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5812B1 - 위상차필름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위상차필름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5812B1
KR100335812B1 KR1019940036077A KR19940036077A KR100335812B1 KR 100335812 B1 KR100335812 B1 KR 100335812B1 KR 1019940036077 A KR1019940036077 A KR 1019940036077A KR 19940036077 A KR19940036077 A KR 19940036077A KR 100335812 B1 KR100335812 B1 KR 100335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heat
shrinkable
stretched
thermoplas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6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813A (ko
Inventor
미나꾸찌게이이찌
시모무라히데끼
사까꾸라가즈아끼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19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2Thermal shrin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열수축성을 갖는 필름을 이 열수축성 필름의 열수축 축방향이 상기 1축 연신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연신축방향과 직교하도록 접합하고, 열수축시킨후, 이 열수축성 필름을 박리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득되는 위상차 필름의 레타데이션값이나 R4O/ R0의 값의 조절이 용이하므로, 요구에 따라 그의 변경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고, 공업적으로 유리하게 여러가지의 위상차 필름이 수득된다.

Description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의 시야각 특성은 예를 들면, 액정셀, 편광판과 위상차 필름을 조합하였을 때의 복굴절성의 각도의존성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이것들의 각도의존성이 작을 수록 바람직한 것이 알려져 있다. 또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에 따라서는 위상차 필름 자체의 복굴절성, 즉 레타데이션의 각도의 존성이 작은 것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위상차 필름의 레타데이션의 각도의존성은 세나르몬콤펜사이터를 장비한 편광현미경에 있어서, 정의 고유 복굴절성을 갖는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진 위상차 필름의 경우에는 지상축을, 또 부의 고유 복굴절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위상차 필름의 경우에는 진상축을 각각 회전축으로하여, 위상차 필름을 수평으로 부터 40 도 경사시킨 상태에서 측정한 레타데이션 (R40)과 경사시키지않은 상태 (수평상태) 에서 측정한 레타데이션 (R0, 본 발명에서 단순히 레타데이션값이라고 하는 경우는 R0를 가르킨다.) 과의 레타데이션 비 (R40/ R0) 를 사용하여 표시되고, 이 레타데이션비가 1 에 가까울수록 위상차 필름자체의 레타데이션의 각도의존성이 작은 것으로 된다.
또 액정셀, 편광판 및 위상차 필름을 조합하였을 때의 복굴절성의 각도의존성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액정셀, 편광판에 따라 위상차 필름의 R40/ R0의 값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레타데이션의 각도의존성이 작은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는 필름면 법선 방향으로 분자가 배향되어 있는 필름을 연신하는 방법 (일본국 특개평 2 - 160204 호 공보), 중합체의 액상물을 전계의 인가하에서 성막한 필름을 연신하는 방법 (특개평 2 - 285303 호 공보) 등이 알려져 있으나, 제조효율의 점에서, 만족할수 있는 것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또 수지 필름에 수축성 필름을 접착하여 이것을 가열 연신처리하는 방법 (특개평 5 - 157911 호 공보) 도 알려져 있고, 이 방법에 의하면 제조효율의 점에서는 어느 정도 개선되고 있다.
