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315B1 - 폐열가스 재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폐열가스 재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315B1
KR100338315B1 KR1019990051715A KR19990051715A KR100338315B1 KR 100338315 B1 KR100338315 B1 KR 100338315B1 KR 1019990051715 A KR1019990051715 A KR 1019990051715A KR 19990051715 A KR19990051715 A KR 19990051715A KR 100338315 B1 KR100338315 B1 KR 100338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pipe
port
processing chamber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0094A (ko
Inventor
최년묵
Original Assignee
최년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년묵 filed Critical 최년묵
Priority to KR1019990051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8315B1/ko
Publication of KR20000030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0094A/ko
Priority to TW089114805A priority patent/TW478962B/zh
Priority to CNB008156956A priority patent/CN1209574C/zh
Priority to EP00948366A priority patent/EP1230516A1/en
Priority to PCT/KR2000/000814 priority patent/WO2001053753A1/en
Priority to AU61852/00A priority patent/AU6185200A/en
Priority to JP2001553999A priority patent/JP2003520936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3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6Recuperation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6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06Layout of treatment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9/00Treatment devices
    • F23J2219/40Sorption with wet devices, e.g. scrub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2900/00Special arrangements for supplying or treating air or oxidant for combustion; Injecting inert gas, water or steam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L2900/15043Preheating combustion air by heat recovery means located in the chimney, e.g. for home hea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0Technologies for a more efficient combustion or heat us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열가스 재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폐열을 회수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지 않아 폐열의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또한 고온의 배기가스를 발생하는 가공챔버 내.외부의 온도차로 상기 가공챔버의 입.출구 측에서 응축현상이 발생됨으로써 응축수의 가공세정액 접촉에 따른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가공챔버의 예열에 따른 작업시간의 지연으로 작업의 불편성 및 비효율성 그리고 생산성 저하를 초래함은 세정액론 예열에 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송풍기a(14)의 작동에 의해서 입구(11)와 출구(12)를 갖는 가공챔버(1) 내의 배기가스가 통과되는 배기관(13) 상에 흡기구(21a)와 배기구(21b)를 갖는 1차열교환기(21)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21b)는 송풍기b(22)를 가지면서 가공챔버(1)로 통하는 급기관(23)에 연결된 1차폐열회수부(2)와; 상기 가공챔버(1)의 배기구(21b) 상에 흡수구(31a)와 배수구(31b)를 갖는 2차열교환기(31)가 형성되고, 상기 흡수구(31a) 상에는 펌프a(32)가 구비된 2차폐열회수부(3)와; 상기 1차열교환기(21)의 흡기구(21a) 상에 3차열교환기(41)가 형성되고, 상기 3차열교환기(41)의 흡입구(41a)와 배출구(41b)는 각각 2차열교환기(31)의 배수구(31b)에 연결되며, 이의 사이 및 3차열교환기(41)의 흡입구(41a) 상에는 밸브a(42) 및 밸브b(43)가 형성되고, 1차열교환기(21)의 배기구(21b) 상에는 온도감지센서(44)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a(42) 및 밸브b(43)와 온도감지센서(44)는 콘트롤러(45)에 회로적으로 연결된 온도제어부(4)와; 내부의 하부측에 세정액이 담겨지고 이의 상부측은 구획 분리된 청정기본체(50)의 일측에 가공챔버(1)의 배기관(13)과 연통되는 흡기관(5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송풍기c(55)를 갖는 배기관(52)이 형성되며, 하부측에는 드레인밸브(53)를 갖는 배수관a(54)가 형성된 습식청정부(5)로 구성됨으로써 폐열 활용에 따른 에너지 효율 증대 및 에너지 절감 효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가공챔버의 입.