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4925B1 - 에어댐퍼 - Google Patents

에어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925B1
KR100324925B1 KR1019990046198A KR19990046198A KR100324925B1 KR 100324925 B1 KR100324925 B1 KR 100324925B1 KR 1019990046198 A KR1019990046198 A KR 1019990046198A KR 19990046198 A KR19990046198 A KR 19990046198A KR 100324925 B1 KR100324925 B1 KR 100324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ap
piston rod
open end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7551A (ko
Inventor
구라치가츠히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00047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9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209Telescopic
    • F16F9/0245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or for locking, the spring or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209Telescopic
    • F16F9/0227Telescopic characterised by the piston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14Constructional feature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F16F9/32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of cylinder ends, e.g.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4/00Shape
    • F16F2234/02Shape cylind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O링을 사용하지 않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 쌍방향에서의 저항차를 크게 할 수 있고, 또 방향성에 의존하지 않도록 부품을 공통화할 수 있어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해결수단) 본 발명의 에어댐퍼(101)는, 통형상체로서 양 단부가 개방되고,일측 개방단부(11)에 형성한 실린더 맞닿음면(12)을 가지는 실린더(1)와; 피스톤로드(2)와; 피스톤 로드(2)의 선단에 형성되며, 실린더(1)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피스톤(3)과; 실린더(1)의 일측 개방단부(11)에 장착되며,실린더 맞닿음면(12)에 맞닿는 캡 맞닿음면(43)을 가지는 캡;을 구비하며, 피스톤로드(2)를 밀어 넣거나 잡아 당기는 각각의 동작에 따라서 캡 맞닿음면(43)과 실린더 맞닿음면(12)이 유리되거나 밀착되고, 밀착되었을 때에 동작저항이 커져서 댐퍼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댐퍼{AIR DAMPER}
본 발명은 피스톤 로드를 밀어 넣거나 잡아 당기는 각각의 동작 중 어느 일측의 동작시에 동작저항이 커져서 댐퍼로서 작용하는 에어댐퍼에 관한 것이다.최근에는, 컵 홀더나 재떨이나 글러브 박스 등에 부착된 덮개체와 그 본체를 일방향성 에어댐퍼로 연결하고, 상기 덮개체를 개방할 때에는 서서히 작동되게 또한 폐쇄할 때에는 비교적 신속하게 작동되게 함으로써 개폐감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이러한 용도의 에어댐퍼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201)내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피스톤(203)의 환형상 홈(206)에 O링(204)를 끼우고, 또 피스톤(203)에 오리피스(207)를 형성하되 이 오리피스(207)가 환형상 홈(206)에 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상기한 종래의 에어댐퍼의 구성에 있어서, 피스톤(203)을 화살표 X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O링(204)이 환형상 홈(206)의 일단부측에 맞닿게 되고, 이 때에는 실린더(201)의 내부와 오리피스(207)와의 사이에 O링(204)이 개재되게 됨으로써 외부 공기가 실린더(201)내로 유입되기 어렵기 때문에, 피스톤 동작에 대한 저항이 커져서 댐퍼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편, 피스톤(203)을 화살표 Y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O링(204)은 도면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환형상 홈(206)의 타단부측에 맞닿게 되고, 이 때에는 실린더(201)의 내부와 오리피스(207)가 연통되게 됨으로써 실린더(201)내의 공기가 오리피스(207)를 통해서 외부로 쉽게 유출되기 때문에, 피스톤 동작에 대한 저항이 작아지게 된다. 즉, 도 9에 나타낸 에어댐퍼에 있어서는 오리피스(207)의 단면(207a)이 환형상 홈(206)의 일단부 근방까지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의 에어댐퍼는 피스톤을 잡아 당길 때에만 댐퍼로서 작용하는 일방향성 에어댐퍼가 된다.