR20000038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 G01N33/32Paints; In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9/00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 G01N9/24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by observing the transmission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는 감광매체로 공급할 현상액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용기와, 용기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노출된 표면에 상기 용기 내에 담겨있는 현상액의 유막을 형성시키는 회전롤러와, 회전롤러를 구동시키는 롤러구동부와, 유막이 형성된 회전롤러 표면에 대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발광부와, 발광부로부터 출사되어 유막이 형성된 상기 회전롤러의 표면을 거쳐 반사되거나 투과된 광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수광량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부와, 롤러구동부를 제어하고, 발광부의 발광량을 가변시켜 제어하면서, 수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설정된 값에 도달할 때에 발광부에 적용시킨 발광량제어정보로부터 현상액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현상액 농도측정장치에 의하면, 현상액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의 발광량을 가변시키면서, 현상액을 투과하거나 반사된 광의 수광신호가 설정된 비교기준값에 도달할 때에 해당하는 비교결과신호가 입력될 때, 발광부에 적용시킨 발광량에 대응하는 발광량제어정보로부터 현상액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비교결과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노이즈 또는 약간의 신호 감쇠에 의한 신호 왜곡이 발생하더라도 현상액의 농도측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현상액의 측정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본 발명은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검사대상 현상액에 광의 파우어를 가변시켜 조사하면서, 현상액으로부터 반사되거나 투과된 광이 설정된 값에 도달할 때에 적용시킨 광파우어정보로부터 현상액의 농도를 측정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컬러 인쇄기를 나타내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상액을 현상제로 사용하는 인쇄기는 구동롤러(11)와 피동롤러(12)(13)를 포함하는 복수의 롤러(11)(12)(13)들에 의해 순환운동하는 감광벨트(14)의 순환경로에 인접하여 리셋장치(15), 광주사유니트(16)들, 현상기(30)들, 건조장치(18), 전사장치(20)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리셋장치(15)는 광을 감광벨트(14)에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제거하는 노광기(15a)와, 소정레벨의 전위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기(15b)를 구비하고 있다. 참조부호 39는 폐현상액 회수통이다.
4개의 광주사유니트(16)는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정보를 주사하고, 4개의 현상기(30)는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색상의 현상액을 감광벨트(14)에 공급한다.
현상기(30)는 감광벨트(14)에 현상액을 공급하는 현상액 공급용기(32)와, 감광벨트로부터 낙하되는 현상액을 회수하는 현상조(31)를 구비하고 있다. 현상조(31)내에는 현상롤러(36)와, 현상롤러(36)에 묻어있는 현상액을 제거하기 위한 브러쉬롤러(37)와, 감광벨트(14)상에 공급된 현상액중 화상형성에 관여하지 않는 액상의 캐리어요소를 분리하기 위한 스퀴즈롤러(34) 및 스퀴즈롤러(34)를 통해 흘러내리는 캐리어요소를 현상조(31)내로 회수하기 위한 플레이트(35)가 마련되어 있다.
현상액 공급용기(32)는 현상조(31)내에 저수된 현상액 및 현상액 공급부(38)로부터 용매인 액상의 캐리어요소(N;norpor)와, 현상물질인 토너 또는 고농축의 현상액을 각각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현상액 공급용기(32)내에 저수된 현상액은 펌프(P)의 구동에 의해 현상롤러(36)와 감광벨트(14) 사이에 공급된다.