출구 측에서 발생하는 응축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됨으로써 기존의 응축수의 가공세정액 접촉에 따른 제품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에 의한 오염세정액질의 냉각 및 응축과 습식청정부에 의한 오염세정액질의 정화로 그 정화효율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배기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리고 회수된 폐열을 가공챔버 내의 예열로써 활용함에 따라 에너지 절감 효과는 세정액론 작업의 간편성 및 작업시간의 단축에 따른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폐열가스 재처리장치{EXHAUSTED HEATING GAS RE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폐열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열을 회수하여 이 회수된 폐열로 온수공급 및 난방과 같이 열을 필요로하는 각종 용도로 재활용하면서 가스에 포함된 오염세정액질의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폐열가스 재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종래의 폐열가스 처리공정의 일 례를 보인 회로도로서, 이는 전.후방측으로 관통되게 입구(101)와 출구(102)를 갖는 가공챔버(100)가 구비되고, 가공세정액이 상기 가공챔버(100)를 통과하면서 가열 및 가공된다. 그리고 상기 가공챔버(100)에는 송풍기(104)의 작동에 의해서 가공챔버(100) 내의 고온 배기가스를 흡입하는 배기관(11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기관(111a)은 배출가스 처리장치(110)에 연결되어 그 배기가스에 포함된 오염세정액질을 분리하여 배기가스를 수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가스 처리장치(110)는 사이클론 형태의 집진기본체(1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집진기본체(111) 내의 상부측에는 세정액을 분사시키는 세정액분사노즐(1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의 상부측에는 집진필터(1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정액분사노즐(115)은 세정액저장탱크(112)와 흡입관(113)으로 연결되고, 상기 흡입관(113)에는 펌프(113a)가 형성되어 상기 펌프(113a)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세정액저장탱크(112) 내의 세정액을 세정액분사노즐(115) 측으로 공급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기본체(111)의 상부측에는 가스배출관(114)이 연결되고, 상기 가스배출관(114)에는 송풍기(104)가 구비되어 상기 송풍기(104)의 작동에 의해서 집진기본체(111) 내의 가스를 가스배출관(114)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집진기본체(111)의 하부측에는 세정액저장탱크(112) 측으로 통하는 배수관(112b)이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폐열가스 처리장치는 먼저, 송풍기(104)의 작동에 의해서 가공챔버(100) 내의 고온 배기가스가 배기관(111a) 측으로 유입되고, 이 유입된 고온의 배기가스는 집진기본체(111) 내부로 송출된다. 이렇게 상기 집진기본체(111) 내부로 송출된 배기가스는 세정액분사노즐(115)에 의한 세정액분사로 가스에 포함된 오염세정액질을 가스와 분리 수거하게 되며, 이 분리된 가스는 집진필터(116)를 거쳐 가스배출관(114)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고, 오염세정액질은 집진기본체(111)의 하부측에 연결된 배수관(112b)을 통해 세정액저장탱크(112)로 보내져 저장된다. 그리고 이 저장된 폐수는 드레인밸브(112a)를 갖는 세정액저장탱크(112)의 배수관(112b)을 통해 탱크차(117)에 옮겨져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폐열가스 처리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온의 가공챔버(100) 내부와 저온의 외부공기와의 온도차이로 인해 상기 가공챔버(100)의 입구(101) 및 출구(102) 측에서 공기의 응축현상이 발생되고, 이로인해 발생된 응축수의 가공세정액 접촉에 따른 가공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열에 의한 가공챔버(100) 내의 가공세정액 생산을 위해서는 충분한예열이 요구되는데, 이 예열시간으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작업의 불편성 및 비효율성 그리고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예열을 위한 에너지 소비로 생산원가의 상승을 초래함은 세정액론 폐열의 재활용이 불가능함으로써 에너지 낭비로 인한 경제성 