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3564B1 - 인터페이스 회로 - Google Patents

인터페이스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564B1
KR100333564B1 KR1019980028602A KR19980028602A KR100333564B1 KR 100333564 B1 KR100333564 B1 KR 100333564B1 KR 1019980028602 A KR1019980028602 A KR 1019980028602A KR 19980028602 A KR19980028602 A KR 19980028602A KR 100333564 B1 KR100333564 B1 KR 100333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holding
signal
clock signal
ti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3886A (ko
Inventor
히사따께 사또
Original Assignee
사와무라 시코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와무라 시코,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사와무라 시코
Publication of KR19990013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5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76Arrangements for rearranging, permuting or selecting data according to predetermined rules, independently of the content of th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클록신호(CK)의 주파수를 1/2 로 하여 데이터전송을 실시함으로써, 소비전력의 억제와 EMI 잡음의 저감을 도모한다.
데이터 타이밍신호(TM)는 FF(플립플롭)(11)에서 1/2 로 분주(分周)되어, 상보적인 클록신호(CK,/CK)로서 FF(31, 32)의 클록단자(C)에 부여된다. 축차(逐次) 입력되는 데이터(DT) 중 홀수번째의 홀수 데이터신호(DTO)가 FF(31)에서 유지되고, 짝수번째의 짝수 데이터신호(DTE)가 FF(32)에서 유지되어 각각 출력된다. n 단의 유지부를 갖는 시프트 레지스터(20)에 의해 데이터(DT)의 시작을 나타내는 시작신호(ST)가 순차적으로 후단으로 시프트되며, 각 유지부로부터 펄스 폭이 긴 래치신호(L1 ∼ Ln)가 출력된다. 래치신호(L1 ∼ Ln)에 기초하여 홀수 데이터신호(DTO) 및 짝수 데이터신호(DTE)가 데이터 래치(40)내의 각 래치(411∼ 41n)에서 유지되어 출력된다.

Description

인터페이스 회로
본 발명은, 예컨대 중앙처리장치(이하,「CPU」) 등으로부터 액정표시장치 (이하,「LCD」) 등의 주변장치에 대하여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 특히 그러한 고속 데이터전송에 따른 노이즈 대책에 관한 것이다.
도 2 는 종래의 LCD 에 대한 인터페이스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이 인터페이스 회로는 도시하지 않은 CPU 등으로부터 데이터전송 타이밍을 나타내는 클록신호(CK)와, 데이터전송의 시작을 나타내는 시작신호(ST)가 부여되는 시프트 레지스터(1)와, CPU 등으로부터의 표시용 데이터(DT)가 순차적으로 부여되며, 이들 데이터(DT)를 표시하기 위하여 유지하는 데이터 래치(2)로 구성되어 있다.
시프트 레지스터(1)는 n 단의 종속(縱續)접속된 지연형 플립플롭(이하,「FF」) (11,12,…,1n)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첫단 FF(11)의 입력단자(D)에 시작신호(ST)가 부여되고, 각 단 FF(11∼1n)의 클록단자(C)에는 클록신호(CK)가 공통으로 부여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래치(2)는 n 개의 래치(21,22,…,2n)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래치(21∼ 2n)의 입력단자(D)에는 데이터(DT)가 공통으로 부여되어 있다. 또한, 각 래치(2i)(단, i=1∼n)의 인에이블 단자(G)는 시프트 레지스터(1)내의 대응하는 FF(1i)의 출력측에 접속되며, CPU 등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부여되는 n 개의 데이터(DT)를 그 순서대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n 개의 래치(21∼ 2n)의 출력단자(Q)는 래치회로(3)의 입력측에 접속되며, 래치신호(LA)에 기초하여 동일 타이밍으로 이 래치회로(3)에 표시용 데이터(DT)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래치회로(3)의 출력측은 구동회로(4)의 입력측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회로(4)는 각 데이터(DT)를 LCD 구동용 구동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이 구동회로(4)의 출력측에 LCD(5)가 접속되어 있다.
도 3 은 도 2 의 인터페이스 회로의 동작시퀀스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이하, 도 3 을 참조하여 도 2 의 인터페이스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록신호(CK)가 레벨“H”에서 레벨“L”로 하강하면, 이것에 동기하여 시작신호(ST)가“H”로 변화된다.
이어서, 클록신호(CK)가“L”에서“H”로 상승하면, 이 상승 타이밍에 의하여 도 2 의 FF(11)의 입력단자(D)에 부여되어 있는 시작신호(ST)의 레벨“H”가 유지되며, 이 FF(11)의 출력신호(L1)가“H”로 된다. 이와 동시에 CPU 등으로부터 데이터(DT)로서“DT1”이 출력된다. FF(11)의 출력신호(L1)가“H”로 되면, 래치(21)에 데이터 "DT1”이 유지되며, 이 래치(21)의 출력단자(Q)에는 출력신호(DD1)로서 데이터“DT1”이 출력된다.
