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903B1 - 화장판용부형형의제조에사용하는마스크필름의제조방법및화장판용부형형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장판용부형형의제조에사용하는마스크필름의제조방법및화장판용부형형의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26903B1 KR100326903B1 KR1019930024478A KR930024478A KR100326903B1 KR 100326903 B1 KR100326903 B1 KR 100326903B1 KR 1019930024478 A KR1019930024478 A KR 1019930024478A KR 930024478 A KR930024478 A KR 930024478A KR 100326903 B1 KR100326903 B1 KR 1003269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conduit
- manufacturing
- shading
- engravin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천연도관에 거의 정확하게 대응하느냐 또는 유사한 볼록판부를 가지는 화장판용 부형형을 제조할때에 사용되는 마스크 필름을 사진기술에 의해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그의 마스크필름을 사용하여 제조한 화장판 부형형을 제공한다.
제1필름 10과, 제2필름과, 난반사필름 16과, 제3필름 14과를 서로 밀착시켜서 노광 또한 현상하여 제3필름 14에 도관음영부 2a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마스크필름 2을 얻는다.
노광시에는 도관음영부 10a의 주변에서 입사한 광은 난반사 필름 16에 의해 도관음영부 10a의 하방중심부에 확산하여 돌아서 간다.
제3필름 14에 노광하는 노광량은 도관음영부의 주위에서 중심방향에 향하여 2차 곡선적으로 점감하도록 분포한다.
이 마스크필름 14을 현상하여, 주변애서 중심으로 향하여 농도가 농에서 담으로 변화하는 마스크필름 2을 얻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장판(化粧板)용 부형형(賦形型)의 제조에 사용되는 마스크필름의 제조방법 및 화장판용 부형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재의 나뭇결이 인공적으로 부형되고 또한 종이나 합성수지 등의 재료로 이루어진 화장판의 프레스 공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부형형을 제조하는 경우에, 그 제조공정에 있어서 노광공정에서 사용되는 마스크 필름의 제조방법 및 화장판용 부형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나뭇결 모양을 갖는 화장판의 경우, 나뭇결을 형성하는 도관(導管)
의 모양, 즉형태의 무수한 선 모양이 일반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모양 화장판을 형성하기 위한 부형형에는 나뭇결(도관)에 대응한 무수한형태의 선 모양이 형성되게 된다. 종래에, 이와 같은 부형형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제 1도에 나타낸 것 같은 천연 목재의 나뭇결(도관 1)을 사진 필름으로 촬영하고, 이 사진필름을 원판으로 하여, 기판 상에 형성된 감광성 수지막에 인화를 행하고, 그후 화학 에칭 방법을 사용하여 도관에 대응하는 부분을부로서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제조방법은, 이와 같이, 목적으로 하는 나뭇결 등의 모양에 대응하여 모양을 형성하는 것이지만, 종래 방법에 의해서는, 사진 계조(階調)와 같은 계조가 있는 화장판을 만들기 위한 부형형은 실현이 불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사진 계조와 같은 계조가 있는 화장판을 만들기 위한 부형형은, 화장판에 천연의 도관과 거의 동일한 모양을 부형하는 것이 가장 좋은 해결방법인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즉, 천연목재의 도관은 제 2도, 제 3도에 나타낸 것 같이, 얕은 부분과 깊은 부분을 갖고 있어, 이와 같은 형상에 대응한형을 부형형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제 2도, 제 3도에 관해 설명하면, 제 2도는 천연목재를 나타내고, 그 목재 표면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삼각형의 도관(1)이 무수히 표시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A-B, C-D는 각 선분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절단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단면상태를 제 3도에 도시하였다. 도관은 나무 몸체 내부의 수분의 통로의 움직임을이루는 것으로, 긴 파이프 모양의 것이다. 그리고, 절단된 목재의 표면에는 제 2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도관 절단부가 표시되는 것이다. 제 3(Ⅰ)도에서는 절단선 A-B에 있어서는 도관(1)이 경사진 방향으로 절단되어 있는 상태가 명백히 나타나 있다. 또한, (Ⅱ) 및 (Ⅲ)에 나타낸 것 같이, 단면 C-D에 있어서는 도관(1)의 상부 또는 상부 절반 정도가 절단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관 그것은 본래 파이프 형태의 것이기 때문에, 목재 표면에 표시되는 도관의 절단부는 주변 함몰부(1a)와 그의 중심측의 심부(1b)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의 깊이는 서서히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즉, 도관(1)의 횡단방향에 있어서는, (Ⅱ), (Ⅲ)에 나타낸 것 같이, 주변에서 중심을 향하여 서서히 깊어지고, 또한 도관(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는 (Ⅰ)에 나타낸 것 같이, 기단부에서 끝이 가는 선단부를 향해 서서히 얕아진다.
종래의 부형형 제조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원판으로서의 사진 필름으로는 이와 같은 도관의 깊이에 대응한 계조는 도저히 얻을 수 없고, 도관부 전체가 필름에 동일한 계조의 음영부로서 촬영되기 때문에(포지티브 필름의 경우), 그 마스크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부형형의 도관 대응부는 단조(單調)한형상으로, 깊고 얕은 형상을 가지는 천연목재의 도관의 형상에 정확하게는 대응하지 않았던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사진계조와 같은 계조가 있는 화장판을 제작할 수 있는 부형형의 제조방법, 즉, 깊은 부분과 얕은 부분으로 형성되는 천연 도관에 거의 정확하게 대응하는 또는 유사한판부를 갖는 부형형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는동시에, 그 방법에 있어서 노광공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마스크 필름을 제안하고 있다(일본국 특원평 3-346160호).
