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833B1 - 발향되는 인형 - Google Patents

발향되는 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833B1
KR100337833B1 KR1020000066753A KR20000066753A KR100337833B1 KR 100337833 B1 KR100337833 B1 KR 100337833B1 KR 1020000066753 A KR1020000066753 A KR 1020000066753A KR 20000066753 A KR20000066753 A KR 20000066753A KR 100337833 B1 KR100337833 B1 KR 100337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l
incense
fragrance
generato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6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6133A (ko
Inventor
최중호
Original Assignee
최중호
주식회사 이원이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중호, 주식회사 이원이디에스 filed Critical 최중호
Priority to KR1020000066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833B1/ko
Publication of KR20010016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y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내부에 향발생수단을 내장하여 외부로 향이 발생되어 나오도록 함으로써 장식구로서의 기능과 더불어 방향제로서의 기능을 겸비하여 실내를 보다 안락하고 상쾌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 발향되는 인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발향되는 인형은 사용용도에 따라 발향부직포가 내장된 인형을 사용하여 항상 은은한 실내향을 맡을 수 있으며, 수동펌프식 향발생기를 내장한 인형을 눌러서 필요시 강한 향을 풍겨 실내의 악취를 일거에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팬구동식은 조작스위치만 누르면 모터가 구동되어 향을 발생시켜 주므로 보다 사용이 편리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인형에서 향이 발생되므로 용도에 따라 적합한 방식의 인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 및 선택의 폭이 넓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은 인형에서 향이 발산되어 쾌적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건강에도 일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부나 일을 하는 사용자의 작업능률 또한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발향되는 인형{A smelling toy}
본 발명은 향을 발생하는 인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에 향발생수단을 내장하여 외부로 향이 발생되어 나오도록 함으로써 장식구로서의 기능과 더불어 방향제로서의 기능을 겸비하여 실내를 보다 안락하고 상쾌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 발향되는 인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형은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장식구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인형들은 단순히 장식구로 사용되는 매우 단순한 기능외에는 별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다.
보편적으로 실내의 분위기를 전환하고 실내의 쾌쾌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방향제를 분사하고 있다. 이러한 방향제분사기는 통상 수동 또는 자동으로 분사되는 데, 그 외형이 모두 원형이나 사각의 통체로 제작되어 단순히 방향제를 분사시키는 기능의 딱딱한 장치로 밖에는 사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내부에 향발생수단을 내장하여 외부로 향이 발생되어 나오도록 함으로써 장식구로서의 기능과 더불어 방향제로서의 기능을 겸비하여 실내를 보다 안락하고 상쾌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 발향되는 인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향되는 인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외관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향부직포의 상세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형에 내장되어 향을 발생하는 수동펌프식 향발생기의 구성도들,
도 4a, 도 4b 및 도 5a, 5b는 본 발명에 따른 발향되는 인형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도면들,
도 6은 도 4a 내지 도 5b에 도시된 향발생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인형 200 : 발향부직포
210 : 향입자 300 : 향발생기
310 : 향통 320 : 챔버
322 : 향토출부 330 : 누름통
400 : 향발생기 410 : 케이스
412 : 공기통로 420 : 모터
422 : 팬 430 : 향통
432 : 심지 500 : 전선
600 : 조작스위치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향되는 인형은 인형에 있어서, 상기 인형내부에 발향부직포를 구비하고 외부로 향을 발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향되는 인형은 인형에 있어서, 상기 인형내부에 삽입고정되며, 사용자의 누름작동에 따라 압축되면서 공기압을 형성하는 누름통과 상기 누름통과 연결되는 한편 내부에 향입자들을 충전하고 상기 누름통에 의해 형성된 공기흐름에 의해 향들을 유동시켜 외부로 발향시키는 향통을 구비한 수동펌프식 향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향되는 인형은 인형에 있어서, 상기 인형내부에 내장된 향발생기; 및 상기 향발생기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향발생기를 구동하여 향을 발생시키는 조작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향발생기는 상기 조작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팬과, 상기 팬의 구동에 의한 공기흐름에 의해 내부에 충전된 향을 외부로 유동시켜 발향시키는 향통, 및 상기 향통과 팬 및 모터를 수납하고 상기 팬으로 형성된 공기흐름을 상기 향통을 경유하여 외부로 토출되게 향을 유도하는 공기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케이스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향되는 인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외관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향부직포의 상세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인형(100)의 내부에는 발향부직포(200)가 채워져 있다. 그리고, 인형(100)의 표면에는 그 내부의 발향부직포(200)로부터 향이 풍겨나올 수 있도록 연락공(미도시)들이 내부와 연결되어 있다. 이 연락공들은 발향공으로 미세하게 인형전체에 걸쳐 골고루 분포시킬 수도 있고, 다르게는 인형(100)의 원하는 부위에 좀 큰 구멍의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발향공을 통하여 인형표면으로 부직포(200)의 향이 발현되어 나오게 된다. 물론, 발향부직포(200)는 그 내부에 향이 함침된 플라스틱이 내장되어 있다. 이 향이 함침된 플라스틱은 작은 향입자(향알갱이)(210)로, 그 재질은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Ethyl Vinyl Acetate)이다.
