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538B1 - 비디오카메라의자동역광보정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카메라의자동역광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538B1
KR100326538B1 KR1019950003722A KR19950003722A KR100326538B1 KR 100326538 B1 KR100326538 B1 KR 100326538B1 KR 1019950003722 A KR1019950003722 A KR 1019950003722A KR 19950003722 A KR19950003722 A KR 19950003722A KR 100326538 B1 KR100326538 B1 KR 100326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witch
backlight
output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038A (ko
Inventor
김재수
Original Assignee
이중구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구,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중구
Priority to KR1019950003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6538B1/ko
Publication of KR960033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5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2Edging; Conto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46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휘도 상태를 판단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각 화소별 휘도량 차이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역광 보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해당하는 스위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화면 상태 판별 수단과; 상기 화면 상태 판별 수단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작동 상태가 가변되는 제1역광 보정 스위치와; 상기 제1역광 보정 스위치가 작동이 되면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각 휘도 신호를 반전 증폭하여 출력하는 영상 신호 반전 수단과; 상기 화면 상태 판별 수단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작동 상태가 가변되는 제2역광 보정 스위치와; 상기 제2역광 보정 스위치가 작동이 되면 영상 신호 반전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직류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SC 커플링 수단과; 상기 DC 커플링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별도의 직류분을 가하여 DC 레벨 시프트를 수행하는 직류 재생 수단과; 상기 화면 상태 판별 수단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작동 상태가 가변되는 정상 출력 스위치와; 상기 정상 출력 스위치가 작동되어 인가되는 영상 신호나 상기 직류 재생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임시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버퍼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역광 보정 장치는,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역광 발생시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반전시킨 다음, 다시 원래의 신호를 더하여 자동으로 역광을 보정하여 정상적인 화면을 재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역광 보정 장치
이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역광 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게하게 말하자면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 신호 상태가 역광 상태인 경우에, 영상 신호를 반전시킨 다음 다시 원래의 신호를 더하여 자동으로 역광을 보정하기 위한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역광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도어폰이나 감시용 CCD(Coupled Charge Device) 카메라등에서 역광이 발생하게 되면, 피사체는 어둡고 배경은 밝게 촬영되어 피사체를 거의 판별할 수가 없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역광 상태가 발생하면 정상 상태의 조리개 개방량보다 조리개를 더 많이 개방시킨다.
상기와 같이 단순히 조리개의 개방량만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입사량이 많아져 배경광은 포화(saturation)되면서 신호레벨이 커져서 역광 보정이 이루어지나, 원하는 장면의 화면이 부드럽게 되지 않게 된다.
즉, 종래에는 조리개만 강제 개방시켜 신호 레벨만 크게 하여 역광 보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신호 레벨은 커지게 되나 휘도 신호의 이득은 오히려 낮아져 역광 보정 피사체가 충분히 커지지 않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역광 발생기에 조리개를 개방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휘도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여 원하는 화면의 이득을 충분히 향상시키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리개 개폐량과 휘도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는 것과는 달리, 역광 발생시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반전시킨 다음, 다시 원래의 신호를 더하여 자동으로 역광을 보정하기 위한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역광 보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휘도 상태를 판단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각 화소별 휘도량 차이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역광 보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해당하는 스위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화면 상태 판별 수단과;
상기 화면 상태 판별 수단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작동 상태가 가변되는 제1역광 보정 스위치와;
상기 제1역광 보정 스위치가 작동이 되면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각 휘도 신호를 반전 증폭하여 출력하는 영상 신호 반전 수단과;
상기 화면 상태 판별 수단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작동 상태가 가변되는 제2역광 보정 스위치와;
상기 제2역광 보정 스위치가 작동이 되면 영상 신호 반전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직류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DC 커플링 수단과;
상기 DC 커플링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별도의 직류분을 가하여 DC 레벨 시프트를 수행하는 직류 재생 수단과;
