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317B1 -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317B1
KR100238317B1 KR1019970044427A KR19970044427A KR100238317B1 KR 100238317 B1 KR100238317 B1 KR 100238317B1 KR 1019970044427 A KR1019970044427 A KR 1019970044427A KR 19970044427 A KR19970044427 A KR 19970044427A KR 100238317 B1 KR100238317 B1 KR 100238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ransfer roller
photosensitive member
transfer
transfer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0950A (ko
Inventor
송인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4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317B1/ko
Publication of KR19990020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33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photoconductor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photoconductor
    • G03G15/5041Detecting a toner image, e.g. density, toner coverage, using a test patc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2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 G03G2215/00029Image density detection
    • G03G2215/00033Image density detection on recording member
    • G03G2215/00037Toner image detection
    • G03G2215/00042Optical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지로 전사될 화상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조가 개선된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는, 감광부재로부터 상기 전사롤러로 전사된 화상의 농도를 측정하기 전사화상농도 측정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전사롤러로부터 기록지로 전사되어 정착될 화상의 농도를 직접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인쇄장치{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프린터나 복사기 등과 같이 기록지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록지로 전사될 화상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조가 개선된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나 복사기 등과 같은 인쇄장치에는 레이저스캐닝 유니트(LSU) 등의 잠상형성수단에 의해 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부재와 이 감광부재 상의 잠상을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기가 마련된다. 도 1에는 종래 인쇄장치의 일례의 주요부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인쇄장치는, 모터(미도시) 등의 구동원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벨트형의 감광부재(1)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감광부재(1)의 하측에는 현상기(2)가 설치되어 있다.
감광부재(1)에는 상술한 잠상형성수단에 의해 잠상이 형성된다. 감광부재 상의 잠상은 현상기(2)를 통해 그 잠상부위에 부착되는 현상액 중의 토너에 의해 현상되며, 이에 따라 감광부재(1)에는 토너에 의한 화상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그 감광부재(1) 상의 화상은 감광부재(1)의 주행경로상 현상기(2)와 전사롤러(3) 사이에 위치된 건조부(미도시)에서 건조된 후 전사롤러(3)로 전사된다. 전사롤러(3)로 전사된 화상은 전사롤러(3)와 정착롤러(4) 사이로 공급되는 기록지(P)에 전사되어 정착된다. 참조부호 5는 감광부재(1)와 전사롤러(3) 사이에 소정의 밀착력이 유지되도록 감광부재(1)를 지지하는 백업롤러이다.
한편, 기록지(P)에 원하는 농도로 화상이 정착되도록 하기 위하여는, 기록지(P)에 화상이 정착되기 전의 과정에서 미리 토너에 의한 화상의 농도를 측정하여 기록지(P)에 정착될 화상의 농도를 예측하고 그 결과에 따라 농도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감광부재(1)에 형성된 화상의 농도를 측정하는 기구를 설치하여 그 측정기구를 통해 감광부재(1) 상의 화상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를 기록지에 정착될 화상의 농도예측을 위한 자료로 삼아 왔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감광부재에 형성된 화상의 농도를 측정하는 기구를 통해서 기록지에 정착될 농도를 예측하는 방식을 따르면, 그 측정기구에 의해 농도가 측정된 화상이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되는 동안 농도가 변화될 뿐만 아니라, 감광부재 상의 화상이 전사롤러로 전사되는 과정에서 화상의 농도가 변하게 되며 그 농도의 변화량을 예측하기 곤란하므로, 기록지에 정착될 화상의 농도를 정확하게 검출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록지에 정착될 화상의 농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화상의 농도측정을 위한 구조가 개선된 인쇄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인쇄장치의 일례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구조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매개부재가 전사롤러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인쇄장치의 전사롤러 부위의 개략적 우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감광부재 3...전사롤러
4...정착롤러 10...발광소자