이것에 대해서, 오리피스(207)의 깊이를 얕게 하면서 그 단면(207a)이 환형상 홈(206)의 타단부 근방까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면, 이번에는 피스톤을 밀어 넣을 때에만 댐퍼로서 작용하는 일방향성 에어댐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에어댐퍼에서는 값비싼 O링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만큼 제조비용이 상승하였다.또, O링과 실린더간의 마찰저항 자체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일방향에서만 에어댐퍼로서 기능하게 하더라도 쌍방향에서의 저항차를 그다지 크게 할 수 없었다. 따라서, 덮개체를 개방하는 경우와 폐쇄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개폐감의 차이를 그다지 느낄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하였다.또, 에어댐퍼로서의 하중 조정을 오리피스의 형상을 변경함에 의해서 행하고 있으나, 이 오리피스의 가공 자체가 미세가공이기 때문에, 미묘한 하중 조정까지는 곤란하였다.또한, 방향성에 따라서 오리피스의 형상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 방향성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피스톤을 사용할 필요가 있었고, 이 점에서 부품수가 증가하게 됨으로써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O링을 사용하지 않아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또 쌍방향에서의 저항차를 크게 하여 개폐감의 차이를 확실하게 느낄 수 있게 한 것으로 하고, 또 하중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방향성에 의존하지 않도록 부품을 공통화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에어댐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댐퍼의 분해 사시도.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댐퍼의 정면 단면도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댐퍼의 일측 개방단부를 나타낸 확대도로서, (A)는 좌측면도, (B)는 정면 단면도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댐퍼의 작용 설명도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댐퍼의 분해 사시도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댐퍼의 정면 단면도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댐퍼의 양 개방단부를 나타낸 확대도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댐퍼의 작용 설명도도 9는 종래의 에어댐퍼의 설명도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1 - 실린더 11 - 일측 개방단부12 - 실린더 맞닿음면 13 - 타측 개방단부13a - 걸림편 14 - 실린더 맞닿음면15 - 지지부 15a - 지지부의 구멍16 - 걸림홈 2 - 피스톤 로드21 - 축삽입용 구멍 3 - 피스톤31 - 주름형상 돌기부 4 - 캡41 - 일측 단부 42 - 덮개면43 - 캡 맞닿음면 44 - 오리피스45 - 구멍 46 - 둘레벽부47 - 걸림돌조 5 - 캡51 - 덮개부 51a - 스로틀 홈52 - 주연부 53 - 캡 맞닿음면54 - 오리피스 6 - 캡62 - 덮개면 69 - 로드출입구멍101 - 에어댐퍼 102 - 에어댐퍼
R1,R2,R3 - 틈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피스톤 로드를 밀어 넣거나 잡아 당기는 각각의 동작 중 어느 일측의 동작시에 동작저항이 커져서 댐퍼로서 작용하는 에어댐퍼에 있어서, 통형상체로서 양 단부가 개방되고, 일측 개방단부에 형성한 실린더 맞닿음면을 가지는 실린더와;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형성되며, 실린더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의 일측 개방단부에 장착되며, 실린더 맞닿음면에 맞닿는 캡 맞닿음면을 가지는 캡;을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 로드를 밀어 넣거나 잡아 당기는 각각의 동작에 따라서 캡 맞닿음면과 실린더 맞닿음면이 유리되거나 밀착되고, 밀착되었을 때에 동작저항이 커져서 댐퍼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실린더 맞닿음면은, 실린더의 일측 개방단부의 내측둘레에 이 일측 개방단부측을 향해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캡 맞닿음면에 실린더의 내부와 실린더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오리피스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피스톤은 둘레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주름형상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주름형상 돌기부가 실린더의 내주면에 흡반형상으로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발명의 실시형태)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제 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댐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에어댐퍼의 정면 단면도이고, 도 3은 에어댐퍼의 일측 개방단부를 나타낸 확대도로서 (A)는 좌측면도, (B)는 정면 단면도이고, 도 4는 에어댐퍼의 작용 설명도이다.