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125B1 -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125B1
KR100329125B1 KR1019990050923A KR19990050923A KR100329125B1 KR 100329125 B1 KR100329125 B1 KR 100329125B1 KR 1019990050923 A KR1019990050923 A KR 1019990050923A KR 19990050923 A KR19990050923 A KR 19990050923A KR 100329125 B1 KR100329125 B1 KR 100329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polymer
polyvinyl chloride
ionomer
lith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0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6942A (ko
Inventor
박정기
최남순
Original Assignee
윤덕용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덕용,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윤덕용
Priority to KR1019990050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9125B1/ko
Publication of KR20010046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1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2차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염화비닐과 아크릴레이트계열의 고분자와 아크릴레이트계열의 이오노머를 블랜드하여 제조된 고분자 매트릭스에 가소제를 이용하여 고분자 매트릭스에 다공성 구조를 형성시키고 이를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감마부틸로락톤, 에틸메틸카보네이트,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의 혼합용매에 리튬염을 첨가하여 제조한 액체전해질에 함침시킨 리튬 2차 전지용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염화비닐에 유기용매와의 친화성이 우수한 아크릴레이트계열의 고분자 및 아크릴레이트계열의 이오노머를 블랜드하여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고분자 매트릭스에 액체전해질을 함침시켜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여 기존의 젤 고분자 전해질보다 제조가 용이하고 적은 액체전해질함량으로도 높은 이온전도도를 얻을 수 있으며 기계적 물성 또한 우수한 리튬 2차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orous Polymer Electroyts Composition based on the Blend of Polyvinylchloride/Polymer of Acrylate/Ionomer of Acry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리튬 2차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염화비닐과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계열의 고분자와 아크릴레이트계열의 이오노머를 블랜드하여 제조된 고분자 매트릭스에 디메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푸탈레이트 등의 가소제를 이용하여 고분자 매트릭스에 다공성 구조를 형성시키고 이를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감마부틸로락톤, 에틸메틸카보네이트,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의 혼합용매에 리튬퍼클로레이트, 리튬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등의 염을 첨가하여 제조한 액체전해질에 함침시킨 리튬 2차 전지용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자, 통신 및 컴퓨터 산업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고성능, 고안전성의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대되어 왔으며, 특히 전기, 전자 제품의 경박 단소화 및 휴대하기 편한 소형화 추세에 따라 이 분야의 핵심부품인 이차전지도 경량화,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의 대량보급에 따른 대기오염과 소음 등의 환경공해 문제 및 석유고갈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에너지 수급원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왔으며이들의 동력원으로서 고출력,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전지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최근 가장 각광받고 있는 고성능 차세대 첨단 신형 전지 중의 하나가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lithium polymer battery, LPB)로, 리튬고분자 이차전지는 기존전지에 비해 단위 무게당 에너지 밀도가 크고 다양한 형태로 제조 가능하며 적층에 의한 고전압·대용량의 전지개발이 용이하고, 카드뮴이나 수은 같은 환경을 오염시키는 중금속을 사용하지 않아서 환경 친화적이라는 장점을 갖고 있다.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는 크게 부극(anode), 고분자 전해질(polymer electrol yte), 정극(cathode)으로 구성되는데, 부극 활물질로는 리튬, 탄소 등이 사용되며, 정극 활물질로는 전이금속산화물, 금속칼코겐 화합물, 전도성 고분자 등이 사용된다. 고분자 전해질은 고분자와 염, 비수계 유기용매(선택적) 및 기타 첨가제 등으로 구성되는 물질로서 상온에서 대략 10-3∼10-8S/cm의 이온 전도도를 나타낸다.
