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5595B1 - 다방향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다방향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5595B1
KR100325595B1 KR1020000008482A KR20000008482A KR100325595B1 KR 100325595 B1 KR100325595 B1 KR 100325595B1 KR 1020000008482 A KR1020000008482 A KR 1020000008482A KR 20000008482 A KR20000008482 A KR 20000008482A KR 100325595 B1 KR100325595 B1 KR 100325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contact plate
input device
hardness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8141A (ko
Inventor
이시가와신지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20000058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7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with additional push or pull action on the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종래의 다방향 입력장치는 경도형(傾倒型)스위치(S2)가 통상시 ON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조작축(14)의 푸시동작시에 있어서 조작축(14)을 축방향으로 똑바로 누르기가 어렵고, 조작시에 약간 경사방향으로부터 푸시동작하는 일이 때때로 생기는데, 이때 경도형 스위치(S2)가 조작되어 오조작을 일으킨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는 스페이서부재(33b)를 위쪽부재인 덮개체(27)와 가동접점판(31)사이에 개재하여 덮개체(27)와 가동접점판(31) 사이에 간격을 가지게 하여 가동접점판(31)을 고정접점(30)으로부터 떼어 경도형 스위치(S2)를 통상시 OFF 상태로 하였기 때문에, 조작축(34)의 조작시, 때때로 약간 경사진 상태로 조작되더라도, 스페이서부재(33b)의 존재에 의하여 가동접점판(31)은 고정접점(30)과의 접촉에 이르지 않고, 경도형 스위치(S2)는 OFF의 상태를 유지하여 확실하고 안정된 조작을 행할 수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방향 입력장치{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본 발명은 조작축을 푸시동작 및 경도동작에 따라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방향 입력장치를 도 17 내지 도 19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하우징 (l)의 내저면에는 고정접점(2)과 공통접점(3)이 배치되고, 하우징(l)내에 배치된 가동접점판(4)으로 푸시형 스위치(S1)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접점(4)의 상부에는 캔틸레버형상의 압압부(5a)를 가지는 가이드부 (5)가 설치되고, 이 압압부(5a)의 위에 고무탄성체(6)가 설치되고, 조작축(14)에 의하여 고무탄성체(6)를 거쳐 압압부(5a)가 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또 하우징(1)의 개구단은 하면에 복수개의 고정접점(10)이 매설된 덮개(7)로 덮여지고, 이 덮개(7)의 위에는 연결부재(9)가 씌워지고, 하우징(1)에 덮개(7)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하우징(1)내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동접점판(11)이 배치되고, 이것과 하우징(1)의 내저면 사이에는, 코일스프링(12)이 개재되며, 코일스프링(12)에 의하여 통상시 가동접점판(11)을 고정접점(10)에 탄성접촉시키고, 그리고 코일스프링(12)은 가동접점판(11)과 공통접점(3)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고정접점(10)군과 가동접점판(11)으로 8개의 경도형 스위치(S2)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접점판(11)은 가동부재(13)에 매설되고, 이 가동부재(13)는 덮개(7)의 관통구멍(7a)에 경도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다.
또 푸시동작과 경도동작이 가능한 조작축(14)은 그 상부가 가동부재(13)의 관통구멍(13a)을 지나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또 하부는 가동부재(13)에 걸어맞춤상태로 있음과 동시에, 고무탄성체(6)에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종래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조작축(14)이 도 17에 나타내는 중립위치에 있는 경우, 푸시형 스위치(S1)는 가동접점판(4)이 고정접점 (2)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접점이 OFF상태로 있음과 함께, 경도형 스위치 (S2)는 가동접점판(11)이 고정접점(l0)군의 모두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접점이 ON상태로 되어 있다.
이 중립위치로부터 조작축(14)을 임의방향, 예를 들어 도 18에 나타내는 방향으로 경도동작하면, 가동접점판(11)은 경도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고정 접점 (10)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그 이외의 고정접점(10)으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지지점이 되는 고정접점(10)에 대응하는 경도형 스위치(S2)는 ON상태를 유지하고, 다른 경도형 스위치(S2)는 OFF상태로 된다.
