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4762B1 - 힌지죔 구조 및 힌지기둥 조인트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힌지죔 구조 및 힌지기둥 조인트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4762B1
KR100334762B1 KR1019960700613A KR19960700613A KR100334762B1 KR 100334762 B1 KR100334762 B1 KR 100334762B1 KR 1019960700613 A KR1019960700613 A KR 1019960700613A KR 19960700613 A KR19960700613 A KR 19960700613A KR 100334762 B1 KR100334762 B1 KR 100334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inge
bolt
threade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0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4135A (ko
Inventor
벤니어 페비오
Original Assignee
멀티메틱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A 2116877 external-priority patent/CA2116877A1/en
Priority claimed from CA 2119919 external-priority patent/CA2119919C/en
Application filed by 멀티메틱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멀티메틱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60704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4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7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62D27/065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9Means for mounting load bear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15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profile members or the like
    • E05D5/0223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profile members or the like with parts, e.g. screws, extending through the profile wall or engaging profile grooves
    • E05D5/023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profile members or the like with parts, e.g. screws, extending through the profile wall or engaging profile grooves with parts extending through the profil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75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the screw-threaded element having at least two axially separated threaded por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07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32Scre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Hing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Patch Board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외측 힌지기둥 판넬(P2)로부터 내측 힌지기둥 판넬(P1)로 연장되는 볼트(30)를 포함하는 박스-섹션 기둥 조인트로의 힌지를 만드는 힌지 죔구조 및 힌지 기둥 조인트 생성방법으로서, 볼트(30)가 피치는 동일하나 헤드(31)에 인접한 직경과 팁(39)에 인접한 직경이 제각기 다른 첫번째와 두번째 나사산부(35)(37)을 포함한다. 힌지 죔구조 및 힌지 기둥 조인트는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를 박스-섹션 구조에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기도 하다.

Description

힌지죔 구조 및 힌지기둥 조인트 생성방법{HINGE FASTENING STRUCTURE AND METHOD OF CREATING A HINGE PILLAR JOINT}
제 1 도는 전형적인 나사산이난 볼트 조임쇠의 평면도.
제 2 도는 자동조정 나사산이난 유지판이 지지판과 외측 힌지기둥 판넬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분해된 절취사시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선호된 구체예를 보여주는 힌지기둥이 장착된 문의 절취사시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선호된 구체를 보여주는 힌지기둥의 절취도와 가로단면도로 도시된 제3도의 조인트.
제5도 및 6도는 제4도 가로단면도의 사시도.
제7도 및 8도는 공지기술의 기둥의 절취도와 가로단면도로 도시된 조인트로 제7도에서는 "오일 캐닝"의 조건을 보여준다.
제 9 도는 본 발명에 따라 박스세션 구조에 장착되는 하드웨어의 사시도.
부호설명
P1 . . . 내측 힌지기둥 판넬 P2 . . . 외측 힌지기둥 판넬
P4 . . . 오목재료 P4A, P5A, P6A . . . 구멍
P . . . 기둥 D . . . 문
5 . . . 종래의 힌지 7 . . . 힌지핀
10 . . . 문 헬프(half) 15 . . . 수직 연장부분
16 . . . 제2죔쇠 17a . . . 측면 연장부분
20 . . . 몸체 헬프 21 . . . 구멍
30 . . . 볼트 31 . . . 헤드
35 . . . 제1나사산이난 부분 36 . . . 생크
37 . . . 제2나사산이난 부분 39 . . . 팁
40 . . . 자동조정 유지판 41 . . . 지지판
42 . . . 나사산이난 구멍
본 발명은 자동차 힌지기둥의 장착에서의 개량에 관계하며 힌지기둥을 형성하는 내측 및 외측판넬에 의해 생성된 박스섹션에 힌지의 절반을 장착하는 특이한 용도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자동분 힌지는 볼트연결 또는 용접에 의해서 자동차의 힌지기둥에 부착된다. 이 힌지기둥은 통상 외측 힌지 기둥 판넬과 내측 힌지기둥 판넬로 구성된 수직으로 배향된 박스구조물이다. 대부분 문힌지는 단지 외측 힌지기둥에만 부착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만약 자동문 힌지가 제 7 도 및 8 도에서는 도시된 것처럼 사실상 외측 힌지기둥 판넬에 연결된다면 "오일 캐닝"으로 알려진 현상이 제 7 도의 지대 A 에서 발생한다. 이 오일 캐닝은 문에 의해 부여되는 개방시키는 과부하와 처짐을 지탱하기위해서 외측 힌지 기둥 판넬이 부적합한 게이지가 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하중이 힌지에 걸릴때 외측 힌지기둥 판넬은 오일캔의 경우처럼 힌지 근처에서 휘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이것은 외측 힌지기둥 판넬에 영구 내구 고정을 일으켜서 문시스템에 문제를 야기시킬 것이다. 왜냐하면 문 시스템이 주변 몸체 구조물과 오정렬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또한 문시스템의 개폐에 악영향을 미칠것이다.
