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7786B1 -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7786B1
KR100297786B1 KR1019980016518A KR19980016518A KR100297786B1 KR 100297786 B1 KR100297786 B1 KR 100297786B1 KR 1019980016518 A KR1019980016518 A KR 1019980016518A KR 19980016518 A KR19980016518 A KR 19980016518A KR 100297786 B1 KR100297786 B1 KR 100297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ilm
roller
developer
light
rotat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4620A (ko
Inventor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6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7786B1/ko
Publication of KR19990084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7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10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toner concent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58Liquid develop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현상액 출입이 가능하도록 입구와 출구를 가지는 용기와, 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에 따라 그 표면에 용기내를 흐르는 현상액의 유막이 형성되는 회전롤러와, 회전롤러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롤러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원과, 회전롤러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용기의 입구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롤러의 표면에 형성되는 유막의 두께를 한정하는 규제 블레이드와, 회전롤러 표면에 형성된 유막에 광을 조사하고 이 유막을 통과한 광을 검출하여 현상액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는 현상액이 흐르는 통로의 폭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규제 블레이드를 회전롤러의 표면으로부터 적절히 위치시킴으로써 회전롤러의 표면에 소정 두께의 유막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투과율이 낮은 현상액의 경우에도 현상액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concentration of developer in wet-type printer}
본발명은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최적의 인쇄상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현상액의 광투과율을 측정함으로써 현상액의 농도를 알아낼 수 있도록 된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식 인쇄기에서는 감광 벨트 또는 감광 드럼과 같은 감광매체의 영상기록면이 대전되고, 이 영상기록면에 선택적으로 주사되는 광에 의해 전위 레벨이 변화되어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정전 잠상위치에 대전된 현상액이 부착되어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인쇄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감광벨트(1)는 가이드롤러(3)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무한 궤도를 회전한다. 이 감광벨트(1)의 영상기록면에 남아 있는 정전 잠상은 이레이저(11)에서 제거된다. 그리고 이 영상기록면은 코로나 대전장치(13)를 통과하면서 균일하게 소정 전위로 대전된다.
이와 같이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벨트(1)의 영상기록면은 레이저 스캔 유니트(15)로부터 주사되는 광에 의해 선택적으로 감광되고, 이 감광위치의 전위 레벨이 변화되어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정전 잠상 위치는 현상유니트(16)를 통과하면서 현상액이 부착된다. 상기 현상유니트(16)는 예컨대,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화상을 각각 현상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스캔 유니트(15)는 상기 각 현상유니트(16)의 전단에 구비되어 색상별로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현상유니트(16)에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칼라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이 충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현상액은 다음과 같이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 적절한 농도로 혼합된다. 각 칼라별 잉크통(20)에는 액상의 캐리어와 칼라 토너가 밀한 농도로 섞여있는 밀한 농도의 현상액이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캐리어 공급통(27)에는 액상의 캐리어가 수용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잉크통(20)으로부터 공급되는 밀한 농도의 칼라 현상액이 워킹 솔류션(25)에서 캐리어 공급통(27)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상의 캐리어와 적절한 농도로 혼합된다.
상기 워킹 솔류션(25)에서 적절한 농도로 혼합된 현상액은 펌프(26)에 의해 상기 현상롤러(17) 쪽으로 펌핑되며, 감광벨트(1)의 영상기록면에 근접되게 설치된 현상롤러(17)의 회전에 따라 감광벨트(1)의 정전 잠상 위치에 부착되어 칼라 화상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영상기록면에 칼라의 화상이 형성된 감광벨트(1)는 히팅롤러(28)를 통과하면서 건조되어, 감광벨트(1)의 영상기록면에는 현상액 중 액상의 캐리어가 제거되고, 토너 입자만이 남게 된다.
