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552B1 - 데이터를검색하고표시하기위한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를검색하고표시하기위한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552B1
KR100330552B1 KR1019970048415A KR19970048415A KR100330552B1 KR 100330552 B1 KR100330552 B1 KR 100330552B1 KR 1019970048415 A KR1019970048415 A KR 1019970048415A KR 19970048415 A KR19970048415 A KR 19970048415A KR 100330552 B1 KR100330552 B1 KR 100330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word
user
displa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8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6342A (ko
Inventor
임형택
Original Assignee
임형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형택 filed Critical 임형택
Priority to KR1019970048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552B1/ko
Priority to PCT/KR1998/000197 priority patent/WO1999015944A2/en
Publication of KR19990026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제1 요소 및 상기 제1 요소에 대응하는 제2 요소로 구성된 복수의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조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데이터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방법이 개시되는데, 이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 조건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입력된 검색 조건에 일치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제1 표시 시간 동안 상기 검색된 데이터의 상기 제1 요소를 상기 화면의 제1 부분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요소의 표시에 동기를 맞추어 상기 제1 요소에 해당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표시 시간에 후속되는 제2 표시 시간 동안 상기 검색된 데이터의 상기 제2 요소를 상기 화면의 제2 부분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요소의 표시에 동기를 맞추어 상기 제2 요소에 해당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어 교육용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단어의 철자를 먼저 표시해 주고 선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단어의 뜻을 표시해 줌과 동시에, 이에 해당되는 음성을 지원함으로써 사용자는 스스로 단어의 뜻을 생각해 볼 여유를 갖게 되며, 또한 단어를 효율적으로 암기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를 검색하고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AND DISPLAYING DATA}
본 발명은 데이터를 검색하고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검색 조건에 따라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시간적 편차를 두고 각각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컴퓨터가 대중화됨에 따라 컴퓨터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교육시키기 위한 목적의 수많은 교육용 소프트웨어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로는 특히, 외국어 공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일정량의 단어의 철자와 뜻을 데이터베이스로써 구축해 두고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의 철자 및 그에 해당되는 뜻을 알려주는 단어 교육용 소프트웨어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의 철자와 그에 해당하는 뜻을 동시에 보여줌으로써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에 따른 단어 교육용 시스템에 비해서는 학습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즉, 소정의 단어에 대한 철자 및 그 뜻이 동시에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단어의 뜻을 스스로 생각할 여유가 없으며, 본인이 실질적으로 그 단어를 정확히 알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도 판단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단어를 표시할 때, 그 철자를 먼저 표시하고 사용자가 단어의 뜻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뜻을 구분하여 표시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데이터를 검색하고 표시하는 데 있어서, 검색된 데이터의 일 구성 요소를 먼저 표시하고 선정된 시간의 경과 후에 일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다른 구성 요소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어 교육용 시스템의 한 실시예에서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어 교육용 시스템의 한 실시예에서의 각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단어 교육용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논리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교육용 시스템 디스플레이 화면
210 : 사용자 데이터 입력부
220 : 메모리
230 : 단어 검색부
240 : 단어 표시부
250 : 단어 데이터베이스
전술한 목적 및 그밖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제1 요소 및 상기 제1 요소에 대응하는 제2 요소로 구성된 복수의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조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데이터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방법이 개시되는데, 이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 조건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입력된 검색 조건에 일치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제1 표시 시간 동안 상기 검색된 데이터의 상기 제1 요소를 상기 화면의 제1 부분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요소의 표시에 동기를 맞추어 상기 제1 요소에 해당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표시 시간에 후속되는 제2 표시 시간 동안 상기 검색된 데이터의 상기 제2 요소를 상기 화면의 제2 부분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요소의 표시에 동기를 맞추어 상기 제2 요소에 해당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구체적인 단어 교육용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하겠지만, 본 기술 분야의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과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되는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어 교육용 시스템의 한 실시예에서의 각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의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용자 데이터 입력부(210),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20), 각각 일련 번호가 부여된 단어들이 저장되어 있는 단어 데이터베이스(250), 메모리(220)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에 따라 단어 데이터베이스(250)로부터 소정의 단어를 검색하기 위한 단어 검색부(230), 및 검색된 단어를 화면 상에 표시하기 위한 단어 표시부(240)를 포함한다. 또한, 메모리(220)는 단어 데이터베이스(250)로부터 검색된 단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데 이용된다.