이와 같은 습식인쇄기의 인쇄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리셋장치(15)를 거쳐 순환하는 감광벨트(14)의 소정영역에 대해 광주사유니트(16)가 광을 주사한다. 주사된 광에 의해 감광벨트(14)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이 정전잠상은 현상기(30)의 현상액 공급용기(32)로부터 공급된 현상액(32)에 의해 현상된다. 상호 다른 색상정보의 광을 주사하고, 그에 대응하는 색상의 현상액으로 현상하는 광주사유니트(16)들과 현상기(30)들에 의해 감광벨트(14)상에는 컬러화상이 형성된다. 현상과정중에 현상기(30)로부터 감광벨트(14)에 공급됐던 현상액(32)중 화상형성에 관여하지 않는 액상의 캐리어요소는 대부분 현상조(31) 내로 회수된다. 감광벨트(14)상에 현상물질인 토너로 형성된 컬러 화상은 감광벨트(14)의 계속적인 이동에 의해, 감광벨트(14)상에 잔류하는 액상의 캐리어요소를 흡착 증발시켜 제거하기 위한 건조장치(18)를 거쳐, 상기 감광벨트(14)와 그 일부가 맞물려 회전되는 전사롤러(21)에 1차 전사된다. 계속해서, 인입된 용지(23)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맞물림 회전에 의해 용지(23)를 전진시키는 전사롤러(21)와 정착롤러(22)의 회전에 의해 전사롤러(21)상의 화상이 용지(23)로 2차 전사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습식 인쇄기에서 화상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감광벨트(14)에 공급되는 현상액의 농도 즉,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의 혼합비가 적절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현상액의 공급경로상에 광을 일정하게 조사하고, 현상액의 농도에 따라 현상액으로부터 반사되거나 투과되는 광량의 변화를 광검출기(미도시)로 검출하여 현상액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런데, 광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상의 수광신호를 농도를 연산하는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노이즈가 수광신호에 혼입될 우려가 있고, 광검출기와 프로세서와의 배치간격이 너무 이격되어 있으면, 수광신호의 전송과정에서 그 신호레벨이 감쇠될 우려가 있다. 그 결과, 광검출기에서 출력되는 수광신호의 레벨과 실질적으로 프로세서에 입력되는 수광신호의 레벨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면, 현상액의 농도 측정정밀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수광부에서 출력된 후, 신호 전송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광신호의 왜곡이 현상액의 농도 산출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켜 현상액의 농도 측정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인쇄기를 나타내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를 나타내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3의 유막형성부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의 일부 블록에 대해 적용되는 상세 회로를 나타내보인 회로도이고,
도 5는 도 2의 발광부의 광파우어 증가패턴의 일예를 나타내보인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를 나타내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를 나타내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를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구동 롤러 12, 13: 피동 롤러
14: 감광벨트 15a: 노광기
15b: 대전기 16: 광주사유니트
18: 건조장치 20: 전사장치
21: 전사롤러 22: 정착롤러
23: 용지 30: 현상기
31: 현상조 32: 현상액 공급용기
34: 스퀴즈롤러 35: 플레이트
36: 현상롤러 37: 브러쉬롤러
38: 현상액 공급부 39: 폐현상액 회수통
40, 140: 유막형성부 41: 용기
42: 현상액 43, 143: 회전롤러
44: 블레이드 51, 151, 251, 351: 광원
52, 152: 광원제어부 53, 153: 광원구동부
54, 154: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 60, 160, 260, 360: 수광부
61: 광검출기 70, 170: 농도측정부
71, 171: 비교부 72, 172: 농도산출부
72a:타이머 73, 173: 룩업테이블
80: 롤러구동부 81: 기어
82: 모터 90: 현상액 취출관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는 감광매체로 공급할 현상액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용기와; 상기 용기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노출된 표면에 상기 용기 내에 담겨있는 현상액의 유막을 형성시키는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를 구동시키는 롤러구동부와; 유막이 형성된 상기 회전롤러 표면에 대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사되어 유막이 형성된 상기 회전롤러의 표면을 거쳐 반사되거나 투과된 광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수광량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부와; 상기 롤러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발광부의 발광량을 가변시켜 제어하면서, 상기 수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설정된 값에 도달할 때에 상기 발광부에 적용시킨 발광량제어정보로부터 상기 현상액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농도측정부는 상기 수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설정된 비교기준신호와 비교하면서, 그 비교결과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와; 소정속도로 상기 회전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수광부에서 상기 비교기준신호에 해당하는 수광신호가 출력될 때에 상기 발광부에 적용시킨 상기 발광량 제어정보에 대응하는 현상액의 농도값이 기록된 룩업테이블과; 상기 롤러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발광부의 발광량을 가변시켜 제어하면서, 상기 비교부로부터 출력되는 비교결과신호와 상기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상액의 농도를 산출하는 농도 산출부;를 포함한다.