외측 힌지기둥 판넬 단독으로는 구조적으로 문힌지 하중을 지탱할 수 없어서 통상 2차 보강형태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외측 및 내측 힌지기둥 판넬로 구축되어 완성된 힌지기둥 구조물은 그의 구성요소 보다도 훨씬 뻣뻣하여 훨씬 더큰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제 8 도에서 도시된 바대로 외측 힌지기둥 판넬에 인접한 보강부재는 오일 캐닝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는데 사용되었지만 달성된 결과는 덜 바람직했다.
외측 힌지기둥 판넬과 내측 힌지기둥 판넬이 서로를 향해 무너지지 않도록 보장하는 스페이서로서 작용하는 죔쇠를 둘러싸는 튜브를 포함하여 외측 힌지기둥 판넬을 통해 힌지를 내측 힌지기둥 판넬에 조여주는 죔쇠를 사용할 것이 이전에 제안되었다. 이 장치는 하중이 외측 힌지기둥 판넬에 집중되는 경우보다 가해진 힌지하중을 전체 기둥에 분산시키는 잇점을 가지므로 오일 캐닝을 상당히 줄여준다. 그러나 튜브의 포함은 조인트 제작을 매우 복잡하게 한다.
공지기술에서 힌지기둥에 힌지를 용접하는 것이 또한 알려져 있다. 이 구조물은 기둥을 통과해 내측 힌지기둥 판넬에 가접용접된(tack welded) 외측 힌지기둥 판넬에 실질적인 용접이된 힌지를 포함한다. 이것은 하중이 외측 힌지기둥 판넬에집중되는 경우보다 가해진 힌지하중을 전체 기둥에 분산시키는 잇점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힌지는 수선하기가 어렵다. 또한 종종 물이 힌지기둥에 들어갈 수 있어서 용접이 적절히 완료되지 않는다면 부식문제를 야기시킨다. 이러한 장치의 예로는 용접되지만 힌지기둥에 조여지지 않으며 Ed Scharwachter GmbH & Co. LG 에 의해 제작되어진 힌지핀을 수용하는 구멍을 가진 힌지가 있다.
본 발명은 강하고 안정한 죔구조물과 조인트를 제시하여 공지기술의 문제를 극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문힌지를 자동차에 조이는 저렴하고 단순한 수단을 제시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본목적은 단순하고 효율적이며 효과적인 힌지 조인트를 생성하는 방법 및 힌지죔 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이다.
박슬-섹션 구조물에 하드웨어를 부착하는 방법 및 하드웨어 죔 구조물을 제시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가해진 하중측면에서 힌지조인트의 전체 수행능력을 개선하는 조임방법 및 죔구조물을 제시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힌지죔 수단의 중량을 줄이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개선된 강성을 가진 힌지조미 구조물을 제시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힌지를 힌지기둥에 장착시키기 위한 신규한 죔쇠를 제시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음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선호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및 요약을 고려할때 이 분야 숙련자에게는 명백해 질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한 측면으로 힌지, 기둥, 볼트 및 나사선이난 유지판을 포함하는 힌지죔 구조물이 제시된다.
상기 기둥은 제1구멍을 가진 외측판넬과 내측판넬의 오목부에 위치한 조그만 제2구멍을 가진 내측판넬을 포함하며 내측 및 외측 판넬에 있는 상기 구멍은 내측 및 외측판넬에 수직인 축을 따라 정렬되어 있다.
상기 볼트는 헤드, 팁, 생크와 제1 및 제2나사선이난 부분을 포함하여 다음을 특징으로 한다;
헤드는 볼트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공구에 맞물리는 형태이다;
생크는 사전결정된 길이를 가진다;
팁은 내측판넬에 있는 제2구멍으로 태핑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다;
제1나사산이난 부분은 헤드에 인접하며 지정된 피치를 가지며 제1외경 및 제1내경을 가지며 외측판넬에 있는 제1구멍은 생크는 통과할 수 있지만 헤드는 통과할 수 없다;
제2나사산이난 부분은 팁 근처에 있으며 제1나사산이난 부분과 동일한 피치를 가지며 제1나사산이난 부분이 제1내경 보다 작은 제2외경을 가진다.
