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992B1 - 브레이크라이닝마모표시기조립체 - Google Patents

브레이크라이닝마모표시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992B1
KR100330992B1 KR1019930027727A KR930027727A KR100330992B1 KR 100330992 B1 KR100330992 B1 KR 100330992B1 KR 1019930027727 A KR1019930027727 A KR 1019930027727A KR 930027727 A KR930027727 A KR 930027727A KR 100330992 B1 KR100330992 B1 KR 100330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cable
wear indicator
indicator assembly
brake l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7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5317A (ko
Inventor
리차드에드가톰프슨
안토니존윌리암스
키에론벤자민올리버브룩스
Original Assignee
루카스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30215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3099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GB929226078A external-priority patent/GB9226078D0/en
Priority claimed from GB939302348A external-priority patent/GB9302348D0/en
Application filed by 루카스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루카스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40015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5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16D66/02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 F16D66/021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using electrical detection or indication means
    • F16D66/026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using electrical detection or indication means indicating different degrees of lining w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16D66/02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 F16D66/021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using electrical detection or ind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16D55/226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the axial movement being guided by one or more pins engaging bores in the brake support or the brake housing
    • F16D55/227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the axial movement being guided by one or more pins engaging bores in the brake support or the brake housing by two or more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키 조립체는, 그 일단부에 인접하게 자동차 브레이크의 마찰 라이닝 (7)에 부착하기 위한 마모 센서 장치(8) 를 지니는 케이블 (9) 과, 그 타단부에서 사용시 상기 센서를 마모 감지 및 표시 회로에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한다. 케이블 지지장치 (10) 가 상기 마모 센서 장치 (8) 와 전기 커넥터 (11) 사이에 연장하여 케이블 (9) 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며, 그것은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를 브레이크에 관한 작동위치에 지지하도록 브레이크 본체의 일부와 협력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케이블 지지장치 (10) 는 지지된 케이블을 제동 중 발생하는 유해한 상태로부터 보호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조립체는 브레이크에 부착하기 위한 내장된 유닛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
본 발명은, 자동차 브레이크의 마찰 라이닝에 부착하기 위하여 일단부에 인접한 마모 센서 장치를 지니는 케이블, 및 사용 중 마모 감지 및 표시 회로에 상기 센서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그 타단부에 전기 커넥터 (electrical connector) 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종류의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마모표시기 조립체는 사용중, 때때로, 제동작동에 관련된 브레이크에 의해 발생되는 강력한 열에 의해 손상되며, 브레이크 마찰 라이닝의 마모로서 발생되는 라이닝 먼지 또는 부스러기 뿐만 아니라 도로의 흙 및 먼지와 같은 외부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에 의해 오염된다. 전술된 종류의 조립체의 케이블은, 디스크 브레이크에 사용될 때, 제동 열에 의해 또한 회전 브레이크 디스크와의 가능한 접촉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데, 그 이유는, 종종 케이블이, 브레이크 패드들 중 하나에 연결하기 위하여, 디스크에 걸쳐질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디스크를 연결하는 패드 유지 소음 방지 스프링 장치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브레이크 하우징의 부분에 볼트 고정되는 홈통 (trough) 내로 마모표시기 케이블을 배치함으로써, 디스크 브레이크의 디스크를 가로질러 마모표시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방식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는, 케이블이 비교적 쉽게 손상을 받을 수 있으며, 또한 브레이크 제조라인에서의 조립이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문제점이 경감되거나 회피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된 종류의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는 센서와 커넥터 사이에서 연장하는 케이블 지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지지장치는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하며 또한 브레이크에 관련하여 작동위치에 마모표시기 조립체를 지지하도록 브레이크 본체의 일부와 상호협력하며, 상기 케이블 지지장치는 그것에 의해 지지된 상기 케이블을 제동작동 중 발생하는 유해한 상태로부터 보호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조립체가 조립된 브레이크에 부착하기 위한 내장형 유닛을 형성한다.
