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8138B1 - 자동차의 급발진방지용 변속레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급발진방지용 변속레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8138B1
KR100328138B1 KR1019990026633A KR19990026633A KR100328138B1 KR 100328138 B1 KR100328138 B1 KR 100328138B1 KR 1019990026633 A KR1019990026633 A KR 1019990026633A KR 19990026633 A KR19990026633 A KR 19990026633A KR 100328138 B1 KR100328138 B1 KR 100328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olenoid
lever
shift lever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8608A (ko
Inventor
이상진
Original Assignee
민경선
이상진
허성관
김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선, 이상진, 허성관, 김성욱 filed Critical 민경선
Priority to KR1019990026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8138B1/ko
Publication of KR19990078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1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710/1005Transmission ratio enga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자동차의 급발진방지용 변속레버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어야 변속레버 조작이 이루어지도록한 변속레버제어수단을 솔레노이드작동에 의한 스토퍼로 제어하되 스토퍼를 걸림작동부로 간편하고 정확하게 제어할수 있도록한 것이다.
즉, 변속레버(11)에 설치된 레버고정로울(13)이 고정판(16)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레버고정홈(17)에 선택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되 레버고정홈(17)의 주차·중립에 해당되는 위치의 하부에 스토퍼(20)를 설치하고 스토퍼(20) 일측단은 본체와 연결축(21)으로 연결하고 타측단은 걸편(22)을 형성한 다음 당김스프링(23)으로 상측으로 당김작용을 하고 스토퍼(20)를 승강봉(24)에 연결시켜 제1솔레노이드(25) 작동으로 하향되게 하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제2솔레노이드(33)의 작동봉(30)이 양측으로 진퇴작용하여 일측의 걸림작동부(31)는 걸편(22) 받침기능을 하고 타측의 압지작동부(32)는 접속스위치(40)를 단속시키게 되며 전원은 제2솔레노이드(33)에 인가됨과 아울러 접속스위치(40)를 거쳐 제1솔레노이드(25)에 인가되게 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레버제어장치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급발진방지용 변속레버 제어장치{A speed change lever controling device for preventing a quick launch of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자동차의 급발진방지용 변속레버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어야 변속레버 조작이 이루어지도록한 변속레버제어수단을 솔레노이드작동에 의한 스토퍼로 제어하되 스토퍼를 걸림작동부로 간편하고 정확하게 제어할수 있도록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자동차에서는 변속레버가 주차(Rarking) 위치나 중립(Neutral) 위치에 놓여있는 상태일때만 기관시동이 걸리도록 되어 있으나 변속레버 위치가 불안정하게 놓여있거나 전자파 등의 영향으로 전자시스템에 오류가 발생되어 시동과 동시에 급발진하거나,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도 시동직후 엔진회전수가 약 2000∼2500RPM상태까지 올라간 상태에서 변속레버를 조작하였을때에도 전자파 등의 영향이나 전자시스템의 결함으로 오류가 발생하여 급발진하는 등 안전사고를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시동을 걸거나 시동직후의 변속레버 조작시에 브레이크 페달을 밟도록 권장하고 있으나 운전자들은 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브레이크를 밟고 변속하더라도 엔진회전수가 약 