이 후, 클록신호(CK)가“L”로 변화되면, 이에 맞춰 시작신호(ST)도 동시에“L”로 변화된다. 또한, 클록신호(CK)가“H”로 변화되면, FF(11)의 출력신호(L1)는“L”로 변화되고, 래치(21)의 출력신호(DD1)는“DT1”그대로 유지된다. 한편, FF(12)의 출력신호(L2)는“H”로 변화되고, 이 타이밍에서 CPU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DT)가“DT2”로 변경된다. 그럼으로써, 래치(22)에는 데이터“DT2”가 유지되며, 이 래치(22)의 출력단자(Q)에는 출력신호(DD2)로서 데이터“DT2”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클록신호(CK)의 상승에 동기하여 순차적으로 CPU 등으로부터 부여되는 데이터(DT)가 데이터 래치(2)내의 대응하는 래치(21∼ 2n)에 유지되며, 래치회로(3) 및 구동회로(4)를 통해 LCD(5)에 부여된다.
그러나, 종래의 인터페이스 회로에서는 다음 (1), (2) 의 과제가 있었다.
(1) LCD(5) 등의 표시장치의 화면사이즈가 대형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송해야 할 데이터량이 증가하고 있다. 1 화면의 표시주기는 인간의 눈의 특성에 따라 거의 정해져 있기 때문에, 데이터량의 증가는 전송속도의 고속화에 의해 해결해야 한다. 전송속도를 고속화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전송용 클록신호(CK)의 주파수를 높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클록신호(CK)의 주파수를 높이면 인터페이스 회로의 소비전류가 증가한다.
(2) 클록신호(CK)의 주파수를 높이면, 고주파신호가 외부로 방사되어, 소위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전자기 장해)잡음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클록신호(CK)의 주파수를 올리지 않고 전송데이터량의 증가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종래기술이 가지고 있던 (1), (2) 의 과제를 해결한 인터페이스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회로의 구성도;
도 2 는 종래의 인터페이스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3 은 도 2 의 인터페이스 회로의 동작시퀀스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
도 4 는 도 1 의 인터페이스 회로의 동작시퀀스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회로의 구성도; 및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회로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3,21,31,32,35,37 : FF(플립플롭) 14, 36 : 셀렉터
20 : 시프트 레지스터 222∼ 22n, 441∼ 44n: 래치
33,34 : 데이터라인 40 : 데이터 래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 중의 제 1 발명은, 인터페이스 회로에 있어서, 일정주기로 부여되는 데이터 타이밍신호를 분주하여, 상기 일정주기의 2 배의 주기로 상이한 제 1 및 제 2 레벨로 교대로 변화하는 클록신호를 생성하는 분주수단과, 데이터의 시작타이밍을 나타내는 시작신호에 기초하여 입력이 시작되며, 상기 데이터 타이밍신호에 동기하여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n 개의 데이터 중 홀수번째 데이터를 상기 클록신호가 제 1 레벨에서 제 2 레벨로 변화하는 타이밍에서 유지하여 출력하는 제 1 유지수단과, 상기 n 개의 데이터 중 짝수번째 데이터를 상기 클록신호가 제 2 레벨에서 제 1 레벨로 변화하는 타이밍에서 유지하여 출력하는 제 2 유지수단과, 다음과 같은 시프트수단과, 복수의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시프트수단은, 종속접속된 n 단의 유지부를 가지며, 이 유지부의 첫단에 부여된 상기 시작신호를 상기 클록신호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후단으로 시프트시켜 유지하는 것이다. 복수의 제 1 데이터 유지수단은, 각각 상기 제 1 유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홀수번째의 각 데이터를 상기 시프트수단에 대응하는 각 홀수단째 유지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유지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복수의 제 2 데이터 유지수단은, 각각 상기 제 2 유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짝수번째의 각 데이터를 상기 시프트수단에 대응하는 각 짝수단째 유지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유지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제 2 발명은, 인터페이스 회로에 있어서, 데이터의 시작타이밍을 나타내는 시작신호에 기초하여 입력이 시작되며, 상이한 제 1 및 제 2 레벨로 교대로 변화하는 클록신호에 동기하여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n 개의 데이터 중 홀수번째 데이터를 상기 클록신호가 제 1 레벨에서 제 2 레벨로 변화하는 타이밍에서 유지하여 출력하는 제 1 유지수단과, 제 1 발명과 동일한 제 2 유지수단과, 시프트수단과,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제 3 발명은, 제 1 및 제 2 발명의 인터페이스 회로에 있어서의 시프트수단을, 상기 시작신호를 상기 클록신호가 제 1 레벨에서 제 2 레벨로 변화하는 타이밍 또는 제 2 레벨에서 제 1 레벨로 변화하는 타이밍에서 유지하여 출력하는 동기형 FF 에 의한 첫단 유지부와, 이 첫단 유지부의 출력측에 종속접속되며, 전단(前段)의 출력신호를 상기 클록신호에 기초하여 유지하여 출력하는 비동기형 FF 에 의한 n-1 단의 유지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3 발명에 의하면, 이상과 같은 인터페이스 회로의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작용이 이루어진다.