그러나, 근래 액정표시장치의 적용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용도에 맞는 레타데이션값이 다른 여러가지의 위상차 필름이 요구되는 상황하에서는 이러한 방법은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요구되는 위상차 필름에 맞추어서 그의 레타데이션 값을 변경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이 요망되고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액정셀, 편광판 및 위상차필름을 조합하였을 때의 복굴절성의 각도의존성을 작게하기 위하여 위상차 필름의 R40/ R0를 요구되는 값으로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R40/ R0의 값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레타데이션의 변경에도 용이하게 대응가능하고 또한 제조효율이 좋은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도의존성이 낮은 위상차 필름을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이며, 또한 그의 레타데이션의 변경에도 용이하게 대응 가능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그외의 목적은 이하의 기재에서 명백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검토한 결과,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에 열수축성 필름을 특정방향으로 접합하고, 이것을 열수축시키는 방법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는 것을 발견하여 더욱 검토를 가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열수축성 필름을, 이 열수축성 필름의 열수축 축방향이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연신축 방향과 직교하도록 접합하고, 열수축시킨후, 이 열수축성 필름을 박리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및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열수축성 필름을, 이 열수축성 필름의 열수축 축방향이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연신축방향과 직교 하도록 접합하고, 이 열수축성 필름을 열평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열수축성 필름을, 이 열수축성 필름의 방향이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연신축방향과 직교하도록 접합하고 가열하면,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은 그의 연신축 방향으로 수축하거나, 상기 연신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축하거나, 또는 그의 팽창이 억제되고,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상기 레타데이션 비 (R40/ R0) 및/또는 레타데이션 값이 변화한다.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에 있어서 사용되는 열가소성수지로서는 정 또는 부의 어느 고유복굴절 특성을 나타내는 열가소성수지도 좋으나, 투명성등의 광학특성이 뛰어난 것이 바람직하다.
정의 고유 복굴절 특성을 나타내는 수지란, 연신에 의해 연신축 방향의 굴절율이 증대하는 것이며, 부의 고유 복굴절 특성을 나타내는 수지란, 연신에 의해 연신축방향의 굴절율이 감소하는 것이다.
정의 고유 복굴절 특성을 나타내는 열소성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알릴레이트,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비닐알콜,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등을 들 수 있고, 부의 고유복굴절 특성을 나타내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스티렌, 스티렌ㆍ무수말레산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 - α- 메틸스티렌, 폴리비닐피리딘, 폴리비닐나프탈렌등을 들 수 있다. 광학특성의 점에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알릴레이트, 폴리스티렌등이 바람직하다.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은 예컨대 이른바 용제 캐스트법에 의해서 제작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을, 종 1축 연신법, 횡 1축 연신법등의 방법으로 1축 연신함으로써 수득된다. 연신 배율은 예를 들면, 1.2 배 ∼ 3 배 정도이다.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면 20 ∼ 200㎛ 정도이고, 레타데이션값 (필름의 복굴절율 (△n) 과 두께 (d) 의 곱) 은 예를 들면 100nm ∼ 1000nm 정도이다.
열수축성필름이란, 일반적으로 그의 연화온도 또는 유리전이 온도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수축하는 성질을 갖는 필름을 말한다.
이와 같은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롤간연신법등으로 연신된 1축 연신필름이나 튜불라법, 텐터법등으로 연신된 2축 연신 필름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술폰,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등의 수지로 이루어진 1축 연신필름이나 2축 연신필름을 들 수 있다.
열수축성필름의 열수축 축방향이란 필름이 열수축하는 방향의 것을 말한다. 열수축성 1축연신 필름의 경우, 1축연신축방향으로 열수축하고 열수축성 2축 연신필름의 경우, 각 연신축방향으로 각각 열수축한다.
열수축성 필름에 있어서, 열평형에 도달한 때까지 열수축하였을 때의 길이의 수축율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것을 「열평형수축율」 이라고 나타내는 일이 있다. ) 은 제조시의 연신조건등에 따라 상이하나, 예컨대 그의 연화온도 또는 유리전이 온도이상이며, 또한 융점미만의 온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것을 「열수축온도」로 나타냄) 에 있어서 5 ∼ 70% 정도이다.
열수축성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면 200㎛ ∼ 2000㎛ 정도이다.
열수축성 필름으로서는 열수축온도에 있어서의 길이의 열평형수축율 (열수축성을 갖는 2축 연신 필름의 경우에 있어서는 적어도 어느 한쪽의 열평형 수축율) 이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연신축방향의 그것보다도 큰것이 바람직하다.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과 열수축성 필름과의 접합체는, 이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이 열수축성 필름을, 이 열수축성필름의 열수축 축방향이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연신축 방향과 직교하도록 접합함으로써 수득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 접합체를 단순히 「접합체」 로 나타냄). 그 방법은 예컨대 각각 필름자체의 접착력이나 아크릴계 접착제등의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실시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접합에 있어서는 예컨대 가압식 접합롤, 테이블타입접합기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접합체를 열수축시키는 온도는 접합체가 열수축을 개시하는 온도이상이며, 또한 사용한 필림의 융점미만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사용하는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에 의해 적의 선택된다. 예컨대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160 ∼ 230℃, 열가소성수지 필름으로서 폴리술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180 ∼ 250℃, 열가소성수지 필름으로서 폴리스티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80 ∼ 150℃ 이다.