2000∼2500RPM 상태일때 출발하게 되면 급발진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의 염려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에 의하여 급발진방지장치(특허출원제 98-54752호)가 개발되어 자동차의 돌발적출발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게 되었는바, 이러한 급발진방지장치에서 변속레버 제어기능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행할수 있도록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변속레버의 레버고정로울을 제1솔레노이드에 의해 승강되는 스토퍼로 제어하되 스토퍼의 일측에 걸편을 형성하여 스토퍼의 상승시에 걸편이 제2솔레노이드에 의해 진퇴작용하는 작동봉의 걸림작동부에 받쳐져서 제어되고 변속레버잠금해제로 전원이 공급되면 제2솔레노이드에 걸림작동부는 걸편의 받침기능을 해제함과 동시에 반대편 압지작동봉은 접속스위치를 접속시키므로 이와 연결된 제1솔레노이드에 인가되어 제1솔레노이드 작동으로 스토퍼 하강이 이루어져서 변속레버의 변속작용을 할수 있도록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변속레버 잠금상태를 나타낸 전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변속레버 감금해제 상태를 나타낸 전면도
도 3은 일반적인 변속레버를 보인 전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변속레버
13 : 레버고정로울 15 : 작동버튼
16 : 고정판 17 : 레버고정홈
20 : 스토퍼 22 : 걸편
23 : 당김스프링 24 : 승강봉
25 : 제1솔레노이드 30 : 작동봉
31 : 걸림작동부 32 : 압지작동부
33 : 제2솔레노이드 40 : 접속스위치
50 : 전원선
본체(10)의 변속레버(11) 하단을 고정축(12)으로 연결하고 변속레버(11) 중간부에 스프링(13a)으로 탄성지지된 레버고정로울(13)이 설치되어 고정판(16)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레버고정홈(17)에 선택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되 레버고정로울(13)은 레버손잡이(14)에 위치한 작동버튼(15)의 압지작용으로 레버고정홈(17)에서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레버고정홈(17)의 주차·중립에 해당되는 위치의 하부에 스토퍼(20)를설치하되 스토퍼(20) 일측단은 본체(10)에 연결축(21)으로 연결하고 타측단은 직각으로 절곡시킨 걸편(22)을 형성하여 걸편(22) 하단이 제2솔레노이드(33)의 걸림작동부(31)에 받쳐질수 있게하고 걸편(22) 일측은 당김스프링(23)이 연결되어 스토퍼(20)를 상측으로 당김작용을 하며 스토퍼(20) 중간부는 승강봉(24)에 연결시켜 제1솔레노이드(25) 작동으로 스토퍼(20)를 하향시키도록 한다.
상기 제2솔레노이드(33)는 수평방향으로 설치하되 작동봉(30)이 양측으로 진퇴작용하여 일측의 걸림작동부(31)는 걸편(22) 받침기능을 하고 타측의 압지작동부(32)는 접속스위치(40)를 단속시키게 된다.
그리고 전원선(50)은 제2솔레노이드(33)에 연결됨과 아울러 전원선(50)의 1번전원선(50a)은 분기되어 제1솔레노이드(25)에 연결되고 2번전원선(50b)은 분기되어 접속스위치(40)에 연결된 다음 접속스위치(40)를 거쳐 제1솔레노이드(25)에 연결함으로서 제1솔레노이드(25)는 접속스위치(40)에 의해 단속되게 한다.
이와같이된 본 발명의 변속레버제어장치는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자동차에서 시동을 걸기위해 변속레버(11)를 주차(Parking)위치 또는 중립(Neutral)위치에 놓은다음 자동차 키(Key)를 돌리더라도 브레이크페달(도시되지 않음)을 밟지않게 되면 전원선(50)의 전원공급이 되지않거나 또는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도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변속하더라도 시동엔진회전수가 1000RPM이상일때에는 전원선(50)의 전원공급이 되지 않도록한 장치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변속레버제어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전원선(50)에 전원공급이 되지않으면 변속레버(11)의 레버고정로울(13)이 주차 또는 중립위치에 있는 고정판(16)의 레버고정홈(17)에 접속된 상태에서 스토퍼(20)를 당김스프링(23)에 의해 상측으로 당김작용하여 레버고정로울(13)에 근접시킨 상태이고 스토퍼(20) 일측의 걸편(22) 하단은 작동봉(30)의 걸림작동부(31)에 직교로 받쳐져서 스토퍼(20)의 하강을 완벽하게 차단하게 되므로 레버작동버튼(15)을 강하게 압지하더라도 레버고정로울(13)이 레버고정홈(17)에서 벗어날 염려가 없게된다.