나사산이난 유지판은 외측판넬상에 위치하여 제1구멍이 볼트의 제1나사산이난 부분에 끼워진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2구멍은 원형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나사산이난 부분의 나사산이 나사산이난 유지판에 맞물리고 이후에 나사의 피치에 의해 결정된 속도로 볼트가 기둥속으로진행해서 제2나사산이난 부분이 이후에 맞물리고 내측 힌지기둥 판넬에 있는 구멍을 자동태핑하고 죔쇠 및 구멍의 정렬은 내측 힌지기둥 판넬에 있는 오목부와 나사산이난 유지판의 움직일 수 있으며 자동 조정하는 성질에 의해 도움을 받는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오목부의 제2구멍은 내측판넬과 외측판넬 사이에 놓인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죄는 방향으로 볼트가 계속 돌려질때 두 나사가 각각 힌지기둥 판넬에 맞물리고 볼트가 완전히 조여질때 힌지를 힌지기둥에 장착시키기 위한 볼트를 통한 조인트를 생성하며 내측 힌지기둥 판넬과 외측 힌지기둥 판넬사이에 사전 설정된 거리를 유지시키는 동안에 외측 힌지기둥 판넬상의 자동 조정 나사산이난 판과 제1나사산이난 부분에 의해 형성된 조인트를 통해서 힌지를 조이는 토크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팁온 기둥의 최대 침투지점에서 조차도 내측판넬을 넘어서 연장하지는 못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죔구조물을 생성시키는 방법은 다음단계를 포함한다:
(a) 제1나사산이난 부분의 전단부가 힌지기둥 외측판넬에 설비된 자동 조정 나사산이난 유지판에 맞물릴때까지 제2나사산이난 부분이 외측 힌지기둥 판넬에 있는 구멍을 통해 쉽게 연장하도록 위에서 기술된 볼트를 사용하여 힌지를 박스섹션의 힌지기둥에 장착;
(b) 볼트의 자동태핑 제2나사산이난 부분이 오목부에 의해 내측 힌지기둥 판넬에 있는 구멍에 안내되며 자동조정 나사산이난 유지판이 내측 힌지기둥 판넬에 있는 구멍과 정렬하는 동안에 조임방향으로 죔쇠를 계속해서 돌리면 내측 힌지기둥 판넬에 있는 구멍이 볼트의 자동태핑 제2 나사산이난 부분에 의해 태핑되게 하도록 조임방향으로 상기볼트를 돌리고;
(c) 두 나사산이난 부분이 각각 힌지기둥 판넬에 맞물려서 볼트가 완전히 조여질때 힌지기둥에 힌지를 장착시키는 단단한 박스섹션을 형성하고 자동조정 나사산이난 유지판과 죔쇠의 제1나사산이난 부분에 의해 생성된 조인트를 사용하여 필요한 힌지 유지죔 토크를 유지시키도록 볼트를 계속해서 돌리고;
(d) 단단해진 박스를 생성시킴으로써 내측 힌지기둥 판넬과 외측 힌지기둥 판넬간의 거리를 유지시키는 동안에 가해진 문의 하중에 의한 힌지의 변형 및 영구내구 고정을 줄인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조여지는 하드웨어, 박스섹션구조물, 볼트 그리고 나사선이난 유지판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죔구조물이 제시된다.
상기 박스섹션 구조물은 제1구멍을 가진 외측판넬과 내측판넬의 오목부에 위치한 조그만 제2구멍을 가진 내측판넬을 포함하며, 내측판넬 및 외측판넬에 있는 상기 구멍은 내측 및 외측판넬에 수직인 축을 따라 정렬된다.
상기 볼트는 헤드, 탑, 생크 그리고 제1 및 제2나사선이난 부분을 포함한다.
헤드는 볼트를 회전시킬 수 있는 공구에 맞물리는 형상이다.
생크는 사전결정된 길이이다.
팁은 내측판넬에 있는 제2구멍으로 태핑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다.
제1나사산이난 부분은 헤드에 인접하며 지정된 피치를 가지며 제1외경 및 제1내경을 가지며 외측판넬에 있는 제1구멍은 생크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헤드는 통과하지 못한다.
제2나사산이난 부분은 팁에 인접하며 제1나사산이난 부분과 동일한 피치를 가지며 제1나사산이난 부분의 제1내경 보다 작은 제2외경을 가진다.
나사산이난 유지판은 외측판넬에 인접하며 제1구멍은 볼트의 제1나사산이난 부분과 맞물릴 수 있다.
제1도에는 헤드(31), 팁(39), 헤드(31)에 인접한 제1나사산이난부분(35), 팁에 인접하며 제1나사산이난부분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제2나사산이난부분 (37), 제1 및 제2나사산이난부분 사이에 놓인 생크(36)를 포함하는 볼트(30)가 도시된다.
제2도에는 외측 힌지기둥 판넬(P2)의 안쪽에 용접되는 지지판(41)에 헐겁게 조여진 자동조정 유지판(40)이 도시되는데 유지판(40)의 나사산이난 구멍(42)은 지지판(41)에 있는 구멍(P6A)와 외측 힌지기둥 판넬(P2)에 있는 구멍(P5A)에 정렬된다. 나사산이난 자동조정 유지판의 이러한 부착은 전형적이다.
제3도에는 도시되지 않은 자동차의 기둥(P)에 매달린 문(D)가 도시된다. 문 헬프(half)(10)와 몸체헬프(20)를 포함하는 종래의 힌지(5)가 제시된다.