사용자 데이터 입력부(210)는 선정된 몇 가지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부분이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는 메모리(220)에 저장되어 단어 검색 등에 이용된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는 표시되기 원하는 단어의 시작 번호 및 끝 번호, 단어를 표시하는 반복 회수 등이 포함된다. 이를 본 발명에 따른 단어 교육용 시스템의 한 실시예에서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 1a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에 도시된 단어 교육용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제품인 비쥬얼 폭스 프로(Visual Fox Pro) 2.0 언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지만, 이외에도 이와 균등한 기능을 제공하는 언어라면 어떠한 언어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도 1a의 하단에는 사용자가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부분들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사용자는 화면 상에 표시될 단어를 선택하기 위해, 선택하고자 하는 단어의 시작 번호를 시작 자료의 우측 상자(110)에 입력하고, 마찬가지로 선택하고자 하는 단어의 끝 번호를 끝 자료 우측 상자(112)에 입력한다.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술한 단어 선택 방법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단어를 선택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시작 단어를 입력하고 그에 후속하여 표시될 단어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도 있으며, 어떠한 경우에서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단어들을 미리 몇몇의 섹션으로 구분해 두고 화면 상에 표시되기 원하는 섹션의 부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화면 상에 표시될 단어의 선택 이외에도 단어의 반복 표시 회수, 단어의 철자 표시가 지속되는 시간 및 뜻 표시가 지속되는 시간을 각각의 입력 상자(114, 116, 118)에 입력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값들은 시스템에 의해 이미 디폴트(default)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사용자는 변경을 원하는 경우에 각각의 입력 상자(114, 116, 118)에 소정의 값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데이터 입력 상자(110 내지 118)의 우측에 나타나 있는 4개의 삼각형 버튼(120, 122, 124, 126)은 현재 검색된 단어들의 표시 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들이다. 버튼(120)을 클릭하면 시작 번호에 해당되는 단어가 표시되고, 버튼(126)을 클릭하면 끝 번호에 해당되는 단어가 표시된다. 또한, 버튼(122, 124)은 현재 표시되고 있는 단어의 이전 단어 또는 다음 단어가 표시되도록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다. 즉, 현재 임의의 단어가 표시되고 있을 때, 버튼(122)을 클릭하면 바로 이전에 표시되었던 단어가 다시 표시되고, 버튼(124)을 클릭하면 현재 표시 중인 단어의 바로 다음 단어를 즉시 표시하게 된다. 출력 버튼(128)을 이용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단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화면 하단의 좌측에 도시된 암기 완료 버튼(130)과 전체 표시 버튼(132)을 이용함으로써 임의의 단어에 대한 화면 표시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현재 화면에 표시 중인 단어에 대해 이미 그 단어를 암기하였으므로 더 이상 화면에 표시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암기 완료 버튼(130)을 클릭하게 되면 더 이상 그 단어는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단 암기된 단어를 걸러 냄으로써 암기되지 않은 단어들에 대한 집중적인 표시가 가능해진다. 전체 표시 버튼(132)을 선택하면 전술한 단어의 화면 표시 유무 선택에 상관없이 모든 단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단어 데이터베이스(250) 내의 각 단어 엔트리(entry)에 표시 유무 플래그 필드를 부가시킴으로써 가능해지는데, 이하에서 단어 표시부(240)를 설명하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어 검색부(230)는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중 단어의 시작 번호 및 끝 번호를 이용하여 단어 데이터베이스(250)로부터 해당되는 일련의 단어를 검색한다. 단어 검색부(230)가 검색한 일련의 단어는 메모리(220)에 저장된다.