그러나 도 2에서와 같이 변속레버잠금해제신호에 의해 전원선(50)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면 제2솔레노이드(33)에 전원이 인가되어 제2솔레노이드(33)의 작동봉(3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좌측의 걸림작동부(31)는 걸편(22)의 받침상태에서 해제됨과 아울러 우측의 압지작동부(32)는 접속스위치(40)를 접속시켜 제1솔레노이드(25)에 전원이 인가되고 제1솔레노이드(25)는 스토퍼(20)와 연결된 승강봉(24)을 하강시켜 스토퍼(20)의 레버고정로울(13) 잠금기능을 해제하게 되므로 레버작동버튼(15)을 눌러 변속레버(11)의 변속작용을 원활하게 할수있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은 주차 또는 중립위치에 놓인 변속레버(11)의 레버고정로울(13)을 스토퍼(20)에 의해 잠금상태 및 잠금을 해제하되 당김스프링(23)으로 스토퍼(20)를 상측의 레버고정로울(13)에 근접시킨 다음 스토퍼(20) 일측의 걸편(22) 하단을 작동봉(30)의 걸림작동부(31)에 의해 직교로 받쳐주므로 변속레버잠금상태가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해제시에는 작동봉(30)의 걸림작동부(31)가 걸편(22)의 받침기능을 해제한 다음 스토퍼(20)를 제1솔레노이드(25)로 하향시켜 변속레버잠금을 해제하기 때문에 당김스프링(23)은스토퍼(20)를 상측으로 당김작용할수 있는 최소한의 탄성력을 유지하면 되고 당김스프링(23)의 탄성력에 크게 영향을 받지않으므로 이에따라 제1솔레노이드(25)도 소형용량을 사용할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전체적인 제어장치 설치공간을 최대한 줄일수 있게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변속레버제어장치는 스토퍼에 의한 제어작동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므로 안전운전을 도모하고 설치공간을 줄일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변속레버(11)에 설치된 레버고정로울(13)이 고정판(16)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레버고정홈(17)에 선택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되 레버고정홈(17)의 주차·중립에 해당되는 위치의 하부에 스토퍼(20)를 설치하고 스토퍼(20) 일측단은 본체와 연결축(21)으로 연결하고 타측단은 걸편(22)을 형성한 다음 당김스프링(23)으로 상측으로 당김작용을 하고 스토퍼(20)를 승강봉(24)에 연결시켜 제1솔레노이드(25) 작동으로 하향되게 하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제2솔레노이드(33)의 작동봉(30)이 양측으로 진퇴작용하여 일측의 걸림작동부(31)는 걸편(22) 받침기능을 하고 타측의 압지작동부(32)는 접속스위치(40)를 단속시키게 되며 전원은 제2솔레노이드(33)에 인가됨과 아울러 접속스위치(40)를 거쳐 제1솔레노이드(25)에 인가되게 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레버제어장치.
KR1019990026633A 1999-07-02 1999-07-02 자동차의 급발진방지용 변속레버 제어장치 KR100328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633A KR100328138B1 (ko) 1999-07-02 1999-07-02 자동차의 급발진방지용 변속레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633A KR100328138B1 (ko) 1999-07-02 1999-07-02 자동차의 급발진방지용 변속레버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608A KR19990078608A (ko) 1999-11-05
KR100328138B1 true KR100328138B1 (ko) 2002-03-28

Family

ID=37478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633A KR100328138B1 (ko) 1999-07-02 1999-07-02 자동차의 급발진방지용 변속레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81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608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13626Y2 (ko)
US4934496A (en) Control for automatic transmission in a motor vehicle
KR100328138B1 (ko) 자동차의 급발진방지용 변속레버 제어장치
JP3120235B2 (ja) 自動車の自動変速機用選択装置
KR20010055753A (ko) 자동차의 변속레버 잠금장치
JPH09109719A (ja) 自動変速車輌用変速レバーのロック装置
JP4878136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JP3930677B2 (ja) チェンジレバー装置
KR20200094290A (ko) 잠금 수단이 구비된 전동차의 주간제어기
KR20000055174A (ko) 주행시 파킹브레이크 자동해제장치와 방법
KR20020047997A (ko) 변속 레버 록킹장치
KR20000004642A (ko) 자동변속기의 시프트레버 인터록 장치
KR200164871Y1 (ko) 시프트로크장치
KR20070062209A (ko) 풀타입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자동차용 노브 및 키인터록제어장치
KR200158180Y1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파킹 레인지에서의 록킹 방지장치
KR100440351B1 (ko) 칼럼at용시프트레버장치의시프트록기구
KR100259649B1 (ko) 자동변속기용변속레버의시프트잠금장치
KR0136960Y1 (ko) 자동차의 제동 유지장치
JPH01186431A (ja) 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KR20030003492A (ko)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조립체
JP2757185B2 (ja) セレクトレバーのロック装置
KR920001767Y1 (ko) 자동해제 가능한 주차브레이크
KR100249567B1 (ko) 경사로 주차를 위한 차량 고정 시스템
KR0182186B1 (ko) 차량용 클러치폐달 고정장치
KR100213168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파킹 레인지 작동력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