제4도, 5도 및 6도에서 내측 힌지기둥 판넬(P1)과 외측 힌지기둥 판넬(P2)은 각각 원형인 구멍(P4a)과 구멍(P5a)를 포함하며 구멍(P4a)은 내측판넬(P1)의 오목부, 특히 오목재료(P4)에 위치한다. 전형적으로 볼트인 나사산이난 죔쇠(30)는 힌지의 몸체헬프(20)의 구멍(21)을 통해 연장한다. 죔쇠는 헤드(31), 인접한 큰 직경의 제1나사산(35), 팁(39) 그리고 인접한 조그만 직경의 제2나사산(37)을 가진다. 나사산은 나사산이 나지않은 생크(36)에 의해 분리된다. 나사산(37) 및 (35)의 퍼치는 동일하다. 제2나사산(37)의 외경은 제1나사산(35)의 내경보다 작다. 죔쇠가 힌지구멍(21)을 통해 기둥(P)으로 삽입될때 조그만 직경의 생크(36)와 제2나사산 (37)은 제2나사산(37)이 구멍(P4a)과 둘러싸는 오목재료(P4)에 들어가기 바로전까지 더큰 구멍(P5a)를 통과할 것이다. 제1나사산(35)의 전반부는 자동조정되는 유지판(40)에 맞물린다. 죔쇠(30)을 계속 돌리면 팁(39)가 구멍(P4a)를 둘러싸는 물질 (P4)에 맞물려서 제2나사산(37)이 오목부로 남아있는 물질(P4)속을 태핑할 것이다. 제2도에서 도시된 한 구체예로 죔쇠가 완전히 조여질때 조차도 팁(39)은 내측판넬 (P1)을 넘어서 연장하지 못한다. 제2나사산(37)이 물질(P4)속으로 태핑할때 유지판 (40)은 내측 및 외측 힌지기둥 판넬(P1, P2)에 수직인 정렬로 죔쇠(30)를 가져오기 위해서 자동조정 한다. 죔쇠가 완전히 조여질때 힌지에 대한 조인트를 통과한 볼트는 내측과 외측 힌지기둥 판넬(P1, P2) 사이에 사전 설정된 거리를 유지한다. 명백히 하나이상의 죔쇠가 제3도에서 도시된대로 단일 힌지를 기둥에 유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문에 힌지의 부착은 종래적인 것이다. 제5도 및 6도에서 도시된대로 힌지의 몸체헬프(20)는 힌지핀(7)을 수용하기 위해 사이에 연장되는 구멍을 가지는 측면으로 연장된 부분(20a)을 가진다. 핀은 사각부(17)에 배치되는 문헬프구멍(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연장하며 이의 측면으로 연장하는 부분(17a)은 문의 표면에 장착시키기 위해 제2죔쇠(16)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도시되지 않음)을 가진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15)에 연장된다.
힌지기둥 외측판넬에서 힌지기둥 내측판넬까지 통과한 볼트가 제7도 및 8도에서 도시된 것돠 같은 공지기술 시스템과 비교해서 전체 문시스템에 단단함을 증가시키는 죔쇠를 제공하여서 개방시키는 과하중 및 수직하중과 같은 작용력을 받을때 하중받은 시스템의 변형 및 고정을 감소시킨다. 오일 캐닝 발생의 감소 또한 실현된다. 또한 힌지기둥 외측판넬과 힌지기둥 내측판넬 사이의 제조자에 의해서 규정된 분리된 거리가 유지된다.
자동차 제작자는 문 시스템의 구조적인 수행능력에 대한 포괄적인 표준을 개발했다. 문시스템은 문, 문힌지 및 힌지기둥을 포함한다. 두개의 주요한 보강에 관련된 고려는: 1) 문에 가해진 수직하중의 효과; 그리고 2) 강한 바람이나 심한 내리막길 상황과 같은 개방시키는 과하중 토크의 효과이다. 이 효과는 문에 모의하중을 가함으로써 시험된다. 모의 수직하중은 보통 문의 걸쇠지점에 가해져 색(sag)으로 일컫는 힌지의 변형을 가져오며 하중이 제거될때 기둥에 영구고정을 가져온다. 개방시키는 과하중은 통상 걸쇠지점에 가해져 보통의 정지지점을 넘어선 문의 과-회전을 일으키며 하중이 제거될때 기둥에 영구고정을 가져온다. 볼트시스템을 통한 시스템은 시스템의 견고함은 색에 대해서 20% 이상, 개방시키는 50% 이상으로 종래의 죔보다 증가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대개의 종래 볼트시스템은 최종 죔쇠 토크를 발생시켜 그결과 내측 힌지기둥 판넬상의 나사산이난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힌지조임 하중이 나타난다. 스페이서가이후에 외측 힌지기둥 판넬과 내측 힌지기둥 판넬 사이에 삽입되어서 판넬의 간격과 죔쇠의 토크가 유지된다. 이것은 힌지 조임 하중이 유지되며 힌지의 어긋남으로 인한 색(sag) 변형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안된 죔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시험으로 죔쇠토크의 5% 이하가 스페이서가 설치되지 않은 다중 시스템 하중동안에 손실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박스 섹션 기둥에 힌지를 장착시키는데 특히 유용하지만 적당한 하드웨어가 제9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조물과 방법을 사용하여 박스섹션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위배됨이 없이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여기서 사용된 모든 재료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함이며 제한시키려는 의도는 없다.

Claims (13)

  1. 기둥은 제1구멍을 가진 외측판넬과 내측판넬의 오목부에 위치한 조그만 제2구멍을 가진 내측판넬을 포함하고 내측 및 외측판넬에 있는 구멍들이 내측 및 외측판넬에 수직인 축을 따라 정렬되며; 그리고
    볼트가 다음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생크, 팁 그리고 제1 및 제2나사산이난 부분을 포함하며;
    (a) 헤드는 볼트를 회전시킬 수 있는 공구에 맞물리는 형상이며;
    (b) 생크는 예정된 길이를 가지며;
    (c) 팁은 내측판넬에 있는 제2구멍으로 태핑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며;
    (d) 제1나사산이난 부분은 헤드에 인접하며 지정된 피치를 가지고 제1외경 및 제1내경을 가지며, 외측판넬의 제1 구멍은 생크의 통과는 허용되나 혜드는 통과하지 못하며;
    (e) 제2나사산이난 부분은 팁에 인접하며 제l나사산난 부분과 동일한 피치를 가지며, 제1나사산아닌 부분의 제1내경보다도 작은 제2외경을 가진다;
    나사산이난 유지판은 제1구멍에 인접한 외측판넬상에 위치되어서 볼트의 제1나사산이난 부분과 맞물림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기둥, 볼트 및 나사산이나는 부분을 포함하는 힌지죔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제2구멍은 원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죔 구조물.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나사산이난 유지판은 움직일 수 있으며 자동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죔 구조물.