20...수광소자 34...매개부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는, 토너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는 감광부재와, 감광부재에 밀착되어 회전되면서 그 감광부재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받는 전사롤러와, 상기 전사롤러와의 사이로 통과되는 기록지에 상기 전사롤러 상의 화상이 전사되도록 기록지를 전사롤러에 압착시키는 정착롤러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감광부재로부터 상기 전사롤러로 전사된 화상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전사화상농도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부재들 중 상기 도 1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기능을 행하는 부재들에 대해서는 서로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 부재들에 대한 각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인쇄장치에 있어서는, 감광부재(1)에 형성된 토너에 의한 화상을 전사받는 전사롤러(3) 측에 발광소자(10)와 수광소자(20)를 포함하는 전사화상농도 측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발광소자(10)와 수광소자(20)는 예를 들어 상기 전사롤러(3)나 백업롤러(5)를 지지하는 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된다. 발광소자(10)는 감광부재(1)로부터 전사롤러(3)로 전사된 화상(I)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 이러한 발광소자(10)로서 예를 들어 레이저 다이오드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수광소자(20)는 발광소자(10)로부터 조사되어 전사롤러(3)상의 화상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고 그 수광된 광량의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사화상농도 측정수단에 의해 화상의 농도가 측정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감광부재(1)에 형성된 화상은 그 감광부재(1)와 밀착되어 회전되는 전사롤러(3)로 전사된다. 감광부재(1)로부터 전사롤러(3)로 전사된 화상(I)은 그 전사롤러(3)의 회전에 의해 발광소자(10)와 수광소자(20) 간의 광경로를 통과하게 된다. 이처럼 전사롤러(3) 상의 화상(I)이 광경로를 통과하는 시점에서, 발광소자(10)로부터 조사된 빛은 전사롤러(3) 상의 화상으로부터 반사되게 된다. 반사된 빛은 수광소자(20)에 의해 수광되는데, 수광되는 빛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I)을 투과한 빛에 한정되므로 그 광량이 줄어들게 되며, 수광소자(20)에 의해 수광되는 광량은 전사롤러(3) 상의 화상(I)의 농도에 반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수광소자(20)는 수광되는 광량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전사롤러(3) 상의 화상(I)의 농도 즉, 기록지(P)로 전사될 화상의 농도가 확인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인쇄장치에 있어서는 감광부재(1)로부터 전사롤러(3)로 전사된 화상(I)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종래 인쇄장치에 있어서 감광부재 상의 화상이 건조되는 과정 및 전사롤러로 전사되는 과정에서 화상의 농도가 변함으로 인하여 화상농도의 정확한 측정이 곤란했던 것과는 달리, 그 전사롤러(3)로부터 기록지(P)로 전사되어 정착될 화상(I)의 농도를 오차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인쇄장치의 전사화상농도 측정수단 부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인쇄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전사화상농도 측정수단으로서, 발광소자(10)와 수광소자(20) 및 투명한 테이프 형태의 매개부재(34)가 구비되어 있다. 이 매개부재(34)는 압착롤(33)에 의해 전사롤러(3)에 밀착되어 그 전사롤러(3)의 회전에 의해 공급릴(31)로부터 풀려나와 주행되면서 수납릴(32)에 감기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매개부재(34)는 전사롤러(3)에 전사되어 있는 화상을 전사받게 된다. 참조부호 30은 상기 릴들(31,32) 및 압착롤(3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싱으로서, 전사롤러(3)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랙부재(50)에 스프링(40)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랙부재(50)에는 모터(미도시) 등의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며 전사롤러(3)에 대해 위치고정된 피니언(60)이 맞물려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피니언(60)의 회전시에 랙부재(50)가 이동되고 그 랙부재(50)의 이동방향에 따라, 매개부재(3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롤러(3)에 탄력적으로 압착되는 위치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롤러(3)로부터 이격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10)와 수광소자(20)는 매개부재(34)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발광소자(10)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투명한 매개부재(34)를 투과하여 수광소자(20)에 수광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는 발광소자(10)와 수광소자(20)가 케이싱(30) 내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케이싱(30)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전사롤러(3)로부터 매개부재(34)로 전사된 화상(I)은 전사롤러(3)의 회전에 따른 매개부재(34)의 주행시에 발광소자(10)와 수광소자(20) 간의 광경로를 통과하게 된다. 매개부재(34) 상의 화상(I)이 상기 광경로를 통과하는 시점에서 발광소자(10)로부터 조사된 빛은 그 화상(I)을 투과하여 수광소자(20)에 수광된다. 이 때, 수광소자(20)에 수광되는 광량은 상술한 실시예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I)의 농도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수광소자(20)는 수광된 광량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므로 전사롤러(3)로부터 매개부재(34)로 전사된 화상(I)의 농도가 측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인쇄장치에 있어서도 상술한 실시예의 인쇄장치에 있어서와 동등한 효과가 발휘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개부재(34)와 압착롤(33) 및 상기 매개부재(34)로 전사되어 발광소자(10)와 수광소자(20) 사이를 통과할 화상(I)이, 전사롤러(3)의 외주면 중 기록지(P)로 전사될 화상이 형성되는 영역(A)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전사화상농도 측정수단에 의한 화상농도의 측정은 일반 인쇄작업모드에서 