이러한 마스크 필름(2)의 일례를 제 4도에 나타내었다. 도면에 나타낸 것 같이, 이 마스크 필름(2)은, 상기한 천연 도관(1)의 적어도 횡단 방향에 있어서 심도가 얕은 부분으로부터 깊은 부분에 대응하여 짙은 것에서 옅은 것으로 변화하는 도관 음영부(2a)를 갖고, 또한 도관 음영부(2a) 이외의 기저부(2c)가 거의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4(Ⅰ)도는 도관 음영부(2a)의 농담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즉, 이 도관 음영부(2a)의 양측의 농도가 높고, 그 중심부를 향함에 따라 농도가 낮아지고 있다. 실제로 이 마스크 필름(2)을 미크로적으로 보면, 베이스필름의 일면에 감광층이 도포되어 있고, 이 감광층이 노광 ·현상되어 농담을 나타내고 있다. 제 4(Ⅱ)도에 있어서는, 마스크 필름(2)의 도관 음영부(2a)를 농담 분포곡선(2b)으로 표시하고 있다. 즉, 천연도관(1)의 주변 함몰부(1a)에 대응하는 부분(1a)의 농도가 진하고, 한편 천연도관(1)의 심부(1b)를 갖는 중앙부분(1b)은 얇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마스크 필름(2)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상기한 일본국 특원평 3-346160호에 있어서는, 도관의 심부(1b)에서 주변 함몰부(1a)를 향해 농도를 차차로 진하게 손으로 쓴 원고를 포지티브 필름에 촬영하는 것에 의해 만드는 원시적인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 방법은 손으로 쓴 원고를 정확하게 그리는 것은 매우 힘든 것으로, 제조방법으로는 결코 효율이 좋은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천연목재 자체를 사진피사체로서 이용하고 사진기술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마스크 필름을 제조하는 것에 있다.
또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천연 나뭇결 모양에 유사한 화장 시이트를 얻을 수 있는 부형형을 상기 마스크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의 구성을 갖는 마스크 필름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즉, 이 제조방법은,
천연 도관에 대응하는 도관 음영부를 갖고 도관 음영부 이외의 기저부가 거의 투명한 제 1 제판 사진용 필름과, 난반사 필름과, 천연 도관에 대응하는 도관 투명부를 갖고 도관 투명부 이외의 기저부 하면이 음영부로서 형성된 제 2 제판 사진용 필름과, 미사용의 제 3 제판 사진용 필름을, 도관 음영부와 도관 투명부를 대치시켜, 상하로 서로 밀착시켜 상측에서 노광하고 현상하여 제 3 제판 사진용 필름에 도관 음영부를 형성하는 마스크 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광시에, 제 1 제판 사진용 필름의 기저부, 난반사 필름 및 제 2 제판 사진용 필름에 입사된 도관 음영부 주변의 빛이 난반사 필름의 난반사 작용에 의해 제 1 제판 사진용 필름의 도관 음영부의 하측 중심 방향으로 확산되고, 제 2 제판 사진용 필름의 도관 투명부를 광 통과창으로 하여 제 3 제판 사진용 필름에 입사하는 빛의 노광량을 제 3 제판 사진용 필름에 형성되어야 할 도관 음영부의 적어도 횡단 방향을 따라 주변으로부터 중심방향을 향해 점차 감소하도록 분포시키고, 현상 후의 제 3 제판 사진용 필름의 도관 음영부의 농도를 천연 도관의 적어도 횡단방향의 심도가 얕은 부분으로부터 깊은 부분에 대응하여 짙은 것으로부터 옅은 것으로 변화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제 5도∼제 27도에 따라,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마스크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처음으로, 마스크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 5도는 본 발명에 관한 마스크 필름의 기본적인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는, 제판 사진용 제 1 필름(10)과, 난반사 필름(16)과, 제판 사진용 제 2 필름(11)과, 제판 사진용 제 3 필름(14)이 사용된다. 여기에서 제판 사진용 필름으로서는 리스 필름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 3 필름에 대해서는 끝 가장자리부(주위부)의 흐릿해짐을 회피하기 위해, 프로세스 필름이 아니고, 리스 필름이 좋다. 제 1 필름(10)은, 천연 도관(1)에 대응하는 도관 음영부(10a)를 상면에 갖고 도관 음영부(10a) 이외의 기저부(10c)가 거의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필름(11)은 천연 도관(1)에 대응하는 도관 투명부(11a)를 갖고 도관 투명부(11a) 이외의 기저부(11c) 하면이 음영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3 필름(14)은 미사용의 것으로서, 이 제 3 필름(14)이 노광 ·현상 후에 마스크 필름(2)으로 된다. 난반사 필름(16)은 제 1 필름(10)에 입사된 빛을 제 2 필름(11) 및 제 3 필름(14)에 확산하는 것으로, 유백색의 반투명 필름이 바람직하다. 제 5(Ⅰ)도에 있어서는, 각 필름(10, 11)의 도관 음영부(10a) 및 음영부로서의 기저부(11c)가, 필름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감광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3장의 필름(10, 11, 14) 및 난반사 필름(16)은, 도면에 나타낸 것 같이, 10-11 사이에는 난반사 필름(16)을 끼워 각각의 감광층이 배면 맞춤이 되도록 하고, 필름 11-14 사이에는 감광층끼리가 마주 대하도록, 순차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필름 10과 필름 11을, 난반사 필름(16)을 개재하여 각 베이스 필름을 배면 맞춤으로 하여 서로 밀착된 상태로 빛(L)에 의해 노광된다. 이때, 각 도관 음영부 (10a)와 도관 투명부(11a)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배치의 방식은, 제 7도, 제 8도에 나타낸 배치 방식 또는 기타 방식도 있지만, 제 5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관 음영부(10)의 형상 및 치수를 도관 투명부(11a)의 형상 및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는 동시에, 이들 각 도관 음영부(10a)와 각 도관 투명부 (11a)가 상하측향으로 실질적으로 일치되도록 하고 있다.