  4. 제 1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오목한 제2구멍이 내측판넬과 외측판넬 사이에 놓임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죔 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팁은 내측판넬의 평면을 넘어서 연장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죔 구조물.
  6. 외측 힌지기둥 판넬에 있는 구멍은 볼트의 나사산을 맞물리기 위한 자동 조정 나사산이난 유지판을 포함하고;
    외측 힌지기둥 판넬에 있는 구멍은 내측 힌지기둥 판넬에 있는 구멍과 함께 나사산이난 유지판을 정렬시킬 수 있는 적당한 크기이며;
    내측 힌지기둥에 있는 구멍은 볼트의 팁을 구멍으로 안내하기 위해 적당한 내측 힌지기둥 파넬의 오목부에 위치하며 볼트가 그 구멍을 자동 태핑할 수 있는 적당한 크기이며;
    볼트는 헤드와 팁을 포함하며 헤드에 인접하여 예정된 제1외경과 제1내경을 가진 제1나사산이난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시키고 예정된 피치를 가지며;
    볼트의 팁은 예정된 제2외경과 제2내경을 가진 제2나사산이난 부분을 자동태핑하고 제1나사산이난 부분의 피치와 동일한 피치를 가지며;
    제2외경은 제1내경 보다 작으며;
    제1 및 제2나사산이난 부분은 나사산아 나지않고 예정된 길이를 가진 생크에 의해 분리되며 제1내경 보다 작거나 같은 직경을 가지며;
    자동조정 나사산이난 유지판이 제1나사산이난 부분과 맞물리며 내측 힌지기둥 판넬에 있는 구멍이 제2나사산이난 부분과 맞물림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를 수용하기 위해서 정렬된 구멍을 가진 내측 및 외측 힌지기둥 판넬을 포함하는 박스섹션의 힌지기둥에 문힌지를 장착시키는 조인트.
  7. 제 6 항에 있어서, 내측 힌지기둥 판넬내 오목 형성부가 내측 판넬과 외측판넬 평면 사이에 놓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8. 제 6 항 또는 7 항에 있어서, 팁이 내측판넬 평면을 지나 연장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9. 힌지기둥이 개구를 가지는 내측판넬과 외측판넬을 가지며, 외측판넬의 개구가 볼트의 나사에 조여지기 위해 자동 조심된 나사산 보유 플레이트틀 포함하고, 내측판넬내의 개구가 볼트의 팁을 두번쩨 개구내로 안내하기 위해 적절한 내측판넬의 오목형성부내에 위치하며, 볼트가 헤드와 팁으로 이루어져 있고, 헤드에 인접하여 예정된 첫번쩨 외측직경과 첫번째 내측직경의 첫번쩨 나사산부가 배치되고 그리고 예정된 피치를 가지며, 볼트의 팁이 자동으로 탭되는 예정된 두번째 외측직경과 두번째 내측직경의 두번째 나사산부 그리고 첫번쩨 나사산부 피치와 동일한 한 피치를 가지며, 두번께 외측직경이 첫번쩨 내측직경보다 작도록 만들어지는 힌지를 박스섹션 힌지판넬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서:
    (a) 힌지를 판넬상에 정착시키고;
    (b) 첫번째 나사산부의 리딩나사가 나사산 보유 플레이트와 맞물릴때까지 힌지내 개구를 통해 바깥측 판넬의 개구내로 볼트를 삽입시키며;
    (c)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써 기둥내로 볼트를 전진시키고;
    (d) 내측판넬내 개구를 자동-탭핑하는 두번째 나사산부에 맞물리도륵 하며;
    (e) 볼트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어 첫번째와 두번째 나사산부를 이들 각 기둥판넬에 맞물리도록 하고;
    (f) 내측판넬의 오목형성부에 의해 볼트의 조정과 나사산 보유 플레이트의 자동-조정 능력을 돕도록 하며;
    (g) 외측판넬상의 자동-조정 나사산 보유 플레이트와 첫번째 나사산부에 의해 형성된 조인트를 통하여 힌지 고정 토르크가 유지되는 내측판넬과 외측판넬 사이 사전에 정해진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죔 방법.