데이터 타이밍신호는 분주수단에 의해 1/2 로 분주되어 클록신호가 생성된다.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데이터 중 홀수번째 데이터가 제 1 유지수단에서, 짝수번째 데이터가 제 2 유지수단에서 각각 클록신호의 상승 또는 하강변화의 타이밍에서 유지되어 출력된다. 한편, n 단의 유지부를 갖는 시프트수단에 있어서, 데이터의 시작을 나타내는 시작신호는 클록신호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후단으로 시프트되어 유지된다.
제 1 데이터 유지수단에 있어서, 제 1 유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된 홀수번째 데이터는 시프트수단의 홀수단째 유지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유지되어 출력된다. 또한, 제 2 데이터 유지수단에 있어서, 제 2 유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짝수번째 데이터는 시프트수단의 짝수단째 유지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유지되어 출력된다.
제 2 및 제 3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이 이루어진다.
클록신호의 상승 및 하강에 동기하여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데이터 중의 홀수번째 데이터가 제 1 유지수단에서, 짝수번째 데이터가 제 2 유지수단에서 각각 유지되어 출력된다. 한편, 시프트수단에 있어서, 데이터의 시작을 나타내는 시작신호는 클록신호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후단으로 시프트되어 유지된다.
제 1 데이터 유지수단에 있어서, 제 1 유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된 홀수번째 데이터는 시프트수단의 홀수단째 유지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유지되어 출력된다. 또한, 제 2 데이터 유지수단에 있어서, 제 2 유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짝수번째 데이터는 시프트수단의 짝수단째 유지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유지되어 출력된다.
제 1 실시예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회로의 구성도이다.
이 인터페이스 회로는 분주수단(예를 들면, 지연형 FF)(11)을 갖고 있다. FF(11)의 클록단자(C)에는, 도시하지 않은 CPU 등으로부터 데이터전송 타이밍을 나타내는 데이터 타이밍신호(TM)가 부여되어 있다. FF(11)의 반전 출력단자(/Q)(여기서,「/」은 반전을 의미함)는 입력단자(D)에 접속되어 있고, 출력단자(Q) 로부터 데이터 타이밍신호(TM)가 1/2 로 분주되며, 이 데이터 타이밍신호(TM)의 상승에 동기된 클록신호(CK)가 출력된다. 또한, 반전 출력단자(/Q)로부터는 클록신호(CK)를 반전시킨 클록신호(/CK)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인터페이스 회로는 시프트수단(예를 들면, 시프트 레지스터)(20)을 갖고 있다. 시프트 레지스터(20)는 첫단 유지부로서 동기형 FF, 즉 지연형 FF(21)가 설치되며, 이 FF(21)의 후단에 종속접속된 비동기형 FF인 래치(222,223,…,22n) 에 의해 n-1 단의 유지부가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FF(21)의 입력단자(D)에는 CPU 등으로부터의 데이터(DT)의 시작을 나타내는 시작신호(ST)가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시프트 레지스터(20)의 홀수단째 유지부, 즉 FF(21)의 클록단자(C) 및 래치(233,235,…)의 인에이블 단자(G)에는 FF(11)로부터의 클록신호(CK)가 부여되고, 짝수단째 유지부, 즉 래치(232,234,…) 의 인에이블 단자(G)에는 FF(10)으로부터의 클록신호(/CK)가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FF(21) 및 래치(222∼ 22n)의 각 유지부의 출력단자(Q)로부터 각각 래치신호(L1,L2,…,Ln)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인터페이스 회로는 제 1 및 제 2 유지수단(예를 들면, 지연형 FF)(31,32)을 갖고 있다. FF(31,32)의 입력단자(D)에는 CPU 등으로부터 데이터(DT)가 공통으로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FF(31,32)의 각 클록단자(C)에는 FF(11)으로부터의 클록신호(CK,/CK)가 각각 부여되어 있다.