상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폐열을 재활용하면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오염세정액질의 정화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공챔버의 입구 및 출구에서 발생되는 응축현상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가공챔버 내의 예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송풍기a의 작동에 의해서 입구와 출구를 갖는 가공챔버 내의 배기가스가 통과되는 배기관 상에 흡기구와 배기구를 갖는 1차열교환기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는 송풍기b를 가지면서 가공챔버로 통하는 급기관에 연결된 1차폐열회수부와; 상기 가공챔버의 배기구 상에 흡수구와 배수구를 갖는 2차열교환기가 형성되고, 상기 흡수구 상에는 펌프a가 구비된 2차폐열회수부와; 상기 1차열교환기의 흡기구 상에 3차열교환기가 형성되고, 상기 3차열교환기의 흡입구와 배출구는 각각 2차열교환기의 배수구에 연결되며, 이의 사이 및 3차열교환기의 흡입구 상에는 밸브a 및 밸브b가 형성되고, 1차열교환기의 배기구 상에는 온도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a 및 밸브b와 온도감지센서는 콘트롤러에회로적으로 연결된 온도제어부와; 내부의 하부측에 세정액이 담겨지고 이의 상부측은 구획 분리된 청정기본체의 일측에 가공챔버의 배기관과 연통되는 흡기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송풍기c를 갖는 배기관이 형성되며, 하부측에는 드레인밸브를 갖는 배수관a가 형성된 습식청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폐열가스 재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청정기본체의 하부측에 펌프b를 갖는 메인급수관이 연결되고, 상기 메인급수관에 각각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 측으로 향하면서 밸브c 및 밸브d를 갖는 제1서브급수관 및 제2서브급수관이 연결되며, 상기 제1서브급수관 및 제2서브급수관의 단부측에는 제1분사노즐 및 제2분사노즐이 형성되고, 이의 하부측에는 각각 제1배출관 및 제2배출관을 갖는 제1집수탱크 및 제2집수탱크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배출관 및 제2배출관은 펌프c가 형성된 배수관b를 갖는 사이클론에 연결되고, 상기 사이클론의 배수관b 및 청정기본체의 배수관a는 저장탱크에 연결된 세정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가공챔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회로도.
도 4는 일반적인 폐열가스의 처리공정을 보인 회로도.
도 5는 종래의 폐열가스 처리공정에 의한 가공챔버의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가공챔버
11:입구 12:출구
13:배기관 14:송풍기a
2:1차폐열회수부
21:1차열교환기 21a:흡기구
21b:배기구 22:송풍기b
23:급기관
3:2차폐열회수부
31:2차열교환기 31a:흡수구
31b:배수구 32:펌프a
4:온도제어부
41:3차열교환기 41a:흡입구
41b:배출구 41b:배출구
42:밸브a 43:밸브b
44:온도감지센서 45:콘트롤러
5:습식청정부
50:청정기본체 51:흡기관
52:배기관 53:드레인밸브
54:배수관a 55:송풍기c
6:세정부
61:메인급수관 61a:펌프b
62:제1서브급수관 62a:밸브c
63:제2서브급수관 63a:밸브d
64:제1분사노즐 65:제2분사노즐
66:제1집수탱크 66a:제1배출관
67:제2집수탱크 67a:제2배출관
68:사이클론 68a:배수관b
68b:펌프c 69:저장탱크
69a:밸브e 69b:배수관c
70:탱크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입구(11)와 출구(12)를 갖는 가공챔버(1)가 구비되고, 상기 가공챔버(1)의 상부측에는 가공챔버(1)의 입구(11) 및 출구(12) 그리고 내부와 통하는 배기관(13)이 형성되는 것으로, 가공세정액은 상기 가공챔버(1)를 통과하면서 가열및 가공된다.
또한 상기 가공챔버(1)의 배기관(13) 상에는 상기 배기관(13)을 통해 배기되는 고온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폐열을 회수하기 위한 수단으로 1차폐열회수부(2)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1차폐열회수부(2)는 송풍기a(14)를 갖는 배기관(13) 상에 흡기구(21a)와 배기구(21b)를 갖는 1차열교환기(21)가 형성되고, 상기 1차열교환기(21)의 배기구(21b) 상에는 송풍기b(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1차열교환기(21)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가공챔버(1) 내부와 입구(11) 및 출구(12) 측으로 재공급하기 위해 상기 가공챔버(1)의 상부측에 급기관(23)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관(23)과 1차열교환기(21)의 배기구(21b)는 상호 연이어 통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1차폐열회수부(2)와 함께 가공챔버(1)의 배기관(13) 상에는 2차폐열회수부(3)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2차폐열회수부(3)는 상기 1차폐열회수부(2)와 마찬가지로 배기관(13) 상에 흡수구(31a)와 배수구(31b)를 갖는 2차열교환기(31)가 형성되고, 상기 2차열교환기(31)의 흡수구(31a) 측에는 펌프a(32)가 형성된다.