  10. 힌지, 볼트, 박스섹션 힌지기둥, 나사산 보유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이 첫번째 개구를 갖는 외측판넬과 오목부내에 좀작은 두번째 개구를 갖는 내측판넬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는 헤드, 생크, 팁 그리고 첫번째와 두번째 나사산부를포함하며, 첫번째 나사산부가 헤드에 인접해 있고, 특정한 피치를 가지며 첫번째 외측직경과 첫번째 내측직경이 있고, 첫번째 개구는 헤드는 불가하고 생크만 통과하도록 되며, 두번째 나사산부는 팁에 인접하여 첫번째 나사산부와 동일한 피치를 가지며, 첫번째 나사산부 첫번째 내측직경 보다 작은 두번째 외측직경을 가지며, 나사산 보유 플레이트가 첫번째 개구에 인접한 바깥측 패널상에 위치하고 볼트의 첫번째 나사산부에 맞물리도록 적용되는 힌지죔 구조 생성방법에 있어서;
    (a) 볼트를 사용하여 힌지를 박스섹션 힌지기둥으로 첫번째 나사산부의 나사 앞거사는 부분이 힌지기둥 외측판넬이 제공된 자동-조정 나사산 보유 플레이트와 맞물리는때까지 두번째 나사나부가 바깥측 힌지기둥 판넬내 개구를 통과하여 용이하게 연장되도록 하며;
    (b) 상기 볼트를 고정방향으로 회전시키어 볼트 자동-탭핑의 두번째 나사산부가 오목 형성부에 의해 내측 힌지기둥 판넬내 개구로 안내되며, 자동-조정 나사산 보유 플레이트가 내측 힌지기둥 판넬내 개구와 정렬되도록 자동-조정되어 조임방향으로 패스너의 연속회전이 볼트의 두번째 나사산부를 자동-태핑하므로써 내측 힌지기둥 판넬내 개구가 탭되어지도로 갛고;
    (c) 자동-조정 나사산 보유 플레이트와 패스너의 첫번째 나사산부에 의해 발생된 조인트를 사용하여 요구된 힌지 보유 클램핑 토르크를 유지시키면서 힌지기둥으로 힌지를 장착시키기 위해 완전히 조여진때 하나의 단단한 박스섹션을 발생시키기 위해 두 나사산 섹션이 각각의 힌지기둥 판넬에 맞물릴 수 있도록 볼트를 계속하여 회전시키며;
    (d) 단단한 박스를 발생시키어 내측 힌지기둥 판넬과 외측 힌지기둥 판넬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키는 동안 가해진 문의 하중으로 인해 세트된 힌지의 기울어짐 정도를 줄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죔 방법.
  11. 하드웨어, 박스섹션 구조, 볼트 그리고 나사선 보유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박스섹션 구조가 첫번째 개구를 갖는 바깥측 판넬 그리고 내측판네 오목부에 위치하는 더욱 작은 두번째 개구를 갖는 내측판넬을 포함하며, 내측과 외측판넬내의 개구가 내측과 외측판넬에 직각인 축을 따라 정렬되고, 그리고
    (a) 헤드는 볼트를 회전시킬 수 있는 공구에 맞물리는 형상이며,
    (b) 생크는 예정된 길이를 가지며,
    (c) 팁은 내측판넬에 있는 제2구멍으로 태핑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며,
    (d) 제1나사산이난 부분은 헤드에 인접하며 지정된 피치를 가지고 제1외경 및 제1내경을 가지며, 외측판넬의 제1 구멍은 생크의 통과는 허용되나 헤드는 통과하지 못하며,
    (e) 제2나산산이난 부분은 팁에 인접하며 제1나사산난 부분과 동일한 피치를 가지며, 제1나사산아닌 부분의 제1내경 보다도 작은 제2외경을 가지고,
    나사산이난 유지판은 제1구멍에 인접한 외측판넬상에 위치되어서 볼트와 제1나사산이난 부분과 맞물림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기둥, 볼트 및 나사산이나는 부분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죔구조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나사산 보유 플레이트가 이동가능하며 자동 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웨어 죔구조물.
  13. 박스섹션 구조물이 개구를 가지는 내측판넬과 외측판넬을 가지며, 외측판넬의 개구가 볼트의 나사에 조여지기 위해 자동 조심된 나사산 보유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내측판넬내의 개구가 볼트의 팁을 두번재 개구내로 안내하기 위해 적절한 내측판넬의 오목형성부내에 위치하며, 볼트가 헤드와 팁으로 이루어져 있고, 헤드에 인접하여 예정된 첫번째 외측직경과 첫번째 내측직경의 첫번째 나사산부가 배치되고 그리고 예정된 피치를 가지며, 볼트의 팁이 자동으로 탭되는 예정된 두번째 외측직경과 두번째 내측직겨의 두번째 나사산부 그리고 첫번째 나사산부 피치와 동일한 한 피치를 가지며, 두번째 외측직경이 첫번째 내측직경보다 작도록 만들어지는 하드웨어를 박스섹션 힌지판넬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서;
    (a) 하드웨어를 판넬상에 정착시키고;
    (b) 첫번째 나사산부의 리딩나사가 나사산 보유 플레이트와 맞물릴때까지 하드웨어내 개구를 통해 바깥측 판넬의 개구내로 볼트를 삽입시키며;
    (c)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써 파스섹션 구조물내로 볼트를 전진시키고;
    (d) 내측판넬내 개구를 자동-탭핑하는 두번째 나사산부에 맞물리도록 하며;
    (e) 볼트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어 첫번째와 두번째 나사산부를 이들 각 기둥판넬에 맞물리도록 하고;
    (f) 내측판넬의 오목형성부에 의해 볼트의 조정과 나사산 보유 플레이트의자동-조정 능력을 돕도록 하며;
    (g) 외측판넬상의 자동-조정 나사산 보유 플레이트와 첫번째 나사산부에 의해 형성된 조인트를 통하여 하드웨어 고정 토르크가 유지되는 내측판넬과 외측판넬 사이 사전에 정해진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웨어 죔 방법.