제 5도에 나타낸 것 같이, 빛(L)에 의해 밀착 필름(10, 16, 11, 14)을 노광하면, 빛이 필름(16)을 투과할 때에 난반사가 일어나, (11)에 나타낸 것 같이, 제 3 필름(14)(마스크 필름(2))에는 주변부분의 농도가 진하고 중심 부분의 농도가 낮은 농도분포를 갖는 도관 음영부(2a)가 형성된다. 즉, 빛이 난반사 필름(16)의 부분에서 난반사를 일으키면, 제 1 필름(10)의 도관 음영부(10a)의 주변에서 각 필름 (10, 11)에 입사하는 빛의 일부는 도관 음영부(10a)의 하측 중심방향으로 돌아들어가게 된다. 만일, 이 빛의 난반사가 없으면, 결국 상측에서 입사하는 빛(L)이 하측으로 직진한다고 하면, 도관 음영부(10a)의 폭 치수와 도관 투명부(11a)의 폭 치수는 일치하기 때문에, 도관 투명부(11a)를 광 통과창으로 하여 제 3 필름(14)에 입사하는 빛은 이론상 제로가 되어, 제 3 필름(14)은 노광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빛의 난반사 현상을 이용하여, 일정한 빛이 도광투명부(11a)를 광 통과창으로 하여 제 3 필름(14)에 입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입사광은 제 3 필름(14)에 대해 한결같지는 않고, 그것의 노광량은 주변부에 있어서 많고, 중심부에 있어서 적어져, 농도분포 곡선(2b)으로 표시한 것 같이, 도관 음영부(2a)의 주변에서 중심을 향해 2차 곡선적으로 점차 감소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노광된 제 3 필름(14)을 현상하면, 노광량이 많은 부분의 농도가 높게 되고, 노광량이 적은 부분의 농도가 낮아지는 것이다. 즉, 도관 음영부(2a)의 농도는 천연 도관(1)의 심도가 얕은 부분으로부터 깊은 부분에 대응하여 짙은 것으로부터 옅은 것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제 4(Ⅱ)도에 도시된 목적으로 하는 부분의 마스크 필름(2)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제 1 및 제 2 필름(10, 11) 자체는, 일례로서 제 6도에 나타낸 사진 기술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제 6도는 다수의 도관(1)의 나뭇결 모양을 갖는 천연목재의 표면을 카메라(12)에 의해 촬영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촬영방식 자체는 공지의 것으로서, 피사체인 부분 중에서 나뭇결 모양이 검은 부분 즉, 도관과 다른 상대적으로 밝은 배경 부분과의 콘트라스트를 강조하기 위한 촬영 방식이다. 따라서, 이 카메라(12)에 사용되는 필름은 그 목적에 합치하는 리스 필름이 사용된다. 그리고, 촬영시에 있어서는, 빛(L)을 천연목재의 표면에 대해 경사진 방향에서 투광하여, 천연목재의 표면에 대해 움푹 패어있는 부분인 각 도관(1)의 부분을 어둡게 하는 한편 배경부를 밝게 하여, 결국 명암을 강조하여 촬영한다. 이것에 의해, 전면이 한결같거나 균일한 농도를 갖는 기저부(11c)를 갖는 부분인 제 2 필름(11)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필름(10)은 제 2 필름(11)에 대한 네가티브 필름이다. 즉,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기저부(11c)를 갖는 제 2 필름(11)의 아래에 미사용의 제 1 네가티브 필름(10)을 감광층이 밀착하도록 하여 노광하는 것에 의해, 제 2 필름(11)과 음영부가 역전된 제 1 필름(10)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콘트라스트를 보다 강조하는 방법으로서, 천연목재의 표면에 있어서 도관부 이외를 백색 도장하여 촬영하는 방법이나, 역으로 (천연목재가 진한색인 경우), 도관부 만을 흰색 쵸크 등으로 메워 백색으로 하고 나서 촬영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한 것 같이, 노광시에 있어서 빛의 난반사 또는 확산 현상을 이용하여, 제 3 필름(14)에 입사하는 빛의 노광량을 제 3 필름(14)에 형성되어야 할 도관 음영부(2a)의 적어도 횡단방향을 따라 주변으로부터 중심방향을 향해 점차 감소하도록 분포시키도록 하고, 현상후의 제 3 필름(14)의 도관 음영부(2a)의 농도를 천연 도관(1)의 적어도 횡단방향의 심부의 얕은 부분에서 깊은 부분에 대응하여 진한 것으로부터 옅은 것으로 변화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지만, 제 7도의 실시예 방법에 따르면, 천연 도관(1)의 횡단방향 뿐만 아니라 긴쪽 방향에 있어서도 심도가 얕은 부분으로부터 깊은 부분에 대응하여 진한 것으로부터 옅은 것으로 변화된 마스크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 제 2 실시예를 다음에 설명 한다.
제 7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사용하고 있는 제 1 필름(10), 제 2 필름(11) 및 제 3 필름(14)과 난반사 필름(16)은 제 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그러나, 제 1 필름(10)과 제 2 필름(11)의 위치맞춤 방식이 제 1 실시예의 것과 다르다. 또한, 제 7(Ⅰ)도, 제 7(Ⅱ)도는 천연 도관(1)의 긴쪽 방향 단면에 대응하고 있다.
즉, 본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필름(10)과 제 2 필름(11)이, 제 1 필름(10)이 제 2 필름(11)에 대해 도관 음영부(10a)의 끝이 가는 선단부측의 방향으로 어긋난 상태에서 서로 밀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 위치관계는 제 7(Ⅲ)도에 잘 표시되어 있다. 결국, 겹쳐 맞추어진 필름을 상측에서 본 경우, 도관 투명부(11a)의 기단부는 도관 음영부(10a)와 겹쳐져 있지 않고, 한쪽 도관 투명부의 기단부 이외의 부분은 모두 도관 음영부(10a)와 겹쳐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서로 밀착하도록 된 필름(10, 16, 11, 14)에 대해 빛(L)에 의해 노광하였을 때, 도관 투명부(11a)의 기단부와 도관 음영부(10a)의 기단부 사이에 있어서는 빛이 직접 제 3 필름(14)에 입사된다. 그리고, 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관 음영부(10a)의 주변으로부터 필름(10)에 입사하는 빛은 난반사 필름(16)을 투과할 때에 확산을 일으키기 때문에, 제 7(Ⅱ)도에 나타낸 것 같이, 도관 음영부(2a)의 기단부로부터 끝이 가는 선단부를 향해 점차 감소하도록 노광량이 분포하게 된다. 이 경우, 도관 음영부(10a)의 끝이 가는 선단부는 기저부(11c)와 겹쳐져 있으므로, 그것의 주변에서 확산하여 필름(14)에 이르는 빛의 광량은 대단히 적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노광분포를 갖는 제 3 필름(14)을 현상하면, 천연 도관의 긴쪽 방향단면에 매우 잘 대응하는 도관 음영부(2a)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천연 도관(1)의 횡단방향에 있어서는, 노광시의 빛의 확산현상에 의해,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형태의노광분포가 얻어져, 도관 음영부의 주변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노광량이 점차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도관 음영부(10a)의 횡단방향 주변은 기저부(11c)와 겹쳐져 있으므로, 그것의 주변에서 확산하여 필름(14)에 이르는 빛의 광량은 매우 적어진다. 이 제 2 실시예에 의해 얻어지는 마스크 필름(2)의 도관 음영부는 제 1 실시예에 의해 얻어지는 도관 음영부보다 한층 천연목재의 도관에 대응한 것으로 되고, 그 때문에 이 마스크 필름을 이용하여 부형형을 제조하고, 그 부형형에 의해 화장판을 제조하면, 그 화장판에는 천연목재의 도관에 매우가까운 도관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제 8도에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상기한 본 출원인에 관한 일본국 특원평 3-346160호에는, 또 다른 마스크 필름을 제안하고 있다. 