또 조작축(l4)의 경도동작에 따라 조작축(l4)의 아래쪽 끝이 고무탄성체(6)와 압압부(5a)를 거쳐 가동접점판(4)을 압압하기 때문에, 가동접점판(4)이 고정접점(2)에 접촉하여 푸시형스위치(Sl)가 OFF로부터 ON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조작축(14)의 경도동작을 해제하면, 가동접점판(1l)은 코일스프링 (12)의 가세력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기 때문에, 조작축(14)은 도 17의 중립위치로 되돌아가고, 8개의 경도형 스위치(S2)는 모두 다시 ON으로 된다.
또 고무탄성체(6)와 압압부(5a) 및 가동접점판(4)은, 그것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복귀하여 가동접점판(4)이 고정접점(2)으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푸시형 스위치(S1)도 다시 OFF로 된다.
또한 조작축(14)을 도 18과는 다른 방향으로 경도동작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도 17의 중립위치로부터 조작축(l4)을 축방향으로 푸시동작하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축(14)은 가동부재(13)의 관통구멍(l3a)으로 안내되어 바로 밑으로 이동하고, 고무탄성체(6)와 압압부(5a)를 거쳐 가동접점판(4)을 압압한다.
이 경우, 가동접점판(11)과 가동부재(13)는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경도형 스위치(S2)는 조작되지 않고, 가동접점판(4)이 고정접점(2)에 접촉한 시점에서 푸시형 스위치(S1)가 OFF 로부터 ON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조작축(14)의 푸시동작을 해제하면, 고무탄성체(6)와 압압부(5a) 및 가동접점판(4)은 그것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복귀하여 가동접점판(4)이 고정접점 (2)으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푸시형 스위치(S1)도 다시 OFF로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방향 입력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어 고정접점(2)과 고정 접점(10)군을 마이크로컴퓨터에 접속하면, 고정접점(2 와 10)사이의 ON/OFF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가 조작축(14)의 경도동작방향과 조작축(14)의 푸시동작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다방향 입력장치는 경도형 스위치(S2)가 통상시, ON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조작축(14)의 푸시동작시에 있어서 조작축(14)을 축방향으로 똑바로 압압하는 것이 어려우며, 조작시에 약간 경사방향에서 푸시동작하는 일이 때때로 생기는데, 이때 경도형 스위치(S2)가 조작되어 오조작을 일으킨다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제 1 실시예에 관하여 비조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제 1 실시예에 관하여 경도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제 1 실시예에 관하여 푸시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하우징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가동접점판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덮개의 하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제 l 실시예에 관한 압압부재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제 l 실시예에 관한 압압부재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압압부재의 하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제 l 실시예에 관한 고무탄성체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고무탄성체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고무탄성체의 하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단면도,
도 17은 종래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비조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종래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경도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9는 종래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푸시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하우징 21a : 돌기
21b : 가이드구멍 21c : 노치부
22 : 고정접점 22a : 고정단자
23 : 공통접점 23a : 공통단자
23b : 도전부 24 : 가동접점판
25 : 압압부재 25a : 받이면
25b : 돌출부 26 : 고무탄성체
26a : 바깥둘레부 27 : 덮개체
27a : 관통구멍 27b : 스페이서부재
28 : 수납공간 29 : 연결부재
30 : 고정접점 30a : 단자
30b : 돌기부 31 : 가동접점판
31a : 돌기부 31b : 끝 가장자리
32 : 스프링부재 33 : 가동부재
33a : 관통구멍 33b : 스페이서부재
34 : 조작축 35 : 스페이서부재
Z : 손잡이 S1 : 푸시형 스위치