FF(31,32)의 출력단자(Q)에는 n 개의 래치(411,412,…,41n)로 구성되는 데이터 래치(40)가 접속되어 있다. 즉, FF(31)의 출력단자(Q)에는 제 1 데이터 유지수단(예를 들면, 홀수번째 래치)(411,413,…)의 입력단자(D)가 공통으로 접속되고, FF(32)의 출력단자(Q)에는 제 2 데이터 유지수단(예를 들면, 짝수번째 래치)(412,414,…)의 입력단자(D)가 공통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래치(40)의 각 래치(411∼ 41n)의 인에이블 단자(G)에는 시프트 레지스터(20)로부터의 래치신호(L1∼ Ln)가 각각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도 4 는 도 1 의 인터페이스 회로의 동작 시퀀스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이하, 도 4 를 참조하여 도 1 의 인터페이스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 중의 FF(11)에 의해 데이터 타이밍신호(TM)가 1/2 로 분주되어 이 데이터 타이밍신호(TM)의 상승에 동기하여 레벨“H”,“L”로 교대로 변화하는 클록신호(CK)와 이 클록신호(CK)를 반전한 클록신호(/CK)가 생성된다.
도 4 의 시각(t1)에 있어서, 데이터 타이밍신호(TM)의 하강에 동기하여 시작신호(ST)가“H”로 변화되고, 이와 함께 CPU 등으로부터 데이터(DT)로서“DT1”의 데이터가 출력된다.
시각(t2)에 있어서, 데이터 타이밍신호(TM)가 상승하면, FF(11)에서 생성되는 클록신호(CK)는“L”에서“H”로 변화된다. FF(31)의 클록단자(C)에는 클록신호(CK)가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이 클록신호(CK)의 상승타이밍에 따라 데이터(DT)가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FF(31)의 출력측 홀수 데이터신호(DTO)는“DT1”으로 된다.
한편, 시작신호(ST)는 시프트 레지스터(20)에 있어서의 FF(21)의 입력단자(D)에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클록신호(CK)의 상승에 의해 이 FF(21)에 유지되며, 래치신호(L1)는“H”로 변화된다. 그리고, 래치신호(L1)는 래치(411)의 인에이블 단자(G)에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이 래치(411)에 의해 FF(31)로부터 출력되는 홀수 데이터신호(DTO)가 유지되며, 래치(411)의 출력신호(DD1)는“DT1”으로 된다.
시각(t3)에 있어서, 데이터 타이밍신호(TM)가 하강하고, 시작신호(ST)가“L”로 변화되며, 그리고 데이터(DT)가“DT2”로 변경된다.
시각(t4)에 있어서, 데이터 타이밍신호(TM)가 상승하면, FF(11)에서 생성되는 클록신호(/CK)는“L”에서“H”로 변화된다. FF(32)의 클록단자(C)에는 클록신호(/CK)가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이 클록신호(/CK)의 상승에 의해 데이터(DT)가 래치된다. 그럼으로써, FF(32)의 출력측 짝수 데이터신호(DTE)가“DT2”로 된다.
한편, 래치신호(L1)는 시프트 레지스터(20)에 있어서의 래치(222)의 입력단자(D)에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클록신호(/CK)의 상승에 의해 이 래치(222)에 유지되며, 래치신호(L2)는“H”로 변화된다. 그리고, 래치신호(L2)는 래치(412)의 인에이블 단자(G)에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이 래치(412)에 의해 FF(32)로부터 출력되는 짝수 데이터신호(DTE)가 유지되며, 래치(412)의 출력신호(DD2)는“DT2”로 된다.
시각(t5)에 있어서의 데이터 타이밍신호(TM)의 하강에 동기하여 데이터(DT)는“DT3”로 변경된다.
시각(t6)에 있어서, 데이터 타이밍신호(TM)가 상승하면, FF(11)에서 생성되는 클록신호(CK)는“L”에서“H”로 변화된다. 그럼으로써, FF(31)의 출력측 홀수 데이터신호(DTO)는“DT3”로 된다.
FF(21)의 입력단자(D)에 부여되는 시작신호(ST)는“L”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클록신호(CK)의 상승에 의해 래치신호(L1)는“L”로 변화된다. 그럼으로써, 래치(411)의 인에이블 단자(G)에 부여되는 신호는“L”로 변화되며, 이 래치(411)의 출력신호(DD1)는“DT1”그대로 유지된다.
한편, 래치신호(L2)는“H”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클록신호(CK)의 상승에 의해 래치(223)로부터 출력되는 래치신호(L3)는“H”로 변화된다. 또한, 래치신호(L3)는 래치(413)의 인에이블 단자(G)에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이 래치(413)에 의해 FF(31)로부터 출력되는 홀수 데이터신호(DTO)가 유지되며, 래치(413)의 출력신호(DD3)는“DT3”로 된다.