접합체의 열수축의 정도는 그의 목적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으나, 통상은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연신축방향의 길이의수축율, 상기 연신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의 수축율으로서 각각 원래의 길이의 통상 20% 정도이하, 바람직하게는 1 ∼ 10% 이다. 일반적으로는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연신축방향의 길이의 수축율 및, 이 연신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의 수축율을 합친 접합체의 면적의 수축율에 의해서 R40/ R0의 값은 거의 정해진다. 정의 고유 복굴절 특성을 나타내는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합체의 면적의 수축율을 높게 할수록 수득되는 위상차 필름의 R40/ R0의 값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부의 고유 복굴절 특성을 나타내는 열가소성수지의 경우에는 그 반대이다. 접합체의 면적의 수축율은 통상 40% 이하, 바람직하게는 1 ∼ 20% 이다.
따라서 액정셀, 편광판 및 위상차 필름을 조합하였을 때의 복굴절성의 각도의존성을 작게하기 위하여, 상기의 방법에 의해서 위상차 필름의 R40/ R0의 값을 예컨대 0.95, 1.00, 1.05 등의 임의의 값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그 범위는 통상 0.9 ∼ 1.1 이다.
수득되는 위상차 필름의 레타데이션 값은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레타데이션 값이나 열수축성 필름의 접합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소망의 값, 예컨대 80nm ∼ 1200nm 로 되도록 조절 할 수가 있다. 특히 열수축성필름의 접합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어느 레타데이션값의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으로부터 광범위한 레타데이션 값의 위상차 필름이 임의로 용이하게 수득된다. 또 예컨대 10nm 정도의 작은 단위로 레타데이션 값을 변경하는 것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열수축성 필름을 이 열수축성 필름의 최대 열수축 축방향 (열수축성을 갖는 1축 연신 필름의 경우는 1축 연신축방향 열수축성 2축연신 필름의 경우는 열수축율이 큰 쪽의 열수축 축방향)이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연신축 방향과 직교하도록 접합하고, 열수축시킴으로써,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에 비하여 레타데이션값이 증가한 위상차 필름이 수득된다.
한편, 열수축성 2축 연신 필름의 최대 열수축 축방향 (열수축율이 큰쪽이 열수축 축방향) 이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연신축 방향과 평행으로 되도록, 즉 열수축성 필름의 열수축율이 적은 폭의 열수축 축방향이 1 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연신축 방향으로 직교하도록 접합하여, 열수축시킴으로써,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에 비하여 레타데이션값이 감소한 위상차 필름이 수득된다.
일반적으로 접합체의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연신축 방향의 길이의 수축율을 크게하면 레타데이션값은 감소하고, 이 연신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의 수축율을 크게 하면 레타데이션 값은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한 열수축성을 가진 필름의 접합방향의 조정에, 각 방향 (접합체의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연신축 방향 및 이 연신축과 직교하는 방향) 의 길이의 수축율의 조정을 조합함으로써, 더 광범위한 레타데이션값을 갖는 위상차 필름이 수득된다. 예컨대 레타데이션값이 300nm 인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으로부터 150 ∼ 600nm 정도의 레타데이션값을 갖는 위상차 필름이 수득되고, 레타데이션값이 600nm 인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으로부터 300 ∼ 1200nm 정도의 레타데이션값의 위상차 필름이 수득된다.
가열시간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열온도, 접합체의 두께, 필요한열수축율등에 의해 적절히 선택된다.
가열은 예컨대 텐터, 열롤등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고, 이것들을 사용하는 경우 접합체를 연속적으로 열수축시킬수가 있다.