이와함께 상기 1차열교환기(21)를 통해 열교환되어 급기관(23)을 통해 가공챔버(1)로 재공급되는 공조공기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1차열교환기(21) 및 2차열교환기(31) 사이에 온도제어부(4)가 구비된다. 상기 온도제어부(4)는 1차열교환기(21)의 흡기구(21a) 상에 흡입구(41a)와 배출구(41b)를 갖는 3차열교환기(41)가 형성되고, 상기 3차열교환기(41)의 흡입구(41a) 및 배출구(41b)는 각각 2차열교환기(31)의 배수구(31b) 상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3차열교환기(41)의 흡입구(41a) 및 배출구(41b) 사이의 2차열교환기(31)의 배수구(31b)에는 개폐동작을 위해 밸브a(42)가 형성되고, 이와 마찬가지로 3차열교환기(41)의 흡입구(41a) 상에도 개폐동작을 위해 밸브b(43)가 형성된다. 또, 상기 1차열교환기(21)의 배기구(21b) 상에는 열교환되어 급기관(23)을 통해 가공챔버(1)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온도감지센서(44)가 구비되고, 이 온도감지센서(44)는 상기 밸브a(42) 및 밸브b(43)와 함께 콘트롤러(45)에 각각 회로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가공챔버(1)의 배기관(13)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각종 오염세정액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배기관(13)의 단부측에 습식청정부(5)가 구비되는데, 이때 상기 습식청정부(5)는 속이 빈 통체로 청정기본체(50)가 형성되고, 상기 청정기본체(50)의 일측에는 배기가스가 흡입되는 흡입관(113)이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흡입되어 정화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관(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기관(13)에는 송풍기c(55)가 형성되고, 분리 구획된 청정기본체(50)의 내부 하부측에는 세정액이 담겨지며, 상기 청정기본체(50)의 하부측에는 배수를 위해 드레인밸브(53)를 갖는 배수관a(54)이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가공챔버(1) 내에서 발생된 고온의 배기가스는 배기관(13)에 형성된 송풍기a(14)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배기관(13)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이 흡입된 고온의 배기가스는 배기관(13)을 통과하는 동안 1차폐열회수부(2) 및 2차폐열회수부(3)에 의해서 열을 빼앗기게 되는데, 이때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냉각과 동시에 응축되어 1차로 배기가스에 포함된 오염세정액질이 제거된다.