상기 케이블 지지장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하여 가늘고 긴 홈통 또는 관의 형태로 되며 브레이크 구조체상의 중공의 러그 등에 맞물리기에 적합한 적어도 일부분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 지지장치가 관의 형태로 되면, 케이블 지지장치는 적절하게는 내측 및 외측의 부분원형부재로 이루어지며, 그 부분원형부재는 그것들의 한쪽의 상대적인 배치에 있어서 그것들이 케이블 부분의 관통을 허용하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을 구비하며, 또한 다른쪽의 상대적인 배치에 있어서 그것들이 상기 케이블 부분을 수용하고 보호하기 위한 폐쇄된 중공 부분 용기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이 장치는, 적어도 그것의 폐쇄위치에서 상기 내측 및 외측의 부분원형부재를 쇄정하기 위한 멈춤쇠 등과 같은 쇄정수단을 합체할 수 있다.
한가지 적절한 배치에 있어서, 케이블 지지장치는 케이블을 수용하는 플라스틱 또는 수지재료로 이루어진 가늘고 긴 코어 (core) 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코어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의 보호 덮개 (sheath) 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케이블은 코어에 주조되며, 또한 상기 코어가 마모표시기를 외부 회로에 연결하기 위하여 전기 커넥터에 고정되거나 또는 그것과 일체로 주조되는 것이 편리하다.
이하, 본 발명이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실시예 방식으로 설명될 것이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디스크 브레이크는 고정 캐리어 (도시되지 않았음) 을 포함하며, 그 내부에는, 브레이크 디스크 (도시되지 않았음) 의 양측에서, 상기 디스크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핀 (3) 에 의해 지지된 한쌍의 마찰 패드 조립체 (1, 2) 가 장착되어 있다. 브레이크는 유압식 또는 기계식 작동수단을 합체하며, 그 작동수단은, 작동시 마찰 패드 조립체 (1) 를 디스크와의 제동 맞물림 상태로 강제하기 위하여, 스프레더 (4; spreader) 를 통하여 마찰 패드 조립체 (1) 에 직접 작용하며, 다른 마찰 패드 조립체 (2) 는 캐리어에 고정되거나 또는 그 내부에서 활주이동가능한 핀에 통상의 방식으로 캐리어에 대하여 활주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캘리퍼 (caliper ; 5) 에 의해 간접적으로 작동된다. 각각의 마찰패드 조립체는, 제 3 도에 더 상세히 제시된, 각각의 마모 센서 장치 (8) 를 합체하는 마찰 라이닝 (7) 을 포함하며, 마모 센서 장치 (8) 는, 브레이크 패드가 극도로 마모되어 교체를 필요로 하는지의 여부를 운전자에게 가시적 또는 가청적 신호를 제공하도록 작동하는 전기 감지 및 표시 회로에 케이블 (9) 을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 (9) 은 마모표시기 조립체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또한 브레이크 구조체에 고정된 케이블 지지장치 (10) 내에 수납된다. 디스크 브레이크 자체는 통상의 구조이며 또한 통상적으로 작동하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하지 않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도시된 그 형태에 있어서, 케이블 지지장치 (10) 는 균일한 단면의 원통형의 관이며, 그 단부부분 (10A) 은 캘리퍼의 러그 (5B) 의 원통형 관통구멍 (5A) 내에 수용된다. 상기 케이블 지지장치는, 후술될 목적으로 그 전체길이에 걸쳐 종방향 슬롯 (1OB) 을 지닌다. 케이블 지지장치의 타단부는 전기 커넥터 (11) 에 부착되며, 상기 전기 커넥터는 러그 (5B) 와 대향으로 배치된 캘리퍼의 또 다른 러그 (5C) 에 형성된 키이홀 (keyhole) 관통개구 (5D) 내로 삽입하기 위한 보스 (12) 를 지닌다. 이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예컨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커넥터는 케이블 지지장치 (10) 와 별개로 형성되며, 보스 (12) 는 적절한 크기를 갖는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구멍에 케이블 지지장치가 수용되어 접합에 의해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커넥터는 케이블 지지장치의 단부부분에 주조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 (11) 는 한쌍의 전기 커넥터 핀 (13A) 을 수납하는 돌출소켓 (13) 을 지니며, 커넥터 본체는, 마모표시기를 지지하는 브레이크가 그것에 장착되는 자동차의배선장치 (wiring harness) 에 사용중 연결되는 상보적인 플러그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므로, 마모 센서 장치 (8) 를 배선장치를 통하여 자동차 감지회로에 연결시킨다. 