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903U - 방향제 토출장치 - Google Patents

방향제 토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903U
KR20100000903U KR2020080009565U KR20080009565U KR20100000903U KR 20100000903 U KR20100000903 U KR 20100000903U KR 2020080009565 U KR2020080009565 U KR 2020080009565U KR 20080009565 U KR20080009565 U KR 20080009565U KR 20100000903 U KR20100000903 U KR 201000009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ragrance
microprocessor
battery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도근
Original Assignee
안도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도근 filed Critical 안도근
Priority to KR2020080009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0903U/ko
Publication of KR201000009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90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향제 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방향제의 토출을 효율적으로 하는 방향제 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방향제 토출장치는,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고, 벽면에 다수의 토출공을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설치된 송풍팬; 상기 하우징 내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과 마주보는 단부는 개방되며, 내부에 고체상태의 방향제가 충전된 방향제 용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빛 감지센서;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에 설치되고, 건전지가 수용되는 건전지 소켓; 및 상기 송풍팬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빛 감지센서 및 건전지 소켓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방향제, 토출, 송풍팬, 소켓, 빛, 감지

Description

방향제 토출장치{AROMATIC DISPENSER}
본 고안은 방향제 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방향제의 토출을 효율적으로 하는 방향제 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제는 가정이나 사무실 및 화장실과 같이 악취가 나는 공공장소 등에 설치하여 냄새를 제거하고 은은한 향기를 발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최근에는 일정주기마다 방향제를 자동으로 분사시켜주는 자동분사장치가 보편화되는 추세이며, 이러한 자동분사장치는 통상 스프레이식이나 팬방식 등이 있다.
상기 스프레이방식은 캔용기에 압축가스와 방향제를 충전시켜 작동수단에 의해 캔용기의 상부로 돌출된 노즐을 일정주기로 눌러서 캔용기의 방향제가 압력에 의해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스프레이식은 분사장치가 설치된 주변만 방향제를 분사하게 되므로, 향취가 고루게 퍼지지않아 분사장치 주변은 향취가 과도하여 오히려 거부감이 느껴지고 멀어짐에 따라 향취를 제대로 발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캔용기를 일회용으로 사용하게 되므로 유지보수비가 많이들고 노즐을 눌러주 는 작동수단에서 소음이 발생하여 사용을 꺼려하는 실정이다.
그리고, 상기 팬방식은 방향제를 겔상태로 성형하여 일측벽에 통공이 형성된 용기에 저장한 후, 겔상태의 방향제 표면으로 향취가 배어나오도록 하여 팬에 의해 용기의 통공을 통해 송풍하거나, 송풍팬 전방에 향성분이 함침된 필터형태의 향막을 설치하여 이 향막의 향취를 송풍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겔방식은 겔상태로 만들 수 있는 향 종류가 제한되어 있으며, 향원액에 화공약품을 혼합하여 응축 및 응고시켜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자연향을 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겔상태의 방향제는 향취가 겔의 표면으로 배어나와야만 이를 팬에 의해 송풍할 수 있는 것이므로, 향취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겔상태의 방향제는 팬이 구동되지않는 동안에도 통공을 통해 향취가 자연발화되므로 향취 콘트롤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향막 방식은 향막으로부터 향취가 급격히 자연발화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향취가 급격히 저하되어 향막을 수시로 교체하여야 하므로, 유지보수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향제 자동분사장치는 고전력이 요구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 설치장소에 제한이 뒤따르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향제 자동분사장치는 그 시간 조절이 어려워 방향제가 쉽게 소모됨에 따라 그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실내 공간으로 균일하게 발향되도록 함과 더불어 향취가 자연발향됨을 방지함으로써 시간 대비 방향제의 소모량을 대폭 절감하여 그 유지비용이 저렴한 방향제 토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저전력의 내부전원을 사용함에 따라 그 설치위치의 제한이 없고, 또한 외부 빛을 감지하여 밤에는 그 작동을 중지함으로써 방향제의 발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향제 토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방향제 토출장치는,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고, 벽면에 다수의 토출공을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설치된 송풍팬;
상기 하우징 내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과 마주보는 단부는 개방되며, 내부에 고체상태의 방향제가 충전된 방향제 용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빛 감지센서;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에 설치되고, 건전지가 수용되는 건전지 소켓; 및
