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606Y1 -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 Google Patents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606Y1
KR200321606Y1 KR20-1999-0000045U KR19990000045U KR200321606Y1 KR 200321606 Y1 KR200321606 Y1 KR 200321606Y1 KR 19990000045 U KR19990000045 U KR 19990000045U KR 200321606 Y1 KR200321606 Y1 KR 200321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developer
light
concentra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516U (ko
Inventor
최재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000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606Y1/ko
Publication of KR200000155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5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6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10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toner concent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58Liquid develop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복수의 롤러에 지지되어 무한궤도상을 주행하며 화상영역과 그 양측에 마련된 비화상영역을 구비하며 비화상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부재로 이루어진 감광벨트와, 화상영역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레이저스캔유니트와, 감광벨트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현상갭(G)을 이루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며 현상갭측으로 현상액을 분출되는 현상액으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유니트와, 현상갭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광원에서 조사되고 현상롤러의 회전에 따라 현상갭에 형성된 현상액 유막을 투과한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여 현상액의 농도를 검출하는 농도센서를 포함하여, 현상액 유막의 투과광량을 측정하여 현상액의 농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비화상영역의 일부가 투명부재로 이루어진 감광벨트를 채용하고 현상갭에서의 현상액 유막의 광투과율을 측정하는 농도센서를 구비하므로, 토너 입자의 고착 및 이에 따른 클리닝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Wet-type electropotograpic printer}
본 고안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현상액의 광투과율을 측정함으로써 현상액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관한 것이다.
습식 레이저 프린터 등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감광매체에 레이저 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Latent electrostatic image)을 형성하고, 현상유니트를 이용하여 소정 색상의 토너를 포함한 현상액으로 현상한 뒤 인쇄용지에 전사시켜 인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는 인쇄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감광매체에 분사되는 현상액의 농도를 소정 범위내에서 유지할 수 있도록 현상액의 농도를 측정하는 장치가 채용되어 있다. 여기서, 현상액은 토너 입자와 액상의 캐리어를 포함한다.
현상액 농도측정장치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액 이동 경로 상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한쌍의 투명부재(1)(3)와, 현상액(D)을 사이에 두고 상기 투명부재(1)(3) 각각의 외부에 마주하도록 설치된 발광소자(5) 및 수광소자(7)를 포함하는 셀타입의 현상액 농도측정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농도측정장치는 상기 발광소자(5)에서 조사되고 상기 투명부재(1)(3) 및 현상액(D)을 투과한 광을 수광소자(7)로 수광하여 투과 광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현상액의 농도를 감지한다.
농도를 감지하고자 하는 현상액(D)이 블랙(K) 칼라인 경우, 블랙 칼라의 광투과율이 작기 때문에 농도에 따른 광투과율 차이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투명부재(1)(3) 사이의 간격이 대략 0.1 mm 이하이어야 한다. 하지만, 투명부재(1)(3) 사이의 간격이 0.1 mm가 되도록 제작하기 어려울뿐만아니라, 이와 같이 좁은 간격을 갖는 투명부재(1)(3) 내측은 클리닝이 어렵기 때문에 토너 입자가 고착에 의한 광투과율이 변화에 의해 정확한 농도측정이 어렵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감광벨트와 현상롤러 사이의 현상갭에 형성되는 현상액 유막에서의 광투과율을 측정하여 현상액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농도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감광벨트10a...투명부재
11...롤러20...현상유니트
21...현상롤러21a...반사부재
50...농도센서51...광원