고분자 전해질의 초기 연구는 주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에 리튬염을 첨가하고 공용매에 녹여 캐스팅하여 제조하는 무용매계 고분자 전해질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유럽 특허 제 78505호 및 미국특허 제 5,102,752호) 상온에서의 이온전도도가 낮은 단점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 아크릴로니트릴, 폴리 비닐클로라이드, 폴리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등의 고분자에 유기용매와 리튬염을 첨가하고 공용매에 녹여 캐스팅하여 제조한 가소화된 고분자 전해질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참조 : M. Alamgiret al., J. power sources, 54, 40, 1995) 그러나 가소화된 젤 고분자 전해질은 많은 양의 액체전해질이 첨가되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비수계 유기용매가 첨가되지 않은 고분자 매트릭스를 먼저 제조하고, 이를 양극 및 음극과 적층한 후, 액체전해질을 함침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참조 : J.M. Tarascon et al.,Solid State Ionics, 49, 86-88, 1996 ; 미국특허 제 5,456,000번) 그러나,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계열의 고분자는 전기화학적으로는 안정하나 낮은 표면에너지와 액체전해질과의 낮은 친화성으로 인하여 액체전해질의 함침특성이 좋지 않다. 이와같은 액체전해액과의 낮은 친화성에 기인된 전지내의 시간 및 충방전에 따른 지속적인 액체전해액의 스며나오는 현상은 고분자 매트릭스내의 이온전도도의 저하뿐만 아니라 전지내의 전체저항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여 결국 장시간후의 용량의 지속적인 감소 및 고율충방전 특성을 저하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염화비닐에 유기용매와의 친화성이 우수한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 및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를 블랜드하여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고분자 매트릭스에 액체전해질을 함침시켜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여 기존의 젤 고분자 전해질보다 제조가 용이하고 적은 액체전해질함량으로도 높은 이온전도도를 얻을 수 있으며 기계적 물성 또한 우수한 리튬 2차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대조군인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와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와,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폴리염화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오노머 다공성 고분자 필름의 시간에 따른 액체전해질의 함침특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대조군인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와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와,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폴리염화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오노머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의 온도에 따른 이온 전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하기 성분(1)의 폴리염화비닐과 성분(2)의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 및 성분(3)의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를 중량비 8 : 1 : 1 내지 5 : 2 : 3 으로 함유시키는 단계와,
하기 성분(4)의 가소제와 성분(5)의 무기물을 함께 혼합한 공용매에 전단계에서 제조한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모 고분자를 용해시키는 단계와,
비용매내에서 가소제 성분들만 선택적으로 추출시켜 고분자 매트릭스내에 다공성의 구조를 생성시키는 단계와,
하기 성분(6)과 성분(7)으로 구성된 액체전해질에 전단계에서 제조한 다공성 고분자를 함침시켜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1) 중량평균 분자량이 70,000내지 300,000까지인 폴리염화비닐
(2)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 내지 500,000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의 고분자.
(3)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00 내지 150,000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이타콘산 금속염의 공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말레익산 금속염의 공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 금속염의 공중합체인 이오노머 : 이오노머 합성시 사용하는 개시제는 과산화수소, 벤조일퍼옥사이드(BPO, benzoylperoxide) 또는 2, 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 2'-azobisisobutyronitrile)을 사용하고, 이오노머 내의 이온함량은 1 내지 30 몰% 이다.
(4) 고분자를 기준으로 50∼300 중량%인 디메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의 가소제.
(5) 고분자를 기준으로 5∼50 중량%인 알루미늄옥사이드, 리튬알루미늄옥사이드, 실리카, 제올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의 무기물.
(6) 고분자를 기준으로 50∼200중량%인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감마부틸로락톤, 에틸메틸카보네이트,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
(7) 고분자를 기준으로 5∼30중량%인 리튬퍼클로레이트, 리튬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리튬트리플레이트, 리튬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드, 리튬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염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염.