상기 송풍팬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빛 감지센서 및 건전지 소켓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작동스위치,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타이머,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점멸LED를 포함한다.
상기 점멸LED는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노출되게 설치됨으로써 그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부측에 배치된 제1하우징, 제1하우징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하우징, 제2하우징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제3하우징을 가진다.
상기 제3하우징은 상기 제2하우징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3하우징은 그 내부 평면 상에 복수의 끼움단턱을 가진다.
그리고, 제3하우징의 저면에는 양면테이프가 구비되고, 이에 하우징은 양면테이프를 통해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실내 공간으로 균일하게 발향되도록 함과 더불어 향취가 자연발향됨을 방지함으로써 시간 대비 방향제의 소모량을 대폭 절감하여 그 유지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건전지 등과 같은 저전력의 내부전원을 사용함에 따라 그 설치위치의 제한이 없고, 또한 외부 빛을 감지하여 밤에는 그 작동을 중지함으로써 방향제의 발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토출장치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방향제 토출장치는 하우징(10)을 포함하고, 하우징(10)은 내부에 중공부(14)를 가지며, 하우징(10)의 일측 벽면에는 복수의 토출공(16)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은 제1, 제2, 제3하우징(11, 12, 13)들이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하우징(11)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측에 배치되고, 제2하우징(12)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제1하우징(11)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에 제1 및 제2 하우징(11, 12)이 분리가능하게 조립됨으로써 구형의 외관을 형성한다.
제3하우징(13)은 제2하우징(12)의 저면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고, 제3하우징(13)은 그 내부 평면 상에 복수의 끼움단턱(13a, 13b, 13c)을 가진다.
그리고, 제3하우징(13)의 저면에는 양면테이프(13d)가 구비되고, 하우징(10)은 양면테이프(13d)를 통해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일측 표면에는 빛 감지센서(51)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빛 감지센서(51)는 제어부(40)의 마이크로프로세서(42)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빛 감지센서(51)에 의해 외부의 빛을 감지하여 야간에는 발향작동을 중지할 수도 있다.
하우징(10)의 중공부(14)에는 송풍팬(20) 및 이 송풍팬(20)에 대향배치되는 방향제 용기(30)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20)은 제1하우징(11)의 상부 내측에 설치될 수 있고, 송풍팬(20)은 구동모터(21)에 의해 회전구동한다.
그리고, 방향제 용기(30)는 제3하우징(13)의 내부 평탄면에 설치될 수 있고, 특히 방향제 용기(30)는 그 하단이 제3하우징(13)의 끼움단턱(13a, 13b, 13c)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끼움단턱(13a, 13b, 13c)은 방향제 용기(30)의 다양한 규격에 맞도록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진다.
방향제 용기(30)는 그 내부에 고체상태의 방향제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방향제의 소모량을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방향제 용기(30)의 상단은 개방되어 고체 상태의 방향제에서 향취가 발향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10)의 중공부(14) 일측에는 다양한 규격의 건전지(17a)가 수용되는 건전지소켓(17)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건전지 소켓(17)은 제어부(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40)는 상기 송풍팬(2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인쇄회로기판(41), 인쇄회로기판(41) 상에 실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42), 마이크로프로세서(4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작동스위치(43), 마이크로프로세서(4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타이머(44),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42)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점멸 LED(45)를 포함한다.
점멸LED(45)는 하우징(10)의 표면에 노출되게 설치되고, 송풍팬(20)의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40)에는 송풍팬(20)의 구동모터(21) 및 건전지 소켓(17)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고체 상태의 방향제가 송풍팬(20)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강제적으로 송풍됨으로써 그 향취가 실내 공간으로 균일하게 발향되고, 또한 고체 상태의 방향제를 사용함에 따라 그 향취가 자연발향됨을 방지함으로써 시간 대비 방향제의 소모량을 대폭 절감하여 그 유지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건전지(17a) 등과 같이 저전력의 내부전원을 사용함에 따라 그 설치위치의 제한이 없고, 또한 빛 감지센서(51)에 의해 외부 빛을 감지하여 밤에는 그 작동을 중지함으로써 방향제의 발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토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토출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방향제 토출장치의 제어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하우징 20: 송풍팬
30: 방향제 용기 40: 제어부
51: 빛 감지센서