시각(t7)에 있어서의 데이터 타이밍신호(TM)의 하강에 동기하여 데이터(DT)는“DT4”로 변경된다.
시각(t8)에 있어서, 데이터 타이밍신호(TM)가 상승하면, 클록신호(/CK)는“L”에서“H”로 변화된다. 그럼으로써, FF(32)의 출력측 짝수 데이터신호(DTE)는“DT4”로 된다. 또한, 래치(222)의 입력단자(D)에 부여되는 래치신호(L1)는“L”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클록신호(/CK)의 상승에 의해 래치신호(L2)는“L”로 변화한다. 그럼으로써, 래치(412)의 인에이블 단자(G)에 부여되는 신호는“L”로 변화되며, 이 래치(412)의 출력신호(DD2)는“DT2”그대로 유지된다.
한편, 래치신호(L3)는“H”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클록신호(/CK)의 상승에 의해 래치(224)로부터 출력되는 래치신호(L4)는“H”로 변화된다. 그리고, 래치신호(L4)는 래치(414)의 인에이블 단자(G)에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이 래치(414)에 의해 FF(32)로부터 출력되는 짝수 데이터신호(DTE)가 유지되며, 래치(414)의 출력신호(DD4)는“DT4”로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의 반복에 의해 데이터 래치(40)내의 각 래치(411∼ 41n)에는 CPU 등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부여되는 데이터(DT)가 순차적으로 유지되어 출력신호(DD1 ∼ DDn)로서 각각“DT1 ∼ DTn”의 데이터가 출력된다.
이상과 같이, 이 제 1 실시예의 인터페이스 회로는, 데이터(DT)의 전송 타이밍을 나타내는 데이터 타이밍신호(TM)를 1/2 로 분주하여 1/2 주파수의 클록신호(CK,/CK)를 생성하는 FF(11)과, 이들 클록신호(CK,/CK)의 상승 타이밍에서 데이터(DT)를 순차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시프트 레지스터(20), FF(31,32) 및 데이터 래치(40)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도 2 의 종래의 인터페이스 회로의 1/2 주파수의 클록신호(CK,/CK)로 데이터전송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1), (2) 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시프트 레지스터(20)는 비동기형 FF 인 래치(222∼ 22n)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2 의 종래의 동기형 FF(11∼ 1n)로 구성된 시프트 레지스터(1)에 비하여 회로규모를 간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 2 실시예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회로의 구성도이며, 도 1 중의 요소와 공통된 요소에는 공통된 부호가 붙어 있다.
이 인터페이스 회로는, 예를 들면 CPU 등으로부터 부여되는 데이터(DT)의 변화에 맞춰“L”및“H”의 레벨이 변화하는 클록신호(CK)가 부여되는 경우의 인터페이스 회로이다. 즉, 도 1 에 있어서의 데이터 타이밍신호(TM)가 아니라, 이 데이터 타이밍신호(TM)를 1/2 로 분주한 클록신호(CK)가 직접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 중의 FF(11)를 삭제함과 동시에 부여된 클록신호(CK)를 반전시켜 반전된 클록신호(/CK)를 생성하기 위한 인버터(12)를 설치하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도 1 과 동일하다.
이 제 2 실시예의 인터페이스 회로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동작은, 도 1 의 제 1 실시예의 인터페이스 회로와 동일하고 동일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CPU 등으로부터의 클록신호(CK)의 주파수가 1/2 로 되기 때문에, 클록 전송로(傳送路)로부터의 EMI 잡음이 저감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제 3 실시예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회로의 구성도이며, 도 1 중의 요소와 공통된 요소에는 공통된 부호가 붙어 있다.