상기한 도면에 있어서, 에어댐퍼(101)는 피스톤 로드(2)를 잡아 당길 때에 댐퍼로서 작용하는 일방향성 에어댐퍼로서, 실린더(1), 피스톤 로드(2), 피스톤 로드(2)의 선단(일단부)에 형성한 피스톤(3) 및 실린더(1)의 일측 개방단부(11)에 장착되는 캡(4)을 구비하고 있다.상기 실린더(1)는 양 단부가 개방된 통형상의 것으로서, 일측 개방단부(11)의 내측둘레에는 실린더(1)의 내주면에서 외측으로 경사져서 확대되는 실린더 맞닿음면(1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타측 개방단부(13)는 실린더 본체에 대해서 그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좁혀져 있으며, 그 내측둘레에는 실린더(1)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경사져서 축소되는 실린더 맞닿음면(14)(도 7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또, 실린더(1)의 외주면에는 지지부(15)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글러브 박스의 본체 측벽에서 연장되어 있는 지지축을 이 지지부(15)의 구멍(15a)에 끼워맞춤으로써 실린더(1)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상기 피스톤 로드(2)는 가늘고 긴 봉형상의 것으로서, 타단부측에는 축삽입용 구멍(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글러브 박스의 본체 측벽에서 연장되어 있는 동작축을 이 축삽입용 구멍(21)에 끼워맞춤으로써, 덮개체의 개폐시에 덮개체와 함께 피스톤 로드(2)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상기 피스톤(3)은 둘레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주름형상 돌기부(31,…)를 가지고 있으며, 이 복수의 주름형상 돌기부(31,…)는 실린더(1)의 내주면에 흡반(吸盤)형상으로 접촉하여 밀착되어 있다. 또, 복수의 주름형상 돌기부(31)끼리의 사이를 그리스의 저장소로서 기능하게 함으로써, 여기에 적량의 그리스가 충전되게 된다.상기 캡(4)은 적당한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며, 그 중앙의 덮개면(42)이 캡(1)내로 함입되어 있으며, 일측 단부(41)와 덮개면(42)의 사이에는 일측 단부(41)측을 향해서 외측으로 경사져서 확대되는 캡 맞닿음면(4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캡 맞닿음면(43)은, 상기 캡(4)을 실린더(1)의 일측 개방단부(11)측에 장착하였을 때에, 실린더 맞닿음면(12)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상기 캡 맞닿음면(43)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닿음면의 폭방향을 따라서 그 폭의 전체에 걸쳐서 슬릿홈 형상의 오리피스(44,…)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일측 단부(41)에는 캡(4)의 사출성형에 의한 제조를 원할하게 하기 위한 구멍(45,…)이 일측 단부(41)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캡(4)의 타측 단부의 내측둘레에는 걸림돌조(47,…)가 그 둘레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캡(4)을 실린더(1)의 일측 개방단부(11)에 장착하였을 때, 이 걸림돌조(47,…)가 실린더(1)의 외측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소정 폭의 걸림홈(16)에 걸어맞춰짐으로써, 걸림돌조(47)는 걸림홈(16)의 폭 내에서 실린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1)의 일측 개방단부(11)에 장착된 캡(4)은 걸림홈(16)의 폭에 대응한 여유를 갖고서 실린더(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또, 캡(4)을 실린더(1)의 일측 개방단부(11)에 장착하였을 때에는, 캡(4)의 둘레벽부(46)의 내주면(46a)과 실린더(1)의 일측 개방단부(11)의 외주면(11a)이나 걸림홈(16)과의 사이에 틈새(R2)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걸림돌조(47)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이 걸림돌조(47)와 걸림홈(16)과의 사이에서도 틈새(R2)가 형성된다.상기한 각 부품을 에어댐퍼(101)로서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피스톤 로드(2)의 타단부를 실린더(1)의 일측 개방단부(11)측에서 실린더(1)내로 끼워넣어서 이 피스톤 로드(2)의 타단부를 실린더(1)의 타측 개방단부(13)에서 돌출시킨다. 피스톤 로드(2) 및 피스톤(3)은 상기 타측 개방단부(13)의 내측둘레의 형상에 의해서 실린더(1)의 중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피스톤(3)은 실린더(1)의 내주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밀착된다. 그리고, 캡(4)을 실린더(1)의 일측 개방단부(11)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에어댐퍼(101)의 작용을 이하에 설명한다.