또한 상기 1차폐열회수부(2) 및 2차폐열회수부(3)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다시 습식청정부(5)에 의한 습식세정에 의해서 잔류 오염세정액질이 완전히 제거된 후 청정기본체(50)의 배기관(13)을 통해 오염세정액질이 포함되지 않은 순수 기체만 외부로 방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1차폐열회수부(2)는 송풍기b(22)의 작동에 의한 송풍력으로 1차열교환기(21)의 흡기구(21a)를 통해 실온의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이 유입공기는 상기 1차열교환기(21)를 통과하는 동안 배기관(13)의 고온 배기가스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배기구(21b)를 통해 나오고, 이 열교환된 공기, 즉 공조공기는 다시 급기관(23)을 통해 가공챔버(1)의 내부와 입구(11) 및 출구(12) 측으로 재공급됨으로써 가공챔버(1)를 예열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존에 가공챔버(1)의 입구(11) 및 출구(12)에서 발생되는 응축현상, 즉 가공챔버(1) 내부의 고온공기와 저온의 외부공기의 온도차로 인해 상기 가공챔버(1)의 입구(11) 및 출구(12)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응축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회로도로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상기 1차폐열회수부(2)의 1차열교환기(21) 및 2차폐열회수부(3)의 2차열교환기(31)를 세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세정부(6)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세정부(6)는 청정기본체(50)에 펌프b(61a)를 갖는 메인급수관(61)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급수관(61)에는 다시 상기 1차열교환기(21) 및 2차열교환기(31) 측으로 항하는 제1서브급수관(62) 및 제2서브급수관(63)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서브급수관(62) 및 제2서브급수관(63)에는 개폐동작을 위해 밸브c(62a) 및 밸브d(63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서브급수관(62) 및 제2서브급수관(63)의 단부측에는 상기 메인급수관(61)과 제1서브급수관(62) 및 제2서브급수관(63)을 통해 급수된 세정액을 1차열교환기(21) 및 2차열교환기(31) 측으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제1분사노즐(64) 및 제2분사노즐(65)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분사노즐(64) 및 제2분사노즐(65)의 하부측에는 분사된 세정액을 집수할 수 있도록 제1집수탱크(66) 및 제2집수탱크(67)가 구비되고, 상기 제1집수탱크(66) 및 제2집수탱크(67)에는 각각 제1배출관(66a) 및 제2배출관(67a)이 형성되며, 상기 제1배출관(66a) 및 제2배출관(67a)통해 배수되는 세정액에 포함된 각종 이세정액질을 분리 수거하기 위해 사이클론(6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사이클론(68)은 펌프c(68b)를 갖는 배수관b(68a)에 의해서 저장탱크(69)와 연결되고, 상기 저장탱크(69)에는 상기 사이클론(68)의 배수관b(68a)와 함께 청정기본체(50)의 배수관a(54)도 함께 연결되며, 저장탱크(69)의 하부측에는 밸브e(69a)를 갖는 배수관c(69b)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c(69b)를 통해서 탱크차(70)로 폐수를 분리 수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제1서브급수관(62) 및 제2서브급수관(63)의 밸브c(62a) 및 밸브d(63a)가 개방된 상태에서 펌프b(61a)의 작동으로 습식세정부(6)의 청정기본체(50) 내의 세정액이 메인급수관(61)을 통해 공급되고, 이 공급된 세정액은 다시 제1서브급수관(62) 및 제2서브급수관(63)으로 공급되어 상기 제1서브급수관(62) 및 제2서브급수관(63)의 단부측에 형성된 제1분사노즐(64) 및 제2분사노즐(65)을 통해 분사됨으로써 1차열교환기(21) 및 제2열교환기(31)를 세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분사된 세정액은 다시 상기 제1분사노즐(64) 및 제2분사노즐(65)의 하부측에 구비된 제1집수탱크(66) 및 제2집수탱크(67) 측으로 집수되고, 이 집수된 세정액은 다시 상기 제1집수탱크(66) 및 제2집수탱크(67)에 연결된 제1배출관(66a) 및 제2배출관(67a)을 통해 사이클론(68)으로 송출되며, 상기 사이클론(68)에서 기타 이세정액질이 분리된다. 