또 다르게,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는 감광매체로 공급할 현상액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소정두께로 형성되며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부분을 갖는 현상액 취출관과; 상기 현상액 취출관의 투명부분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현상액 취출관으로부터 반사되거나, 투과된 광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수광량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발광량을 가변시켜 제어하면서, 상기 수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설정된 값에 도달할 때에, 상기 발광부에 적용시킨 발광량제어정보로부터 상기 현상액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부를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농도측정부는 상기 수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설정된 비교기준신호와 비교하면서, 그 비교결과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와; 상기 수광부에서 상기 비교기준신호에 해당하는 수광신호가 출력될 때에 상기 발광부에 적용시킨 발광량제어정보에 대응하는 현상액의 농도값이 기록된 룩업테이블과; 상기 발광부의 발광량을 가변시켜 제어하면서, 상기 비교부로부터 출력되는 비교결과신호와 상기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상액의 농도를 산출하는 농도 산출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측정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를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는 유막형성부(40), 발광부(51)(52), 수광부(60), 농도측정부(70), 롤러구동부(80)를 구비하고 있다.
유막형성부(40)는 검사대상 현상액을 적절한 두께의 얇은 막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그 상세도면이 도시된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현상액(42)을 저수할 수 있는 용기(41)와, 용기(41)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롤러(43)를 구비하고 있다. 참조부호 44는 회전롤러(43)에 형성되는 유막의 두께를 조절하거나, 현상액 농도측정이 완료되면, 회전롤러(43)의 표면에 형성된 유막을 제거할 수 있는 블레이드로 회전롤러(43)의 표면에 접촉 및/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용기(41)는 현상액 공급용기(32)로부터 감광매체인 감광벨트(14)로 현상액(42)을 공급하는 공급경로상에서 현상액(42)이 입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용기(41)내로의 현상액 유입 및 유출은 펌프(P)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는 다르게, 현상액 공급용기(32)를 그대로 용기(41)로 이용하고, 현상액 공급용기(32)내에 회전롤러(43)를 설치해도된다.
회전롤러(43)는 그 일부 또는 전부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롤러(43)는 롤러구동부(80)에 의해 구동된다.
롤러구동부(80)는 회전롤러(43)의 회전축(43a)과 결합된 기어(81)와, 기어(81)와 치합되게 설치된 모터(82)를 구비하고 있다.
발광부(51)(52)는 상방으로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회전롤러(43)내에 고정되게 설치된 광원(51)과, 광원(51)과 접속되어 광원(51)의 구동을 제어하는 광원제어부(52)를 구비하고 있다.
광원제어부(52)는 농도산출부(72)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형태의 발광량제어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D/A변환부)(54)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54)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상의 발광량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발광량이 출사되도록 광원(51)을 구동하는 광원구동부(52)를 구비한다.
수광부(60)는 그 회로구성예가 도시된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광원(51)에서 출사되어 회전롤러(43)의 유막을 통과한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광원(51)과 대향되게 회전롤러(43) 위에 설치된 광검출기(61)와, 광검출기(61)에서 출력되는 전류신호(Ip)를 전압신호로 변환출력하도록 된 내부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수광부(60)는 저항소자(R1)와 광검출기(61)에서 출력되는 전류(Ip)의 곱에 해당하는 전압신호가 출력된다.
농도측정부(70)는 비교부(71), 농도산출부(72), 룩업테이블(LUT)(73)을 구비하고 있다.