우선, 도 2의 상태에서 피스톤 로드(2)를 실린더(1)의 일측 개방단부(11)측을 향해서 밀어 넣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피스톤 로드(2)를 밀어 넣으면, 실린더(1)내의 공기 압력이 높아지게 됨으로써, 캡(4)이 걸림홈(16)의 폭에 대응한 여유분 만큼 실린더(1)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캡 맞닿음면(43)과 실린더 맞닿음면(12)이 서로 유리(遊離)되게 됨으로써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틈새(R1)가 생기게 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캡(4)의 둘레벽부(46)의 내주면(46a)과 실린더(1)의 일측 개방단부(11)의 외주면(11a)이나 걸림홈(16)과의 사이에는 틈새(R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1)의 내부{실린더(1)와 피스톤(3)과 캡(4)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와 실린더(1)의 외부는 상기 틈새(R1) 및 틈새(R2)를 통해서 서로 연통되게 되며, 실린더(1)내의 공기가 상기 틈새(R1,R2)를 경유하여 신속하게 배출됨으로써 피스톤 로드(2)를 밀어 넣을 때의 동작저항이 작아지게 된다. 즉, 피스톤 로드(2)를 밀어 넣는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실린더(1)내의 공기의 일부는 틈새(R1)에서 구멍(45)을 통해서 배출되는 것도 있다.한편, 피스톤 로드(2)를 실린더(1)의 타측 개방단부(13)측을 향해서 잡아 당기면, 실린더(1)내의 공기 압력이 부압(負壓)으로 됨으로써, 캡(4)이 걸림홈(16)의 폭에 대응하여 실린더(1)의 내측으로 끌려 들어가듯이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캡 맞닿음면(43)과 실린더 맞닿음면(12)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밀착되게 됨으로써, 실린더(1)의 내부와 실린더(1)의 외부가 오리피스(44,…)만을 통해서 연통되게 되며, 이 결과, 실린더(1)내로는 상기 오리피스(44,…)를 통한 제한된 외부 공기만이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 로드(2)를 잡아 당길 때의 동작저항이 커지게 되어 댐퍼로서 작용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서 피스톤 로드(2)를 잡아 당기는 동작이 서서히 이루어지게 된다.피스톤 로드(2)를 밀어 넣거나 잡아 당길 때에는, 피스톤(3)의 복수의 주름형상 돌기부(31,…)가 실린더(1)의 내주면에 흡반형상으로 접촉하여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3)에 의한 실린더(1)내의 공기의 기밀성(밀봉성)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복수의 주름형상 돌기부(31)끼리의 사이에 적량의 그리스가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이 그리스가 피스톤(3)과 실린더(1)의 슬라이드 면을 코팅함으로써, 피스톤(3)과 실린더(1)간의 슬라이드 저항이 일층 작아지게 된다.캡(4)을 적당한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캡 맞닿음면(43)은 피스톤 로드(2)를 밀어 넣거나 잡아 당길 때의 공기의 압력변동에 대응하여 변형된다. 이 변형은, 피스톤 로드(2)를 밀어 넣을 때에는 캡 맞닿음면(43)과 실린더 맞닿음면(12)을 유리시키고, 피스톤 로드(2)를 잡아 당길 때에는 캡 맞닿음면(43)과 실린더 맞닿음면(12)을 밀착시키는 작용을 한다.따라서, 캡(4)을 적당한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하는 구성은 캡(4)을 이동 가능하게 하는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에어댐퍼(101)의 일방향성 댐퍼효과를 일층 높이는 것이 된다. 또한, 캡(4)을 탄성재로 형성하는 구성, 캡(4)을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성 중 어느 하나의 구성만을 채용한 에어댐퍼라 하더라도 충분히 일방향성 댐퍼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계속해서, 제 2 실시형태를 도 5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댐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댐퍼의 정면 단면도이고,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댐퍼의 양 개방단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댐퍼의 작용 설명도이다.본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댐퍼(102)는, 피스톤 로드(2)를 밀어 넣을 때에 댐퍼로서 작용하는 일방향성 에어댐퍼로서,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댐퍼(101)에 있어서의 주요부품인 실린더(1), 피스톤 로드(2) 및 피스톤(3)은 동일한 공통부품으로 되어 있고, 실린더(1)의 양 개방단부에 장착되는 캡(5) 및 캡(6)만이 상이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캡(5) 및 캡(6)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캡(5)은 실린더(1)의 타측 개방단부(13)에, 캡(6)은 실린더(1)의 일측 개방단부(11)에 각각 장착되며, 이들 캡(5,6) 모두는 상기한 캡(4)과 마찬가지로 적당한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캡(5)은 중공의 대략 원추대 형상을 이루며, 지름이 큰 일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지름이 작은 타단부는 덮개부(51)에 의해서 폐색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부(51)에는 스로틀 홈(5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로틀 홈(51a)에서 일단부의 주연부(52)까지의 경사면은 상기 실린더 맞닿음면(14)에 맞닿는 캡 맞닿음면(53)으로 되어 있다.