이 마스크 필름은 1쌍의 마스크 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이지만, 제 8도의 실시예는 이 1쌍의 마스크 필름에 대신하는 1장의 마스크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2 필름(11) 및 난반사 필름(16)의 구성은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지만, 제 1 필름(13)의 구성은 약간 다르다. 즉, 제 1 필름(13)의 도관 음영부(13a)는, 제 2 필름(11)의 도관 투명부(11a)와 서로 유사한 형태를 갖고 있기는 하지만, 도관 음영부(13a)의 폭 치수 W1는 도관 투명부(11a)의 폭 치수 W2보다 한단계 작게 치수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노광시에 있어서는 제 1 필름(13)과 제 2 필름(11)을 도관 음영부(13a)를 도관 투명부(11a)에 중심 맞춤한 상태로 난반사 필름(16)을 끼우고 서로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빛(L)에 의해 노광하면, 도관 음영부(13a)와 도관 투명부(11a)의 각 주변부 사이에 있어서는 빛(L)은직접 제 3 필름(14)에 입사한다. 또한, 도관 음영부(13a)의 주변부에서 필름(13, 16, 11)에 입사하는 빛은 제 1,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필름(16)에 있어서 확산현상이 생겨 중심방향으로도 돌아 들어간다. 따라서, 제 8(Ⅱ)도에 도시된 것 같이, 제 3 필름(14)에 노광되는 도관 음영부(2a)의 노광량은, 주위 일정폭 부분 W3에 있어서 최대가 되고, 그 부분 W3로부터 중심을 향해 점차 감소하게 되어, 그것에 따라, 현상 후에는 주변 일정폭 부분 W에 있어서 농도가 최대로 되고, 그것의 주변 일정폭 부분 W3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농도는 짙은 것으로부터 옅은 것으로 변화하게 된다.
상기 제 3 실시예에 나타낸 제 1 필름(13)의 도관 음영부(13a)는, 예를 들면 제 9도에 도시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제 9도에 있어서, 10은 제 1, 제 2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 1 필름(10)과 동일한 것으로 폭 치수 W2를 갖고 있다. 단, 이 필름(10)은 100∼200μ정도 두꺼운 리스 필름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15는 제 1 필름(10)의 하측에 밀착된 미사용의 제 1 네가티브 필름으로 명암의 콘트라스트가 강조된 리스 필름이다. 이와 같이 제 1 필름(10) 및 미사용의 제 1 필름(15)을 난반사 필름(16)을 개재하여 겹쳐맞추어 빛(L)에 의해 노광을 행한다. 그렇게 하면 필름 10의 도관 음영부(10a) 이외의 부분에 입사하는 빛(L)은 모두 필름(15)에 대해 노광되게 된다. 한편, 도관 음영부(10a) 부분에 대해서는, 그것의 주변부분의 빛은 필름(16)에 있어서 확산되어 도관 음영부(10a)의 하측으로 돌아 들어가게 된다. 제 9도에 있어서는, 필름(15)의 폭 치수 W1의 범위를 제외하고 기타의 부분이 노광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 필름(15)을 현상하면, 제 9도(Ⅱ)에 나타낸 것 같은 음영부로서의 기저부(15c) 및 도관 투명부(15a)를 얻을 수 있다. 이 도관 투명부(15a)는 폭 치수 W1을 갖고 있다. 그리고 다음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 필름(15)의 아래에 미사용의 네가티브 필름(13)을 감광층끼리가 밀착하도록 겹쳐맞추어 노광하면 제 8도의 필름(13)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마스크 필름(2)을 사용하여 부형형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 및 그 방법에서 얻어지는 부형형에 대해 제 10도∼제 15도에 따라 설명한다.
이 부형형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우선 처음에 상기 마스크 필름(2)을 사용한 노광공정이 행해진다. 이 노장공정을 제 10도에 나타내었다. 제 10도에 나타낸 것 같이, 마스크 필름(2)를 통해 광경화층(3a)에 빛(L)을 노광하여, 기저부(2c)에 대응하는 부분을 충분히 광경화시켜서 주위 경화부(3e)를 형성하는 동시에, 도관 음영부(2a)에 대응하는 부분을 그것의 농도에 대응한 윤곽 깊이로 광경화시켜 주위 경화부(3e)에 들러쌓인형 경화부(3c)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본 티슈(carbon tissue)(3)가 사용되고 있다. 이 카본 티슈(3) 자체는 공지된 것으로, 광경화층(3a)과, 베이스 종이(3b)로 형성되어 있다. 제 10도에서 빛(L)의 광선을 화살표로 표시하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명백한 것 같이, 마스크 필름(2)의 기저부 2c는 거의 투명하기 때문에 빛(L)은 광경화층(3a)에 대해 충분히 깊게 침투하는 한편, 마스크 필름(2)의 도관 음영부(2a)의 부분에 대해서는, 그것의 농담에 대응한 양만큼 빛(L)이 도달한다. 즉, 도관 음영부(2a)의 주위 부분은 진한 음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빛(L)의 투과 깊이가 작고, 한편 도관 음영부(2a)의 중심부분은농도가 옅게 되어 있기 때문에 주변 부분보다 깊게 빛이 도달하고 있다. 따라서,형 경화부(3c)는 천연 도관(1)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게 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3d는 빛(L)이 도달하지 않은 부분 즉 미경화부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제 11도에 나타낸 것 같이, 노광을 마친 후의 카본 티슈의 광경화층(3a)을 기판(4), 예를 들면 동판에 붙여 온탕에서 현상하는 것에 의해, 미경화부(3d)를 제거하고 베이스 종이(3d)를 박리하는 것에 의해, 기판(4)의 표면에 에칭용 광경화막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카본 티슈 대신에, 폴리에스테르 베이스의 로트필름을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제 12도는 상기한 제 1 에칭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 공정에서는 광경화층(3a) 위에서 부식액(Q)을 침투시킨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기판(4)에, 광경화층(3)의 두께형상에 대응한 윤곽깊이로, 부식액(Q)을 침투시켜, 금속기판(4)의 상층을 부식하는 동시에 그 부식부분을 제거한다. 즉, 부식액(Q)은 광경화층(3)의 가운데를 위에서 아래로 침투하여 가지만, 그것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은 침투에 시간이 걸리는 한편 그것의 두께가 얇은 부분은 그 침투시간이 빠르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시된 것 같이 부식된 최고로 깊은 부분의 깊이가 일정한 값, 예컨데 60∼70μ에 도달하였을 때, 이 에칭공정을 정지하여 부식부분을 세정하면, 광경화층(3a)의 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이 금속기판(4)에 전사되게 된다. 즉, 광경화층(3a)의 주위 경화부(3e)에 대응하여 금속기판(4)에는 주위부(4d)가 형성된다. 한편, 광경화층(3a)의형 경화부(3c)와 동일한 형상의판부(4c)가 형성되게 된다. 이것을 제 13도에 나타내었다.