S2 : 경도형 스위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해결수단으로서, 수납공간을 거쳐 일체화된 위쪽부재 및 아래쪽부재와, 상기 아래쪽부재에 배치된 푸시형 스위치와, 상기 위쪽부재의 둘레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고정접점군과 이들 고정접점군에 대향하는 가동접점판으로 구성되는 경도형 스위치와, 상기 가동접점판을 설치한 가동부재와, 상기 수납공간 푸시동작과 경도동작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가동부재의 관통구멍을 지나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조작축과, 상기 가동접점판을 상기 고정접점군측으로 가세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위쪽부재와 상기 가동접점판 사이에 간격을 가지게 하고, 또한 상기 경도형 스위치를 통상시에 OFF상태로 하는 스페이서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조작축을 축방향으로 푸시동작하였을 때, 상기 푸시형 스위치가 ON상태로 됨과 동시에, 상기 조작축을 경도동작하였을 때, 상기 경도형 스위치와 상기 푸시형 스위치를 ON 상태로 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스페이서부재는 상기 가동부재와 일체로 설치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스페이서부재는 상기 위쪽부재와 일체로 설치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스페이서부재는 링형상의 절연판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5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스페이서부재는 상기 위쪽부재와 상기 가동접점판이 축방향에서 대향하는 사이의 상기 조작축측의 위치에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6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가동접점판은 소정의 사이를 가지고 방사형상으로 신장하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가동접점판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상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부재에 설치한 볼록부를 배치한 구성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를 도 l 내지 도 14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14는 모두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평면도, 도 2는 정면도, 도 3은 비조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경도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푸시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하우징의 평면도, 도 7은 가동접점판의 평면도, 도 8은 덮개의 하면도, 도 9는 압압부재의 평면도, 도 10은 압압부재의 단면도, 도 11은 압압부재의 하면도, 도 12는 고무탄성체의 평면도, 도 13은 고무탄성체의 단면도, 도 14는 고무탄성체의 하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4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21)은 상면을 개구한 평면형상이 대략 8각형을 이루고 있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쪽부재를 구성하는 하우징(21)의 내저면에는 중앙에 위치하는 아래쪽 고정접점(22)과 주변부에 위치하는 2개의 공통접점(23)이 배치되고, 아래쪽 고정접점(22)과 각 공통접점(23)은 각각 고정단자(22a), 공통단자(23a)로서 하우징(21)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의 사선과 파선은, 아래쪽 고정접점(22)과 고정단자(22a) 및 공통접점(23)과 공통단자(23a)의 접속을 나타내고 있다.
또 하우징(21)의 내저면에는, 원호형상의 돌기(21a)가 설치되고, 고정 접점 (22)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한 원호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l) 각 변의 바깥쪽 벽에는, 가이드구멍(2lb)이 형성되고, 하우징(2l)의 안쪽 벽의 개구단쪽으로 90도 간격으로 4개의 노치부(21c)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21)의 내저면에는, 돔형상의 가동접점판(24)이 설치되고, 돌기 (21a)로 위치규제되어 있다.
가동접점판(24)은 공통접점(23)과 상시 접촉하고, 고정접점(22)으로부터 떨어져 고정접점(22)과 가동접점판(24)에 의하여 푸시형 스위치(S1)가 구성되어 있다.
또 돌기(21a)의 안쪽에는 압압부재(25)와 고무탄성체(26)의 복합체가 위치결정되어 가동접점판(24)의 상면중앙부와 대향하고 있다.
압압부재(25)는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에 얕은 구면형상의 받이부(25a)와, 하부에 돌출부(25b)를 가지고, 또한 고무탄성체(26)는 도 12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21a)에 끼워맞추어 위치결정되는 바깥 둘레부(26a)와 압압부재(25)의 돌출부(25b)는 삽입되는 관통구멍(26b)을 가지고 있으며, 이 고무탄성체(26)는 가동접점판(24)상에 얹어 놓여져 있다.
또 하우징(21)의 개구단은 위쪽부재를 구성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덮개체(27)로 덮어지고, 하우징(2l)과 덮개체(27)로 수납공간(28)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체(27)의 하면에는 위쪽 고정접점(30)이 매설되고, 복수개의 부착다리를 가지는 연결부재(29)의 상단부를 덮개체(27)위에 씌워 부착다리를 하우징(21)의 바깥쪽 벽을 따라 아래쪽으로 연장하여 하단부를 안쪽으로 구부림으로써 하우징(21)과 덮개체(27)가 연결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27)의 중앙부에는 관통구멍(27a)이 형성되고, 그 주위에 위쪽 고정접점(30)이 둘레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4개 배치되고, 각 고정접점(30)의 대략 중앙부에는 아래쪽으로 약간 돌출한 돌출부(30b)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체(27)에 고정접점(30)을 매설할 때, 고정접점(30)의 노출면이 성형조건 등이 분산되어 일부 수지로 덮혔다 하더라도 수지부로부터 고정접점부(30)를 돌출시키기 때문에 돌출부(30b)가 형성됨과 동시에, 고정접점(30)은 각각 단자(30a)로서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각 단자(30a)는 하우징(2l)의 가이드구멍(21b)(도 3참조)에 삽입된다.