상기 캡 맞닿음면(53)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닿음면의 폭방향을 따라서 그 폭의 전체에 걸쳐서 슬릿홈 형상의 오리피스(54,…)가 형성되어 있다.한편, 캡(6)은 상기한 캡(4)과 거의 유사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이한 점은 캡(6)의 덮개면(62)의 중앙에 피스톤 로드(2)가 통과하는 로드출입구멍(69)을 형성하고, 이 로드출입구멍(69)의 주위를 두껍게 하여{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출입구멍(69)의 주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보강한 점이다. 캡(6)의 그 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한 캡(4)과 거의 유사하기 때문에, 캡(4)에 붙인 도면부호 중 십의 자리수를 「4」에서 「6」으로 바꾼 도면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상기한 각 부품을 에어댐퍼(102)로서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캡(5)을 실린더(1)의 일측 개구단부(11)측에서 실린더(1)내로 삽입하고, 이것을 타측 개구단부(13)까지 밀어 넣어서 타측 개방단부(13)의 내측둘레를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돌출형성된 걸림편(13a)에 캡(5)의 스로틀 홈(51a)을 걸어맞춤으로써 캡(5)을 타측 개방단부(13)에 장착한다. 이 때, 타측 개방단부(13)의 내주면과 스로틀 홈(51a)과의 사이에는 걸림편(13a)을 형성하지 않은 부분에서 틈새가 형성되게 되며, 이것이 공기통로(도시생략)가 된다.그리고, 피스톤(3)을 실린더(1)의 일측 개방단부(11)측에서 실린더(1)내로 끼워넣어서 피스톤 로드(2)를 실린더(1)의 일측 개방단부(11)에서 돌출시킨다. 그리고, 이 피스톤 로드(2)의 일단부측을 캡(6)의 로드출입구멍(69)에 끼워 통과시키면서 캡(6)을 실린더(1)의 일측 개방단부(11)에 장착한다. 피스톤 로드(2) 및 피스톤(3)은 상기 캡(6)의 로드출입구멍(69)의 내측둘레의 형상에 의해서 실린더(1)의 중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에어댐퍼(102)의 작용을 이하에 설명한다.우선, 도 6의 상태에서 피스톤 로드(2)를 실린더(1)의 타측 개방단부(13)측을 향해서 밀어 넣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피스톤 로드(2)를 밀어 넣으면, 실린더(1)내의 공기 압력이 높아지게 됨으로써, 이 압력에 의해서 캡(5)이 실린더(1)의 외측으로 눌려 붙여지게 된다. 이 때, 캡 맞닿음면(53)과 실린더 맞닿음면(14)이,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밀착되게 됨으로써, 실린더(1)의 내부{실린더(1)와 피스톤(3)과 캡(5)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와 실린더(1)의 외부는 오리피스(54,…) 및 상기 공기통로를 통해서 서로 연통되게 되며, 이 결과, 실린더(1)내의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54,…)를 통한 제한된 공기만이 유출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 로드(2)를 밀어 넣을 때의 동작저항이 커지게 되어 댐퍼로서 작용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서 피스톤 로드(2)를 밀어 넣는 작동이 서서히 이루어지게 된다.한편, 피스톤 로드(2)를 실린더(1)의 일측 개방단부(11)측을 향해서 잡아 당기면, 실린더(1)내의 공기 압력이 부압으로 됨으로써, 이 부압에 의해서 캡(5)이 실린더(1)의 내측으로 끌려 들어가게 된다. 이 때, 캡 맞닿음면(53)과 실린더 맞닿음면(14)이 서로 유리되게 됨으로써, 타측 개방단부(13)와 캡(5)과의 사이에는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틈새(R3)가 생기게 된다. 또, 상기 공기통로도 이것에 대응하여 약간 확대되게 된다. 따라서, 외부 공기가 상기 틈새(R3)와 공기통로를 경유하여 신속하게 실린더(1)내로 유입됨으로써, 피스톤 로드(2)를 잡아 당길 때의 동작저항이 작아지게 된다. 