KR1019960700613A 1993-08-09 1994-08-04 힌지죔 구조 및 힌지기둥 조인트 생성방법 KR100334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2,103,599 1993-08-09
CA2103599 1993-08-09
CA 2116877 CA2116877A1 (en) 1993-08-09 1993-08-09 Bolt through hinge pillar mounting method for a hinge and the apparatus therefore
CA2116877 1993-08-09
CA 2119919 CA2119919C (en) 1994-03-23 1994-03-23 Bolt through hinge pillar mounting method for hinge and the apparatus therefor
CA2119919 1994-03-23
PCT/CA1994/000423 WO1995004864A1 (en) 1993-08-09 1994-08-04 Hinge fastening structure and method of creating a hinge pillar joi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4135A KR960704135A (ko) 1996-08-31
KR100334762B1 true KR100334762B1 (ko) 2002-10-31

Family

ID=2716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0613A KR100334762B1 (ko) 1993-08-09 1994-08-04 힌지죔 구조 및 힌지기둥 조인트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624150A (ko)
EP (1) EP0714473B1 (ko)
JP (1) JP3426603B2 (ko)
KR (1) KR100334762B1 (ko)
CN (1) CN1044401C (ko)
AT (1) ATE164421T1 (ko)
AU (1) AU7379994A (ko)
BR (1) BR9407226A (ko)
DE (1) DE69409245T2 (ko)
ES (1) ES2114696T3 (ko)
WO (1) WO19950048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5095A (en) * 1997-05-06 1999-01-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Boltless glass channel attachment
SE509888C2 (sv) * 1997-06-10 1999-03-15 Ssab Hardtech Ab Sidostolpe för fordonskaross
US6129410A (en) * 1998-05-12 2000-10-10 Chrysler Corporation Apparatus for reinforcing a body side panel of a motor vehicle
DE19853338B4 (de) * 1998-11-19 2008-04-17 Volkswagen Ag Anordnung mit einer Frontsäule für einen Karosserierahmen eines Kraftfahrzeugs
US6105208A (en) * 1999-04-27 2000-08-22 Midway Products Group, Inc. Vehicle door check
DE19928207A1 (de) * 1999-06-19 2000-12-21 Bosch Gmbh Robert Magnetventil
US6086143A (en) * 1999-07-09 2000-07-11 Daimlerchrysler Corporation Hard mounted provision through plastic body panel
JP2001074011A (ja) * 1999-09-02 2001-03-23 Honda Motor Co Ltd 部材の共締め構造
DE19958148A1 (de) * 1999-12-03 2001-06-28 Volkswagen Ag Anordnung zur Befestigung eines Gegenstandes an einem Hohlkörper
US6439653B1 (en) * 2000-06-27 2002-08-27 Ford Global Tech., Inc. Mounting structure with improved stiffness characteristics
GB0102987D0 (en) * 2001-02-07 2001-03-21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An assembly
GB0111121D0 (en) * 2001-05-05 2001-06-27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Vehicle, hinge and latching arrangement adjustment method
US6698821B2 (en) * 2001-07-03 2004-03-02 Volvo Trucks North America, Inc. Vehicle door mounting
DE10255296B4 (de) * 2002-11-26 2014-04-10 Volkswagen Ag Vorrichtung zur Befestigung von einem Bauteil
DE10332889B4 (de) * 2003-07-19 2014-12-04 Linde Material Handling Gmbh Krafteinleitungsknoten an einem als Hohlprofil ausgebildeten Rahmenabschnitt
US7089626B2 (en) * 2004-02-12 2006-08-15 Ford Motor Company Adjustable door hinge
US7080868B2 (en) * 2004-11-12 2006-07-25 Honda Motor Co., Ltd. Rear pillar construction
FR2877864B1 (fr) * 2004-11-16 2008-02-01 Renault Sas Fixation de tole par fluo taraude a embase conique
KR100785916B1 (ko) * 2005-08-20 2007-12-24 (주)문주하드웨어 도어힌지 부착용 뎀퍼
SE0502531L (sv) * 2005-11-17 2007-02-20 Gm Global Tech Operations Inc Sidodörr i ett motorfordon
DE102006021883A1 (de) * 2006-05-11 2007-11-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Verstärkungsmodul für eine Kraftfahrzeugkarosserie
DE102008036868B4 (de) * 2008-08-07 2016-01-1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Scharniere einer Kraftfahrzeugtür
US20100278609A1 (en) * 2009-05-01 2010-11-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pportive welded box section collar
KR101064502B1 (ko) * 2009-10-01 2011-09-14 김승현 창호용 힌지 구조
US8149194B2 (en) * 2009-12-01 2012-04-03 Amtran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base structure thereof
DE102010030814A1 (de) * 2010-07-01 2012-01-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inrichtung zur lagegenauen Befestigung eines Montageteiles an einem Wandbereich
DE102010050959A1 (de) * 2010-11-10 2012-05-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Ges.D. Staates Delaware) Befestigungsanordnung zur Montage einer Zierblende
US10427277B2 (en) * 2011-04-05 2019-10-01 Ingersoll-Rand Company Impact wrench having dynamically tuned drive components and method thereof
FR2979118B1 (fr) * 2011-08-17 2013-09-0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fixation et de reglage d'un leve-vitre a une partie fixe de la caisse ou d'une porte d'un vehicule automobile.
