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4381B1 - 차량의 카울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카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381B1
KR100324381B1 KR1019990056840A KR19990056840A KR100324381B1 KR 100324381 B1 KR100324381 B1 KR 100324381B1 KR 1019990056840 A KR1019990056840 A KR 1019990056840A KR 19990056840 A KR19990056840 A KR 19990056840A KR 100324381 B1 KR100324381 B1 KR 100324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ed
panel
vehicle
windshield
upp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597A (ko
Inventor
김호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90056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4381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381B1/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카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다중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어퍼판넬(10)의 일측저면에 아웃터판넬(30)의 선단부가 용착되고, 상기 아웃터판넬(30)의 하단부에는 상단부가 어퍼판넬(10)의 타측단부에 용착되어 있는 인너판넬(20)의 하단부가 폐단면을 갖으며 용착되어 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인너판넬(20)의 상단부가 저면에 용착되어 있는 어퍼판넬(10)의 타측단부 상부에 유리파손유발용 탐침(51)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전면유리지지부재(50)를 폐단면을 갖도록 용착시켜, 차량을 운행중 보행자와 충돌사고가 발생하여 보행자의 신체가 전면유리(40)의 하단부에 접하는 경우에도, 상기 전면유리(40)가 탐침(51)에 의해 파손되면서 1차적으로 충격에너지를 발산시키고, 2차적으로 전면유리지지부재(50)가 폐단면의 내부로 좌굴현상에 의해 찌그러 지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 함으로서, 차량을 운행중 충돌사고에 의해 보행자의 신체가 전면유리(40)의 하단부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상해치가 감소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카울구조{Cowl structure of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의 카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유리의 하단부에 차량을 운행중 발생되는 충돌사고에 의해 보행자의 신체가 접하는 경우, 상기 전면유리가 파손되면서 충격에너지가 흡수되도록 하는 차량의 카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면에는 차량을 운행시 발생되는 공기의 저항이 저감되도록 하는 카울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종래 차량의 카울구조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다중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어퍼판넬(10)의 일측저면에 아웃터판넬(30)의 선단부가 용착되고, 상기 아웃터판넬(30)의 하단부에는 상단부가 어퍼판넬(10)의 타측단부에 용착되어 있는 인너판넬(20)의 하단부가 폐단면을 갖으며 용착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차량의 카울구조는 하단부가 용착되어 있는 인너판넬(20)과 아웃터판넬(30)의 상단부가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폐단면을 갖으며 용착되는 것에 의해 차량에 비틀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차량의 카울구조는 인너판넬(20)과 아웃터판넬(30)에 폐단면으로 결합된 어퍼판넬(10)의 상부 일측면에 전면유리(40)의 하단부가 직접 접하며 설치되는 것에 의해, 차량을 운행중 발생되는 충돌사고에 의해 보행자의 신체가 전면유리(40)의 하단부에 접하는 경우, 상기 전면유리(40)에 가해진 충격에너지가 어퍼판넬(10)에 의해 흡수됨과 동시에 폐단면을 통해 폭넓게 분산시키케 됨으로서, 상기 전면유리(40)의 하단부에 신체가 접한 보행자의 신체에 가해진 충격량이 제대로 분산되지 않게 되어 상해치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너판넬의 상단부가 저면에 용착되어 있는 어퍼판넬의 타측단부 상부에 유리파손유발용 탐침이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전면유리지지부재를 폐단면을 갖도록 용착시켜, 차량을 운행중 보행자와 충돌사고가 발생하여 보행자의 신체가 전면유리의 하단부에 접하는 경우 상기 전면유리가 탐침에 의해 파손되면서 1차적으로 충격에너지를 발산시키고, 2차적으로 전면유리지지부재가 폐단면의 내부로 좌굴현상에 의해 찌그러 지면서 충격에너지가 흡수되도록 함으로서, 차량을 운행중 충돌사고에 의해 보행자의 신체가 전면유리의 하단부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상해치가 감소되도록 하는 차량의 카울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카울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카울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카울에 설치되는 윈드실드지지부재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어퍼판넬 20 : 인너판넬
30 : 아웃터판넬 40 : 전면유리