돌출소켓 (13) 은 전기 커넥터 (11) 내에 장착되거나 또는 고정될 수 있으며, 또는 전기 커넥터가 돌출소켓의 본체상에 주조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 (11) 는, 보스 (12) 의 양측에 배치되며 케이블 지지장치 (10) 에 대하여 평행하게 돌출하는 한쌍의 아암 (14) 을 구비하며, 상기 아암은 전기 커넥터 (11) 와 일체로 주조되는 것이 적절하다. 각각의 아암 (14) 은 일반적으로 반원형이며, 커넥터의 전방면 (11A) 으로부터 돌출하는 짧은 원통형 보스 (15) 로부터 연장한다. 각각의 아암 (14) 은 그 자유단부에 고정장치로 작용하도록 외향으로 돌출하는 니브(16; nib) 를 구비한다. 케이블 (9) 은 전기 커넥터 (11) 내에 고정되어 아암 (14) 에 연결된다. 케이블은, 외측의 덮개내에 수용되어 마모 센서 장치 (8) 에서 각각 종결되는 한쌍의 루프 (9C) 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리드 (9A, 9B) 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루프 (9C) 는, 사용시 마찰 패드 조립체들중 하나의 마찰 라이닝내에 배치되어 최대의 마찰 라이닝 마모가 발생하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같이, 브레이크 디스크와의 전기적 접촉과 그 결과로서 과도한 마모 경보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마모되도록 그 관련 마모 센서 장치내로 연장한다. 케이블 (9) 은 종방향 슬롯 (1OB) 을 통하여 진입하는 케이블 지지장치 (10) 의 내부를 따라 배치되며, 루프의 길이는, 마모 센서 장치가 과도한 케이블이 존재하지 않고 각각의 마찰패드 조립체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케이블을 케이블 지지장치 (10) 내로 삽입한 후, 리테이너 (17) 가 관의 주위에 배치되어 소정의 위치에고정됨으로써, 케이블 지지장치내에 케이블을 유지시키고, 상기 케이블이 마찰패드 조립체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위치를 설정하는 2 가지의 목적이 달성된다.
마모표시기 조립체를 브레이크상에 설치하기 위하여, 전기 커넥터 (11) 의 보스 (12) 에 인접하는 케이블 지지장치의 일부분이 러그 (5C) 의 키이홀 관통개구 (5D) 의 좁은 부분을 관통하며 종방항 슬롯의 보다 큰 부분을 탄성적으로 다시 덮는다. 이어서, 케이블 지지장치 (10) 의 자유단부는 러그 (5C) 를 관통하며, 그 단부부분 (10A) 에 대향하는 러그 (5B) 의 원통형 관통구멍 (5A) 내에 맞물릴 때까지 종방향으로 이동하며, 전기 커넥터 (11) 의 보스 (12) 는 동시에 러그 (5C) 의 대응하는 개구에 진입한다. 동시에, 아암 (14) 은 보스 (12) 를 수용하는 개구의 양측에서 그것에 대하여 평행하게 러그 (5C) 에 형성된 개구로 진입한다. 그 조립체가 동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면, 니브 (16) 가 그 개구의 벽에 대하여 이동함에 따라, 아암의 작은 내향 응력이 발생하며, 따라서, 아암은 러그 (5C) 의 이격된 측에서 니브의 출현시, 탄력적으로 외측으로 회복하여, 마모 표시기 조립체를 브레이크상의 소정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러그의 그 경우의 인접면의 뒤쪽에 니브를 맞물리게 한다. 필요시, 니브를 해방하도록 아암을 내측으로 내리누름으로써, 또한 우선 관을 러그 (5B) 로부터 제거하도록 전기 커넥터 (11) 상에 축방향의 인장력을 가하고, 또한 이어서 케이블 지지장치를 키이홀 관통개구 (5D) 의 좁은 부분을 통하여 제거하기 위하여 반경방향의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조립체가 제거될 수 있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마모표시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케이블 지지장치 (20) 는 대체로 원통형 관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부를 통하여 케이블 (21) 을 수용하고, 그 각각의 케이블 부분 (21A, 21B) 은 전술된 바와같이 한쌍의 루프를 형성한다. 하나의 케이블 부분 (21A) 은 관의 일단부에에 근접한 제1의 슬롯 개구 (22) 를 통하여 관으로부터 빠져나온다. 다른 케이블 부분 (21B) 은 관을 따라 이동하며, 관의 타단부에 인접한 슬롯 개구 (23) 를 통하여 빠져나온다.