열수축시킨후, 열수축성 필름은 통상 박리제거되고, 위상차 필름이 수득되나, 열수축성 필름을 열평형 수축율에 달할때까지 열수축시키고 (본 발명에서는 이것을 「열평형화시킨다」 라고 한다), 열수축성 필름을 광학적으로 투명한 상태, 예컨대 그의 레타데이션값 0 ∼ 10nm 정도까지 한 경우에는 이 열수축성 필름을 박리제거하지 않고 접합체를 그대로 위상차 필름으로 할 수도 있다.
열평형화시켜서 접합체를 위상차 필름으로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열수축성필름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위상차가 발현하기 어려운 것, 예컨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등을 들 수가 있다.
본 발명 방법에 의하면 수득되는 위상차 필름의 레타데이션값이나 R40/ R0의 값의 조절이 용이하므로, 요구에 따라 그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고, 공업적으로 유리하게 여러가지의 위상차필름이 수득된다.
[ 실시예 ]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은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R40/ R0는 세나르몬형 콤펜세이터를 장비한 편광현미경 (일본 광학제) 을 사용하여, 정의 고유복굴절성을 갖는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의 경우는 지상축을, 또 부의 고유복굴절성을 갖는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은 진상축을 각각 회전축으로 하여 위상차 필름을 수평으로 부터 40 도 경사시킨 상태에서 측정한 레타데이션값 (R40), 및 경사시키지 않은 상태 (수평상태) 에서 측정한 레타데이션값 (R0) 을 측정하고 그의 비 (R40/ R0) 로 부터 산출하였다.
또 열수축성 필름의 열수축온도에서의 열평형수축율 (열수축성 2축 연신 필름에 있어서는 적어도 한쪽의 연신축 방향의 열평형 수축율) 은 실시예 1 ∼ 12 의 어느것에 있어서도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연신축 방향의 열평형 수축율보다도 컸다.
실시예 1
용제캐스트법에 의해 제막한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을 횡 1축 연신법에 의해 폭방향으로 연신하여 1축 연신 필름을 수득하였다. (두께 60㎛, R0= 430nm, R40/ R0= 1.11)
1축 연신 필름의 양면에, 열수축성 필름 (2축 연신 폴리카보네이트필름, 두께 약 50㎛) 을 아크릴계 접착제를 개재시켜 열수축성 필름의 최대 열수축 축방향이 1축 연신필름의 연신축 방향과 직교하도록 접합한 후, 접합체를 170℃ 의 가열로에 도입하여 열수축시켜 (길이의 수축율 : 1축 연신 필름의 연신축과 직교하는 방향 4%, 1축 연신 필름의 연신축 방향 2%), 열수축성 필름을 박리제거하여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을 수득하였다. (두께 640㎛, R0= 570nm, R40/ R0= 0.96)
실시예 2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1축 연신 필름의 편면에, 열수축성 필름 (2축 연신폴리카보네이트필름, 두께 약 50㎛) 을 아크릴계 접착제를 개재시켜, 열수축성필름의 최대 열수축 축방향이 1축 연신 필름의 연신축 방향과 직교하도록 접합한 후, 접합체를 165℃ 의 가열로에 도입하여 열수축시키고 (길이의 수축율 : 1축 연신 필름의 연신축과 직교하는 방향 2%, 1축 연신 필름의 연신축방향 1%), 열수축성 필름을 박리제거하여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을 수득하였다. (두께 62㎛, R0= 540nm, R40/ R0= 0.99)
실시예 3
용제 캐스트법에 의해 제막한 폴리카보네이트필름을, 횡 1축 연신법에 의해 폭방향으로 연신하여 1축 연신 필름을 수득하였다(두께 80㎛, R0= 370nm, R40/ R0= 1.10).
1축 연신 필름의 양면에 열수축성 필름 (1축 연신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두께약 50㎛) 을 아크릴계 점착제를 개재시켜, 열수축성 필름의 열수축축방향이 1축 연신 필름의 연신축방향과 직교하도록 접합한후, 접합체를 165℃의 가열로에 도입하여 열수축시키고 (길이의 수축율 : 1축 연신필름의 연신축과 직교하는 방향 4%, 1축 연신 필름의 연신축 방향 0%), 열수축성 필름을 박리제거하여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을 수득하였다(두께 83㎛, R0= 460nm, R40/ R0= 1.03).