53...광검출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복수의 롤러에 지지되어 무한궤도상을 주행하며, 화상영역과 그 양측에 마련된 비화상영역을 구비하는 감광벨트와; 상기 화상영역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레이저스캔유니트와; 상기 감광벨트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현상갭(G)을 이루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갭측으로 현상액을 분사하여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유니트와; 상기 현상액의 농도를 검출하는 농도센서;를 포함하여 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감광벨트는 상기 비화상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농도센서는, 상기 현상갭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고 상기 현상롤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현상갭에 형성된 현상액 유막을 투과한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여, 상기 현상액 유막의 투과광량을 측정하여 현상액의 농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현상롤러는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반사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광원은 상기 감광벨트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투명부재를 통해 상기 현상갭측으로 광을 조사하며, 상기 광검출기는 상기 광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어 상기 현상액 유막을 투과하고 상기 반사부재에서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것이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상롤러는 현상시 대략 0.1mm 이하의 현상갭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감광벨트(10)와, 상기 감광벨트(10)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레이저스캔유니트(LSU)와,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유니트(20)와, 현상에 적합하도록 소정 농도 및 소정 용량의 현상액을 상기 현상유니트(20)에 공급하는 잉크 전달시스템과, 상기 현상액의 농도를 검출하는 농도센서(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광벨트(10)는 복수의 롤러(11)에 지지되어 무한궤도 상을 주행한다. 이 감광벨트(10)는 화상영역(P)과 그 양측에 마련된 비화상영역(N)을 가지며, 상기 화상영역(P)에는 레이저스캔유니트(LSU)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감광벨트(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벨트 이동방향(A)을 따라 상기 비화상영역(N)의 적어도 일부가 광을 투과시키는 투명부재(10a)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투명부재(10a)는 셀룰로이드 같은 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스캔유니트(LSU)는 상기 감광벨트(10)의 화상영역(P)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상기 현상유니트(20)는 현상용기(25)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현상롤러(21) 및 이에 대향되게 설치된 현상백업롤러(22)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전달시스템에서 공급되는 현상액으로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상기 현상롤러(21)는 감광벨트(1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감광벨트(10)와의 사이에 현상갭(G)을 이룬다. 이때, 상기 현상롤러(21)는 현상시 대략 0.1 mm 이하의 현상갭(G)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현상롤러의 회전에 따라 현상갭(G)에는 대략 0.1 mm 이하의 현상액 유막(1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현상액은 잉크 카트리지(41)에서 제공되는 토너가 대략 9 wt% 함유된 농축잉크와, 캐리어 카트리지(43)에서 제공되는 액상의 캐리어를 소정비로 혼합하여 된 대략 2 내지 4 wt%의 토너 농도를 가지는 잉크이다.
상기 잉크 전달시스템은 농축잉크가 저장되는 잉크 카트리지(41)와, 캐리어가 저장되는 캐리어 카트리지(43)와, 현상액이 저장되는 순환탱크(44)와, 상기 순환탱크(44) 내의 현상액을 상기 현상유니트(20)의 현상롤러(21)와 백업롤러(22) 사이의 현상갭(G)에 분사하는 분사부(47)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탱크(44)는 그에 대응되는 현상유니트(20)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유니트(20) 내에 상기 분사부(47)를 통해 현상액을 공급하고, 현상에 기여한 후 잔류하는 현상액을 재수용하여 현상시 현상액이 현상갭(G)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분사부(47)는 현상액을 공급하는 분사경로(47a)와, 이 경로(47a)에 설치되어 현상액을 펌핑하는 펌프(47b) 및, 상기 분사경로(47a)의 상기 현상갭(G) 단에 설치되어 현상액을 현상갭(G)에 분사하는 노즐(47c)로 구성된다.
상기 농도센서(50)는 상기 현상갭(G)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51)과, 상기 광원(51)에서 조사되고 상기 현상롤러(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현상갭(G)에 형성된 현상액 유막을 투과한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21)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반사부재(21a)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반사부재(21a)는 현상롤러(21) 외주에 코팅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원(51)은 상기 감광벨트(10)의 상방 즉, 상기 현상백업롤러(22)측에 설치되어 상기 투명부재(10a)를 통해 상기 현상갭(G)측으로 광으로 조사한다. 또한, 상기 광검출기(53)는 상기 광원(51)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51)에서 조사되어 상기 현상액 유막을 투과하고 상기 반사부재(21a)에서 반사된 광을 검출하여 현상액의 농도를 검출한다.
한편, 상기 현상롤러(21)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부재(미도시)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원 및 광검출기가 상기 감광벨트 상방 및 현상롤러 내측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현상갭에 형성된 현상액 유막의 광투과율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다음과 같이 농도를 측정한다.
인쇄기의 작동 중 특히, 인쇄모드시에 현상롤러(21)는 감광벨트(10)와 상기 현상갭(G)만큼 이격되게 위치된다. 상기 순환탱크(44)로부터 분사부(47)로 공급되는 현상액이 분사구(47c)에서 지속적으로 현상갭(G)측으로 분사된다. 상기 분사된 현상액은 현상롤러(21)의 회전에 따라 현상갭(G) 위치에서 대략 상기 현상갭(G)에 해당하는 두께의 유막으로 형성된다.