그리고 사이클론(68)의 배수관b(68a)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액은 저장탱크(69)에 다시 집수 및 저장되고, 이 저장된 세정액은 상기 저장탱크(69)의 하부측에 형성된 배수관c(69b)를 통해 탱크차(70)로 급수되어 처리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폐열을 회수하여 가공 공정시 가공챔버 내의 예열로써 활용하거나 기타 온수공급 및 난방 등에 필요한 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효율 및 에너지 절감 효과를 한층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챔버 내부 및 외부공기와의 온도차로 인한 응축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기존의 응축수의 가공세정액 접촉에 따른 제품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온의 배기가스가 1차열교환기 및 2차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동안 열교환에 따른 냉각 및 응축으로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오염세정액질을 1차로 제거한후, 다시 습식청정부에서 오염세정액질을 완전히 제거하여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오염세정액질의 정화효율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기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같이 회수된 폐열을 가공챔버 내의 예열로써 활용함에 따라 에너지 절감 효과는 세정액론 작업의 간편성 및 작업시간의 단축에 따른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송풍기a(14)의 작동에 의해서 입구(11)와 출구(12)를 갖는 가공챔버(1) 내의 배기가스가 통과되는 배기관(13) 상에 흡기구(21a)와 배기구(21b)를 갖는 1차열교환기(21)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21b)는 송풍기b(22)를 가지면서 가공챔버(1)로 통하는 급기관(23)에 연결된 1차폐열회수부(2)와;
    상기 가공챔버(1)의 배기구(21b) 상에 흡수구(31a)와 배수구(31b)를 갖는 2차열교환기(31)가 형성되고, 상기 흡수구(31a) 상에는 펌프a(32)가 구비된 2차폐열회수부(3)와;
    상기 1차열교환기(21)의 흡기구(21a) 상에 3차열교환기(41)가 형성되고, 상기 3차열교환기(41)의 흡입구(41a)와 배출구(41b)는 각각 2차열교환기(31)의 배수구(31b)에 연결되며, 이의 사이 및 3차열교환기(41)의 흡입구(41a) 상에는 밸브a(42) 및 밸브b(43)가 형성되고, 1차열교환기(21)의 배기구(21b) 상에는 온도감지센서(44)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a(42) 및 밸브b(43)와 온도감지센서(44)는 콘트롤러(45)에 회로적으로 연결된 온도제어부(4)와;
    내부의 하부측에 세정액이 담겨지고 이의 상부측은 구획 분리된 청정기본체(50)의 일측에 가공챔버(1)의 배기관(13)과 연통되는 흡기관(5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송풍기c(55)를 갖는 배기관(13)이 형성되며, 하부측에는 드레인밸브(53)를 갖는 배수관a(54)가 형성된 습식청정부(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폐열가스 재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기본체(50)의 하부측에 펌프b(61a)를 갖는 메인급수관(61)이 연결되고, 상기 메인급수관(61)에 각각 1차열교환기(21) 및 제2열교환기(31) 측으로 향하면서 밸브c(62a) 및 밸브d(63a)를 갖는 제1서브급수관(62) 및 제2서브급수관(63)이 연결되며, 상기 제1서브급수관(62) 및 제2서브급수관(63)의 단부측에는 제1분사노즐(64) 및 제2분사노즐(65)이 형성되고, 이의 하부측에는 각각 제1배출관(66a) 및 제2배출관(67a)을 갖는 제1집수탱크(66) 및 제2집수탱크(67)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배출관(66a) 및 제2배출관(67a)은 펌프c(68b)가 형성된 배수관b(68a)를 갖는 사이클론(68)에 연결되고, 상기 사이클론(68)의 배수관b(68a) 및 청정기본체(50)의 배수관a(54)는 저장탱크(69)에 연결된 세정부(6)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폐열가스 재처리장치.