이상과 같이 발향부직포(200)를 인형(100)내에 충전하여 향이 인형(100)을 통해 베어나오게 하는 방식은 향이 오래가고 은은한 향을 항시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아도 맡을 수 있는 반면, 좀더 강력한 향을 원할 때에는 다소 부족한 점이 있다. 그래서,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필요시 손으로 인형을 누르면 좀더 많은 향이 분사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형에 내장되어 향을 발생하는 수동펌프식 향발생기의 구성도들로, 도 3a는 정면도를 그리고 도 3b는 그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인형(미도시)내에 삽입되는 수동펌프식 향발생기(3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향통(310)이 내부에 고정된 챔버(320)와, 이 챔버(320)와 결합되어 사용자가 누르면 압축되면서 내부의 공기를 향통(310)을 경유하여 외부로 유동시킴으로써 외부로 향을 배출시켜 발향하는 누름통(3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이 누름통(330)은 압축 및 팽창이 부드러운 고무재질로 누름작동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특히, 전술한 향통(310)에는 향알갱이들이 충만되어 있고, 챔버(320)의 일측방향으로는 내부의 향이 외부로 토출되는 향토출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챔버(320)내부의 향통(310)에서 토출된 향은 이 향토출부(322)를 통해 외부로 발향되게 된다. 좀더 상세히 부연설명하면, 사용자가 누름통(330)을 누르면 누름통(330)은 압축되면서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유동된 공기는 향통(310)을 지나면서 향을 싣고 향토출부(322)를 통해 배출되어 외부로 발향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조를 갖는 향발생기(300)는 인형내에 내장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누름통(330)은 직접적으로 사용자의 손에 접촉되어 눌러지는 것이 아니라, 인형의 해당부위를 누르는 것으로 누름통(330)이 눌려져 위와 같은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누름통(330)의 위치나 향토출부(322)의 위치는 어느 부위도 좋으나, 예를 들어 배나 머리에 위치시키고, 향토출부(322)를 코부위에 위치시켜 배나 머리를 누르면 코로 향이 발생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수동펌프식 향발생기(300)는 수동으로 눌러야 하므로 약간의 불편함이 따른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스위치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향이 분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가 도 4a 내지 도 6에 개시되어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5a, 5b는 본 발명에 따른 발향되는 인형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6은 도 4a 내지 도 5b에 도시된 향발생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a 내지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형(100)내부에 모터구동식의 향발생기(400)를 내장하고, 그와 전선(500)으로 연결된 조작스위치(600)를 인형의 외부로 노출시켜 조작스위치(600)를 누르면 향발생기(400)가 작동하여 인형에서 향을 발생시키게 한다. 이때, 조작스위치(600)는 인형(100)의 외부로 노출되든지 아니면 내장해도 무방하며, 사용자가 스위치를 알고 조작가능하면 된다. 이 조작스위치(600)는 인형(100)의 손부위에 위치시키고, 향발생기(400)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이 머리부분에 내장시켜 조작스위치(600)를 누르면 코를 통해 향을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또 한편으로,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향발생기(400)를 인형(100)의 배부분에 내장시켜 배부분에서 향이 발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향발생기(40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케이스(410)의 내부에 모터(420)에 의해 구동되는 팬(422)이 설치되어 있고, 그로부터 이격하여 향통(430)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팬(422)의 구동에 의해 생성된 공기흐름을 향통(410)을 지나서 외부로 유도하기 위하여 케이스(410)의 내부에는 공기통로(4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통로(412)로 공기가 급속이 유동하면 향통(430)에 있는 향은 증발(기화)하면서 공기의 흐름에 의해 공기통로(412)를 따라 유동하여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이 향통(430)에는 향의 급속한 증발을 방지하고 안정된 향의 공급을 위하여 심지(432)가 마련되어 있다. 물론, 이 심지(432)는 향통(430)에서 공기통로(412)상으로 약간 돌출하고 있다. 이 향통(430)은 하나의 향통으로 구성되거나, 두개이상의 서로 다른 향을 담은 향통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향되는 인형은 내부에 향발생수단을 내장하여 외부로 향이 발생되어 나오도록 함으로써 장식구로서의 기능과 더불어 방향제로서의 기능을 겸비하여 실내를 보다 안락하고 상쾌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부여한다. 특히, 사용용도에 따라 발향부직포가 내장된 인형을 사용하여 항상 은은한 실내향을 맡을 수 있으며, 수동펌프식 향발생기를 내장한 인형을 눌러서 필요시 강한 향을 풍겨 실내의 악취를 일거에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팬구동식은 조작스위치만 누르면 모터가 구동되어 향을 발생시켜 주므로 보다 사용이 편리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인형에서 향이 발생되므로 용도에 따라 적합한 방식의 인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 및 선택의 폭이 넓은 잇점을 가지고 있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은 인형에서 향이 발산되어 쾌적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건강에도 일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부나 일을 하는 사용자의 작업능률 또한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5)

  1. 인형에 있어서,
    상기 인형내부에 내장된 향발생기; 및
    상기 향발생기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향발생기를 구동하여 향을 발생시키는 조작스위치를 포함하는 발향되는 인형.