한편 먼저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를 합성하는 방법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이오노머를 합성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의 합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70 내지 99몰%와 메타크릴산 1내지 30몰%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용해시켜 반응기에 주입하고 반응물 전체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인 벤조일퍼옥사이드 개시제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용해시켜 주입한 뒤 교반하여 50 내지 80℃에서 반응시키고 반응물을 비용매인 메탄올에서 침전시킨 후 건조시켜 메틸메타크릴레아트 70 내지 99몰%이고 메타크릴산 1 내지 30몰%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를 합성한다.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이오노머 합성>
상기에서 합성된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 공중합체를 농도가 0.02N 내지 0.2N 인 수산화리튬 수용액으로 적정하고 건조하여 이온농도가 1 내지 30몰%인 아래 구조식의 이오노머를 합성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염화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오노머(이온함량 : 4몰%)의 블랜드 중량비를 6 : 2 : 2 가 되도록 혼합한 후, 다공성 구조를 생성시키는 가소제인 디부틸프탈레이트를 고분자 무게를 기준으로 하여 1 : 1.5 중량비로 혼합하고, 실리카를 고분자 무게를 기준으로 50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공용매에 녹인 후에 유리판에 캐스팅하여 용매를 증발시켜 복합체 필름을 얻는다. 이를 디에틸에테르 비용매에 함침시켜 복합체 필름내의 가소제인 디부틸프탈레이트를 선택적으로 추출시켜 필름을 건조시킨 후 건조된 필름을 아르곤 분위기의 글로브 박스내로 옮겨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디메틸카보네이트 50 : 50 중량% 혼합용매에 리튬퍼클로레이트를 녹여 제조한 1 몰 액체전해질에 함침시켜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필름[샘플명: VC6M2Io 2 (4mol%)]과 대조구로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와 헥사플로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샘플명: P(VdF-co-HFP)]의 시간에 따른 액체전해질의 함침특성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으며, 또한 대조구와 고분자 전해질 필름을 각각 스테인레스 스틸 전극과 접착시킨 후 폴리에틸렌이 코팅된 알루미늄 포장재로 밀봉한 다음온도에 따른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폴리염화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오노머(이온함량 :4몰%)의 블랜드 중량비를 5 : 2 : 3 가 되도록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실시예 1에서와 같은 구성성분 및 조성을 갖는 혼합물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고 시간에 따른 액체전해질의 함침특성 및 이온전도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각각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샘플명: VC5M2Io3 (4mol%)]
<실시예 3>
폴리염화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오노머(이온함량 :10몰%)의 블랜드 중량비를 6 : 2 : 2 가 되도록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실시예 1에서와 같은 구성성분 및 조성을 갖는 혼합물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고 시간에 따른 액체전해질의 함침특성 및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각각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샘플명: VC6M2Io2 (10mol%)]
<실시예 4>
폴리염화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오노머(이온함량 :10몰%)의 블랜드 중량비를 5 : 2 : 3 가 되도록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실시 예 1에서와 같은 구성성분 및 조성을 갖는 혼합물을 사용하였고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고 시간에 따른 액체전해질의 함침특성 및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각각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샘플명: VC5M2I o3(10mol%)]
상기 실시예 1∼4의 결과를 나타낸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염화비닐에 폴리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와 폴리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렌드 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의 경우 액체전해질의 흡수율 및 온도에 따른 이온전도도가 우수하므로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은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의 재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6)

  1. 폴리염화비닐과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 및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를 중량비 8 : 1 : 1 내지 5 : 2 : 3으로 하여 하기 공용매와 리튬염으로 구성된 액체전해질에 함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염화비닐은 중량평균 분자량이 70,000 내지 3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아크릴레이트계 계열의 고분자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00 내지 500,000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의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0 0 내지 150,000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이타콘산 금속염의 공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말레익산 금속염의 공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 금속염의 공중합체인 이오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공용매는 고분자를 기준으로 50∼200 중량%인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감마부틸로락톤, 에틸메틸카보네이트,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리튬염은 고분자를 기준으로 5∼30중량%인 리튬퍼클로레이트, 리튬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리튬트리플레이트, 리튬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드, 리튬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염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7. 폴리염화비닐과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 및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를 중량비 8 : 1 : 1 내지 5 : 2 : 3 으로 함유시키는 단계와;
    가소제와 무기물을 함께 혼합한 공용매에 전단계에서 제조한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 고분자를 용해시키는 단계와;
    비용매내에서 가소제 성분들만 선택적으로 추출시켜 고분자 매트릭스내에 다공성의 구조를 생성시키는 단계와;
    공용매와 리튬염 구성된 액체전해질에 전단계에서 제조한 다공성 고분자를 함침시켜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폴리염화비닐은 중량평균 분자량이 70,000 내지 3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아크릴레이트계 계열의 고분자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00 내지 500,000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의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0 0 내지 150,000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이타콘산 금속염의 공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말레익산 금속염의 공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 금속염의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인 이오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가소제는 고분자를 기준으로 50∼300 중량%인 디메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무기물은 고분자를 기준으로 5∼50 중량%인 알루미늄옥사이드, 리튬알루미늄옥사이드, 실리카, 제올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 7항에 있어서, 공용매는 고분자를 기준으로 50∼200중량%인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감마부틸로락톤, 에틸메틸카보네이트,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 7항에 있어서, 리튬염은 고분자를 기준으로 5∼30 중량%인 리튬퍼클로레이트, 리튬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리튬트리플레이트, 리튬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드, 리튬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염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제 7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 합성시 사용하는 개시제는 과산화수소, 벤조일퍼옥사이드(BPO, benzoylperoxide) 또는 2, 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 2'-azobisisobutyronitri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의 제조방법.