비교부(71)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수광부(60)에서 출력되는 전압신호를 설정된 비교기준전압 신호(Vref)와 비교하면서, 그 비교결과신호를 이진신호로 출력한다. 즉, 수광부(60)에서 출력되는 전압신호가 비교기준 전압신호(Vref)보다 작으면,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수광부(60)에서 출력되는 전압신호가 비교기준전압 신호(Vref) 보다 같거나 크면,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는 다르게, 수광부(60)에서 출력되는 전압신호가 비교기준전압 신호(Vref)보다 작으면,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수광부(60)에서 출력되는 전압신호가 비교기준전압 신호(Vref) 보다 같거나 크면,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비교부(71)가 구성되어도 된다. 비교부(71)는 수광부(60)와 이격거리가 멀지않게 즉, 수광부(60)가 설치되는 회로 기판내에 함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비교부(71)로부터 비교결과에 대응하여 통상 5볼트(V)의 하이레벨신호와, 통상 0볼트(V)의 로우레벨중 어느 하나의 레벨신호로 출력됨으로써, 농도산출부(72)까지의 비교결과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노이즈 또는 약간의 신호 감쇠가 발생되더라도 예컨데, 비교결과신호가 3.5볼트 이상이면, 하이레벨신호로 농도산출부(72)가 처리하고, 1.2볼트 이하는 로우레벨로 처리하게 되면, 노이즈 또는 약간의 신호의 감쇠에 의한 신호 왜곡이 현상액의 농도측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농도 산출부(72)는 회전롤러(43)의 표면에 원하는 두께의 현상액(42)의 유막이 형성되도록 롤러구동부(80)를 제어하고, 발광부(51)(52)의 발광량을 가변시켜 제어하면서, 비교부(71)로부터 출력되는 비교결과신호와 룩업테이블(LUT)(73)을 이용하여 현상액(42)의 농도를 산출한다. 즉, 농도 산출부(72)는 현상액(42)의 농도측정모드가 되면, 회전롤러(43)가 설정된 속도로 회전되도록 롤러구동부(80)를 제어하고, 회전롤러(43)의 표면에 용기(41) 내에 담긴 현상액(42)의 유막이 형성되는 시점 이후에 비교부(71)로부터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될 때까지 즉, 수광부(60)에서 출력되는 전압신호레벨이 비교기준전압신호(Vref)와 같아질 때까지 광원(51)의 발광량이 원하는 레벨로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광원제어부(52)를 제어한다. 그리고, 비교부(71)로부터 하이레벨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에 광원(51)에 적용한 광의 파우어정보와 적용시킨 광의 파우어에 대응되게 룩업테이블(LUT)(73)에 기록된 농도값을 판독하여 현상액(42)의 농도를 산출한다.
룩업테이블(LUT)(73)에는 소정속도로 회전롤러(43)를 회전시키면서, 수광부(60)에서 비교기준전압신호(Vref)에 해당하는 전압신호가 출력될 때 발광부(51)(52)에 적용된 발광량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현상액의 농도값이 실험적으로 구해져 기록되어 있다. 예컨데, 룩업테이블(LUT)(73)에는 수광부(60)에서 출력되는 전압신호레벨이 비교기준전압신호(Vref)와 같아질 때까지 광원(51)의 발광량을 가변시키기 위해 적용된 발광량 제어신호 즉, D/A 변환기(54)에 출력한 디지털 신호값에 대응되는 현상액의 농도값을 룩업테이블(LUT)(73)에 기록시킨다. 이 경우, 농도산출부(72)는 수광부(60)에서 출력되는 전압신호레벨이 비교기준전압신호(Vref)와 같아질 때에 D/A 변환기(54)에 출력한 디지털 신호값을 읽고, 이 디지털 값에 대응하는 현상액의 농도값을 룩업테이블(LUT)(73)에서 찾아 현상액(42)의 농도를 구하면 된다.