상기 화면 상태 판별 수단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작동 상태가 가변되는 정상 출력 스위치와;
상기 정상 출력 스위치가 작동되어 인가되는 영상 신호나 상기 직류 재생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임시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버퍼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다른 구성은,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휘도 상태를 판단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각 화소별 휘도량 차이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역광 보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해당하는 스위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화면 상태 판별 수단과;
상기 화면 상태 판별 수단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작동 상태가 가변되는 제1역광 보정 스위치와;
상기 제1역광 보정 스위치가 작동이 되면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직류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DC 커플링 수단과;
상기 DC 커플링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별도의 직류분을 가하여 DC 레벨시프트를 수행하는 직류 재생 수단과;
상기 직류 재생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반전 증폭시켜 출력하는 영상 신호 반전 수단과;
상기 화면 상태 판별 수단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작동 상태가 가변되는 정상 출력 스위치와;
상기 정상 출력 스위치가 작동되어 인가되는 영상 신호나 상기 영상 신호 반전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임시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버퍼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역광 보정 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첨부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역광 보정 장치의 구성은,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휘도 상태를 판단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각 화소별 휘도량 차이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역광 보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해당하는 스위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화면 상태 판별부(10)와, 상기 화변 상태 판별부(10)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작동 상태가 가변되는 제1역광 보정 스위치(S1)와, 제2역광 보정 스위치(S2)와, 정상 출력 스위치(S3)와, 윤곽 보정 스위치(S4)와, 상기 제1역광 보정 스위치(S1)가 작동이 되면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영상 신호 반전부(20)와, 상기 제2역광 보정 스위치(S2)가 작동이 되면 상기 영상 신호 반전부(2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직류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DC 커플링부(30)와, 상기 DC 커플링부(3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별도의 직류분을 가하여 DC 레벨 시프트를 수행하는 직류 재생부(40)와, 상기 정상 출력 스위치(S3)가 작동되어 인가되는 영상 신호나 상기 직류 재생부(4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임시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버퍼부(50)와, 상기 버퍼부(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되는 동기 신호 및 제어 신호에 따라 처리하여 원래의 화면을 재생하기 위한 복합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합성부(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역광 보정 스위치(S1)와 제2역광 보정 스위치(S2)와 정상 출력 스위치(S3)와 윤곽 보정 스위치(S4)는 화면 상태 판별부(10)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역광 보정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에 해당하는 빛신호가 비디오 카메라의 촬상 소자로 입력이 되면, 촬상 소자는 입력되는 빛신호의 크기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촬상 소자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신호 처리부로 입력되어 증폭 필터링된 다음, 색신호 및 휘도 신호로 분리되어 각각의 처리 장치로 입력이 된다.
상기에서 도시하지 않은 신호 처리부로부터 화면 상태 판별부(10)로 영상 신호 즉, 휘도 신호가 입력이 되면, 상기 화면 상태 판별부(10)는 입력되는 휘도 신호의 각 영역별 차이량을 산출하여 그에 따라 역광 상태 여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하자면, 촬영하고자 하는 화면의 각 화소에 해당하는 휘도 신호가 입력이 되면 각 화소간의 휘도 신호 차이량을 산출한 다음, 산출되는 각 화소간의 휘도 신호 차이량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즉, 화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피사체의 휘도량이 매우 낮고 주변의 휘도량이 높은 경우 그 차이량이 설정값 이상으로 큰 경우에는 역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에서 화면 상태 판별부(1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역광이 발생한 경우에는, 역광 상태를 보정하기 위한 제1역광 보정 스위치(S1)와 제2역광 보정 스위치(S2)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화면 상태 판별부(10)에서 구동 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제1역광 보정 스위치(S1)와 제2역광 보정 스위치(S2)가 온이 되면, 상기 도시하지 않은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휘도 신호가 영상 신호 반전부(20)로 입력된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영상 신호 반전부(20)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반전 증폭 회로로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 신호 반전부(20)는 입력되는 각 화소의 휘도 신호를 반전 증폭하여 출력하므로써, 역광 발생시의 화면의 밝은 부분 즉, 배경과 어두운 부분 즉, 피사체를 서로 반전시켜 출력한다.
따라서, 역광 발생시의 화면의 어두운 피사체에 해당하는 휘도 신호는 반전증폭되어 밝게 출력이 된다.
상기 영상 신호 반전부(20)를 통하여 반전 증폭되어 출력되는 휘도 신호는 제2역광 보정 스위치(S2)의 작동함에 따라 DC 커플링부(30)로 입력된다.
상기 제2역광 보정 스위치(S2)를 통하여 DC 커플링부(30)로 입력된 반전 증폭된 휘도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컨덴서에 의하여 직류 성분이 제거된 다음 레벨 시프트부(40)로 출력된다.
다시 말하자면, 화면의 배경의 평균적인 명도를 정하게 되는 휘도 신호의 직류 성분이 영상 신호 반전부(20)를 통하여 증폭되어 화면이 충실하게 재생이 되지 않으므로, 반전 증폭된 휘도 신호의 직류 성분을 제거시킨다.