  16. 제 7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의 이온함량은 1 내지 30 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990050923A 1999-11-16 1999-11-16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29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923A KR100329125B1 (ko) 1999-11-16 1999-11-16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923A KR100329125B1 (ko) 1999-11-16 1999-11-16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942A KR20010046942A (ko) 2001-06-15
KR100329125B1 true KR100329125B1 (ko) 2002-03-21

Family

ID=1962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0923A KR100329125B1 (ko) 1999-11-16 1999-11-16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91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118B1 (ko) * 2014-12-23 2016-08-25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의 압출기 수직 정렬 제어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3548A (ja) * 1991-05-31 1992-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分子電解質
US5202381A (en) * 1990-04-04 1993-04-13 Rohm And Haas Company Polymer blends including ionomers
US5252667A (en) * 1990-04-04 1993-10-12 Rohm And Haas Company Polymer blends including ionomers
KR100214887B1 (ko) * 1997-07-29 1999-08-02 윤덕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말레산금속염이 공중합된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30960B1 (ko) * 1997-05-26 1999-11-15 윤덕용 폴리비닐클로라이드/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29599B1 (ko) * 1996-12-31 1999-11-15 윤덕용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2381A (en) * 1990-04-04 1993-04-13 Rohm And Haas Company Polymer blends including ionomers
US5252667A (en) * 1990-04-04 1993-10-12 Rohm And Haas Company Polymer blends including ionomers
JPH04353548A (ja) * 1991-05-31 1992-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分子電解質
KR100229599B1 (ko) * 1996-12-31 1999-11-15 윤덕용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KR100230960B1 (ko) * 1997-05-26 1999-11-15 윤덕용 폴리비닐클로라이드/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14887B1 (ko) * 1997-07-29 1999-08-02 윤덕용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말레산금속염이 공중합된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942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05611A (zh) 聚合物电解质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5089595B2 (ja) 新規な高分子電解質及び電気化学素子
JP2005142141A (ja) 有機電解液及びこれを採用したリチウム電池
CN112421046B (zh) 用于锂金属二次电池的单离子导电聚合物复合材料的制备方法
KR100463176B1 (ko) 리튬화/술폰화 폴리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을 이용한리튬 고분자 2차 전지용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및 이의제조방법
KR100327915B1 (ko) 고분자 전해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JP2872223B2 (ja) 酢酸ビニル系共重合体、これを含むゲル高分子電解質組成物およびリチウム高分子二次電池
KR100329125B1 (ko) 폴리염화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아크릴레이트계열의 이오노머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40952B1 (ko)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계열의 고분자 및 아크릴레이트 계열의고분자를 포함하는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24712B1 (ko) 신규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ⅱ)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61641B1 (ko) 폴리염화비닐과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24714B1 (ko) 신규한 젤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ⅱ) 및 그의 제조방법
Das et al. Electrolytes for magnesium-ion batteries next generation energy storage solutions for powering electric vehicles
KR100361642B1 (ko) 신규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i)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08514B1 (ko) 고분자 고체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리튬 2차전지
JP4669980B2 (ja) 薄形リチウム二次電池
KR100324713B1 (ko) 신규한 젤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i)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24715B1 (ko) 신규한 젤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ⅲ)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44162B1 (ko)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계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KR100332676B1 (ko) 염화비닐/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와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35649B1 (ko)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계열의 고분자 및 아크릴레이트 계열의고분자를 포함하는 젤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as et al. 8 Electrolytes for Magnesium-Ion Batteries
KR100528907B1 (ko) 리튬 2차전지용 전극 활물질 조성물
US20230369657A1 (en) Secondary battery
KR100450752B1 (ko) 양이온성 고분자 브렌드를 기초로 한 고분자 전해질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