실시예 4
용제 캐스트법에 의해 제막한 폴리카보네이트필름을, 종 1축 연신법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신하여 1축 연신 필름을 수득하였다. (두께 55㎛, R0= 650nm, R40/ R0= 1.09)
1축 연신 필름의 양면에, 열수축성 필름 (2축 연신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 두께약 50㎛) 을 아크릴계 점착제를 개재시켜, 열수축성 필름의 최대 열수축 축방향이 1축 연신 필름의 연신축방향과 평행으로 되도록 접합시킨후, 접합체를 180℃ 의 가열로에 도입하여 열수축시키고 (길이의 수축율 : 1축 연신필름의 연신축과 직교하는 방향 1%, 1축 연신 필름의 연신축 방향 6%), 열수축성 필름을 박리제거하여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을 수득하였다. (두께 59㎛, R0= 360nm, R40/ R0= 0.95)
실시예 5
용제 캐스트법에 의해 제막한 폴리카보네이트필름을 종 1축 연신법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신하여 1축 연신 필름을 수득하였다. (두께 50㎛, R0= 330nm, R40/ R0= 1.10)
1축 연신 필름의 편면에 열수축성 필름 (2축 연신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 두께약 50㎛) 을 아크릴계 점착제를 개재시켜, 열수축성 필름의 최대 열수축축방향이 1축 연신 필름의 연신축방향과 직교하도록 접합시킨후, 접합체를 180℃ 의 가열로에 도입하여 열수축성 필름을 열평형화시키고 (길이의 수축율 : 1축 연신필름의 연신축과 직교하는 방향 3%, 1축 연신 필름의 연신축 방향 1%), 광학적으로 투명한 2축 연신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 (R0= 0nm) 으로 피복된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을 수득하였다. (두께 130㎛, R0= 430nm, R40/ R0= 0.97)
실시예 6
용제 캐스트법에 의해 제막한 폴리술폰필름을, 횡 1축 연신법에 의해 폭방향으로 연신하여 1축 연신 필름을 수득하였다 (두께 60㎛, R0= 350nm, R40/ R0= 1.10).
1축 연신 필름의 양면에 열수축성 필름 (2축 연신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두께약 50㎛) 을 아크릴계 점착제를 개재시켜, 열수축성 필름의 최대 열수축 축방향이 1축 연신 필름의 연신축방향과 직교하도록 접합시킨후, 접합체를 230℃ 의 가열로에 도입하여 열수축시키고 (길이의 수축율 : 1축 연신 필름의 연신축과 직교하는 방향 2%, 1축 연신 필름의 연신축 방향 1%), 열수축성 필름을 박리제거하여 폴리술폰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을 수득하였다 (두께 62㎛, R0= 450nm, R40/ R0= 1.00).
실시예 7
용제 캐스트법에 의해 제막한 폴리술폰필름을, 종 1축 연신법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신하여 1축 연신 필름을 수득하였다 (두께 60㎛, R0= 700nm, R40/ R0= 1.09).
1축 연신 필름의 양면에 열수축성 필름 (2축 연신 폴리에스테로 필름, 두께약 50㎛) 을 아크릴계 점착제를 개재시켜, 열수축성 필름의 최대 열수축 축방향이 1축 연신 필름의 연신축방향과 평행으로 되도록 접합시킨후, 접합체를 235℃ 의 가열로에 도입하여 열수축시키고 (길이의 수축율 : 1축 연신 필름의 연신축과 직교하는 방향 0%, 1축 연신 필름의 연신축 방향 6%), 열수축성 필름을 박리제거하여 폴리술폰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을 수득하였다 (두께 62㎛, R0= 380nm, R40/ R0= 0.96).