또 수납공간(28)의 내부에는 위쪽의 가동접점판(31)이 배치되고, 그것과 하우징(21)의 내저면 사이에는, 도전성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부재(32)가 개재되어 스프링부재(32)는 하우징(21)의 둘레벽과 돌기(2la) 사이에서 위치결정되어 있다.
스프링부재(32)의 아래쪽 끝은 공통접점(23)과 공통단자(23a)를 접속하고 있는 도전부(23b)(도 6의 원호형상의 사선부분)에 접하고, 공통접점(23)과 가동접점판(31)은 스프링부재(32)를 거쳐 상시 도통하고 있다.
그리고 가동접점판(31)은 스프링부재(32)의 가세력으로 덮개체(27)에 배치된 고정접점(30)측으로 가세되고, 고정접점(30)군과 가동접점판(31)으로 4개의 경도형 스위치(S2)가 구성되어 있다.
또 가동접점판(3l)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가동부재(33)에 매설되고, 가동부재(33)의 상부는 덮개체(27)의 관통구멍(27a)과 끼워맞추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접점판(31)은 바깥 둘레부에 90도의 간격을 유지하여 방사형상으로 연장되는 돌출부(31a)와, 각 돌출부(31a)를 연결하는 직선형상으로 연장된 4개의 끝 가장자리(31b)를 가지고 능형을 이루고 있으며, 도면에 있어서 사선부분이 금속으로 구성된 도전부로 되어 있다.
또 각 돌출부(3la)의 상면은 선단으로 감에 따라 약간 얇아지도록 테이퍼를 가지며, 하우징(21)의 내벽면에 형성된 노치부(21c)에 삽입되어(도 3참조), 둘레방향의 회전방지가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각 돌출부(31a)의 상면에 테이퍼를 설치함으로써, 가동접점판 (3l)이 기울었을 때, 돌출부(3la)가 방해되지 않고 가동접점판(31)의 직선형상으로 연장된 끝부가 덮개체(27)의 하면과 선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테이퍼는 그 부분이 접촉하지 않도록 피하기 위하여 형성되며, 각 돌출부(31a)는 회전방지 기능만을 가지고 있다.
또 가동부재(33)에는 하부를 엽전형상으로 된 관통구멍(33a)이 설치되고, 그곳에 금속제 조작축(34)의 기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푸시동작과 경도동작이 가능한 조작축(34)은 관통구멍(33a)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나, 관통구멍(33a)의 엽전형 부분과 스플라인결합함으로써 둘레방향으로의 회전은 규제되어 있음과 함께, 조작축(34)의 상부는 관통구멍(33a)을 지나 덮개체(27)의 외부로 돌출하고, 아래쪽 끝은 압압부재(25)의 받이부(25a)에 맞닿아 있다.
또 가동부재(33)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축(34)측의 위치에 4개의 같은 형상의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부재(33b)가 일체로 설치되고, 이 스페이서부재(33b)는 가동접점판(31)의 돌출부(31a)와 가동접점판(3l)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가동부재(33)는 스프링부재(32)에 의한 가동접점판(31)의 가세에 따라 위쪽으로 가세되고, 그 결과 스페이서부재(33b)는 위쪽 부재인 덮개체(27)와 가동접점판(31) 사이에 개재하여 덮개체(27)와 가동접점판(31) 사이에 간격을 가지게 하여 가동접점판(3l)을 고정접점(30)으로부터 떼어 경도형 스위치(S2)를 통상시 OFF상태로 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조작축(34)이 도 3에 나타내는 중립위치에 있는 경우, 가동접점판(24)이 고정접점(22)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푸시형 스위치(Sl)는 OFF, 또 가동접점판(31)이 고정접점(30)군의 모두와 떨어져 있기 때문에 4개의 경도형 스위치(S2)는 OFF로 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Z)를 거쳐 조작축(34)을 중립위치로부터 임의방향,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내는 방향으로 크게 경도동작을 행하면, 가동접점판(31)은 경도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스페이서부재(33b)를 지점으로 하여 기울어져 경도방향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고정접점(30)이 OFF상태로부터 ON상태로 되고, 그 밖의 경도형 스위치(S2)는 OFF상태를 유지한다.
또 조작축(34)의 경도동작으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축(34)의 아래쪽 끝이 압압부재(25)를 거쳐 가동접점판(24)을 압압하고, 가동접점판(24)이 고정접점(22)에 접촉한 시점에서 푸시형 스위치(S1)가 OFF로부터 ON으로 전환된다.