단어 표시부(24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일련의 단어를 화면에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단어를 화면에 표시하는 데에 있어서, 전체 표시 버튼(132)이 현재선택되어 있지 않다면, 우선 검색한 단어의 해당 엔트리의 표시 유무 플래그가 1인지 0인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해당 엔트리의 표시 유무 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는 단어만 화면에 표시하게 되는데, 특히,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의 철자의 표시 지속 시간만큼 단어의 철자를 먼저 표시하고, 그런 후에 그 단어의 뜻을 단어의 철자의 아래 부분에 표시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에게는 단어의 철자가 먼저 표시되고 선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야 그 단어의 뜻도 함께 표시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입력한 시작 번호에 해당하는 단어의 철자가 화면 상단(134)에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단어의 철자가 순차적으로 화면 상단에 표시되는 것과 동기를 맞추어 이에 해당되는 발음이 음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ephew"라는 단어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경우, n, e, p, h, e, w를 순서대로 표시하며 이와 동시에 엔, 이, 피, 에이치, 이, 더블유라는 발음에 해당되는 음성을 각각 출력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선정된 단어의 철자의 표시 지속 시간이 경과한 후에 비로소 그 단어에 해당되는 뜻이 단어의 철자의 아래 부분(136)에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그 뜻의 표시와 동시에 그 뜻에 해당되는 음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b에는 최종적으로 단어의 뜻이 함께 표시된 화면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후에, 단어의 뜻의 표시 지속 시간이 경과하면 도 1b에 도시된 화면은 클리어되고 현재 단어에 후속되는 단어의 철자가 화면에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후속되는 단어도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화면 상에 표시되며,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가 입력한 끝 번호에 해당되는 단어가 표시될 때까지 반복된다. 또한, 끝 번호에 해당되는 단어가 표시된 이후에도, 사용자가 입력한 반복 회수에 따라, 다시 시작 번호에 해당되는 단어에서 끝 번호에 해당되는 단어까지 반복해서 표시하게 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단어 교육용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논리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처리 과정은 단계(302)로부터 시작되는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입력되는 데이터의 종류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면 상에 표시되기 원하는 단어의 시작 번호와 끝 번호가 포함된다. 이러한 시작 번호 및 끝 번호는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이 번호들을 이용하여, 단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화면 상에 표시될 단어들이 검색된다. 단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단어들은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순서대로 화면에 표시될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단어 표시의 반복 회수를 입력할 수 있는데, 이 회수에 따라 화면 상에 단어가 반복 표시된다.
단계(304)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중 단어의 시작 번호와 끝 번호를 이용해 단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들 번호에 해당되는 복수의 단어를 검색한다. 검색된 단어 각각에 대해 화면 표시 플래그가 1인지를 판단한다 (306). 화면 표시 플래그가 0인 경우에는 다음 단어로 이동하고 (312), 화면 표시 플래그가 1인 경우에는 단계(308)로 이동한다. 단계(308)에서는 검색된 단어의 철자가 시스템 화면 상에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단어의 철자가 순차적으로 하나씩 표시될 수도 있으며, 단어의 철자 각각의 표시에 동기를 맞추어 철자에 해당되는 음성이 또한 순차적으로 지원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화면 상에는 선정된 단어의 철자의 표시 지속 시간 동안 단어의 철자만이 표시된다. 단어의 철자의 표시 지속 시간은 시스템 내에서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사용자가 이 값을 단계(302)에서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은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단어의 철자의 표시 지속 시간이 경과한 후에, 마침내 단어의 뜻이 그 단어의 철자의 하단에 표시된다 (310). 따라서, 현재 화면에는 단어의 철자와 그 뜻이 동시에 표시된다. 단어의 철자 표시와 마찬가지로, 단어의 뜻에 해당되는 음성이 단어의 뜻의 표시에 동기를 맞추어 출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가 단어의 뜻 표시 지속 시간 동안 지속된 후에, 화면은 클리어되고 다음에 표시될 단어가 메모리로부터 읽힌다 (312).
