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881B1 - 기중기 장착 차량의 아웃리거 - Google Patents

기중기 장착 차량의 아웃리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881B1
KR100330881B1 KR1019990035962A KR19990035962A KR100330881B1 KR 100330881 B1 KR100330881 B1 KR 100330881B1 KR 1019990035962 A KR1019990035962 A KR 1019990035962A KR 19990035962 A KR19990035962 A KR 19990035962A KR 100330881 B1 KR100330881 B1 KR 100330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rane
support member
outrigg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9520A (ko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90035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881B1/ko
Publication of KR20010019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8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66C23/80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hydraul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중기 장착 차량의 아웃리거에 관한 것으로, 바디(1)와 지지부재(4)의 사이에 회전부재(2)가 위치되어, 이 회전부재(2)가 상기 바디(1)에 힌지핀(3,3′)을 매개로 힌지고정되는 구조로 됨으로써 지지부재(4)를 원하는 임의의 위치로 회전시켜 차량을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좁은 도로에서도 작업이 가능하게 되었다.

Description

기중기 장착 차량의 아웃리거{a out rigger of vehicle having a crane}
본 발명은 기중기 장착 장착 차량의 아웃리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지부재가 회전될 수 있도록 된 기중기 장착 차량의 아웃리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중기가 장착된 차량에 있어서, 이 기중기를 사용할때는 차량이 큰 하중을 받게 되는데, 이 하중이 차량 자체에 모두 걸리게 되면 차량의 타이어, 휠연결부, 차축 등에 무리가 가고, 또한 차량의 제동장치만으로써는 작업중 차량을 충분히 안정시킬 수 없기 때문에 차량의 후미에 아웃리거를 설치하여 기중기 사용시의 하중을 받도록 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아웃리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의 양측 하부에 지지부재(12)가 힌지고정되고, 이 지지부재(12)의 끝부분에 발판(13)이 힌지고정되며, 상기 바디(1)의 측부에 유압실린더(14)가 장착되어 상기 지지부재(12)를 바디(1)의 측부로 접고 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기중기를 사용할때는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13)이 지면에 닿도록 상기 지지부재(12)를 펴서 차량을 지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 아웃리거는 지지부재(12)가 정확히 양측 수직선상에서만 작동하므로 수직하중에 대한 지지는 가능하나 기중기의 회전시 또는 차량에 장착된 윈치(15) 등의 사용시에 발생하는 차량 전후방향으로의 힘에 대해서는 지지역할을 하지 못하였고, 또한 도로폭이 좁으면서 도로가 지면보다 다소 높은 곳에서는 지지부재(12)의 발판(13)이 지면에 닿지 않아서 지지작용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지지부재가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전후방향으로 걸리는 힘에도 차량을 지탱할 수 있고, 폭이 좁고 지면보다 높은 도로에서도 효과적으로 차량을 지탱해 줄 수 있도록 된 기중기 장착 차량의 아웃리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아웃리거의 사시도,
도 2a는 종래의 아웃리거가 차량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상태의 평면도,
도 2b는 종래의 아웃리거가 차량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리거를 정면에서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리거가 차량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바디와 회전부재 연결부위의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디 1a : 돌출편
1b : 연결구멍 2 : 회전부재
2a : 연결부 2b : 연결구멍
3, 3′: 힌지핀 4 : 지지부재
5 : 발판 6 : 유압실린더
7 : 고정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디에 회전부재가 힌지연결되고, 이 회전부재에 지지부재가 힌지연결되며, 이 지지부재에 발판이 힌지연결되는 한편, 상기 회전부재에 장착된 유압실린더가 지지부재를 접고 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지지부재가 설치된 회전부재가 바디에 힌지연결되어 선회가능함으로써 지지부재도 회전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리거를 정면에서 도시한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설치되는 바디(1)에 직각삼각형 형상의 회전부재(2)가 힌지고정되되, 이 회전부재(2)는 직각삼각형의 수직장변 상하에 수평의 연결부(2a)가 형성되어 이 연결부(2a)가 상기 바디(1)에 힌지핀(3,3′)을 매개로 핀연결된 것이며, 이 회전부재(2)의 외측하단에 소정길이를 가진 강재인 지지부재(4)가 힌지고정되고, 이 지지부재(4)의 끝부분에 발판(5)이 힌지고정되는 한편, 상기 회전부재(2)의 형상에 있어 빗변에 해당하는 외측경사측부에는 유압실린더(6)가 장착되고, 이 유압실린더(6)의 실린더로드는 상기 지지부재(4)에서 회전부재(2)와의 힌지고정지점보다 더 내측부위에 힌지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2)는 힌지핀(3,3′) 고정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4)도 동반회전되어지며, 이 지지부재(4)는 유압실린더(6)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접히고 펴지는 작동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4)를 임의의 각도(α)로 회전시켜서 차량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로폭이 좁거나 윈치작업시에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4)를 회전시켜 차량을 지지하게 하면 원활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4)의 회전위치고정을 위해서는 회전부재(2)가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어야 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와 회전부재(2) 연결부(2a)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바디(1)에 돌출편(1a)이 형성되고 이 돌출편(1a)에 연결구멍(1b)이 형성되며, 회전부재(2)의 연결부(2a)에는 힌지핀(3′)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에 다수의 연결구멍(2b)이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상기 돌출편(1a)의 연결구멍(1b)과 연결부(2a)의 연결구멍(2b)중 원하는 회전각도에 해당되는 어느 한 연결구멍을 일치시키고, 고정핀(7)을 삽입하여 작업중 회전부재(2)와 지지부재(4)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재가 회전될 수 있게 됨으로써 도로의 폭이 좁으면서 지면보다 높아서 발판이 지면에 닿지 않는 경우나 윈치작업을 하여 차량이 뒷방향으로 끌리는 힘을 받을 경우에 상기 지지부재를 원하는각도로 회전시켜 차량을 지지함으로써 기존에 작업이 불가능하거나 난해했던 장소에서도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체에 고정되는 바디(1)와, 이 바디(1)의 양측에 힌지핀(3,3′)을 매개로 힌지고정되어 힌지핀(3,3′)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회전부재(2)와, 이 회전부재(2)에 힌지고정되고 이 회전부재(2)에 장착된 유압실린더(6)에 의해 접히고 펴지는 지지부재(4)와, 이 지지부재(4)의 끝부분에 힌지연결되는 발판(5)으로 이루어진 기중기 장착 차량의 아웃리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3,3′) 설치부위의 바디(1)에 연결구멍(1b)이 형성된 돌출편(1a)이 형성되고, 회전부재(2)의 연결부(2a)에는 힌지핀(3,3′)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상에 다수의 연결구멍(2b)이 형성되어, 회전부재(2) 회전시 서로 연통된 연결구멍(1b,2b)들에 고정핀(7)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기 장착 차량의 아웃리거.
KR1019990035962A 1999-08-27 1999-08-27 기중기 장착 차량의 아웃리거 KR100330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962A KR100330881B1 (ko) 1999-08-27 1999-08-27 기중기 장착 차량의 아웃리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962A KR100330881B1 (ko) 1999-08-27 1999-08-27 기중기 장착 차량의 아웃리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520A KR20010019520A (ko) 2001-03-15
KR100330881B1 true KR100330881B1 (ko) 2002-04-01