푸시형 스위치(Sl)의 ON 후도 가동접점판(31)의 돌출부(3la)가 노치부(21c)의 바닥부에 접촉하기까지(도 4의 상태), 조작축(34)은 더욱 경도동작을 계속할 수 있고, 그 동안의 오버스트로크분은 고무탄성체(26)의 압축변형으로 흡수된다.
또한 스페이서부재(33b)는 조작축(34)측에 설치하고, 또 바깥둘레쪽으로 감에 따라 다소높이를 낮게 하여 적절한 치수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경도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 조작축(34)에 대한 경도동작을 해제하면 가동접점판(31)은 스프링부재 (32)의 가세력으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기 때문에, 조작축(34)은 도 3의 중립위치로 되돌아가고, 4개의 경도형 스위치(S2)는 모두 다시 OFF로 된다.
또 고무탄성체(26) 및 가동접점판(24)도 탄성에 의하여 복귀하고, 가동접점판(24)이 고정접점(22)으로부터 떨어져 푸시형 스위치(S1)도 다시 OFF로 된다.
또한 2개의 고정접점(30)간 방향으로 조작축(34)을 쓰러뜨렸을 때, 2개의 스페이서부재(33b)를 지지점으로 하여 가동접점판(3l)이 기울어지고, 그후 2개의 고정접점(30)을 지지점으로 하여 기울고, 그 결과 경도방향과 반대방향의 인접하는 2개의 고정접점(30)이 OFF로부터 ON으로 됨과 함께, 그 밖의 동작은 상기와 마찬가로서 경사방향으로 경도된 것을 검지한다.
그리고 스페이서부재(33b)에 볼록부를 설치함으로써, 볼록부 사이의 방향, 즉, 2개의 고정접점(30)간 방향으로 경도동작을 행할 때에 있어서, 2개의 볼록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경도동작을 행할 수 있어, 2개의 볼록부 사이 방향의 경도동작이 확실하고 용이해지고, 그 후 2개의 고정접점(30)간 방향의 경도동작에 원활하게 연결되어, 다소 경사방향이 어긋나 경도하였다 하더라도 경사방향으로 강제된 상태로 경도할 수 있다.
또 조작축(34)을 도 4와 다른 방향으로 경도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 도 3의 중립위치로부터 조작축(34)을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A1방향으로 푸시동작하면, 조작축(34)은 가동부재(33) 관통구멍(33a)으로 안내되어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압압부재(25)를 거쳐 가동접점판(24)을 압압하여 가동접점판 (24)이 고정접점(22)에 접촉한 시점에서 푸시형 스위치(Sl)가 OFF로부터 ON으로 전환된다.
또 조작축(34) 밀어넣을 때 수직으로 누르면 문제는 없으나,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시 때때로 약간 경사진 상태, 즉 화살표 A2방향으로 눌러지는 일이 있다.
이때, 조작축(34)에 의하여 가동부재(33)는 약간 기울지만, 스페이서부재 (33b)의 존재에 의하여 가동접점판(31)은 고정접점(30)과의 접촉에 이르지 않고, 경도형 스위치(S2)는 OFF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때때로 조작축(34)을 약간 기운 상태로 조작하더라도, 경도형 스위치(S2)는 전환되는 일이 없고, 확실하고 안정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 조작축(34)의 푸시동작을 해제하면, 조작부재(34), 가동부재(33) 및 가동 접점판(3l)은 스프링부재(32)에 의하여 도 3에 나타내는 상태로 복귀함과 동시에, 고무탄성체(26)와 가동접점판(24)은 자기 탄성에 의하여 복귀하여 가동접점판 (24)이 고정접점(22)으로부터 떨어져 푸시형 스위치(S1)는 다시 OFF로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방향 입력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어 고정접점(22)의 고정단자(22a)와 고정접점(30)군의 단자(30a)를 마이크로컴퓨터에 접속하면, 고정단자(22a)와 단자(30a) 사이의 ON/OFF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가 조작축(34)의 경도동작방향과 조작축(34)의 푸시동작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도 15는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고, 이 실시예는 덮개체(27)의 조작축(34)측의 위치에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부재(27b)가 일체로 설치되고, 이 스페이서부재(27b)는 가동접점판(31)의 돌출부(31a)와 가동접점판(31)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상에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스페이서부재 (27b)는 위쪽부재인 덮개체(27)와 가동접점판(31)사이에 개재하여 덮개체(27)와 가동접점판(31) 사이에 간격을 가지게 하고, 가동접점판(31)을 고정접점(30)으로부터 떼어 경도형 스위치(S2)를 통상시 OFF상태로 한 것이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부품에 동일번호를 부착하고, 여기서는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16은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며, 이 실시예는 스페이서부재(35)를 링형상의 절연판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이 스페이서부재 (35)에는 가동접점판(31)의 돌출부(3la)와 가동접점판(31)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상의 바깥둘레부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그리고 스페이서부재(35)는 위쪽부재인 덮개체(27)와 가동접점판(3l) 사이에 개재하여 덮개체(27)와 가동접점판(31) 사이에 간격을 가지게 하여 가동접점판(31)을 고정접점(30)으로부터 떼어 경도형 스위치(S2)를 통상시 OFF상태로 함과 동시에, 2개의 고정접점(30)간 방향으로 조작축 (34)을 경도하였을 때, 볼록부에 의하여 경도동작을 확실하게 한 것이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부품에 동일번호를 부착하고 