KR1019990051715A 1999-11-20 1999-11-20 폐열가스 재처리장치 KR100338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715A KR100338315B1 (ko) 1999-11-20 1999-11-20 폐열가스 재처리장치
TW089114805A TW478962B (en) 1999-11-20 2000-07-25 Apparatus for treating exhausted heating gas
CNB008156956A CN1209574C (zh) 1999-11-20 2000-07-27 废弃热气处理设备
EP00948366A EP1230516A1 (en) 1999-11-20 2000-07-27 Apparatus for treating exhausted heating gas
PCT/KR2000/000814 WO2001053753A1 (en) 1999-11-20 2000-07-27 Apparatus for treating exhausted heating gas
AU61852/00A AU6185200A (en) 1999-11-20 2000-07-27 Apparatus for treating exhausted heating gas
JP2001553999A JP2003520936A (ja) 1999-11-20 2000-07-27 廃熱ガス再処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715A KR100338315B1 (ko) 1999-11-20 1999-11-20 폐열가스 재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094A KR20000030094A (ko) 2000-06-05
KR100338315B1 true KR100338315B1 (ko) 2002-05-27

Family

ID=19621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715A KR100338315B1 (ko) 1999-11-20 1999-11-20 폐열가스 재처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230516A1 (ko)
JP (1) JP2003520936A (ko)
KR (1) KR100338315B1 (ko)
CN (1) CN1209574C (ko)
AU (1) AU6185200A (ko)
TW (1) TW478962B (ko)
WO (1) WO20010537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709B1 (ko) 2009-05-26 2011-12-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폐열회수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폐열회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028B1 (ko) * 2005-08-09 2007-02-08 오석인 축열식 소각로에 적용되는 폐열회수장치
JP2009270726A (ja) * 2008-04-30 2009-11-19 Mitsubishi Electric Corp 空調機
CN102444969B (zh) * 2010-10-08 2015-07-29 时代嘉华(中国)科技有限公司 一种个性化送风末端装置
CN102929164B (zh) * 2012-10-26 2014-11-12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一种废气收集的控制方法、装置和系统
CN106647864A (zh) * 2017-01-16 2017-05-10 苏州市光生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定型机废气处理设备能耗自动调节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1513A (en) * 1979-10-25 1981-05-27 Takuma Co Ltd Energy saving type refuse melting furnace
JPS56124822A (en) * 1980-03-04 1981-09-30 Ebara Corp Treating method and device for city garbage and sewage
JPS56127109A (en) * 1980-03-11 1981-10-05 Ebara Corp Combin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solid waste and sewage
JPS6332210A (ja) * 1986-07-25 1988-02-10 Fuji Denki Sousetsu Kk 廃棄物燃焼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709B1 (ko) 2009-05-26 2011-12-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폐열회수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폐열회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094A (ko) 2000-06-05
CN1209574C (zh) 2005-07-06
JP2003520936A (ja) 2003-07-08
EP1230516A1 (en) 2002-08-14
AU6185200A (en) 2001-07-31
TW478962B (en) 2002-03-11
CN1390292A (zh) 2003-01-08
WO2001053753A1 (en) 200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4486A (en) Submerged-type gas cleaning system
KR100338315B1 (ko) 폐열가스 재처리장치
CN109011971A (zh) 一种污泥干化尾气处理设备及方法
CN205463341U (zh) 一种新型全自动铝合金轮毂清洗风干机
CN205784494U (zh) 一种干燥机废气中废热回收系统
KR101580679B1 (ko) 슬러지 건조기용 폐열 회수장치
CN108613585A (zh) 一种涤纶布印染用定型机的废气利用装置
CN212523087U (zh) 一种工业空气处理装置
CN104014213A (zh) 一种定形机废气净化及热回收装置
CN209147679U (zh) 一种含水工件加热除湿干燥节能装置
CN209162459U (zh) 一种多洗涤剂干洗机
CN203899378U (zh) 一种定形机废气净化及热回收装置
JP2008296072A (ja) 金属缶の洗浄乾燥装置および方法
CN219836271U (zh) 一种湿式粉尘净化器
CN214130850U (zh) 可自清洗的喷淋塔
CN220758552U (zh) 一种烟气消白冷凝器
CN203508559U (zh) 应用于清洗机的风冷除水装置
KR100420078B1 (ko) 열처리 챔버
CN212856932U (zh) 一种脱墨机
CN213363289U (zh) 一种定型机余热回收装置
CN220531135U (zh) 一种适用于湿污泥间接热干化的废气处理装置
CN217628964U (zh) 一种定型机的余热回收装置
CN213950944U (zh) 一种污泥干燥系统
CN116999986B (zh) 一种防堵式生物质燃料加工降尘设备
CN214809526U (zh) 一种膜式磺化尾气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50219

Effective date: 2006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