상기 광원(51)에서 조사된 광은 감광벨트(10)의 투명부재(10a)를 투과하여 현상액 유막에 입사된다. 이 광은 현상액 유막을 투과한 후 상기 현상롤러(21) 외주에 마련된 반사부재(21a)에서 반사된다. 이 반사광은 다시 현상액 유막 및 투명부재(10a)를 경유하여 광검출기(53)에서 검출된다. 이때, 상기 광검출기(53)의 검출광량은 현상액의 농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상기 검출광량을 룩업테이블(미도시)화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면 현상액의 농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상액 유막이 대략 0.1 mm 이하의 얇은 두께를 갖기 때문에 블랙(K) 칼라 현상액과 같이 광투과율이 낮은 현상액의 경우에도 농도 측정이 가능하다.
여기서, 현상시 정전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갭(G)에 형성된 현상액 유막은 현상액 중 액상의 캐리어가 제거되기 전단계의 현상액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유막을 이루는 현상액의 농도는 실질상 순환탱크(44)와 현상유니트(20) 사이의 현상액 경로 상의 현상액의 농도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 농도 측정결과에 따라 잉크 카트리지(41) 및 캐리어 카트리지(43)에서 공급되는 농축잉크 및 액상의 캐리어량을 조절하면, 순환탱크(44)내의 현상액을 적정 농도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인쇄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비화상영역의 일부가 투명부재로 이루어진 감광벨트를 채용하고, 현상갭에서의 현상액 유막의 광투과율을 측정하는 농도센서를 구비하므로, 토너 입자의 고착 및 이에 따른 클리닝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3)

  1. 복수의 롤러에 지지되어 무한궤도상을 주행하며, 화상영역과 그 양측에 마련된 비화상영역을 구비하는 감광벨트와; 상기 화상영역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레이저스캔유니트와; 상기 감광벨트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현상갭(G)을 이루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갭측으로 현상액을 분출되는 현상액으로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유니트와; 상기 현상액의 농도를 검출하는 농도센서;를 포함하여 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감광벨트는 상기 비화상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농도센서는,
    상기 현상갭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고 상기 현상롤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현상갭에 형성된 현상액 유막을 투과한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여,
    상기 현상액 유막의 투과광량을 측정하여 현상액의 농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는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반사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광원은 상기 감광벨트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투명부재를 통해 상기 현상갭측으로 광을 조사하며,
    상기 광검출기는 상기 광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어 상기 현상액 유막을 투과하고 상기 반사부재에서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는 현상시 대략 0.1mm 이하의 현상갭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KR20-1999-0000045U 1999-01-07 1999-01-07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KR200321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045U KR200321606Y1 (ko) 1999-01-07 1999-01-07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045U KR200321606Y1 (ko) 1999-01-07 1999-01-07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516U KR20000015516U (ko) 2000-08-05
KR200321606Y1 true KR200321606Y1 (ko) 2003-07-31

Family

ID=49336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045U KR200321606Y1 (ko) 1999-01-07 1999-01-07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6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516U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9117B1 (ko) 현상액농도검지장치
KR100327244B1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KR200321606Y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US772962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detects concentration of liquid toner using light reflected through liquid toner
KR100374584B1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KR100322554B1 (ko) 습식인쇄기의현상액농도측정장치
KR100343184B1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KR100243155B1 (ko)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및 대전량 측정장치
KR100297786B1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KR20000040187A (ko) 용기내에 저수된 액체의 저수 레벨 측정장치
KR100234326B1 (ko) 인쇄기의현상액농도및도전율측정장치
KR100238317B1 (ko) 인쇄장치
KR10043353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화상농도 제어장치
KR100335426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현상액농도감지장치
KR100561381B1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KR100322584B1 (ko) 인쇄기의 현상액 오염 측정장치_
JP2884984B2 (ja) 電子写真装置及びその定着装置
JPH03164768A (ja) 現像剤検出手段の清掃装置
KR20000050842A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오염도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JPH09160361A (ja) Epカートリッジ
KR20060055574A (ko) 화상 농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9990069628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수평 감지장치
JP2004212530A (ja) トナー濃度測定手段を備えた現像装置
KR20000050843A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오염도 측정장치
JP2005017423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