행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가 복수개의 색상의 토너에 의해 칼라화상을 형성하는 인쇄장치인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색상별로 복수의 화상(I)이 감광부재(1)로부터 전사롤러(3)로 전사되도록 하고 그 화상(I)들을 매개부재(34)로 전사시켜서 각 화상(I)의 농도가 상술한 발광소자(10)와 수광소자(20)를 통해 측정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매개부재는 투명한 소재의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매개부재를 불투명 소재의 것으로 사용하여 발광소자(10)에서 조사된 빛이 그 매개부재에서 반사되도록 하고 수광소자는 그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술한 각 실시예의 변형 또는 그들의 조합 등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는, 감광부재로부터 상기 전사롤러로 전사된 화상의 농도를 측정하기 전사화상농도 측정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전사롤러로부터 기록지로 전사되어 정착될 화상의 농도를 직접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토너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는 감광부재와, 감광부재에 밀착되어 회전되면서 그 감광부재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받는 전사롤러와, 상기 전사롤러와의 사이로 통과되는 기록지에 상기 전사롤러 상의 화상이 전사되도록 기록지를 전사롤러에 압착시키는 정착롤러를 구비한 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부재로부터 상기 전사롤러로 전사된 화상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전사화상농도 측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사화상농도 측정수단은, 상기 전사롤러로 전사된 화상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전사롤러 상의 화상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고 그 수광된 광량에 대응하는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키는 수광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 토너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는 감광부재와, 감광부재에 밀착되어 회전되면서 그 감광부재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받는 전사롤러와, 상기 전사롤러와의 사이로 통과되는 기록지에 상기 전사롤러 상의 화상이 전사되도록 기록지를 전사롤러에 압착시키는 정착롤러를 구비한 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부재로부터 상기 전사롤러로 전사된 화상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전사화상농도 측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사화상농도 측정수단은, 상기 전사롤러에 밀착되어 주행되면서 그 전사롤러로부터 화상을 전사받는 매개부재와, 상기 매개부재로 전사된 화상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매개부재 상의 화상을 투과하는 빛을 수광하고 그 수광된 광량에 대응하는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키는 수광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재로 전사될 화상은 상기 기록지로 전사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인쇄장치.
KR1019970044427A 1997-08-30 1997-08-30 인쇄장치 KR100238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427A KR100238317B1 (ko) 1997-08-30 1997-08-30 인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427A KR100238317B1 (ko) 1997-08-30 1997-08-30 인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950A KR19990020950A (ko) 1999-03-25
KR100238317B1 true KR100238317B1 (ko) 2000-01-15

Family

ID=1952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427A KR100238317B1 (ko) 1997-08-30 1997-08-30 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3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950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494B1 (ko) 화상 형성 장치
JP2000112218A (ja) 現像剤収納容器及び現像装置
JP4240198B2 (ja) 露光ヘッド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H07234595A (ja) 画像形成装置
KR100238317B1 (ko) 인쇄장치
US6137981A (en) Apparatus for forming multiple toner images in register with each other on a substrate
JP3189097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3969114A (en) Method for monitoring copy quality
JPH03107883A (ja) 像形成装置の清掃ブレードの塵の除去装置及び方法
US3894799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copy quality
JP2001005299A (ja) トナー濃度の測定方法及びその方法の実施に用いるセンサ
KR100440943B1 (ko) 전자사진방식인쇄기
JP2005154096A (ja) 記録材検知機構、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画像形成装置
JP3301824B2 (ja) 画像形成装置
JPH0358112B2 (ko)
JP2681993B2 (ja) 圧力現像装置
JP2000029369A (ja) 静電潜像担持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321606Y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JPH06222633A (ja) 電子写真プリント装置
JP202016620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濃度補正方法
JPH11143308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4159458A (ja) 回転体駆動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022141A (ja) 画像形成装置
JPH07333923A (ja) 電子写真式記録装置
JPH0527580A (ja) 電子写真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