Claims (5)

  1.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고, 벽면에 다수의 토출공을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설치된 송풍팬;
    상기 하우징 내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과 마주보는 단부는 개방되며, 내부에 고체상태의 방향제가 충전된 방향제 용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빛 감지센서;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에 설치되고, 건전지가 수용되는 건전지 소켓; 및
    상기 송풍팬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빛 감지센서 및 건전지 소켓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토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작동스위치,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타이머,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점멸LED를 포함하고, 상기 점멸LED는 상기 하우징의 외표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토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측에 배치된 제1하우징, 제1하우징의 하부에 분리가능하 게 조립되는 제2하우징, 제2하우징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제3하우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토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하우징은 상기 제2하우징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3하우징은 그 내부 평면 상에 복수의 끼움단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토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하우징의 저면에는 양면테이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토출장치.
KR2020080009565U 2008-07-18 2008-07-18 방향제 토출장치 KR201000009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565U KR20100000903U (ko) 2008-07-18 2008-07-18 방향제 토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565U KR20100000903U (ko) 2008-07-18 2008-07-18 방향제 토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903U true KR20100000903U (ko) 2010-01-27

Family

ID=44196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565U KR20100000903U (ko) 2008-07-18 2008-07-18 방향제 토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090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393A (ko) *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불스원 필터성능 시험장치
KR20240047621A (ko) 2022-10-05 2024-04-12 백지혜 고체방향제를 이용한 모듈형 디퓨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393A (ko) *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불스원 필터성능 시험장치
KR20240047621A (ko) 2022-10-05 2024-04-12 백지혜 고체방향제를 이용한 모듈형 디퓨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5324A (en) Dual dispenser, supply unit, and method
JP4638496B2 (ja) 自動車用空気清浄システム
JP5411707B2 (ja) 拡散装置
JP3201503U (ja) エアフレッシュナー
WO2007045834A3 (en) Air freshener with electric lighting
WO2009060212A2 (en) Adaptive emanator of a fluid
CN103933596A (zh) 挥发性物质的运动传感蒸发器装置
HRP20120518T1 (hr) Sobni raspršivač dezodoransa i ili mirisa s reguliranim otpuštanjem namijenjen za montažu na zid
JP2019130030A (ja) アロマディフューザ
KR20100000903U (ko) 방향제 토출장치
KR100461780B1 (ko)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KR101235695B1 (ko) 휘산장치
KR100812356B1 (ko) 방향제 휘산장치
KR200337480Y1 (ko) 전기 발향기
JPH0947499A (ja) 芳香消臭器及びこれを用いた芳香消臭方法
KR102400004B1 (ko) 다기능 행거봉
JP2009072653A (ja) 超音波霧化装置
KR20040050579A (ko) 방향제 자동분사장치
CN217082890U (zh) 送风装置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KR200315962Y1 (ko) 시거잭을 이용한 향 발현장치
KR200207346Y1 (ko) 향분사기를 가진 벽체형 가습기
US20110206357A1 (en) Chemical delivery assembly for coupling with an appliance
KR200262167Y1 (ko)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KR200169763Y1 (ko) 자동 청향 분무기
KR101107192B1 (ko) 잔량감지기능이 구비된 탈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