50 : 전면유리지지부재 51 : 탐침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의 카울구조도 도 2와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다중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어퍼판넬(10)의 일측저면에 아웃터판넬(30)의 선단부가 용착되고, 상기 아웃터판넬(30)의 하단부에는 상단부가 어퍼판넬(10)의 타측단부에 용착되어 있는 인너판넬(20)의 하단부가 폐단면을 갖으며 용착되어 지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단, 본 발명은 상기 인너판넬(20)의 상단부가 저면에 용착되어 있는 어퍼판넬(10)의 타측단부 상부에 유리파손유발용 탐침(51)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전면유리지지부재(50)가 폐단면을 형성하며 용착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차량을 운행중 보행자와 충돌사고가 발생하여 보행자의 신체가 전면유리(40)의 하단부에 접하는 경우, 상기 전면유리(40)가 탐침(51)에 의해 파손되면서 1차적으로 충격에너지가 발산되고, 2차적으로 전면유리지지부재(50)가 폐단면의 내부로 좌굴현상에 의해 찌그러 지면서 충격에너지가 흡수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을 운행중 보행자와 충돌사고가 발생하여 보행자의 신체가 전면유리(40)의 하단부에 접하는 경우에도, 상기 전면유리(40)가 탐침(51)에 의해 파손되면서 1차적으로 충격에너지를 발산시키고, 2차적으로 전면유리지지부재(50)가 폐단면의 내부로 좌굴현상에 의해 찌그러 지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 함으로서, 차량을 운행중 충돌사고에 의해 보행자의 신체가 전면유리(40)의 하단부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상해치가 감소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너판넬의 상단부가 저면에 용착되어 있는 어퍼판넬의 타측단부 상부에 유리파손유발용 탐침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전면유리지지부재를 폐단면을 갖도록 용착시켜, 차량을 운행중 보행자와 충돌사고가 발생하여 보행자의 신체가 전면유리의 하단부에 접하는 경우 상기 전면유리가 탐침에 의해 파손되면서 1차적으로 충격에너지를 발산시키고, 2차적으로 전면유리지지부재가 폐단면의 내부로 좌굴현상에 의해 찌그러 지면서 충격에너지가 흡수되도록 함으로서, 차량을 운행중 충돌사고에 의해 보행자의 신체가 전면유리의 하단부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상해치가 감소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다중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어퍼판넬(10)의 일측저면에 아웃터판넬(30)의 선단부가 용착되고, 상기 아웃터판넬(30)의 하단부에는 상단부가 어퍼판넬(10)의 타측단부에 용착되어 있는 인너판넬(20)의 하단부가 폐단면을 갖으며 용착되어 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인너판넬(20)의 상단부가 저면에 용착되어 있는 어퍼판넬(10)의 타측단부 상부에 유리파손유발용 탐침(51)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전면유리지지부재(50)가 폐단면을 형성하며 용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구조.
KR1019990056840A 1999-12-11 1999-12-11 차량의 카울구조 KR100324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840A KR100324381B1 (ko) 1999-12-11 1999-12-11 차량의 카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840A KR100324381B1 (ko) 1999-12-11 1999-12-11 차량의 카울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597A KR20010055597A (ko) 2001-07-04
KR100324381B1 true KR100324381B1 (ko) 2002-02-16

Family

ID=19625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840A KR100324381B1 (ko) 1999-12-11 1999-12-11 차량의 카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438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597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4381B1 (ko) 차량의 카울구조
KR100349395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0188158B1 (ko) 자동차 조향축의 충격흡수장치
KR100418674B1 (ko) 보행자 보호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의 카울
KR100280661B1 (ko) 자동차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KR100410853B1 (ko) 충격 흡수형 자동차의 엔진후드
KR19990005339U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구조
KR200142531Y1 (ko) 승용차 도어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100350268B1 (ko) 자동차용 범퍼의 사이드부 보강구조
KR0115378Y1 (ko) 차량용 도어 임팩트바아의 보강구조
KR970000907Y1 (ko) 승용차용 오일탱크의 취부구조
KR200219635Y1 (ko) 지프형 차량의 프레임
KR200304915Y1 (ko) 차량용스티어링칼럼의충격에너지흡수플레이트
KR200160661Y1 (ko) 자동차의 도어패널 보강장치
KR100199771B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보강구조
KR0139596Y1 (ko) 자동차의 후방 충격 흡수 구조
KR100440856B1 (ko) 자동차의 범퍼
KR0139457B1 (ko) 리어도어의충격흡수구조
KR200189169Y1 (ko) 차량용 센터필러 구조
KR0178926B1 (ko) 자동차 도어 임팩트바의 완충구조
KR19980022290U (ko) 자동차 범퍼용 임팩트 빔
KR19980049213U (ko) 자동차용 리어로워의 보강구조
KR200140872Y1 (ko) 자동차용 도어 프레임 구조
KR19990020655A (ko) 차량의 도어보강구조
KR0139602Y1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