초기에, 스프링강 또는 다른 탄성재료로 이루어진 케이블 지지장치 (20) 는 제4도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개방된 홈통의 형태이지만, 케이블을 실질적으로 둘러싸기 위하여, 케이블이 그 내부에 배치된 후, 도시된 관형으로 변형된다. 케이블 지지장치의 최후방 단부부분 (24) 은 대체로 부분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키이홀 관통개구 (25) 를 구비하는 브레이크의 러그 (5B, 5C) 에 케이블 지지장치를 부착시키는 것이 필요할 때까지 변형되지 않는다. 케이블 지지장치를 브레이크에 장착시키기 위하여, 최후방 단부부분 (24) 은 키이홀 관통개구 (25) 의 보다 좁은 부분을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히 변형되며, 그 결과, 그것들은 케이블 지지장치를 브레이크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개구내에서 탄성적으로 회복된다. 케이블 부분 (21A, 21B) 의 자유단부에 있는 마모센서는 그 경우에 브레이크의 패드 조립체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최후방 단부부분 (24) 의 내측의 케이블 지지장치 (20) 의 부분은 그것들이 설치될 때, 케이블 지지장치의 종방향 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러그 (5B, 5C) 와 상호협력하도록 외측으로 벌어진다.
제 5 도의 장치는, 전술된 바와같이, 슬롯 (33) 을 통하여 빠져나오도록 홈통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케이블 부분 (31B) 을 수납하는 슬리브 (31) 가 그 장착되는 개방 홈통을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4 도의 장치와 대체로 동일하다. 케이블 부분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종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는 슬리브 (31) 는 홈통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 굴곡 단부 (34) 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보지된다. 케이블 부분 (31A) 은 짧은 거리로 슬리브 (31) 의 외측을 따라 이동하여, 슬롯 (33) 을 통하여 빠져나오며, 이 케이블 부분은 홈통의 일단부에 인접한 날름쇠 (35; tongue) 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클램프된다. 홈통의 부분원통형 단부부분 (36) 은, 전술된 바와같이, 스냅-맞물림 방식으로 브레이크의 본체상의 러그 (5B, 5C) 내에 케이블 지지장치를 장착하는 역할을 한다. 조립체의 일단부는 커넥터상의 장착부 (49) 에 의해 태브 (37; tab) 에 장착될 때 상호 끼워지는 각각의 커넥터 (38, 39) 를 지지하는데 사용하는 한쌍의 태브 (37) 를 형성한다. 커넥터 (38) 는 케이블 루프를 통하여 센서에 연결되며, 커넥터 (39) 는 순차적으로 그것을 감지회로에 연결하는 차량의 배선장치에 사용중 연결된다.
제 6 도 및 제 7 도에 도시된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블 지지장치 (40) 는, 각각 대략 부분적인 원형단면으로 되는 내측의 구성요소 (41) 와 외측의 구성요소 (42) 로 구성된다. 그 구성요소들은 2 개의 극단위치사이에서 상대회전 될 수 있으며, 그 중 제1의 극단위치는 외측의 구성요소내에 전체적으로 배치되도록, 또는 실질적으로 그렇게 회전되는 내측의 구성요소에 의해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케이블 부분 (41A, 41B) 이 그 내부에 배치되는 홈통을 형성하며, 각각의케이블 부분이 조립체의 각각의 단부를 향하여 슬롯 (40A, 40B) 을 통해 빠져나간다. 내측의 구성요소 (41) 와 외측의 구성요소 (42) 각각은 태브 (43) 를 구비하여, 그 태브 (43) 에 손으로 힘이 가해져, 케이블 부분을 수용하는 폐쇄된 관과 함께 형성되는 제2의 극단위치로 구성요소를 회전시킨다. 제7도는 그 폐쇄위치에 있는 케이블 지지장치의 일부분을 제시하며, 내측의 구성요소 (41) 와 외측의 구성요소 (42) 는 태브 (43) 의 영역에서 쇄정 멈춤쇠를 형성한다. 이것은, 설명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해제가능한 방식으로 구성요소를 그 폐쇄위치에 함께 쇄정시키기 위하여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된 리브 (45) 배후에 스냅방식으로 맞물리는 구성요소들 중 탄성 날름쇠 (44) 에 의해 형성된다. 어떠한 적절한 형태의 대체적인 또는 부가적인 쇄정수단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케이블 지지장치 (제6도) 의 단부부분 (46, 47) 은, 대체적인 고정수단이 사용되는 러그의 형태에 따라 사용될 수 있을지라도, 전술된 바와같이 브레이크 본체상의 러그와의 스냅방식의 맞물림을 위하여 설치된다.