상기 감광벨트(1)에 부착된 토너로 이루어진 화상은 전사롤러(29)에 전사되어, 상기 전사롤러(29)와 정착롤러(31) 사이로 통과되는 용지(30)에 인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습식 인쇄기에서 화상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현상액의 농도 즉,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의 혼합비가 적절해야 한다.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현상액의 경로 상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광원(미도시)과 광검출기(미도시)가 마련되며 그 사이의 통로(미도시)로 현상액이 통과하도록 마련된 셀 타입의 광투과형 농도 측정 장치(미도시)를 설치한다. 현상액의 농도는 광원으로부터 현상액에 광을 조사하고, 현상액을 투과한 광을 광검출기로 수광하여 투과 광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투과율이 낮은 현상액의 경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현상액을 통과하여 광검출기에서 검출될 수 있도록 상기 셀의 두께 즉, 상기 통로의 폭을 작게 해야하는데, 이와 같이 통로의 폭이 작으면 현상액의 흐름이 방해 받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현상액이 흐르는 통로의 폭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회전롤러의 표면에 소정 두께의 유막을 형성함으로써 투과율이 낮은 현상액의 경우에도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된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인쇄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용기 50a,50b...입구,출구
60,160...회전롤러 60a...회전축
60b...표면 60c...유막
70....규제 블레이드 80...농도 측정부
81...광원 85...광검출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는 현상액 출입이 가능하도록 입구와 출구를 가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에 따라 그 표면에 상기 용기내를 흐르는 현상액의 유막이 형성되는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롤러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원과; 상기 회전롤러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상기 용기의 입구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롤러의 표면에 형성되는 유막의 두께를 한정하는 규제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롤러 표면에 형성된 유막에 광을 조사하고 이 유막을 통과한 광을 검출하여 현상액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롤러의 표면은 입사광을 반사시키도록 마련되며, 상기 농도 측정부는, 상기 회전롤러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막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회전롤러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막을 통과하고 상기 표면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롤러는 적어도 일부가 광을 투과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농도 검출부는, 상기 회전롤러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어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 대향되는 상기 회전롤러의 다른측에 상기 광원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유막을 통과한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1과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부재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는 현상액 출입이 가능하도록 입구(50a)와 출구(50b)를 가지는 용기(50)와, 상기 용기(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롤러(60)와, 상기 회전롤러(60)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원(65)과, 상기 용기(50)의 입구(50a) 일측에 설치된 규제 블레이드(70)와, 현상액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 측정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는 워킹솔류션(25), 현상유니트(16) 또는 현상액의 공급 경로 상에 설치된다.
상기 용기(50)에는 입구(50a)를 통해 현상액이 유입되어 흐르고, 출구(50b)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회전롤러(60)는 그 회전축(60a)에 상기 구동원(65) 예컨대, 구동모터가 설치되어 이 구동원(65)의 구동에 따라 회전된다. 그리고 이 회전롤러(60)의 회전에 따라 그 표면(60b)에는 상기 용기(50)내를 흐르는 현상액의 유막(60c)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면(60b)은 입사광을 반사시키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60b)에 형성되는 유막(60c)의 두께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70)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규제 블레이드(70)는 상기 회전롤러(60)의 표면(60b)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상기 용기(50)의 입구(50a)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롤러(60)의 일측으로의 상기 현상액의 흐름을 제한한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롤러(60)의 일측에는 소정 두께의 유막(60c)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규제 블레이드(70)가 상기 입구(50a)의 우측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롤러(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유막(60c)은 회전롤러(60)의 오른쪽 표면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표면(60b)에 형성되는 유막(60c)의 두께는 상기 회전롤러(60)의 회전 선속도, 현상액에 작용하는 중력가속도, 현상액의 점도 특히, 운동 점도, 상기 규제 블레이드(70)와 표면(60b)과의 이격 거리 즉, 상기 규제 블레이드(70)의 위치에 영향을 받는다. 이때, 상기 현상액의 농도가 낮은 경우 점도가 낮아 상기유막(60c)의 두께는 얇아지고, 농도가 높은 경우 점도가 높아 유막(60c)의 두께는 두꺼워진다.
또한, 상기 유막(60c)의 두께는 같은 조건에 대해 현상액의 종류 즉,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현상액에 따라 각각 다르다.
그러므로, 각 칼라 현상액에 대해 회전롤러(60)의 회전 선속도, 규제 블레이드(70)의 위치 및 현상액의 농도 등에 따른 유막(60c)의 두께 변화를 측정하여 이를 기준 데이터화하고, 이 기준 데이터와 습식 인쇄기에서의 실시간 측정치를 비교하면 현상액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회전 선속도와 규제 블레이드(70) 위치의 알려진 데이터에 대해, 상기 농도 측정부(80)에서 현상액의 농도에 따라 변화되는 유막(60c)의 두께 변화에 의한 상기 유막(60c)을 투과하는 광량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면, 현상액의 농도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농도 측정부(80)는 상기 회전롤러(60)의 외측 즉, 상기 규제 블레이드(70)에 의해 규제되어 유막(60c)이 형성되는 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막(60c)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81)과, 상기 회전롤러(60)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막(60c)을 통과하고 상기 표면(60b)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85)를 포함한다. 또한, 이 광검출기(85)의 검출신호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농도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부(87)를 포함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현상액의 농도 측정 모드가 시작되면 상기 회전롤러(60)는 소정의 회전 선속도로 일방향(A)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롤러(60)의 표면(60b)에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70)에 의해 규제되어 소정 두께의 유막(60c)이 형성된다. 상기 광원(81)에서 조사된 광은 상기 유막(60c)을 투과하고 상기 표면(60b)에서 반사된 다음 다시 유막(60c)을 투과하여 광검출기(85)에서 검출된다. 상기 회로부(87)는 이 광검출기(85)의 검출신호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상액의 농도 신호를 출력한다.