상기 제 1 에칭공정에 있어서 형성된 금속기판(4)은, 뒤이어 제 2 에칭공정이 행해진다. 이 제 2 에칭공정을제 14도에 나타내었다. 이 공정에 있어서는, 제 2 에칭을 개시하기 전에, 주위부(4d)에 둘러싸이고판부(4c)의 상부에 위치한 공간(4g) 내에 부식액 Q가 침투하지 않은 비침투성 틈막이(5), 예컨데 오프세트 잉크를 핸드 로울러로 기판표면에 전면에 도포하여 닥터칼날(doctor blade)로 여분의 잉크를 제거한 후에, 샌드페이퍼, 숫돌 등으로 비벼 평탄부의 오프세트 잉크를 완전히 제거하여부에만 이 오프세트 잉크를 충전한다. 이와 같이 틈막이(5)을 충전한 후에 제 2 에칭이 개시된다. 그리고, 이 공정에 있어서는, 금속기판(4)에 그것을 상측으로부터 부식액(Q)을 침투시켜 주위부(4d)를 부식 ·제거하여부(4c)보다 충분히 낮은 평탄부(4h)를 형성한다. 이 제 2 에칭은,부(4c)가 일정한 높이, 예를 들면 약 100μ이 될 때까지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화장판용 부형형을 제 15도에 나타내였다. 상기한판부(4c)가 소위 도관 대응형태부(4e)로서 전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도관 대응형태부(4e)는 제 3도에 도시한 천연 도관의형상에 유사하게 되어있어, 따라서 이 부형형에 의해 프레스 공정으로 화장판에 엠보스가공을 하면 천연 도관에 매우 유사한 도관, 즉 심부와 함몰부로 이루어진 도관을 형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제 5도의 실시예에 나타낸 마스크필름의 제조방법에서는 실제로는 상태가 나쁜 경우가 있다. 즉, 천연목재의 무수한 도관의 크기는 실제로는 불균일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모든 도관에 대해 소망하는 농담 분포곡선을 얻는 것이 곤란하다. 그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제 16도는, 제 5도의 노광방법에 있어서, 큰 도관(1')과 작은 도관(1")에 대응하는 농담 분포곡선의 표시방법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제 16도는 작은 도관(1")에 노광량을 맞춘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즉, 제 16도에 나타낸 것 같이, 작은 도관(1")의 농담 분포곡선이 소망하는 형상으로 되고, 또한 중심부의 농도도 충분히 보증되어 있는 경우에는, 큰 도관(1')의 농담 분포곡선은 그것의 중심부의 농도가 충분히 보증되지 않을 뿐 아니라, 그것의 형상도 소망하는 것으로 되지 않은 경우가 생긴다. 이것은, 노광량을 작은 도관(1")에 맞추고 있기 때문에, 그 노광량은 큰 도관(1')을 노광하는데 충분하지 않고, 그 때문에, 농담 분포곡선의 중심부가 대부분 노광되지 않기 때문이다. 위와는 역으로, 만일 노광량을 큰 도관(1')에 맞추면, 작은 도관(1")이 희생되고, 결국 노광량이 과다하므로 그 농담 분포곡선은 소망하는 계곡 형상을 그리지 않고 평활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마스크 필름(2)이 제 16도의 농담 분포곡선을 갖는 경우에는, 이 마스크 필름을 사용하여 부형형을 제조할 때에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생긴다.
제 17도는 제 14도에 대응하는 도면이지만, 큰 도관(1')에 대응하는 금속기판(4)의 공간(4g)의 깊이 t, 즉판부(4'c)의 중심부의 상측 부분이 대단히 얕게 되어, 그 결과, 틈막이(5)의 중심부의 두께가 극히 얇아진다. 그렇게 되면, 제 14도에 도시된 제 2 에칭공정이 실시되면, 틈막이(5)의 중심부로부터의 부식액의 침투가 많아지고, 그 결과, 제 18도에 나타낸 것 같은 도관 대응형태부(4'e,4"e)가 형성되게 된다. 즉, 작은 도관(1")에 대응하는형태부(4"e)는 문제없지만, 큰 도관(1')에 대응하는형태부(4'e)의 정수리 부분에 홈(4i)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 홈(4i)은 틈막이(5)의 중심부를 침투한 부식백의 부식에 의한 것이다. 물론, 이 형상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여기에는 큰 도관, 작은 도관이라 는 용어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한 개의 도관의 굵은 부분과 가는 부분으로도 동일한 것을 말할 수 있다.
제 19도∼제 23도에 도시된 제 4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문제는, 노광량을 작은 도관(1")에 맞추었을 때, 큰 도관(1')에 대응하는 농담 분포곡선의 중심부가 극단적으로 옅게 되는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이 사태를 회피하면 된다. 제 4 실시예에서는, 제 5도에 있어서 제 1 필름(10)의 도관 음영부(10a)가 일정한 소량의 빛을 투과하는 농도로 조정된 필름(10')을 사용한다. 이 필름(10')은 제 19도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즉, 제 5도에서 사용된 제 2 필름(11)의 아래에 이것과 밀착하여 미사용의 필름(10')을 겹쳐 맞추어, 이 상태로 상측에서 노광한다. 노광되고 현상된 필름(10')을 제 20도에 나타내었다. 이 경우에, 노광량을 조정하여, 제 2 필름(11)의 도관대응 투명부(11a)에서 투과하는 광에 의해 필름(10')이 약간 노광하도록 한다. 따라서, 필름(10')의 도관 음영부(10'a)의 농도는 저농도로서, 일정량의 빛의 투과를 허용한다.