제8도는, 브레이크의 러그 (5B) 에 부분적으로 또한 브래킷 (52) 에 부분적으로 장착되도록 이루어지며, 브래킷의 아암 (54) 의 구멍 (53) 을 관통하는 나사 또는 볼트 (도시되지 않았음) 에 의해 브레이크의 본체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변형실시예를 제시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블 지지장치 (50) 는 평탄하거나 또는 감싸여진 관으로서 형성되며, 케이블 부분 (51A, 51B) 이, 사용 중, 마찰요소 센서로의 접속을 위한 적절한 위치에서 케이블 지지장치 (50) 의 벽에 형성된 슬롯 (55, 56) 을 통하여 빠져나간다. 케이블 부분 (51A, 51B) 의 대체적인 루트가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케이블 지지장치 (50) 의 좌측 단부는 단부부재 (57) 에 의해 폐쇄되며, 그 단부부재의 일부분이 관의 개방단부로의 삽입을 위한 플러그 (58) 를 형성한다. 케이블 지지장치의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부분 (59) 은 중공형이며, 감지회로에 케이블 부분 (51A, 51B) 을 사용 중 연결시키는 플러그를 수용하는 커넥터를 형성하도록 될 수 있다. 케이블 지지장치의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부분 (59) 은 브래킷의 아암 (54) 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하는 브래킷 (52) 의 아암 (62) 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 (61) 과, 케이블 지지장치의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부분 (59) 의 외표면에 의해 형성하도록 배치된 외측 플랜지 (60) 를 구비하고 있다. 아암 (62) 에는 슬롯 (63) 이 형성되어 있으며, 아암 (62) 이 공동 (61) 에 삽입될 때 멈춤쇠 (64) 가 슬롯 (63) 에 스냅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 지지장치 (50) 를 브레이크상에 조립하기 위하여 그 케이블 지지장치의 우측 단부는 공동 (61) 에 진입하는 아암 (67) 과 동시에 러그 (5B) 내로 활주이동되며, 케이블 지지장치는 슬롯 (63) 및 외측 플랜지 (60) 의 폐쇄된 단부에 맞물리는 멈춤쇠 (64) 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축방향으로 보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마모표시기 조립체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가 제 9 도 및 제 10 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디스크 브레이크 (도시되지 않았음) 의 한쌍의 브레이크 패드로의, 사용중의 접속을 위하여 각각의 마모표시기 장치 (72) 를 지니는 한쌍의 케이블 부분 (77A, 71B) 을 둘러싸고 있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원통형의 코어 (71) 를 지니는 케이블 지지장치 (70) 를 포함하고 있다. 원통형의 코어 (71) 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케이블 부분 주위에 주조될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케이블 부분이 그것을 통하여,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블 지지장치를 따라 이격된 위치에 나중에 나타나도록 통과될 수 있는 홈 또는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원통형의 코어 (71) 는, 금속 또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얇은 게이지 재료로 되는 보호 덮개 (73) 에 의해 둘러싸이며, 그 보호 덮개에는, 케이블 지지장치 (70) 로 부터 케이블 부분 (71A, 71B) 의 방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적절한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 (74) 중 하나가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구멍은 보호 덮개의 길이의 전체 또는 일부에 걸쳐 연장하는 종방향 슬롯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케이블 지지장치 (70) 는, 기재되는 바와같은 방법으로, 브레이크의 고정부분으로의 삽입을 위하여 원통형 보스 (76) 를 지니는 전기 커넥터 (75) 에 부착된다. 상기 전기 커넥터 (75) 는, 별개로 형성되어 케이블 지지장치가 원통형 보스 (76) 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적절한 크기를 갖는 구멍을 구비할 수 있지만, 케이블 지지장치의 원통형의 코어 (71) 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 (75) 는 한쌍의 전기 커넥터 핀을 수용하는 타원형 본체 (77) 를 지니며, 그 타원형 본체는 마모표시기를 지지하는 브레이크가 그것에 장착되는 차량의 배선장치에 사용중에 접속되는 상보적인 플러그를 수용하도록 됨으로써, 마모 센서 장치 (8) 를 배선장치를 통하여 차량의 감지회로에 연결시킨다. 전기 커넥터 (75) 는 케이블 지지장치 (70) 의 방향으로 그것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쌍의 아암 (78) 을 구비하며, 그 한쌍의 아암은 일체로 주조되거나 또는 별개로 형성되어 나중에 전기 커넥터 부착된다. 각각의 아암 (78) 은, 그 자유단부에 외향으로 돌출하는 니브 (79) 및 그 내표면에 굴곡형 내측돌기 (80) 를 구비하고 있다.