여기서는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는 스페이서부재(33b)를 위쪽부재인 덮개체(27)와 가동접점판(3l) 사이에 개재하고, 덮개체(27)와 가동접점판(31) 사이에 간격을 가지게 하여 가동접점판(31)을 고정접점(30)으로부터 떼어 경도형 스위치(S2)를 통상시 OFF상태로 하였기 때문에, 조작축(34)의 조작시, 때때로 약간 경사진 상태로 조작되더라도 스페이서부재(33b)의 존재에 의하여 가동접점판(31)은 고정접점(30)과의 접촉에 이르지 않고, 경도형 스위치(S2)는 OFF상태를 유지하여 확실하고 안정된 조작을 행할 수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스페이서부재(33b)를 가동부재(33)와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그 구성이 간단하고 생산성이 좋으며, 저렴한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스페이서부재(27b)를 덮개체(27)와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그 구성이 간단하고 생산성이 좋으며 저렴한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스페이서부재(35)를 링형상의 절연판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이 판두께가 다른 것을 교환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작축(34)의 경사의 정도가 다른, 경도형 스위치(S2)를 전환할 수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스페이서부재(33b)는 위쪽부재인 덮개체(27)와 가동접점판(31)이 축방향에서 대향하는 사이의 조작축(34)측에 위치형성하였기 때문에, 조작축(34)의 경도동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스페이서부재(33b)에 볼록부를 설치함으로써, 볼록부 사이의 방향, 즉 2개의 고정접점(30)간 방향으로 경도동작을 행할 때에 있어서 2개의 볼록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경도동작을 행하는 수 있고, 2개의 볼록부간 방향의 경도동작이 확실하고 용이해지는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수납공간을 거쳐 일체화된 위쪽부재 및 아래쪽부재와, 상기 아래쪽부재에 배치된 푸시형 스위치와, 상기 위쪽부재의 둘레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고정접점군과 이들 고정접점군에 대향하는 가동접점판으로 구성되는 경도형 스위치와, 상기 가동접점판을 설치한 가동부재와, 상기 수납공간에 푸시동작과 경도동작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가동부재의 관통구멍을 지나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조작축과, 상기 가동접점판을 상기 고정접점군측으로 가세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위쪽부재와 상기 가동접점판 사이에 간격을 가지게 하고, 또 상기 경도형 스위치를 통상시에 OFF상태로 하는 스페이서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조작축을 축방향으로 푸시동작하였을 때 상기 푸시형 스위치가 ON상태로 됨과 동시에, 상기 조작축을 경도동작하였을 때 상기 경도형 스위치와 상기 푸시형 스위치를 ON상태로 하 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부재는 상기 가동부재와 일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입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부재는 상기 위쪽부재와 일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부재는 링형상의 절연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부재는 상기 위쪽부재와 상기 가동접점판이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사이의 상기 조작축측의 위치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판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방사형상으로 신장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가동접점판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상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부재에 설치한 볼록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KR1020000008482A 1999-02-23 2000-02-22 다방향 입력장치 KR100325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44990 1999-02-23
JP04499099A JP3737901B2 (ja) 1999-02-23 1999-02-23 多方向入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141A KR20000058141A (ko) 2000-09-25
KR100325595B1 true KR100325595B1 (ko) 2002-02-25

Family

ID=12706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482A KR100325595B1 (ko) 1999-02-23 2000-02-22 다방향 입력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18086A (ko)
EP (1) EP1031905B1 (ko)
JP (1) JP3737901B2 (ko)
KR (1) KR100325595B1 (ko)
CN (1) CN1143338C (ko)
DE (1) DE60032402T2 (ko)
TW (1) TW4346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6734B2 (ja) * 1999-10-04 2007-03-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3890863B2 (ja) 2000-08-23 2007-03-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100879B2 (ja) * 2001-03-12 2008-06-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JP3753676B2 (ja) * 2002-05-31 2006-03-08 不二電子工業株式会社 スイッチ