그런데, 마스크 필름의 도관 음영부의 농도(사진 농도로서의 투과 농도)는, 그것의 주위부가 1.8∼2.0, 그것의 중심부가 0.6∼0.7 정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관의 폭 치수는, 실제적으로는, 큰 것이 0.8∼1.0mm, 작은 것이 0.3∼0.5mm 정도이다. 이 도관치수를 고려하고, 작은 도관을 기준으로 하며, 또한 제 21도에 도시된 노광공정에 있어서 필름 10'과 11과를 병용하는 것을 고려하였을 때, 필름(10')의 도관 음영부(10'a)의 농도는 제 5도에 나타낸 마스크 필름의 제조시의 노광량과의 관계에서, 마스크 필름의 도관 음영부의 중심부 농도가 0.6∼0.7로 되도록 0.3∼1.2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하여, 제 19도에 있어서의 노광을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 21도에 도시된 것 같이, 제 1 필름(10')과, 난반사 필름(16), 제 2 필름(11) 및 제 3 필름(14')을 제 5도의 경우와 동일하게, 겹쳐 맞추어 재차 노광한다. 그러면, 이 경우에는, 제 1 필름(10')의 도관 음영부(10'a)는 일정량의 빛을 투과시키므로, 제 3 필름(14')에 형성되는 농담 분포곡선은 더 증가된 상태가 된다. 즉, 도관 음영부(10'a)를 투과하는 빛에 의해, 노광되는 음영부(2a-2)와, 빛의 확산에 의해 노광되는 음영부(2a-1)가 중첩된 농담분포가 된다. 이 제 3 필름(14')에 형성되는 큰 도관 음영부(2'a)와 작은 도관 음영부(2"a)는 제 22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된다. 결국, 큰 도관에 대응하는 도관 음영부(2'a)의 중심부도 충분히 노광된다. 따라서 이 제 3 필름(14')을 마스크 필름으로 하여 제 11도∼제 15도의 처리를 행하면,부(4'c, 4"c)를 갖는 금속기판(4')을 얻을 수 있다. 즉, 큰 도관(1')에 대응하는판부(4'c)의 상측의 공간(4g)의 깊이 t도 충분히 확보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공간(4g)에 채워진 틈막이(5)의 중심부의 두께도 충분히 보증되게 되어, 제 2 에칭공정을 실시하였다고 하여도, 제 18도에 나타낸것과 같은 문제점은 생기지 않는다.
또한, 제 21도의 방법 대신에 제 24도의 개량방법(제 5 실시예)에 의하여도 좋다. 이 개량방법에 있어서는, 제 1 마스크 필름(2)에 더붙여, 제 2 마스크 필름(6)을 병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 제 2 마스크 필름(6)에서는, 그것의 도관 음영부(6a)가 일정한 소량의 빛을 균일하게 투과하는 농도로 조정되어 있다. 이 개량방법에서는, 제 21도에 나타낸 것 같이, 제 1 필름(2)과 제 2 필름(6)을 카본 티슈(3)의 광경화층(3a) 상에 겹쳐맞추어서 빛(L)을 노광한다. 이 경우, 각 도관 음영부(2a, 6a)끼리 및 기저부(2c, 6c)끼리는 각각 일치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이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마스크 필름(2, 6)을 전체로서 보면, 도관 음영부 전체로서는, 제 1 필름(2)의 농도분포(2b)가 제 2 필름(6)의 농도분포(6b)보다 더 높은 상태가 된다. 그러한 더 높은 상태의, 큰 도관 음영부(2b + 6b)와 작은 도관 음영부(2'b + 6'b)는 제 25도에 나타낸 것과 같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것 같이, 큰 도관(1')에 대응하는 도관 음영부(2b + 6b)의 중심부도 충분한 농도를 갖고 있다.
한편, 마스크 필름(2) 등을 사용하여 부형형을 제조하는 방법을 위에서 설명하고, 그 결과 형성된 부형형의 도관 대응판부의 형상을 제 15도에 나타내었다. 그러나, 제 15도의 형상은 이상적인 형상으로, 현실적으로는 모든 도관대응형태부를 이와 같은 이상적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 예의 일례를 이미 제 18도에 나타내었다.
또한, 마스크 필름(2)이 도관 대응판부의 형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말할 것도 없지만, 실제로는, 기저부(2c)와 도관 음영부(2a)의 경계를 이루는 농담분포곡선(2b)의 언저리는 제 5도에 나타낸 정도로는 날카롭지 않은 경우도 많다. 즉, 제 26(Ⅰ)도에 나타낸 것 같이, 농담 분포곡선(2b)의 언저리도 약간 미끄러지는 곡선을 그리는 경우도 많다. 이 경우에는, 이 마스크 필름(2)을 사용하여 제조된 부형형의 도관 대응판부(4c)는 그의 언저리에 혹(4j)이 생긴다.
더구나, 마스크 필름(2)의 농담 분포곡선(2b)이 제 2(Ⅱ)도에 나타낸 것 같이 이상형으로 되었다고 하여도, 제 2 에칭공정에 있어서 부식액 Q의 부식작용이 반드시 정착하게 수직 하측으로 진행되지 않고, 경사지게 하측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부형형의 도관대응판(4c)의 언저리 돌기(4k)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 혹(4j) 또는 돌기(4k)가 발생하는 원인을 제 27(Ⅰ)도∼제 27(Ⅳ)도에 근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좌측은 굵은 도관에 대응하고, 우측은 가는 도관에 대응한다. 먼저, 마스크 필름(2)은 도관의 굵기에 의해, 다소 노광이 되는 방식이 다르고, 가는 도관은 굵은 도관에 비해, 빛이 역 사이드로부터도 미칠 가능성이 높게 되는 것에 의해, 굵은 도관보다도 전체적으로 진하고, 특히 중앙 부근도 상당히 노광된다(제 27(Ⅰ)도). 따라서, 1차 에칭후, 틈막이(5)은 (Ⅱ)의 상태가 된다. 제 27(Ⅱ)도 중의 파선은 2차 에칭의 진행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것의 실제의 진행은, 충전물 주변부 에칭이 그것의 양 사이드보다 약간 늦다. 그래서, 그 에칭을 가늘은 도관에 맞춘 경우(제 27(Ⅲ)도)는, 특히 굵은 도관측에 중앙돌기의 양측에도 혹이 생기게 된다. 이 혹을 없애기 위해, 더욱 더 에칭을 진행하면(제 27(Ⅳ)도), 이번에는 가는 쪽의 도관의 측벽부가 도려내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되면, 이 부형형로 시이트에 엠보스 가공을 행하면, 시이트가 빠지지 않게 되어,(또는, 시이트의 도관 대응부의 언저 리부로 되돌아감이 생긴다) 화장판으로서는 사용불능이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형상이 되는 바로 앞에서 에칭을 종료하게 되어, 그 결과 제 26도에 나타낸 것 같은 혹(4j)이나 돌기(4k)가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마스크 필름(2)을 사용하여 부형형을 제조하면, 부형형로 형성되는 각 도관 대응판부는, 천연 도관에 대략 대응하는 형상이 되지만, 그 언저리부는 여러가지로 변형하게 된다. 그러나, 이 변형 형상은, 천연 도관과 완전 일치는 하지 않기는 하지만, 변화가 있는 도관, 결국 획일적이 아닌 도관을 화장 시이트에 부형할 수 있어, 눈으로 보았을 때는, 오히려 화장시이트 전체로서 자연스러운 도관으로 보인다. 이러한 변화있는 도관대응판부는 상기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처음으로 실현될 수 있는 것이다.