실시예 8
용제 캐스트법에 의해 제막한 폴리스티렌필름을 종 1축 연신법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신하여 1축 연신 필름을 수득하였다(두께 70㎛, R0= 370nm, R40/ R0= 0.90).
1축 연신 필름의 양면에 열수축성 필름 (2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 두께약 50㎛) 을 아크릴계 점착제를 개재시켜, 열수축성 필름의 최대 열수축축방향이 1축 연신 필름의 연신축방향과 직교하도록 접합한후, 접합체를 95℃의 가열로에 도입하여 열수축시키고 (길이의 수축율 : 1축 연신필름의 연신축과 직교하는 방향 2%, 1축 연신 필름의 연신축 방향 1%), 열수축성 필름을 박리제거하여 폴리스티렌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을 수득하였다(두께 72㎛, R0= 440nm, R40/ R0= 1.00).
비교예 1
용제 캐스트법에 의해 제막한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을 종 1축 연신법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신하여 1축 연신 필름을 수득하였다(두께 55㎛, R0= 650nm, R40/ R0= 1.09).
1축 연신 필름을 180℃ 의 가열로에 도입하여 열수축시키고 (1축 연신필름의 연신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의 팽창율:3% 1축 연신 필름의 연신축 방향의 길이의 수축율 : 6%),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을 수득하였다(두께 56㎛, R0= 350nm, R40/ R0= 1.11).
실시예 9 ∼ 10
접합체의 열수축율 표 2 에 표시한 조건으로 실시한 것 이외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처리를 하고, 위상차 필름을 수득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11 ∼ 12
접합체의 열수축율 표 3 에 표시한 조건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처리를 하고, 위상차 필름을 수득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표시하였다.
1 : 접합체의 1축 연신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의 열수축율
2 : 접합체의 1축 연신축 방향의 길이의 열수축율
*1, *2 : 표2의 규정과 같음

Claims (14)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열수축성을 갖는 필름을 상기 열수축성 필름의 열수축 축방향이 상기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연신축 방향과 직교하도록 접합하고, 열수축시킨후, 이 열수축성 필름을 박리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알릴레이트 또는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열수축성 필름이 열수축성 1축 연신 필름 또는 열수축성 2축 연신필름인 방법.
제 3 항에 있어서, 열수축성 1축 연신 필름 또는 열수축성 2축 연신 필름이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술폰,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또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
제 3 항에 있어서, 열수축성 필름이 열수축성 2축 연신필름인 방법.
제 5 항에 있어서, 열수축성 2축 연신 필름의 열수축율이 큰쪽의 방향을,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연신방향과 평행으로 되도록 접합하는 방법.
제 3 항에 있어서, 열수축성 1축 연신 필름의 연신 방향 또는 열수축성 2축 연신 필름의 열수축율이 큰쪽의 방향을,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도록 접합하는 방법.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열수축성을 갖는 필름을 상기 열수축성을 갖는 필름의 열수축 축방향이 상기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연신축방향과 직교하도록 접합시키고, 상기 열수축성 필름을 열평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제 8 에 있어서,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알릴레이트, 또는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
제 8 항에 있어서, 열수축성 필름이 열수축성 1축 연신 필름 또는 열수축성 2축 연신 필름인 방법.
제 10 항에 있어서, 열수축성 1축 연신 필름 또는 열수축성 2축 연신 필름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
제 10 항에 있어서, 열수축성 필름이 열수축성 2축 연신 필름인 방법.
제 12 항에 있어서, 열수축성 2축 연신 필름의 열수축율이 큰쪽의 방향을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연신방향과 평행으로 되도록 접합하는 방법.
제 10 항에 있어서, 열수축성 1축 연신 필름의 연신 방향 또는 열수축성 2축 연신 필름의 열수축율이 큰쪽의 방향을 1축 연신된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연신방향과 직교하도록 접합하는 방법.