즉, 피스톤 로드(2)를 잡아 당기는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에어댐퍼(102)의 경우도 캡(5)을 탄성재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상기한 캡 맞닿음면(53)과 실린더 맞닿음면(14)이 유리되거나 밀착되는 작용이 일층 향상되며, 따라서 일방향성 댐퍼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값비싼 O링을 사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에어댐퍼(101,102)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또, 실린더의 내주면과 마찰이 큰 O링을 사용하지 않는 에어댐퍼(101,102)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방향성 댐퍼효과를 발휘시키는 일방향에서의 동작저항과 이것과는 역방향에서의 동작저항의 차를 크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글러브 박스 등의 덮개체의 개폐에 동기하여 에어댐퍼(101)를 작동시켰을 경우, 특히 폐쇄동작시의 동작저항을 현저하게 작게 할 수 있어, 개폐감의 차이를 확실하게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또, 가공이 용이한 캡(4,5)에 오리피스(44,54)를 형성하기 때문에, 오리피스 (44,54)의 슬릿 폭과 슬릿 깊이 등의 형상 변경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댐퍼의 하중 조정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또, 실린더의 양 개방단부(11,13)에 형성하는 실린더 맞닿음면(12,14)의 각 형태에 따라서 댐퍼로서 기능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용이하게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오리피스의 형상을 변경하기 위한 피스톤에 대한 미세가공이 일절 필요없게 된다. 또한, 간단한 부품인 캡을 교환하는 것만에 의해서 용이하게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또한, 댐퍼로서 방향성이 서로 상이한 에어댐퍼(101 및 102)에 있어서, 그 주요부품인 실린더(1), 피스톤 로드(2) 및 피스톤(3)을 공통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에어댐퍼의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어, 비용면에서는 O링을 사용하지 않는 점과 더불어 제조비용의 대폭적인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값비싼 O링을 사용하지 않은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에어댐퍼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또, 실린더의 내주면과 마찰이 큰 O링을 사용하지 않는 에어댐퍼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방향성 댐퍼효과를 발휘시키는 일방향에서의 동작저항과 이것과는 역방향에서의 동작저항의 차를 크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글러브 박스 등의 덮개체의 개폐에 동기하여 에어댐퍼를 작동시켰을 경우, 특히 폐쇄동작시의 동작저항을 현저하게 작게 할 수 있어, 개폐감의 차이를 확실하게 느낄 수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또, 캡 맞닿음면과 실린더 맞닿음면의 유리, 밀착을 이용하여 댐퍼기능을 발휘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피스톤에 O링을 끼우거나 오리피스를 형성하는 복잡한 구성이 필요없게 되며, 따라서 에어댐퍼를 간단한 구성의 것으로 할 수 있다.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실린더의 일측 개방단부의 내측둘레에 이 일측 개방단부측을 향해서 경사지는 실린더 맞닿음면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즉 실린더 맞닿음면으로서 적어도 2가지 형태, 예를 들면 일측 개방단측을 향해서 외측으로 경사져서 확대되는 경우와 내측으로 경사져서 축소되는 경우의 2가지 형태를 형성할 수 있고, 이 실린더 맞닿음면의 2가지 형태에 따라서 댐퍼로서 기능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서 필요하였던 오리피스의 형상을 변경하기 위한 피스톤에 대한 미세가공이 일절 필요없게 되며, 따라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용이하게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그리고, 실린더 맞닿음면의 2가지 형태를 실린더의 양 개방단부에 나누어서 형성함으로써, 실린더를 방향성에 의존하지 않고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주요 부품인 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를 모두 공통화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댐퍼의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어, 비용면에서는 O링을 사용하지 않는 점과 더불어 제조비용의 대폭적인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가공이 용이한 캡에 오리피스를 형성하기 때문에, 오리피스의 형상 변경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댐퍼의 하중 조정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피스톤의 외주면이 실린더의 내주면에 흡반형상으로 접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피스톤이 실린더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됨으로써, 실린더 내의 공기의 기밀성(밀봉성)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복수의 주름형상 돌기부끼리의 사이에 적량의 그리스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이 그리스가 피스톤과 실린더의 슬라이드 면에 코팅됨으로써 피스톤과 실린더간의 슬라이드 저항을 일층 작게 할 수 있다.