상기 DC 커플링부(30)를 통하여 증폭된 직류 성분이 제거된 휘도 신호는 직류 재생부(40)로 입력되어, 상기 영상 신호 반전부(20)를 통하여 어둡게 변한 화면이 정상적으로 재생되도록 일정 레벨의 직류 성분을 별도로 가산된 다음 버퍼부(50)로 출력한다.
상기 버퍼부(50)를 통하여 출력된 휘도 신호는 신호 합성부(60)로 입력되어, 인가되는 동기 신호 및 별도의 제어 신호에 따라 처리되어 출력된다.
상기에서 화면 상태 판별부(1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각 화소의 휘도량 차이가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역광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역광 보정 스위치(S1)와 제2역광 보정 스위치(S2)를 구동시키지 않고, 정상 출력 스위치(S3)만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화면 상태 판별부(10)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정상 출력 스위치(S3)가 온이 되면, 도시하지 않은 신호 처리부로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는 역광보정을 통하지 않고 바로 버퍼부(50)로 입력된 다음, 다시 신호 합성부(60)를 통하여 동기 신호 및 별도의 제어 신호에 따라 신호 처리되어 출력되어 재생된다.
또한, 사용자가 네거(negative)필름을 가지고 윤곽 보정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윤곽 보정 선택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화면 상태 판별부(10)는 제1역광 보정 스위치(S1)와 윤곽 보정 스위치(S4)로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화면 상태 판별부(10)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제1역광 보정 스위치(S1)와 윤곽 보정 스위치(S4)가 온이 되면, 입력되는 화면의 휘도 신호는 영상 신호 반전부(20)를 통하여 반전 출력된 다음 윤곽 보정 스위치(S4)를 통하여 버퍼부(50)로 입력된다.
다시 말하자면, 네거 필름 즉, 인화된 필름을 가지고 촬영을 하는 경우에 상기한 윤곽 보정을 수행하게 되면, 네거필름에 해당하는 휘도 신호가 반전되므로, 피사체가 선명한 영상으로 재현된다.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역광 보정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제2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역광 보정 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첨부한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역광 보정 장치의 구성은,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휘도 상태를 판단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각 화소별 휘도량 차이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역광 보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해당하는 스위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화면 상태 판별부(10)와, 상기 화면 상태 판별부(10)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작동 상태가 가변되는 제1역광 보정 스위치(S1)와, 상기 제1역광 보정 스위치(S1)가 작동이 되면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직류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DC 커플링부(30)와, 상기 DC 커플링부(3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별도의 직류분을 가하여 DC 레벨 시프트를 수행하는 직류 재생부(40)와, 상기 직류 재생부(4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반전 증폭시켜 출력하는 영상 신호 반전부(20)와, 상기 화면 상태 판별부(10)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작동 상태가 가변되는 정상 출력 스위치(S3)와, 윤곽 보정 스위치( S2)와, 상기 정상 출력 스위치(S3)가 작동되어 인가되는 영상 신호나 상기 영상 신호 반전부(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임시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버퍼부(50)와, 상기 버퍼부(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되는 동기 신호 및 제어 신호에 따라 처리하여 원래의 화면을 재생하기 위한 복합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합성부(60)로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각 부의 동작은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하며, 상기한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첨부한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직류 성분을 먼제 제거하고 레벨을 조정한 다음, 반전 증폭시켜 역광을 보정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역광 발생시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반전시킨 다음, 다시 원래의 신호를 더하여 자동으로 역광을 보정하여 정상적인 화면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역광 보정과 함께 윤곽 보정이 동시에 가능하며, 스위치의 자동 및 수동 절환으로 인하여, 편리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비디오 카메라와 자동 역광 보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역광 보정 장치의 구성 블럭도이고,
제2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역광 보정 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Claims (6)

  1.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휘도 상태를 판단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각 화소별 휘도량 차이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역광 보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해당하는 스위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화면 상태 판별 수단과;
    상기 화면 상태 판별 수단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작동 상태가 가변되는 제1역광 보정 스위치와;
    상기 제1역광 보정 스위치가 작동이 되면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각 휘도 신호를 반전 증폭하여 출력하는 영상 신호 반전 수단과;
    상기 화면 상태 판별 수단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작동 상태가 가변되는 제2역광 보정 스위치와;
    상기 제2역광 보정 스위치가 작동이 되면 영상 신호 반전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직류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DC 커플링 수단과;
    상기 DC 커플링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별도의 직류분을 가하여 DC 레벨 시프트를 수행하는 직류 재생 수단과;
    상기 화면 상태 판별 수단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작동 상태가 가변되는 정상 출력 스위치와;
    상기 정상 출력 스위치가 작동되어 인가되는 영상 신호나 상기 직류 재생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임시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버퍼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역광 보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화면 상태 판별 수단은,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휘도 상태를 판단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각 화소별 휘도량 차이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역광 보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역광 보정 스위치와 제2역광 보정 스위치는 작동시키고, 정상 작동 출력 스위치는 작동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역광 보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화면 상태 판별 수단은,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휘도 상태를 판단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각 화소별 휘도량 차이가 설정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정상 작동 출력 스위치만 작동시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그대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역광 보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네거 필름을 촬영하거나 윤곽 보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되거나, 별도의 선택 신호 입력에 따라 화면 상태 판별 수단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작동 상태가 가변되는 윤곽 보정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역광 보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에서 화면 상태 판별부는 윤곽 보정 선택 신호가 입력이 되면, 제1역광 보정 스위치와 상기 윤곽 보정 스위치를 작동시켜,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휘도 신호가 반전 출력되어 상기 버퍼 수단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역광 보정 장치.