KR1019940036077A 1993-12-22 1994-12-22 위상차필름의제조방법 KR100335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24530 1993-12-22
JP32453093 1993-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813A KR950019813A (ko) 1995-07-24
KR100335812B1 true KR100335812B1 (ko) 2002-11-13

Family

ID=1816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6077A KR100335812B1 (ko) 1993-12-22 1994-12-22 위상차필름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72538A (ko)
EP (1) EP0660141B1 (ko)
KR (1) KR100335812B1 (ko)
DE (1) DE69423443T2 (ko)
TW (1) TW3979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88000B (en) * 1994-02-28 2000-04-21 Sumitomo Chemical Co Phase retarder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5986734A (en) 1994-04-04 1999-11-16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Organic polymer O-plate compensator for improved gray scale performance in twisted nematic liquid crystal displays
US6183091B1 (en) * 1995-04-07 2001-02-06 Colorlink, Inc. Color imaging systems and methods
EP0744433A1 (en) * 1995-05-23 1996-11-27 Sekisui Chemical Co., Lt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ysulfone resin film and a retardation film
DE19619478A1 (de) * 1996-05-14 1997-11-20 Sick Ag Optische Anordnung mit diffraktivem optischem Element
JPH1124078A (ja) * 1997-07-04 1999-01-29 Sekisui Chem Co Ltd 光学機能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表示装置
DE69924421T2 (de) * 1998-01-30 2006-03-09 Toyo Boseki K.K. Wärmeschrumpfbarer Polyesterfilm
US20080198456A1 (en) * 1998-07-31 2008-08-21 Colorlink, Inc. Laminated retarder stack
US6638583B1 (en) * 2000-03-16 2003-10-28 Colorlin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aminating stacks of polycarbonate films
CN1209638C (zh) * 2000-05-15 2005-07-06 富士胶片株式会社 光学补偿片、偏振板和液晶显示器
WO2002033454A1 (fr) * 2000-10-20 2002-04-25 Fuji Photo Film Co., Ltd. Pellicule d'acetate de cellulose ayant un retard optique et une epaisseur regules
CN100498384C (zh) * 2000-12-04 2009-06-10 富士胶片株式会社 具有由盘状液晶分子制成的光学各向异性层及包括聚合物薄膜的透明基板的光学补偿片
US20040036828A1 (en) * 2000-12-04 2004-02-26 Eiichiro Aminaka Optical compensating sheet having optically anisotropic layer made of discotic liquid-crystalline molecules and transparent substrate comprising polymer film
KR100696082B1 (ko) * 2001-07-18 2007-03-19 주식회사 코오롱 내열성이 우수한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필름
US7002752B2 (en) * 2001-11-30 2006-02-21 Colorlink, Inc. Three-panel color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7106509B2 (en) * 2002-09-06 2006-09-12 Colorlink, Inc. Filter for enhancing vision and/or protecting the eyes and method of making a filter
US7400371B2 (en) * 2004-02-03 2008-07-15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particular retardation plate
EP1759238A4 (en) * 2004-05-24 2009-07-22 Colorlink Inc VERY PERMANENT AND HIGH-PERFORMANCE POLARIZATION OPTICS WITH AN ORGANIC LAYER OF LOW ELASTICITY
US7345723B2 (en) * 2004-05-24 2008-03-18 Colorlink, Inc. LC panel compensators
WO2006065997A2 (en) * 2004-12-16 2006-06-22 Colorlink Inc. Compound quarter-wave retarder for optical disc pickup heads
JP2006241306A (ja) * 2005-03-03 2006-09-14 Fuji Photo Film Co Ltd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070209B2 (ja) * 2005-08-30 2012-11-07 リアルディ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ポリカーボネート偏光レンズを製造する高歩留まり結合処理
US20090128747A1 (en) * 2005-09-12 2009-05-21 Fujifilm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Cellulose Acylate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5526545B2 (ja) * 2006-08-18 2014-06-18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
KR101432347B1 (ko) * 2007-06-01 2014-08-20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위상차 필름, 적층 편광 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
JP5104439B2 (ja) 2008-03-18 2012-12-1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位相差板
US20110193248A1 (en) * 2010-02-09 2011-08-11 Roger Wen-Yi Hsu Method and Appartus for Making Retarder in Stereoscopic Glasses
US8379159B2 (en) 2010-03-12 2013-02-19 Roger Wen-Yi Hsu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retarder of 3D glasses