Claims (4)

  1. 피스톤 로드를 밀어 넣거나 잡아 당기는 각각의 동작 중 어느 일측의 동작시에 동작저항이 커져서 댐퍼로서 작용하는 에어댐퍼에 있어서,
    통형상체로서 양 단부가 개방되고, 일측 개방단부에 형성한 실린더 맞닿음면을 가지는 실린더와,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형성되며, 실린더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의 일측 개방단부에 장착되며, 실린더 맞닿음면에 맞닿는 캡 맞닿음면을 가지는 캡을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 로드를 밀어 넣거나 잡아 당기는 각각의 동작에 따라서 캡 맞닿음면과 실린더 맞닿음면이 유리되거나 밀착되고, 밀착되었을 때에 동작저항이 커져서 댐퍼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댐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맞닿음면은, 실린더의 일측 개방단부의 내측둘레에 이 일측 개방단부측을 향해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댐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 맞닿음면에 실린더의 내부와 실린더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오리피스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댐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둘레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주름형상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주름형상 돌기부가 실린더의 내주면에 흡반형상으로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댐퍼.
KR1019990046198A 1998-12-07 1999-10-23 에어댐퍼 KR100324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6917 1998-12-07
JP34691798A JP4260949B2 (ja) 1998-12-07 1998-12-07 エアダン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551A KR20000047551A (ko) 2000-07-25
KR100324925B1 true KR100324925B1 (ko) 2002-02-28

Family

ID=1838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198A KR100324925B1 (ko) 1998-12-07 1999-10-23 에어댐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260949B2 (ko)
KR (1) KR1003249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2966B2 (ja) * 2000-08-25 2007-05-0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エアダンパー
JP5048453B2 (ja) * 2007-10-25 2012-10-17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及びこのダンパを備えたドアハンドル
JP2010001920A (ja) 2008-06-18 2010-01-07 Nifco Inc ダンパー装置
JP6296235B2 (ja) * 2014-03-31 2018-03-20 Toto株式会社 湯水混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170816A (ja) 2000-06-23
JP4260949B2 (ja) 2009-04-30
KR20000047551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1856B1 (ko) 에어댐퍼
US5927448A (en) Shock absorber
US3937450A (en) Sliding piston gas spring
US6672575B2 (en) Surface effect damper
US4342447A (en) Gas spring with tubular shell seal
CA2345910A1 (en) Air damper for a movably supported structural part, in particular in automobiles
JPS58221032A (ja) シリンダ装置
US5104098A (en) Cylinder type air damper
KR100324925B1 (ko) 에어댐퍼
US6345707B1 (en) Frictionless damper
EP1098107B1 (en) Air damper with adjustable air flow rate
US8528708B2 (en) Air damper
US5092702A (en) Fluid discharge device
KR101907703B1 (ko) 피스톤 댐퍼
JP2019113124A (ja) 摩擦ダンパ
US3724888A (en) Spring-biased latching detent
JPH0198717A (ja)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衡器
JPH0712165A (ja) ダンパ装置
JP2005291327A (ja) エアダンパ
JP2517999Y2 (ja) クッション装置
GB2131120A (en) Hydraulic damper with temperature- compensated throttle
JPH0648196Y2 (ja) ドアクローザ用ダンパ
JPH0425544Y2 (ko)
JPH0516426Y2 (ko)
JP2022123993A (ja) ダンパ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