  6.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휘도 상태를 판단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각 화소별 휘도량 차이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역광 보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해당하는 스위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화면 상태 판별 수단과;
    상기 화면 상태 판별 수단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작동 상태가 가변되는 제1역광 보정 스위치와;
    상기 제1역광 보정 스위치가 작동이 되면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직류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DC 커플링 수단과;
    상기 DC 커플링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별도의 직류분을 가하여 DC 레벨 시프트를 수행하는 직류 재생 수단과;
    상기 직류 재생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반전 증폭시켜 출력하는 영상 신호 반전 수단과;
    상기 화면 상태 판별 수단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작동 상태가 가변되는 정상 출력 스위치와;
    상기 정상 출력 스위치가 작동되어 인가되는 영상 신호나 상기 영상 신호 반전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임시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버퍼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역광 보정 장치.
KR1019950003722A 1995-02-24 1995-02-24 비디오카메라의자동역광보정장치 KR100326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722A KR100326538B1 (ko) 1995-02-24 1995-02-24 비디오카메라의자동역광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722A KR100326538B1 (ko) 1995-02-24 1995-02-24 비디오카메라의자동역광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038A KR960033038A (ko) 1996-09-17
KR100326538B1 true KR100326538B1 (ko) 2002-07-02

Family

ID=37478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722A KR100326538B1 (ko) 1995-02-24 1995-02-24 비디오카메라의자동역광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65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560B1 (ko) * 1997-08-13 2005-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역광 보정방법 및 장치
KR101420442B1 (ko) 2008-06-05 2014-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의 백라이트 자동 조절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560B1 (ko) * 1997-08-13 2005-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역광 보정방법 및 장치
KR101420442B1 (ko) 2008-06-05 2014-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의 백라이트 자동 조절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038A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5699B2 (ja) 撮像装置
KR20060079248A (ko) 광도 보정 기능을 지닌 촬상장치 및 상 광도의 보정방법
JP3208324B2 (ja) ディ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H03204281A (ja) 撮像装置
JP2005269373A (ja) 映像信号処理システムおよび電子映像機器
JP3404754B2 (ja) ビデオカメラ
JP7157714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22183218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126784B2 (ja) 画像取り込み装置
KR100326538B1 (ko) 비디오카메라의자동역광보정장치
JPH06189182A (ja) 撮像装置
JP2004096328A (ja) 電子カメラ
JPH05292364A (ja) 表示装置
JP2807928B2 (ja) ビデオカメラ用感度アップ回路
JPH03106269A (ja) ビデオカメラの映像信号処理装置
JPH01241276A (ja) ビデオカメラ
JPS601989A (ja) 撮像装置
JP3974290B2 (ja) 撮像システム
KR100215456B1 (ko) 특수효과화면의 변화에 따른 음성변조기능을 구비한 캠코더
JP3523398B2 (ja) デジタルスチルビデオカメラ
JP2521973B2 (ja) 撮像装置
JP2815898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付カメラ一体型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H08191408A (ja) 液晶ディスプレイ付カメラ一体型vtr
JPH0937143A (ja) 撮像装置
JPH0918758A (ja) Vtr一体型カメ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