KR20140059898A (ko) 2012-11-08 2014-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JP6806135B2 (ja) * 2016-02-29 2021-01-0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延伸フィルム、及び円偏光板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5806A (en) * 1978-06-08 1983-05-31 Fergason James L Liquid crystal display with improved angle of view and response times
JPH0289006A (ja) * 1988-09-26 1990-03-29 Fuji Photo Film Co Ltd 位相差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H0442202A (ja) * 1990-06-08 1992-02-12 Nitto Denko Corp 積層位相差板及び楕円偏光板並びに液晶パネル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H0451101A (ja) * 1990-06-19 1992-02-19 Nitto Denko Corp 着色補償板及び楕円偏光板並びに液晶パネル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H0456802A (ja) * 1990-06-22 1992-02-24 Nitto Denko Corp 積層位相差板及び楕円偏光板並びに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EP0482620A2 (en) * 1990-10-24 1992-04-29 Nitto Denko Corporation Birefringent film,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retardation film, elliptically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1904A (ja) * 1988-09-26 1990-07-27 Fuji Photo Film Co Ltd 位相差フィルム及び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法
JP2612196B2 (ja) * 1988-12-14 1997-05-2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位相差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CA2006662A1 (en) * 1988-12-27 1990-06-27 Kimishige Nakamura Optical film
DE69219571T2 (de) * 1991-12-09 1997-09-11 Sumitomo Chemical Co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Phasenverzögerers von einem Film oder einer Folie bestehend aus thermoplastischem Harz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5806A (en) * 1978-06-08 1983-05-31 Fergason James L Liquid crystal display with improved angle of view and response times
JPH0289006A (ja) * 1988-09-26 1990-03-29 Fuji Photo Film Co Ltd 位相差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H0442202A (ja) * 1990-06-08 1992-02-12 Nitto Denko Corp 積層位相差板及び楕円偏光板並びに液晶パネル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H0451101A (ja) * 1990-06-19 1992-02-19 Nitto Denko Corp 着色補償板及び楕円偏光板並びに液晶パネル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H0456802A (ja) * 1990-06-22 1992-02-24 Nitto Denko Corp 積層位相差板及び楕円偏光板並びに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EP0482620A2 (en) * 1990-10-24 1992-04-29 Nitto Denko Corporation Birefringent film,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retardation film, elliptically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60141B1 (en) 2000-03-15
TW397928B (en) 2000-07-11
EP0660141A2 (en) 1995-06-28
KR950019813A (ko) 1995-07-24
DE69423443T2 (de) 2000-09-07
EP0660141A3 (en) 1996-08-14
US5472538A (en) 1995-12-05
DE69423443D1 (de) 200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5812B1 (ko) 위상차필름의제조방법
US5245456A (en) Birefringent film with nx >nz >ny,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retardation film, elliptically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818983B2 (ja) 複屈折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790890B2 (ja) 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の連続製造法
US5366682A (en) Process for producing phase retarder
KR20190091285A (ko) 광학 적층체, 화상 표시 장치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3168850B2 (ja)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0862422A (ja) 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の製法
JPH09325216A (ja) 広視野角偏光板
JPH04113301A (ja) 新規な光学シート及び該シート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H11125716A (ja) 位相差板、その製造方法、楕円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1059907A (ja) 位相差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367868B2 (ja) 位相差板の連続製造法、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0231016A (ja) 位相差板の製造方法
JP2000056131A (ja) 位相差板、積層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1013324A (ja) 位相差板の製造方法
JP2000111732A (ja) 3次元複屈折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303827B2 (ja) 位相差板の製造方法
JPH08146220A (ja) 位相差フィルム
JP2001147325A (ja) 位相差板の製造方法、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3313407B2 (ja) 位相差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0304924A (ja) 位相差板及びその連続製造法
JP2000162436A (ja)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H1048420A (ja) 広視野角偏光板
JPS6358302A (ja) 円偏光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