다음으로, 단계(316)에서 메모리로부터 읽혀질 단어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단계(320)으로 넘어간다. 다음에 표시될 단어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단계(306 내지 310)를 반복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단어의 철자와 뜻을 표시한다.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단어들이 모두 한번씩 표시된 후에 단계(316)으로 간다. 단계(316)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 표시 반복 회수를 검사하고 그 회수만큼 전술한 단계들(306 내지 314)을 반복하며 단어들을 반복 표시하게 된다.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 표시 반복 회수만큼 단어들을 반복하여 표시하게 되면 이제까지의 처리가 종료된다 (318).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어 교육용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단어의 철자를 먼저 표시해 주고 선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단어의 뜻을 표시해 줌으로써사용자는 스스로 단어의 뜻을 생각해 볼 여유를 갖게 되며 또한, 단어를 효율적으로 암기할 수 있다. 또한, 단어의 철자 및 뜻에 대한 음성을 지원함으로써 교육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어 교육용 시스템을 전자 회로로 구현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특정하게 도시되고 서술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본 발명의 본질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그 구체적인 구현 사항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제1 요소 및 상기 제1 요소에 대응하는 제2 요소로 구성된 복수의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조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데이터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 조건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입력된 검색 조건에 일치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제1 표시 시간 동안 상기 검색된 데이터의 상기 제1 요소를 상기 화면의 제1 부분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요소의 표시에 동기를 맞추어 상기 제1 요소에 해당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표시 시간에 후속되는 제2 표시 시간 동안 상기 검색된 데이터의 상기 제2 요소를 상기 화면의 제2 부분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요소의 표시에 동기를 맞추어 상기 제2 요소에 해당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검색 및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시간 및 상기 제2 표시 시간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기설정되어 있는 기본값이 사용되는 데이터의 검색 및 표시 방법.
  3. 제1 요소 및 상기 제1 요소에 대응하는 제2 요소로 구성된 복수의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조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의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복수의 데이터를 반복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 조건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표시 반복 회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입력된 검색 조건에 일치하는 복수의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복수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복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상기 검색된 데이터의 제1 요소를 제1 표시 시간 동안 상기 화면의 제1 부분에 먼저 표시하고, 제2 표시 시간 동안 상기 검색된 데이터의 제2 요소를 상기 화면의 제2 부분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하는 단계를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표시 반복 회수만큼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검색 및 표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데이터마다 일련 번호가 부여되어 있고, 상기 검색 조건은 상기 일련 번호를 사용하여 복수의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시작 번호와 끝 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검색 및 표시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시간 및 상기 제2 표시 시간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기설정되어 있는 기본값이 사용되는 데이터의 검색 및 표시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시간 및 상기 제2 표시 시간은 사용자가 입력한 값이 사용되는 데이터의 검색 및 표시 방법.
  7. 제1 요소 및 상기 제1 요소에 대응하는 제2 요소로 구성된 복수의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조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데이터를 화면 상에 표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 조건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입력된 검색 조건에 일치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수단,
    제1 표시 시간 동안 상기 검색된 데이터의 상기 제1 요소를 상기 화면의 제1 부분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요소의 표시에 동기를 맞추어 상기 제1 요소에 해당되는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1 표시 시간에 후속되는 제2 표시 시간 동안 상기 검색된 데이터의 상기 제2 요소를 상기 화면의 제2 부분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요소의 표시에 동기를 맞추어 상기 제2 요소에 해당되는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데이터의 검색 및 표시 장치.
  8. 제1 요소 및 상기 제1 요소에 대응하는 제2 요소로 구성된 복수의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조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의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복수의 데이터를 반복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 조건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
    상기 사용자로부터 표시 반복 회수를 입력받기 위한 수단,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입력된 검색 조건에 일치하는 복수의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수단,
    상기 검색된 복수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저장된 복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상기 검색된 데이터의 제1 요소를 제1 표시 시간 동안 상기 화면의 제1 부분에 먼저 표시하고, 상기 검색된 데이터의 제2 요소를 상기 화면의 제2 부분에 표시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표시 반복 회수만큼 반복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데이터의 검색 및 표시 장치.