FR2981111B1 (fr) * 2011-10-06 2013-11-01 Renault Sa Ensemble de charniere pour l'articulation d'une porte battante de vehicule automobile
US11229995B2 (en) 2012-05-31 2022-01-25 Black Decker Inc. Fastening tool nail stop
US9827658B2 (en) 2012-05-31 2017-11-28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having latched pusher assembly
CN103161370A (zh) * 2013-03-19 2013-06-19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门铰链定位销组件
US20150003902A1 (en) * 2013-06-28 2015-01-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ipped surfaces for mixed material joining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FR3010690B1 (fr) * 2013-08-02 2017-12-22 Valeo Vision Dispositif de fixation d'un module d'eclairage et/ou de signalisation sur un element de structure
US20170066116A1 (en) * 2013-10-09 2017-03-09 Black & Decker Inc. High Inertia Driver System
US9248868B2 (en) 2014-05-29 2016-02-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ront end structure
US9079617B1 (en) 2014-05-29 2015-07-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ront end joint
US9114835B1 (en) 2014-05-29 2015-08-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ront end structure
DE202014008599U1 (de) * 2014-10-29 2016-02-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tür mit Scharnierverstärkung
CN104499858B (zh) * 2014-12-22 2017-01-04 奇瑞商用车(安徽)有限公司 一种汽车后背门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US10661837B2 (en) 2017-03-30 2020-05-26 Honda Motor Co., Ltd. Door hinge standoff structure
JP7245444B2 (ja) * 2018-03-29 2023-03-2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ニーエアバッグ装置の取り付け構造
US11566654B2 (en) * 2018-12-19 2023-01-31 Whirlpool Corporation Integrally formed thread lock retention featur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67082A (en) * 1970-10-05 1974-09-18 Ft Products Ltd Threaded fastener
CH670125A5 (en) * 1986-07-11 1989-05-12 Ver Drahtwerke Ag Two-dia. screw with two threaded portions - has larger thread on sleeve turning but not sliding on shank
DE3630234C2 (de) * 1986-09-05 1994-04-28 Simonswerk Gmbh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Tür- oder Fensterbandes
DE8713879U1 (ko) * 1987-10-15 1987-11-26 Hanna, Thomas, 8000 Muenchen, De
DE4034599A1 (de) * 1990-10-31 1992-02-06 Daimler Benz Ag Anordnung zum oberflaechenbuendigen und randaequidistanten anschlagen einer fahrzeugtuer an einer karosseriesae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504845A (ja) 1997-05-13
ES2114696T3 (es) 1998-06-01
DE69409245T2 (de) 1998-11-12
JP3426603B2 (ja) 2003-07-14
AU7379994A (en) 1995-02-28
DE69409245D1 (de) 1998-04-30
KR960704135A (ko) 1996-08-31
BR9407226A (pt) 1996-09-24
WO1995004864A1 (en) 1995-02-16
EP0714473B1 (en) 1998-03-25
CN1044401C (zh) 1999-07-28
CN1132538A (zh) 1996-10-02
US5624150A (en) 1997-04-29
EP0714473A1 (en) 1996-06-05
ATE164421T1 (de) 1998-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4762B1 (ko) 힌지죔 구조 및 힌지기둥 조인트 생성방법
US7987948B2 (en) Length adjustable passenger handle assembly for elevator
JP2581518B2 (ja) ボルトジョイント用スペーサワッシャー
CA2119919C (en) Bolt through hinge pillar mounting method for hinge and the apparatus therefor
US4369609A (en) Prefabricated building system
CA2116877A1 (en) Bolt through hinge pillar mounting method for a hinge and the apparatus therefore
JP7446195B2 (ja) ピボットヒンジ
JP2629119B2 (ja) 壁パネル下部の取付金具
JPH033745Y2 (ko)
JPH0439853Y2 (ko)
JPH0411064Y2 (ko)
JPH0849344A (ja) 梁の補強部材
JPH0245436Y2 (ko)
KR0122237Y1 (ko) 자동문 안내레일의 고정장치
US5137389A (en) Clip for flush mounting a plate within a corresponding opening in an extruded frame member
KR0118392Y1 (ko) 버스용 시트의 고정구조
JPH0849345A (ja) 梁の補強部材
KR960010410Y1 (ko) 도어용 힌지
JPH0246171Y2 (ko)
JPS6336100Y2 (ko)
JPH044083Y2 (ko)
JPH0345909Y2 (ko)
JP2597934Y2 (ja) 屋根パネルの取付構造
JPH0747555Y2 (ja) 笠木付き手摺用笠木アンカー
JPH04113014A (ja) ボルト接合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