JP2006100084A (ja) * 2004-09-29 2006-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方向操作装置
JP2006294303A (ja) 2005-04-06 2006-10-26 Alps Electric Co Ltd 多方向入力装置
DE102005042462A1 (de) 2005-07-15 2007-01-25 Preh Gmbh Bedienelement mit zentralem Taster
EP2755220B1 (en) * 2006-02-21 2017-11-22 Hosiden Corporation Switch
US20090215224A1 (en) * 2008-02-21 2009-08-27 Film Solar Tech Inc. Coat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a cigs solar cell
EP2113819B1 (en) * 2008-05-02 2011-11-16 Alps Electric Co., Ltd. Multi-directional input apparatus
CN107682953A (zh) 2017-09-14 2018-02-09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Led照明系统及其控制方法
FR3088739B1 (fr) * 2018-11-15 2020-11-13 Crouzet Automatismes Joystick
JP7353912B2 (ja) * 2019-10-17 2023-10-02 任天堂株式会社 入力装置、ゲームコントローラ、情報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4438A (en) * 1982-06-04 1983-11-08 International Jensen Incorporated Video game controller
US4459440A (en) * 1983-03-21 1984-07-10 Wico Corporation Joystick and switch assembly therefor
US4795862A (en) * 1986-12-12 1989-01-03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vehicle windows with a switch
JP2562346Y2 (ja) * 1992-11-12 1998-02-10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
JP3183776B2 (ja) * 1993-12-27 2001-07-0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操縦杆式スイッチ
US6160225A (en) * 1997-07-03 2000-12-12 Alp Electric Co., Ltd. Multidirectional input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32402T2 (de) 2007-04-12
KR20000058141A (ko) 2000-09-25
DE60032402D1 (de) 2007-02-01
CN1264910A (zh) 2000-08-30
US6118086A (en) 2000-09-12
JP3737901B2 (ja) 2006-01-25
EP1031905B1 (en) 2006-12-20
CN1143338C (zh) 2004-03-24
EP1031905A3 (en) 2003-04-02
EP1031905A2 (en) 2000-08-30
TW434616B (en) 2001-05-16
JP2000243187A (ja) 200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6374B2 (ja) 多方向入力装置
KR100325595B1 (ko) 다방향 입력장치
EP1626424B1 (en) Multi-contact input device
US7498527B2 (en) Compound operation input device
US4862499A (en) Deformable membrane keypad assembly for public telephones
US6271487B1 (en) Normally open extended travel dual tact switch assembly with sequential actuation of individual switches
KR100482017B1 (ko) 2 개의 가동접점을 통하여 전환조작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KR20010020821A (ko) 푸시 버튼 스위치
US6160225A (en) Multidirectional inputting apparatus
JP4551274B2 (ja) 多方向入力装置
US6849817B2 (en) Switching device including stopper surface-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
US6423911B2 (en) Multi-directional operating switch capable of being operated in both depressing direction and tilting direction
JP3993404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H07245042A (ja) 多方向入力スイッチ
JP3762562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EP1710823A2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US4574171A (en) Keyboard auxiliary bearing
JP2005166333A (ja) 多方向入力装置
JP4159704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H0711731U (ja) 多方向押圧型スイッチ
JP3862481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4522376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2924651B2 (ja) 押し釦スイッチ付きロータリースイッチ
JP2000268678A (ja) 多方向押圧型スイッチ及び押圧型スイッチ
JP4619879B2 (ja) 多方向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