KR1019970048415A 1997-09-24 1997-09-24 데이터를검색하고표시하기위한방법및장치 KR100330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415A KR100330552B1 (ko) 1997-09-24 1997-09-24 데이터를검색하고표시하기위한방법및장치
PCT/KR1998/000197 WO1999015944A2 (en) 1997-09-24 1998-07-07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and displaying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415A KR100330552B1 (ko) 1997-09-24 1997-09-24 데이터를검색하고표시하기위한방법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342A KR19990026342A (ko) 1999-04-15
KR100330552B1 true KR100330552B1 (ko) 2002-05-10

Family

ID=19521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8415A KR100330552B1 (ko) 1997-09-24 1997-09-24 데이터를검색하고표시하기위한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30552B1 (ko)
WO (1) WO199901594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9667A (zh) * 2017-10-20 2019-07-16 沪江教育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语音输入信息的查词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147A (ko) * 2000-12-29 2002-07-12 정영재 인터넷을 통한 단계별 학습 방법
FR2835642B1 (fr) * 2002-02-07 2006-09-08 Francois Teytaud Procede et dispositif pour faire comprendre une langue
KR101217653B1 (ko) * 2009-08-14 2013-01-02 오주성 영어 학습 시스템
CN101916287A (zh) * 2010-08-24 2010-12-15 林亨泽 一种搜索显示数据的方法及装置
CN103377018A (zh) * 2012-04-17 2013-10-30 林亨泽 信息处理方法及其装置
CN103678289A (zh) * 2013-12-12 2014-03-26 苏州市峰之火数码科技有限公司 电子语音翻译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3246A (en) * 1973-06-22 1975-10-21 Grace A Wahlberg Teaching and learning aid
US4579533A (en) * 1982-04-26 1986-04-01 Anderson Weston A Method of teaching a subject including use of a dictionary and translator
US4636173A (en) * 1985-12-12 1987-01-13 Robert Mossman Method for teaching reading
US5010495A (en) * 1989-02-02 1991-04-23 American Language Academy Interactive language learning system
US5421731A (en) * 1993-05-26 1995-06-06 Walker; Susan M. Method for teaching reading and spelling
US5799267A (en) * 1994-07-22 1998-08-25 Siegel; Steven H. Phonic eng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9667A (zh) * 2017-10-20 2019-07-16 沪江教育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语音输入信息的查词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342A (ko) 1999-04-15
WO1999015944A3 (en) 1999-10-21
WO1999015944A2 (en) 199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552B1 (ko) 데이터를검색하고표시하기위한방법및장치
KR20150126176A (ko) 단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JP3823604B2 (ja) 手話教育装置、手話教育方法、及び、手話教育方法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KR100476760B1 (ko)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영어 문장을 학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00066469A (ko) 휴대용 단어 암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641680B2 (ja) 音声出力装置、音声出力プログラムおよび音声出力方法
KR100299480B1 (ko) 어휘학습보조장치
KR101154387B1 (ko) 학습기능을 지원하는 어학 데이터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90007679A (ko) 공간 지각 게임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JP3313749B2 (ja) 電子学習機
JP6225236B1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3258435B2 (ja) 電子学習機
KR20100136336A (ko) 데이터를 검색하고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30118532A (ko) 단어 학습 방법
KR100970603B1 (ko) 데이터의 반복표시 방법 및 장치
JPH1165411A (ja) 系統学習用個別対応型テスト問題自動作成装置
JP2780665B2 (ja) 外国語学習支援装置
JP2005106844A (ja) 音声出力装置、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US20080070202A1 (en) Reading Comprehens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JPH09281882A (ja) 電子学習機
JPH05297796A (ja) 語学学習支援方法及び装置
RU16967U1 (ru) Система изуч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WO20010672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entence in order to study foreign languages
JP2022032671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820156A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教学展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610

Effective date: 2008092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