마모표시기 조립체는, 케이블 지지장치 (70) 의 자유단부 및 원통형 보스 (76) 가 브레이크의 종방향으로 이격된 고정 러그 (도시되지 않았음) 에 각각 형성된 원통형의 구멍내에서 종방향으로 맞물리도록 마모표시기 조립체를 이동시킴으로써, 브레이크에 설치되며, 아암 (78) 은, 제 1 도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같이, 러그들중 인접하는 러그의 각각의 또 다른 구멍을 통하여 삽입된다. 각각의 아암은 대응하는 구멍을 통해 통과하는 중 약간 내측으로 편향되며, 니브가 일단 러그의 외표면의 후방으로 밀접하게 니브를 지지하여 커넥터의 후퇴방향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하면, 탄성적으로 회복된다. 아암의 굴곡형 내측 돌기 (80) 및 외측으로 향한 측부 (81) 는 아암의 지지체를 그것에 설치하도록 구멍내의 대향 표면부에 대하여 각각 배치된다.
마모표시기를 브레이크 본체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아암 (78) 은 니브 (79) 를 해제하고 본체로부터 아암의 후퇴를 허용하도록 내향으로 가압된다. 아암은 내측으로 굽혀지므로, 그 아암들은 구멍의 인접표면에 대하여 굴곡형 내측 돌기 (80) 상에서 지점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마모표시기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예시된 다양한 특징이 다양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미리 조립되어, 제조라인에서 필요할 때까지 내장 유닛으로서 보관될 수 있으며, 계속하여 브레이크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그 경우에, 마모센서를 라이닝에 부착하고, 차량 배선장치를 통하여 감지회로에 리드를 삽입시키는 것은 간단하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를 합체하고 있는 자동차 디스크 브레이크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디스크 브레이크를 부분단면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마모표시기 조립체의 한가지 실시예를 보여주는 확대사시 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마모표시기 조립체의 변형 실시예를 보여주는 제 3 도와 유사한 확대사시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를 보여주는 제 3 도 및 제 4 도와 유사한 확대사시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제 6 도의 장치의 일부분의 확대사시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마모표시기 조립체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를 보여주는 일부가 단면으로 도시된 측면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마모표시기 조립체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의 평면도.
제 10 도는 제 9 도의 선 A - A 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마모 센서 장치 9 : 케이블
10 : 케이블 지지장치 11 : 전기 커넥터
12 : 보스 13 : 돌출소켓
16 : 니브 25 : 키이홀 관통개구
33 : 슬롯

Claims (12)

  1. 브레이크 본체와 그 브레이크 본체에 장착된 마찰 패드 조립체를 지니는 자동차의 브레이크에 사용하기 위한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로서, 상기 브레이크 본체는 브레이크에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를 부착하기 위한 지지수단인 러그를 지니며,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는, 브레이크의 마찰 패드 조립체에 부착하기 위하여 일단부에 인접한 마모 센서 장치를 지니는 한쌍의 케이블, 마모 감지 및 표시 회로에, 사용 중, 상기 마모 센서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전기 커넥터, 및 사용시 상기 브레이크에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장치는, 제동중 발생하는 유해한 상태로부터 상기 케이블을 보호하도록 상기 케이블의 적어도 상당한 부분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중공형 부분을 지니며,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는, 브레이크에 조립되기 전에, 상기 브레이크 본체의 지지수단인 러그에 부착될 수 있는 미리 조립된 내장형 유닛으로서, 마모 센서 장치들이 마찰 패드 조립체에 각각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배치된 케이블 부분과 마찰 패드 조립체 전반에 걸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장치는 브레이크 본체 상의 중공형 러그의내부에 맞물리는 부분을 지니는 홈통 또는 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본체상에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를 보지하기 위하여 상기 브레이크 본체의 대응하는 개구에, 사용 중, 스냅방식으로 맞물리는 한 개 이상의 아암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전기 커넥터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상기 케이블 지지장치의 자유단부를 향해 연장되며 또한 상기 브레이크상에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를 보지하기 위하여 상기 브레이크 본체의 대응하는 개구에, 사용 중, 스냅방식으로 맞물리도록 배치된 한쌍의 이격된 탄성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장치는 이격된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를 통하여 케이블이, 사용 중, 마찰 패드 조립체와 각각의 케이블 부분상의 마모 센서 장치의 맞물림을 허용하기 위하여, 