이와는 다르게, 룩업테이블(LUT)(73)에는 광원(51)의 구동 온시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발광량증가패턴에 따라 발광부(51)(52)의 발광량을 점진적으로 가변 예컨데, 증가시키면서 수광부(60)에서 출력되는 전압신호가 설정된 비교기준전압(Vref)에 도달할 때까지 카운트 된 시간에 대응하는 현상액의 농도값을 실험적으로 구해 기록해도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t0시점에서 광원(51)을 구동시켜 소정 기울기로 설정된 발광량 증가패턴곡선(S)에 따라 발광량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면서, 수광부(6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비교기준전압(Vref)과 같아지는 비교결과신호가 tf시간에 입력되었다면, 이때 적용시킨 광의 파우어(Ia)정보대신에 tf시간과 이에 대응하는 현상액의 농도값을 실험적으로 구해 룩업테이블(LUT)(73)에 기록한다. 이 경우, 농도산출부(73)는 발광부(51)(52)를 상기 발광량 증가패턴곡선(S)에 따라 발광량이 가변되도록 발광부(51)(52)를 제어하면서, 광원(51)의 구동 온시점을 기준으로 내부카운터(72a)를 이용하여 시간카운트를 시작하고, 수광부(6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설정된 값에 도달할 때까지 카운트된 시간에 대응하는 현상액의 농도를 상기 룩업테이블(LUT)(73)에서 찾아 산출하면된다.
도 2에 도시된 발광부(51)(52)와 수광부(60)의 배치구조와는 다른 배치구조를 갖는 현상액 농도측정장치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와 동일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를 가리킨다.
도 2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도 2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를 보면, 발광부(151)(52)의 광원(151)이 유막형성부(140)의 회전롤러(143) 외부에서 회전롤러(143)의 표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광부(160)는 발광부(151)(52)의 광원(151)으로부터 출사되어 유막이 형성된 회전롤러(143)의 표면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회전롤러(143)의 표면은 입사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의 반사막으로 형성시킨다. 이러한, 현상액 농도측정장치는 앞서 도 2에서 설명된 방법과 동일하게, 즉, 현상액(42)의 유막을 거쳐 회전롤러(143)의 표면에서 반사된 광의 수광신호가 설정된 비교기준신호(Vref)에 도달할 때 광원(151)에 적용한 발광량 제어신호와 룩업테이블(LUT)(73)을 이용하여 현상액(42)의 농도를 측정한다.
한편, 도 2와 도 6의 농도측정장치에 적용된 유막형성부(60)는 검사대상 현상액(42)이 광투과율이 낮은 경우 예컨데, 블랙색상의 현상액의 경우, 회전롤러(43)(143)에 의해 형성되는 현상액(42)의 유막 두께를 매우 얇게 할 수 있어 농도측정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를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는 현상액 취출관부(90), 발광부(251)(152), 수광부(260), 농도측정부(170)를 구비하고 있다.
현상액 취출관부(90)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부분을 갖고, 그 내부로 검사대상 현상액(42)이 채워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액 취출관부(90)가 현상액 공급용기(32)로부터 감광벨트(14)로 현상액을 공급하는 공급관상에 설치되어도 되고, 이와는 다르게, 즉, 현상액(42)을 공급하는 공급경로와는 별도로, 현상액 공급용기(32)내외로 현상액(42)을 입출할 수 있도록 현상액 취출관부(90)가 현상액 공급용기(32)와 연통되게 설치되어도 된다. 특히, 광투과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블랙 색상의 현상액에 대한 농도를 측정할 목적으로 현상액 취출관부(90)의 내부 두께를 얇게 해야하는 경우에는 현상액 공급용기(32)로부터 감광벨트(14)로 현상액(42)을 공급하는 공급경로와는 별도로, 즉, 현상액 공급용기(32) 내외로 현상액(42)을 입출할 수 있도록 현상액 취출관부(90)가 현상액 공급용기(32)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내부 두께가 얇은 것이 요구되는 현상액 취출관부(90)를 현상액 공급용기(32)로부터 감광벨트(14)로 현상액(42)을 공급하는 공급관상에 설치되게 되면, 현상액(42)의 흐름이 원할하지 되지 못하여 현상액 공급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발광부는 광원(251) 및 광원제어부(152)를 갖는다.