제 1도는 도관 모양을 갖는 천연목재의 표면을 나타낸 평면도.
제 2도는 제 1도의 천연목재의 도관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 3도는 제 1도, 제 2도의 천연 도관의 단면을 나타낸 설명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관한 마스크 필름의 측면도.
제 5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마스크 필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
제 6도는 제 5도에 있어서 제 1 필름(10)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
제 7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마스크 필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
제 8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마스크 필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
제 9도는 제 8도에 있어서 제 1 필름(13)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
제 10도는 본 발명에 관한 마스크 필름을 사용하여 부형형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노광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제 11도는 본 발명의 부형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광경화층과 금속기판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 12도는 부형형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1 에칭공정을 나타낸 도면.
제 13도는 제 1 에칭공정에 의해 제조된 금속기판을 나타낸 도면.
제 14도는 부형형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2 에칭공정을 나타낸 도면.
제 15도는 제 10도∼제 14도의 제조공정에 의해 형성된 부형형을 나타낸 단면도.
제 16도는 제 5도의 제 1 실시예에 의해 마스크 필름을 제작할 때에 생기는 큰 도관 음영부와 작은 도관 음영부의 각 농담 분포곡선을 나타낸 도면.
제 17도는 제 16도의 마스크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금속기판을 나타낸 도면.
제 18도는 제 17도의 금속기판으로부터 제조된 부형형을 나타낸 도면.
제 19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마스크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1 필름(10')을 만드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제 20도는 제 1 필름(10')의 도관 음영부 및 농담분포 곡선을 나타낸 도면.
제 21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마스크 필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
제 22도는 제 21도의 방법으로 제조된 마스크 필름의 큰 도관 및 작은 도관에 대응하는 각 도관 음영부를 나타낸 도면.
제 23도는 제 22도의 마스크 필름(14')을 사용하여 제조된 금속기판을 나타낸 도면.
제 24도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관한 마스크 필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
제 25도는 제 24도의 방법으로 제조된 마스크 필름의 큰 도관 및 작은 도관에 대응하는 각 도관 음영부를 나타낸 도면.
제 26도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제조된 마스크 필름(2)의 변형형상과, 그 마스크 필름(2)을 사용하여 제조된 부형형의 도관 대응 凸판부의 변형 형상을 나타낸 도면.
제 27도는 제 26도의 상세 내용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도관 1' : 큰 도관
1" : 작은 도관 1a : 주변 함몰부
1b : 심부 2 : 마스크 필름
2a, 2'a, 2"a : 도관 음영부 2b : 농담 분포곡선
2c : 기저부 3 : 카본 티슈
3a : 광경화층 3b : 베이스 종이
3c : 凸형 경화부 3d : 미경화부
3e : 주위 경화부 4, 4' : 금속기판
4c, 4'c, 4"c : 凸판부 4d : 주위 凸부
4e, 4'e, 4"e : 도관대응 凸형태부
4g : 공간 4h : 평탄부
4 : 홈부 4j : 혹
4k : 돌기 5 : 충전물
6 : 제 2 마스크 필름 6a : 도관 음영부
6c : 기저부 10, 10' : 제 1 필름
10a, 10'a : 도관 10c, 10'c : 기저부
11 : 제 2 필름 11a : 도관대응 투명부
11c : 기저부 14, 14' : 제 3 필름
15: 네가티브 필름 15a: 도관 투명부
15c: 기저부 16: 난반사 필름
L : 빛 Q : 부식액
Claims (6)
- 천연 도관(1)에 대응하는 도관 음영부(10a, 10'a)를 갖고 도관 음영부(10a, 10'a) 이외의 기저부(10c, 10'c)가 거의 투명한 제 1 제판 사진용 필름(10, 10')과, 난반사 필름(16)과, 천연 도관(1)에 대응하는 도관 투명부(11a)를 갖고 도관 투명부(11a) 이외의 기저부(11c) 하면이 음영부로서 형성된 제 2 제판 사진용 필름(11)과, 미사용의 제 3 제판 사진용 필름(14)을, 도관 음영부(10a, 10'a)와 도관 투명부(11a)를 대치시켜, 상하로 서로 밀착시켜 상측에서 노광하고 현상하여 제 3 제판 사진용 필름(14)에 도관 음영부(2a)를 형성하는 마스크 필름(2) 제조방법에 있어서,상기 노광시에, 제 1 제판 사진용 필름(10, 10')의 기저부(10c, 10'c), 난반사 필름(16) 및 제 2 제판 사진용 필름(11)에 입사된 도관 음영부(10a, 10'a) 주변의 빛(L)이 난반사 필름(16)의 난반사 작용에 의해 제 1 제판 사진용 필름(10, 10')의 도관 음영부(10a, 10'a)의 하측 중심 방향으로 확산되고, 제 2 제판 사진용 필름(14)의 도관 투명부(11a)를 광 통과창으로 하여 제 3 제판 사진용 필름(14)에 입사하는 빛의 노광량을 제 3 제판 사진용 필름(14)에 형성되어야할 도관 음영부(2a)의 적어도 횡단 방향을 따라 주변으로부터 중심방향을 향해 점차 감소하도록 분포시키고, 현상 후의 제 3 제판 사진용 필름(14)의 도관 음영부(2a)의 농도를 천연 도관(1)의 적어도 횡단방향의 심도가 얕은 부분으로부터 깊은 부분에 대응하여 짙은 것으로부터 옅은 것으로 변화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용부형형의 제조에 사용하는 마스크 필름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제판사진용 필름(10, 10')의 도관 음영부(10a, 10'a)의 형상 및 치수가 상기 제 2 제판사진용 필름(11)의 도관 투명부(11a)의 형상 및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용 부형형의 제조에 사용하는 마스크필름의 제조방법.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제판사진용 필름(10, 10')과, 상기 제 2 제판사진용 필름(11)은, 상기 도관 음영부(10a, 10'a)와, 상기 도관 투명부(11a)가 상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일치한 상태이면서, 상기 난반사 필름(16)을 개재하여 서로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용 부형형의 제조에 사용하는 마스크필름의 제조방법.