  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향발생기는 상기 조작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팬과, 상기 팬의 구동에 의한 공기흐름에 의해 내부에 충전된 향을 외부로 유동시켜 발향시키는 향통, 및 상기 향통과 팬 및 모터를 수납하고 상기 팬으로 형성된 공기흐름을 상기 향통을 경유하여 외부로 토출되게 향을 유도하는 공기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되는 인형.
  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향통은 향액에 함침되어 그 상단부가 상기 공기통로로 일정부분 돌출한 심지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향액을 담는 공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되는 인형.
  4.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스위치는 인형의 손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향발생기는 머리부분에 내장시켜 코를 통해 향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되는 인형.
  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스위치는 인형의 손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향발생기는 배부분에 내장시켜 배를 통해 향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되는 인형.
KR1020000066753A 2000-11-10 2000-11-10 발향되는 인형 KR100337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753A KR100337833B1 (ko) 2000-11-10 2000-11-10 발향되는 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753A KR100337833B1 (ko) 2000-11-10 2000-11-10 발향되는 인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133A KR20010016133A (ko) 2001-03-05
KR100337833B1 true KR100337833B1 (ko) 2002-05-24

Family

ID=19698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753A KR100337833B1 (ko) 2000-11-10 2000-11-10 발향되는 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8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8597A1 (pt) * 2021-02-26 2022-09-01 Noar Brasil Indústria E Comércio De Fragrâncias Digitais Ltda Aparelho para liberação de fragrância em adorn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818A (ko) * 2001-12-20 2002-03-29 이재식 완구 부자재의 캡슐향 후로킹 코와 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2220A (ja) * 1995-10-31 1997-05-13 Pilot Ink Co Ltd 香気発散方法及び香気発散熱変色性玩具
KR19990034713U (ko) * 1999-03-04 1999-09-06 이형돈 방향제가분사되는캐릭터인형
KR19990034701U (ko) * 1999-02-13 1999-09-06 허일영 방향제장식완구
JP2000202170A (ja) * 2000-03-17 2000-07-25 Sanhaateinesu Kosan:Kk ぬいぐるみ及び小物入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2220A (ja) * 1995-10-31 1997-05-13 Pilot Ink Co Ltd 香気発散方法及び香気発散熱変色性玩具
KR19990034701U (ko) * 1999-02-13 1999-09-06 허일영 방향제장식완구
KR19990034713U (ko) * 1999-03-04 1999-09-06 이형돈 방향제가분사되는캐릭터인형
JP2000202170A (ja) * 2000-03-17 2000-07-25 Sanhaateinesu Kosan:Kk ぬいぐるみ及び小物入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8597A1 (pt) * 2021-02-26 2022-09-01 Noar Brasil Indústria E Comércio De Fragrâncias Digitais Ltda Aparelho para liberação de fragrância em adorn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133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6059A (en) Aroma-generating lamp structure
US7793861B2 (en) Piston actuated vapor-dispersing device
AU2003291510B2 (en) Dispensing of multiple volatile substances
JP5411707B2 (ja) 拡散装置
JP3527581B2 (ja) 芳香噴出装置
US201001873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Scent Delivery
US8293172B2 (en) Method of dispensing a volatile material
JP2005296540A5 (ko)
KR100337833B1 (ko) 발향되는 인형
US20020148911A1 (en) Portable fragrant air delivery/diffuser system for spas/hot tubs and other self powered air producing devices
CN209809111U (zh) 一种结构改进型超声波香薰雾化器
KR100812356B1 (ko) 방향제 휘산장치
JP2004321497A (ja) 自走式香料発散具
KR100284158B1 (ko) 방향제 자동 분무장치
KR20200103588A (ko) 지속형 방향부를 갖는 온디맨드 스프레이형 방향 디퓨져
GB2322554A (en) Aroma emitting apparatus
JP4093339B2 (ja) 切り換え可能に芳香剤等を収容した容器
JP6906216B2 (ja) 溶剤噴霧ボックス
KR200324148Y1 (ko) 다양한 기능을 갖춘 향기조화장치
JPH04156855A (ja) 芳香発生器
KR200419105Y1 (ko) 탈취장치
CN211686747U (zh) 一种喷香垃圾桶
KR200271211Y1 (ko) 스프레이 향 분사기의 향 발산장치
JPH0456214B2 (ko)
KR20100000903U (ko) 방향제 토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