광원제어부(152)는 농도산출부(172)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형태의 발광량제어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D/A변환부)(154)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54)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상의 발광량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발광량이 출사되도록 광원(251)을 구동하는 광원구동부(152)를 구비한다.
광원(251)은 현상액 취출관부(90)의 투명부분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7에는 광원(351)의 다른 배치예를 보여주고 있다.
수광부(260)는 광원(251)으로부터 출사되어 현상액 취출관부(90)로부터 투과된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는 다르게 수광부(36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광원(351)으로부터 조사되어 현상액 취출관부(90)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농도측정부(170)는 비교부(171), 농도산출부(172) 및 룩업테이블(LUT)(173)을 구비하고 있다. 수광부(360)와 비교부(171)의 회로구성은 도 4의 회로도가 그대로 적용된다.
농도측정부(170)는 광원(251)(351)의 발광량을 가변시켜 제어하면서, 수광부(260)(36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비교부(172)에 설정된 비교기준신호(Vref)에 도달할 때, 광원(251)(351)의 발광량을 가변시키기 위해 적용된 발광량제어신호와 룩업테이블(LUT)(173)을 이용하여 앞서와 같은 방법으로 현상액의 농도를 측정한다.
룩업데이블(173)에는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된 것과 같이, 수광부(260)(360)에서 비교기준전압(Vref)레벨에 해당하는 전압신호가 출력될 때 광원(251)(351)의 발광량을 제어하기 위해 적용된 발광량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현상액의 농도값이 실험적으로 구해져 기록되어 있다.
룩업테이블(LUT)(173)에 광원(251)(351)의 구동시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발광량증가패턴에 따라 광원(251)(351)으로부터의 발광량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하면서 수광부(260)(36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설정된 값에 도달할 때까지 카운트 된 시간에 대응하는 현상액의 농도값이 기록된 경우, 농도산출부(172)는 광원(251)(351)의 발광량이 상기 발광량증가패턴에 따라 가변되도록 제어하면서, 광원(251)(351)의 구동시점을 기준으로 수광부(260)(36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설정된 값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카운트 하고, 카운트된 시간에 대응하는 현상액의 농도를 룩업테이블(LUT)(173)에서 찾아 산출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측정장치에 의하면, 현상액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의 발광량을 가변시키면서, 현상액을 투과하거나 반사된 광의 수광신호가 설정된 비교기준값에 도달할 때에 해당하는 비교결과신호가 입력될 때, 발광부에 적용시킨 발광량에 대응하는 발광량제어정보로부터 현상액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비교결과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노이즈 또는 약간의 신호 감쇠에 의한 신호 왜곡이 발생하더라도 현상액의 농도측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현상액의 측정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감광매체로 공급할 현상액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용기와;
    상기 용기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노출된 표면에 상기 용기 내에 담겨있는 현상액의 유막을 형성시키는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를 구동시키는 롤러구동부와;
    유막이 형성된 상기 회전롤러 표면에 대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사되어 유막이 형성된 상기 회전롤러의 표면을 거쳐 반사되거나 투과된 광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수광량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부와;
    상기 롤러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발광부의 발광량을 가변시켜 제어하면서, 상기 수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설정된 값에 도달할 때에 상기 발광부에 적용시킨 발광량제어정보로부터 상기 현상액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측정부는 상기 수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설정된 비교기준신호와 비교하면서, 그 비교결과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와;
    소정속도로 상기 회전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수광부에서 상기 비교기준신호에 해당하는 수광신호가 출력될 때에 상기 발광부에 적용시킨 상기 발광량 제어정보에 대응하는 현상액의 농도값이 기록된 룩업테이블과;
    상기 롤러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발광부의 발광량을 가변시켜 제어하면서, 상기 비교부로부터 출력되는 비교결과신호와 상기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상액의 농도를 산출하는 농도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테이블에는 상기 발광부의 구동시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발광량증가패턴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발광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상기 수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설정된 값에 도달할 때까지 카운트 된 시간에 대응하는 현상액의 농도값이 기록되어 있고,
    상기 농도산출부는 상기 발광부를 상기 발광량증가패턴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발광부의 구동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수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설정된 값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카운트 하고, 카운트된 시간에 대응하는 현상액의 농도를 상기 룩업테이블에서 찾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에 형성되는 유막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롤러의 표면에 접촉 및/또는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블레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의 표면은 입사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회전롤러의 표면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수광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사되어 유막이 형성된 상기 회전롤러의 표면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설치된 광검출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의 표면은 적어도 일부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광부분이 마련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투광부분에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광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사되어 유막이 형성된 상기 투광부분을 통과한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설치된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7. 감광매체로 공급할 현상액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소정두께로 형성되며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부분을 갖는 현상액 취출관과;