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제판사진용 필름(10')의 도관 음영부(10'a)는, 일정한 소량의 빛을 투과하는 농도로 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용 부형형의 제조에 사용하는 마스크필름의 제조방법.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제판사진용 필름(10)과 상기 제 2 제판사진용 필름(11)은, 제 1 제판사진용 필름(10)이 제 2 제판사진용 필름(11)에 대해 상기 도관 음영부(10a)의 긴쪽방향의 끝이 가는 선단측의 방향으로 어긋난 상태에서 상기 난반사 필름(16)을 개재하여 서로 밀착되고, 상기 노광시의 상기 제 3 제판사진용 필름(14)에 대한 노광량이, 제 3 제판사진용 필름(14)에 형성될 상기 도관 음영부(2a)의 기단부로부터 끝이 가는 선단부로 향하는 방향으로도 점차 감소하도록 분포시켜, 현상후의 제 3제판사진용 필름(14)의 도관 음영부(2a)의 농도를 천연 도관(1)의 횡단방향 및 긴쪽방향의 심도가 얕은 부분에서 깊은 부분에 대응하여 진한 것으로부터 옅은 것으로 변화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용 부형형의 제조에 사용하는 마스크필름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제판사진용 필름(10)의 도관 음영부(10a)와 상기 제 2제판사진용 필름(11)의 도관 투명부(11a)는, 서로 실질적으로 닮은 형태인 한편 전자가 후자보다 한단계 작게 치수가 구성되고, 제 1 제판사진용 필름(10)과 제 2 제판사진용 필름(11)은, 도관 음영부(10a)와 도관 투명부(11a)를 실질적으로 중심이 맞추어진 상태에서 상기 난반사 필름(16)을 개재하여 서로 밀착되어, 상기 노광시의 상기 제 3 제판사진용 필름(14)에 대한 노광량이, 제 3 제판사진용 필름(14)에 형성될 도관 음영부(2a)의 주변으로부터 중심방향을 향해 점차 감소하도록 분포하고, 제 3 제판사진용 필름(14)의 도관 음영부(2a)의 주위 일정폭 부분(W3)이 실질적으로 최대 노광량이 되어, 현상후의 제 3 제판사진용 필름(14)의 도관 음영부(2a)의 농도가 그것의 주위 일정폭 부분(W3)에 있어서 최대이고, 그것의 주위 일정폭 부분(W3)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진한 것으로부터 옅은 것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용 부형형의 제조에 사용하는 마스크필름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30024478A KR100326903B1 (ko) | 1993-11-17 | 1993-11-17 | 화장판용부형형의제조에사용하는마스크필름의제조방법및화장판용부형형의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30024478A KR100326903B1 (ko) | 1993-11-17 | 1993-11-17 | 화장판용부형형의제조에사용하는마스크필름의제조방법및화장판용부형형의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14966A KR950014966A (ko) | 1995-06-16 |
KR100326903B1 true KR100326903B1 (ko) | 2002-06-20 |
Family
ID=66825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30024478A KR100326903B1 (ko) | 1993-11-17 | 1993-11-17 | 화장판용부형형의제조에사용하는마스크필름의제조방법및화장판용부형형의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26903B1 (ko) |
-
1993
- 1993-11-17 KR KR1019930024478A patent/KR10032690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14966A (ko) | 1995-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03902A (en) | Light control material | |
US2010042A (en) | Method of making a printing member | |
KR100326903B1 (ko) | 화장판용부형형의제조에사용하는마스크필름의제조방법및화장판용부형형의제조방법 | |
DE2432993A1 (de) | Verfahren zur klischeeherstellung durch photographische rastergravur | |
US5792545A (en) | Decorative paper/embossing plate in which uneven structure of vessel perforation is reproduced, and preparing method and preparing apparatus therefor | |
JPH03111850A (ja) | 網グラビア製版法における版文字の形成方法 | |
JP3274912B2 (ja) | 化粧板用賦形型の製造方法 | |
JP3380016B2 (ja) | 化粧板用賦形型の製造に使用するマスク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該マスクフィルムを用いて製造した化粧板用賦形型 | |
US2854337A (en) | Raster screen and a process for making the same | |
JP3219331B2 (ja) | 化粧板用賦形型の製造に使用するマスクフィルムの製造方法 | |
DE2734580C2 (de) |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Originals eines Informationsträgers | |
JP3274887B2 (ja) | 化粧板用賦形型の製造に使用するマスクフィルムの製造方法 | |
US20030203161A1 (en) | Article having optical effects | |
DE2838632A1 (de) | Verfahren zum herstellen reliefartiger muster auf metalloberflaechen | |
DE69535306T2 (de) | Anzeigeschirm für eine Farbkathodenstrahlröhre | |
EP0000570A1 (de) | Original eines optischen Informationsträger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 Originals | |
JPH0632100A (ja) | 木目エンボス版の製造方法 | |
TW304989B (en) | Method of making a mask film used to produce a mold for shaping decorative sheets and decorative sheet shaping mold produced from the mask film | |
JPH05212727A (ja) | 化粧板用賦形型及びその製造方法 | |
JP3165755B2 (ja) | 化粧板用賦形型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マスクフィルム | |
US611380A (en) | Colored picture | |
US4891302A (en) | Method of preparing a contoured plate | |
JP2008287083A (ja) | 樹脂版及び樹脂版の製造方法 | |
JPS60222296A (ja) | レ−ザ光による立体画の製法 | |
US514874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flective enhancement of rotogravure printed materi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