현상액 농도 측정 모드가 완료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는 작동을 멈추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다음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로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며, 회전롤러(160)의 적어도 일부가 광을 투과하도록 마련되고, 농도 측정부(80)가 이에 적절히 배치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160)의 적어도 일부 즉, 광원(81)과 광검출기(85) 사의 광경로 위치가 투명부재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광원(81)은 회전롤러(160)의 일측 예컨대, 회전롤러(16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광검출기(85)는 상기 광원(81)에 대향되게 회전롤러(160)의 다른측 예컨대, 외측에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광원(81)에서 출사된 광이 유막(60c)을 한번 투과하여 광검출기(85)에서 검출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보다 유막(60c)의 두께가 더 두꺼운 경우에도 농도 검출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는 회전롤러(60,160)의 소정 회전 선속도에 대해 규제 블레이드(70)를 적절히 위치시킴으로써 유막(60c)의 두께를 충분히 얇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광투과성이 나쁜 현상액의 경우에도 농도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는 현상액이 흐르는 통로의 폭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회전롤러의 표면으로부터 적절히 위치시킴으로써 회전롤러의 표면에 소정 두께의 유막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투과율이 낮은 현상액의 경우에도 현상액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Claims (3)

  1. 현상액 출입이 가능하도록 입구와 출구를 가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에 따라 그 표면에 상기 용기내를 흐르는 현상액의 유막이 형성되는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롤러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원과;
    상기 회전롤러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상기 용기의 입구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롤러의 표면에 형성되는 유막의 두께를 한정하는 규제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롤러 표면에 형성된 유막에 광을 조사하고 이 유막을 통과한 광을 검출하여 현상액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2. (정정)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의 표면은 입사광을 반사시키도록 마련되며,
    상기 농도 측정부는,
    상기 회전롤러의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막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회전롤러의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막을 통과하고 상기 표면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3. (정정)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는 적어도 일부가 광을 투과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농도 검출부는,
    상기 회전롤러의내측 또는 외측에설치되어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 대향되는상기 회전롤러의 다른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막을 통과한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KR1019980016518A 1998-05-08 1998-05-08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KR100297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518A KR100297786B1 (ko) 1998-05-08 1998-05-08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518A KR100297786B1 (ko) 1998-05-08 1998-05-08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620A KR19990084620A (ko) 1999-12-06
KR100297786B1 true KR100297786B1 (ko) 2001-09-06

Family

ID=37528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518A KR100297786B1 (ko) 1998-05-08 1998-05-08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77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381B1 (ko) * 1998-05-08 200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KR100382641B1 (ko) * 2000-02-21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및 현상액 공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620A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7592C (zh) 图像形成装置及处理卡盒
US5689756A (en) Rotation abnormality detecting device for use i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269117B1 (ko) 현상액농도검지장치
US755523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generates a different light pattern for different development apparatuses
JP3209735B2 (ja) 湿式印刷機の現像液濃度測定装置
KR100297786B1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US5530529A (en) Fluid sensing aparatus
US6289184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concentration of developer of liquid printer
KR100343184B1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JPH11198398A (ja) トナー濃度センサー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および現像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1014048B1 (en) Apparatus for indicating level of liquid in tank
KR100243155B1 (ko)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및 대전량 측정장치
US6122459A (en) Developer amount detecting apparatus
KR19990074122A (ko) 화상현상장치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KR100234326B1 (ko) 인쇄기의현상액농도및도전율측정장치
KR200321606Y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JP2005099593A (ja)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335426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현상액농도감지장치
JP2008052024A (ja) 画像形成装置
KR100338749B1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KR100561381B1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KR100319848B1 (ko) 습식인쇄기의현상액농도측정장치
KR20000050842A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오염도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20000050843A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오염도 측정장치
JPH02181772A (ja) 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