    상기 현상액 취출관의 투명부분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현상액 취출관으로부터 반사되거나, 투과된 광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수광량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발광량을 가변시켜 제어하면서, 상기 수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설정된 값에 도달할 때에, 상기 발광부에 적용시킨 발광량제어정보로부터 상기 현상액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측정부는 상기 수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설정된 비교기준신호와 비교하면서, 그 비교결과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와;
    상기 수광부에서 상기 비교기준신호에 해당하는 수광신호가 출력될 때에 상기 발광부에 적용시킨 발광량제어정보에 대응하는 현상액의 농도값이 기록된 룩업테이블과;
    상기 발광부의 발광량을 가변시켜 제어하면서, 상기 비교부로부터 출력되는 비교결과신호와 상기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현상액의 농도를 산출하는 농도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테이블에는 상기 발광부의 구동시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발광량증가패턴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발광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상기 수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설정된 값에 도달할 때까지 카운트 된 시간에 대응하는 현상액의 농도값이 기록되어 있고,
    상기 농도산출부는 상기 발광부를 상기 발광량증가패턴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발광부의 구동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수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설정된 값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카운트 하고, 카운트된 시간에 대응하는 현상액의 농도를 상기 룩업테이블에서 찾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취출관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설치된 광검출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취출관의 투명부분을 통과한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설치된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KR1019980053483A 1998-12-07 1998-12-07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KR100338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483A KR100338749B1 (ko) 1998-12-07 1998-12-07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483A KR100338749B1 (ko) 1998-12-07 1998-12-07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470A KR20000038470A (ko) 2000-07-05
KR100338749B1 true KR100338749B1 (ko) 2002-07-18

Family

ID=19561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483A KR100338749B1 (ko) 1998-12-07 1998-12-07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87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470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3642B2 (en) Image quality detect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and image quality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448957B1 (ko) 화상 형성 장치
JP2008197553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故障検知方法
KR100354743B1 (ko) 인쇄기의현상액오염도측정장치및그측정방법
US5722003A (en) Multicolor electrostatic recording appartus having electrostatic recording units for forming different colors
KR100338749B1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JP2006215451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313103B2 (ja) 湿式印刷機の現像液濃度測定装置
KR100343184B1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KR20000065891A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상액 고갈정보 취득방법
JPH052759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131936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残量検知装置
JP2006208622A (ja) 画像形成装置
KR20000050842A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오염도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20000050843A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오염도 측정장치
KR100319846B1 (ko) 인쇄기의현상액농도측정장치및방법
KR100297786B1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JPH09211952A (ja) 画像形成装置
JPH0527528A (ja) 画像形成装置
JP5473633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243155B1 (ko)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및 대전량 측정장치
JPH0527591A (ja) 画像形成装置
JP2021182031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光量調整方法
KR100354760B1 (ko) 인쇄기의 현상액 공급장치
JP2007183438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