이 인터페이스 회로는, 예를 들면 CPU 등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부여되는 데이터(DT)를 미리 홀수 데이터신호(DTO), 즉“DT1”,“DT3”,“DT5”, … 로, 짝수 데이터신호(DTE), 즉“DT2”,“DT4”,“DT6”, … 로 분리하여 각각의 데이터라인(33,34)을 통해 부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 인터페이스 회로는 지연형 FF(13)와 셀렉터(14)를 갖고 있으며, 이 FF(13)의 클록단자(C)와 셀렉터(14)의 입력단자(A)에 데이터 타이밍신호(TM) 또는 클록신호(CK)가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FF(13)의 출력단자(/Q)는 이 FF(13)의 입력단자(D)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FF(13)의 출력단자(Q)는 셀렉터(14)의 입력단자(B)에 접속되어 있다. 셀렉터(14)의 선택단자(S)에는 선택신호(SEL)가 부여되어 있으며, 이 선택신호(SEL)가“L”일 때에 입력단자(A)가,“H”일 때에 입력단자(B)가 선택되어 출력단자(X)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셀렉터(14)의 출력측은 시프트 레지스터(20)내의 홀수단째 유지부, 즉 FF(21)의 클록단자(C) 및 래치(233,235,…)의 인에이블 단자(G)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셀렉터(14)의 출력측은 인버터(15)를 통해 시프트 레지스터(20)내의 짝수단째 유지부, 즉 래치(232,234,…)의 인에이블 단자(G)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인터페이스 회로는 데이터(DT) 또는 홀수 데이터신호(DTO)가 부여되는 데이터라인(33)과, 짝수 데이터신호(DTE)가 부여되는 데이터라인(34)을 갖고 있다. 데이터라인(33)은 지연형 FF(35)의 입력단자(D)와 셀렉터(36)의 입력단자(B)에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라인(34)은 셀렉터(36)의 입력단자(A)에 접속되어 있다. 셀렉터(36)의 선택단자(S)에는 선택신호(SEL)가 부여되어 있으며, 이 선택신호(SEL)가“L”일 때에 입력단자(A)가,“H”일 때에 입력단자(B)가 선택되어 출력단자(X)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셀렉터(36)의 출력측은 지연형 FF(37)의 입력단자(D)에 접속되어 있다.
FF(35)의 클록단자(C)에는 셀렉터(14)의 출력단자(X)로부터의 클록신호(CK)가 부여되어 있으며, 그 출력단자(Q)가 데이터 래치(40)내의 홀수번째 래치(411,413,…)의 입력단자(D)에 공통접속되어 있다. 또한, 선택신호(SEL)와 셀렉터(14)로부터 출력되는 클록신호(CK)는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이하,「EOR」)(38) 를 통해 FF(37)의 클록단자(C)에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FF(37)의 출력단자(Q) 는 데이터 래치(40)내의 짝수번째 래치(412,414,…) 의 입력단자(D)에 공통접속되어 있다.
이어서, 선택신호(SEL)가“L”일 때의 동작 (ⅰ) 과“H”일 때의 동작 (ⅱ) 에 대하여 설명한다.
(ⅰ) 선택신호(SEL)가“L”일 때의 동작
도시하지 않은 CPU 등으로부터 데이터(DT)를 홀수번째 데이터와 짝수번째 데이터로 분리하여, 데이터라인(33)을 통해 홀수 데이터신호(DTO)가, 데이터라인(34)를 통해 짝수 데이터신호(DTE)가 각각 부여된다. 또한, 셀렉터(14)의 입력단자(A)에는 클록신호(CK)가 부여된다.
한편, 선택신호(SEL)가“L”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 셀렉터(14,36)에서는 입력단자(A)가 선택되어 출력단자(X)에 접속된다. 그럼으로써, FF(35)의 클록단자(C)에 클록신호(CK)가 부여되며, 이 클록신호(CK)의 상승 타이밍에서 홀수 데이터신호(DTO)가 유지되어 데이터 래치(40)에 부여된다. 또한, FF(37)의 클록단자(C)에는 EOR(38)을 통해 클록신호(CK)가 부여되며, 이 클록신호(CK)의 상승 타이밍에서 짝수 데이터신호(DTE)가 유지되어 데이터 래치(40)에 부여된다.
시프트 레지스터(20) 및 데이터 래치(40)에 있어서의 동작은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ⅱ) 선택신호(SEL)가“H”일 때의 동작
도시하지 않은 CPU 등으로부터 데이터라인(33)을 통해 순차적으로 데이터(DT)가 부여되고, FF(13)의 클록단자(C)에는 데이터 타이밍신호(TM)가 부여된다.
한편, 선택신호(SEL)가“H”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 셀렉터(14,36)에서는 입력단자(B)가 선택되어 출력단자(X)에 접속된다. 그럼으로써, FF(35,37)의 입력단자(D)에는 데이터(DT)가 공통으로 부여된다. 또한, FF(35)의 클록단자(C) 에는 FF(13)에 의해 데이터 타이밍신호(TM)가 1/2 로 분주된 클록신호(CK)가 부여된다. 또한, FF(37)의 클록단자(C)에는 EOR(38)에 의해 반전된 클록신호(/CK)가 부여된다. 그럼으로써, 도 1 과 동일한 회로구성으로 되며,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이 제 3 실시예의 인터페이스 회로는 셀렉터(14,36)를 갖기 때문에, CPU 측 등에서 홀수번째와 짝수번째 데이터(DT)를 분리하여 인터페이스 회로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이점에 더하여, 2 개의 데이터라인(33,34)을 사용하여 이들 데이터라인(33,34)상의 전송속도를 낮춰 데이터(DT)를 전송함으로써, EMI 잡음을 저감시킨다는 방법도 선택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 변형예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의 (a), (b) 와 같은 것이 있다.