Family

ID=1960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962A KR100330881B1 (ko) 1999-08-27 1999-08-27 기중기 장착 차량의 아웃리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88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520A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881B1 (ko) 기중기 장착 차량의 아웃리거
JP4145209B2 (ja) 斜面作業機
JP2014502681A (ja) 建設機械用警光灯の固定装置
JP2011106110A (ja) 軸受装置
JP4220051B2 (ja) 作業車の折り畳みガード
KR100716334B1 (ko) 트럭의 캡틸트 안전장치
JP2016088732A (ja) 高所作業車のジャッキ装置
JP2855592B2 (ja) 幅可変の排土ブレード構造
JP3043964B2 (ja) リーダ支持装置
KR200186859Y1 (ko) 크롤러 크레인의 액슬 연장장치
JP3130459B2 (ja) クレーンのロープ外れ防止装置
JP2855579B2 (ja) 幅可変の排土ブレード構造
JP3031883U (ja) クレーンの補助シーブ装置
KR19980049622U (ko) 유압식 크레인의 아우트리거
JPS587131Y2 (ja) 回り止め構造
JPH10219724A (ja) 建設車両の作業用アタッチメント
JP2000516312A (ja) 削岩装置
JP2006214160A (ja) ホイール式建設機械
KR200387998Y1 (ko) 굴착기의 설치각도 조정기능을 갖는 붐장치
JPH0742189A (ja) アタッチメント汎用アダプタ
JP4191824B2 (ja) クレーンのブーム延長体
JP2007137343A (ja) 作業車両の支持装置
JPH10150822A (ja) 作業車両用の作業装置
KR100512866B1 (ko)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
KR19980020227U (ko) 중장비의 회동 사다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