외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장치는 그 길이의 대부분에 걸쳐 종방항 슬롯을 지니며, 케이블 부분은 사용 중 마찰패드 조립체와 각각의 케이블 부분상의 마모 센서 장치의 맞물림을 허용하기 위하여 이격된 리테이너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에서 상기 슬롯을 통하여 외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장치는 내측 및 외측의 부분원형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분원형부재는 그것들의 한쪽의 상대적인 배치에 있어서 그것들이 케이블 부분의 관통을 허용하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을 구비하며, 또한 다른쪽의 상대적인 배치에 있어서 그것들이 상기 케이블 부분을 수용하고 보지하기 위한 폐쇄된 중공 부분 용기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장치는 그것의 폐쇄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및 외측의 부분원형부재를 쇄정하기 위한 날름쇠와 같은 쇄정수단을 합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장치는 케이블을 수용하는 원통형의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의 코어는 보호 덮개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원통형의 코어내에 주조되며, 상기 원통형의 코어가 전기 커넥터에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전기 커넥터와 일체로 주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
  12. 마찰 라이닝에 부착된 마모 센서 장치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표시기 조립체를 합체하는 브레이크.
KR1019930027727A 1992-12-15 1993-12-15 브레이크라이닝마모표시기조립체 KR1003309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29226078A GB9226078D0 (en) 1992-12-15 1992-12-15 Brake lining wear indicator assembly
GB9226078.5 1992-12-15
GB939302348A GB9302348D0 (en) 1993-02-06 1993-02-06 Brake lining wear indicator assmbly
GB9302348.9 1993-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317A KR940015317A (ko) 1994-07-20
KR100330992B1 true KR100330992B1 (ko) 2002-11-25

Family

ID=26302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7727A KR100330992B1 (ko) 1992-12-15 1993-12-15 브레이크라이닝마모표시기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13726A (ko)
EP (1) EP0602866B1 (ko)
JP (1) JP3574465B2 (ko)
KR (1) KR100330992B1 (ko)
DE (2) DE6930850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09574U1 (de) * 1993-06-23 1994-08-04 Siemens Ag Ein- oder mehrpoliger Stecker mit gespritztem Gehäuse
DE4431725A1 (de) * 1994-09-06 1996-03-07 Teves Gmbh Alfred Schwimmsattel für Scheibenbremse
DE19528466A1 (de) * 1995-08-03 1997-02-06 Teves Gmbh Alfred Schwimmsattel für Scheibenbremse mit Halterung für Warnkontaktstecker und Warnkabel
GB2321090B (en) * 1997-01-14 2000-08-23 T & N Technology Ltd Brake testing
DE19930529C1 (de) * 1999-07-01 2000-11-09 Siemen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tomatischen Fixieren einer Biegung eines Belagverschleißanzeigers
DE10017395B4 (de) * 2000-04-07 2009-06-04 Volkswagen Ag Scheibenbremse mit Kabelführung
DE10025659C1 (de) 2000-05-24 2001-12-20 Lucas Automotive Gmbh Halteblech für das Warnkabel und den Stecker einer elektrischen Belagverschlei ßwarnanzeige
US6823741B2 (en) * 2002-06-17 2004-11-30 Gammon Technical Products, Inc. Wear gauge
DE102005060551B4 (de) * 2005-12-17 2010-05-06 MAN Nutzfahrzeuge Österreich AG Vorrichtung zur Anzeige eines Bremsbelagverschleißes
DE102008021008A1 (de) * 2008-04-25 2009-10-29 Bpw Bergische Achsen Kg Niederhalter für die Bremsbeläge einer Scheibenbremse sowie Kabelhalter hierfür
DE102009038493A1 (de) * 2009-08-21 2011-02-24 Bpw Bergische Achsen Kg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elektrischen Bauteils einer Fahrzeugbremse
DE102010043898A1 (de) 2010-06-02 2011-12-0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Festsattelbremse und Bremsbelag für eine Festsattelbremse
DE102012200210A1 (de) * 2012-01-09 2013-07-11 Wissenschaftlich-technische Werkstätten GmbH Sensorhalter