(a) FF(31,32)에 의해 데이터(DT)를 홀수 데이터신호(DTO) 와 짝수 데이터신호(DTE) 2 개로 나누고 있지만, 추가로 다수의 FF 를 사용하여 다수의 데이터신호로 나누어도 좋다. 그럼으로써, 래치신호(L1,…,Ln)의 펄스 폭을 더욱 길게 할 수 있으므로, EMI 잡음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b) 도 1, 도 5 및 도 6 의 회로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한 기능을 갖는 회로라면, 어떠한 회로구성이어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타이밍신호를 1/2 로 분주하여 클록신호를 생성하는 분주수단과,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홀수번째 데이터와 짝수번째 데이터로 나누어 유지하는 제 1 및 제 2 유지수단을 갖고 있다. 그럼으로써, 이들 데이터를 래치하기 위한 시프트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의 펄스폭이 2 배로 되어 소비전력과 EMI 잡음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타이밍신호의 2 배의 주기를 갖는 클록신호를 입력하여 이 클록신호에 의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홀수번째 데이터와 짝수번째 데이터로 나누어 유지하는 제 1 및 제 2 유지수단을 갖고 있다. 그럼으로써, 제 1 발명의 효과에 더해 클록전송로로부터의 EMI 잡음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시프트수단이 주로 비동기형 FF 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두 동기형 FF 로 구성된 시프트수단에 비하여 회로규모를 간소화할 수 있다.

Claims (3)

  1. 일정주기로 부여되는 데이터 타이밍신호를 분주하며, 상기 일정주기의 2 배의 주기로 상이한 제 1 및 제 2 레벨로 교대로 변화되는 클록신호를 생성하는 분주수단과,
    데이터의 시작타이밍을 나타내는 시작신호에 기초하여 입력이 시작되며, 상기 데이터 타이밍신호에 동기하여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n 개의 데이터 중의 홀수번째 데이터를 상기 클록신호가 제 1 레벨에서 제 2 레벨로 변화하는 타이밍에서 유지하여 출력하는 제 1 유지수단과,
    상기 n 개의 데이터 중의 짝수번째 데이터를 상기 클록신호가 제 2 레벨에서 제 1 레벨로 변화하는 타이밍에서 유지하여 출력하는 제 2 유지수단과,
    종속접속된 n 단의 유지부를 가지며, 상기 유지부의 첫단에 부여된 상기 시작신호를 상기 클록신호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후단으로 시프트시켜 유지하는 시프트수단과,
    상기 제 1 유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홀수번째의 각 데이터를 상기 시프트수단에 대응하는 각 홀수단째 유지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유지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제 1 데이터 유지수단과,
    상기 제 2 유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짝수번째의 각 데이터를 상기 시프트수단에 대응하는 각 짝수단째 유지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유지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제 2 데이터 유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2. 데이터의 시작타이밍을 나타내는 시작신호에 기초하여 입력이 시작되며, 상이한 제 1 및 제 2 레벨로 교대로 변화되는 클록신호에 동기하여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n 개의 데이터 중의 홀수번째 데이터를 상기 클록신호가 제 1 레벨에서 제 2 레벨로 변화하는 타이밍에서 유지하여 출력하는 제 1 유지수단과,
    상기 n 개의 데이터 중의 짝수번째 데이터를 상기 클록신호가 제 2 레벨에서 제 1 레벨로 변화하는 타이밍에서 유지하여 출력하는 제 2 유지수단과,
    종속접속된 n 단의 유지부를 가지며, 상기 유지부의 첫단에 부여된 상기 시작신호를 상기 클록신호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후단으로 시프트시켜 유지하는 시프트수단과,
    상기 제 1 유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홀수번째의 각 데이터를 상기 시프트수단에 대응하는 각 홀수단째 유지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유지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제 1 데이터 유지수단과,
    상기 제 2 유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짝수번째의 각 데이터를 상기 시프트수단에 대응하는 각 짝수단째 유지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유지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제 2 데이터 유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수단은 상기 시작신호를 상기 클록신호가 제 1 레벨에서 제 2 레벨로 변화하는 타이밍 또는 제 2 레벨에서 제 1 레벨로 변화하는 타이밍에서 유지하여 출력하는 동기형 플립플롭에 의한 첫단 유지부와, 상기 첫단 유지부의 출력측에 종속접속되며, 전단의 출력신호를 상기 클록신호에 기초하여 유지하여 출력하는 비동기형 플립플롭에 의한 n-1 단의 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퍼페이스 회로.