DE102012008572B4 (de) * 2012-04-27 2017-03-16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Befestigung eines Kontaktleiters einer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eines Bremsbelagverschleißes
DE102012106424A1 (de) * 2012-07-17 2014-01-23 Bpw Bergische Achsen Kg Halteanordnung für ein Signalkabel einer Bremsbelag-Verschleißsensierung
WO2017174507A1 (de) * 2016-04-04 2017-10-12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signalkabels
EP3667113A1 (de) * 2018-12-12 2020-06-17 WABCO Europe BVBA Abdeckblech für eine scheibenbremse
EP3982000A1 (en) * 2020-10-06 2022-04-13 ZF CV Systems Europe BV Device for recognizing wear of a brake pad of a disk brake
US11649864B2 (en) * 2021-06-11 2023-05-16 Arvinmeritor Technology, Llc Disc brake assembly having a sensor assembly attached to a retraction spri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082U (ko) * 1976-06-30 1978-01-14
JPS5430181U (ko) * 1977-08-02 1979-02-27
US4290514A (en) * 1977-11-17 1981-09-22 Wickman Machine Tool Sales Limited Clutch protection device
DE8502975U1 (de) * 1985-02-04 1986-05-28 Lucas Industries P.L.C., Birmingham, West Midlands Verschleißanzeigevorrichtung für Bremsbeläge
GB2177170B (en) * 1985-06-25 1989-07-12 Gen Motors France Disc brake assembly having an electrical lining wear indicator
DE3864249D1 (de) * 1987-12-19 1991-09-19 Thyssen Industrie Vorrichtung zur ueberwachung eines einem verschleiss unterworfenen bauteils.
GB2231928B (en) * 1989-05-26 1993-02-17 Teves Gmbh Alfred Spot-type disc bra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13726A (en) 1996-05-07
DE69308501D1 (de) 1997-04-10
JPH06235434A (ja) 1994-08-23
EP0602866B1 (en) 1997-03-05
DE69308501T4 (de) 1997-08-21
EP0602866A1 (en) 1994-06-22
DE69308501T2 (de) 1997-06-12
JP3574465B2 (ja) 2004-10-06
KR940015317A (ko) 1994-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992B1 (ko) 브레이크라이닝마모표시기조립체
US4954097A (en) Connector plug with locking mechanism
US4742326A (en) Disc brake assembly having an electrical lining wear indicator
KR101977714B1 (ko) 브레이크 마찰 패드의 마모감지장치
GB1445539A (en) Device for warning of excessive wear on a brake lining
JPH06201952A (ja) 光ファイバーのプラグコネクタ
US6179091B1 (en) Wear detection probe for a brake pad
US5311793A (en) Brake cable fixing device for a parking brake, in particular for a duo-servo hat-section-type parking brake
US5911790A (en) Replaceable snap-in end fitting for a cable control
JPH0932841A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ケーブル用エンドフィッティング
FR2665496A1 (fr) Etrier flottant pour frein a disque a garnitures partielles.
US5692585A (en) Brake pad with a wear indicator
EP0884497A1 (en) A wear detection probe for a braking element and a braking element using the same
IT9053100U1 (it) Sensore di usura della pastiglia del freno per autoveicoli.
JP2008091117A (ja) コネクタ保護構造
GB1582567A (en) Retaining device for the electric cable or cord of a brake pad wear warning apparatus of a disc brake
JP2005510674A (ja) 電気コネクターをディスクブレーキのキャリパに固定するシステム
JP2005521001A (ja) 電気的摩耗センサおよびセンサコネクタ用キャリアを備えるディスクブレーキ
US5404970A (en) Spot-type disc brake with holding device for warning contact plug
EP1474619B1 (en) A system for fixing an electrial connection element to the caliper of a disk brake
KR910004399Y1 (ko) 록부착코넥터
JPH05281439A (ja) 光コネクタ
JP4317910B2 (ja) 摩擦材の摩耗警報装置
JPH05248464A (ja) 摩擦部材の摩耗警報装置
KR0118440Y1 (ko) A b s 센서의 보호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