KR1019980028602A 1997-07-17 1998-07-15 인터페이스 회로 KR100333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92405A JPH1141299A (ja) 1997-07-17 1997-07-17 インタフェース回路
JP97-192405 1997-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886A KR19990013886A (ko) 1999-02-25
KR100333564B1 true KR100333564B1 (ko) 2002-06-20

Family

ID=16290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602A KR100333564B1 (ko) 1997-07-17 1998-07-15 인터페이스 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40723A (ko)
JP (1) JPH1141299A (ko)
KR (1) KR100333564B1 (ko)
TW (1) TW4515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3206B2 (ja) * 1998-09-24 2007-08-08 富士通株式会社 高速クロックに対応可能な入力バッファを持つ集積回路装置
KR100326200B1 (ko) * 1999-04-12 2002-02-27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데이터 중계장치와 이를 이용한 액정패널 구동장치, 모니터 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0419149B1 (ko) * 1999-09-22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기식 시스템에서 이엠아이 발생 방지를 위한 동기 신호 전송 제어 장치 및 방법
GB2372599B (en) * 2001-02-27 2003-04-30 3Com Corp Clocking scheme for asic
US8831161B2 (en) * 2011-08-31 2014-09-09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low power audio visual interface interoperabilit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7637A (ja) * 1992-07-21 1994-03-11 Mitsubishi Electric Corp 同期信号弁別回路
JPH06138838A (ja) * 1992-10-28 1994-05-20 Fuji Electric Co Ltd Lcdドライバ集積回路素子
JPH0738535A (ja) * 1993-07-20 1995-02-07 Daido Signal Co Ltd ノイズ除去回路
JPH0884069A (ja) * 1994-09-12 1996-03-26 Mitsubishi Electric Corp 可変分周器
KR19980067312A (ko) * 1997-02-03 1998-10-15 문정환 엘씨디(lcd) 패널의 구동전압 공급회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2057A (en) * 1988-03-11 1991-06-04 Hitachi, Ltd. Bit synchronization circuit
KR100194624B1 (ko) * 1996-12-02 1999-06-15 이계철 데이타 리타이밍 회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7637A (ja) * 1992-07-21 1994-03-11 Mitsubishi Electric Corp 同期信号弁別回路
JPH06138838A (ja) * 1992-10-28 1994-05-20 Fuji Electric Co Ltd Lcdドライバ集積回路素子
JPH0738535A (ja) * 1993-07-20 1995-02-07 Daido Signal Co Ltd ノイズ除去回路
JPH0884069A (ja) * 1994-09-12 1996-03-26 Mitsubishi Electric Corp 可変分周器
KR19980067312A (ko) * 1997-02-03 1998-10-15 문정환 엘씨디(lcd) 패널의 구동전압 공급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886A (ko) 1999-02-25
JPH1141299A (ja) 1999-02-12
TW451570B (en) 2001-08-21
US6040723A (en) 2000-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585B1 (ko) 반도체장치
KR20050041612A (ko) 데이터 출력에 관한 동작마진이 향상된 메모리 장치
CN110912549A (zh) 一种串并转换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
KR100660639B1 (ko) 더블 데이터 레이트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출력 회로 및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
KR20010068165A (ko) 데이터 래치 회로와 그 구동 방법
US6049236A (en) Divide-by-one or divide-by-two qualified clock driver with glitch-free transitions between operating frequencies
KR100333564B1 (ko) 인터페이스 회로
KR100393669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듀얼 클럭 소스 구동회로
JP2006101269A (ja) ラッチクロック生成回路及びシリアル−パラレル変換回路
JP3846871B2 (ja) パラレル・シリアル変換回路、シリアルデータ生成回路、同期信号生成回路、クロック信号生成回路、シリアルデータ送信装置、シリアル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シリアル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20070109418A (ko) 프리엠퍼시스를 가지는 직렬 전송 장치
JP2002182777A (ja) クロック切り換え回路
US6026141A (en) One load conditional look ahead counter
CN111969981B (zh) 一种时钟产生电路和随机数产生电路
JPH10133768A (ja) クロックシステム、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のテスト方法、及びcad装置
EP0472157A2 (en) High-speed signal multiplexing circuit for multiplexing high-speed signals
KR100556455B1 (ko) 티에프티-엘시디(tft-lcd)의게이트구동회로
JP2997787B2 (ja) 駆動回路
KR970049405A (ko) 엑스.지.에이.(x.g.a) 그래픽시스템
KR100336759B1 (ko) 클럭신호 선택회로
KR19990023415A (ko) 플립플롭회로 및 회로설계시스템
KR20000028949A (ko) 클럭 신호 생성 회로
KR100692675B1 (ko) 화소를 분할구동하는 액정표시장치
KR0184153B1 (ko) 주파수 분주 회로
KR950001175B1 (ko) 개선된 데이타 시프트 레지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