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668B1 - 판금절단작도방법및그장치 - Google Patents

판금절단작도방법및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668B1
KR100322668B1 KR1019960700162A KR19960700162A KR100322668B1 KR 100322668 B1 KR100322668 B1 KR 100322668B1 KR 1019960700162 A KR1019960700162 A KR 1019960700162A KR 19960700162 A KR19960700162 A KR 19960700162A KR 100322668 B1 KR100322668 B1 KR 100322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odd
vertices
numbered
sheet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0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4259A (ko
Inventor
유키오 요시무라
Original Assignee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안자키 사토루
Publication of KR960704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4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6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3Optimisation of two dimensional placement, e.g. cutting of clothes or woo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3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art programming, e.g. entry of geometrical information as taken from a technical drawing, combining this with machining and material information to obtain control information, named part programme, for the NC mach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10T83/0524Plural cutting ste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10T83/0524Plural cutting steps
    • Y10T83/0529Blanking and cut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10T83/0524Plural cutting steps
    • Y10T83/0572Plural cutting steps effect progressive cu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10T83/06Blan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141With means to monitor and control operation [e.g., self-regulating means]
    • Y10T83/148Including means to correct the sensed operation
    • Y10T83/155Optimizing product from unique workpie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 Welding Or Cutting Using Electron Beam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판재 위에 판이 놓인 위치가 설정되어서 절단되는 여러개의 부재에 대응하는 각 도형을, 이들 도형이 서로 인접하는 도형의 변을 포개어 맞춰지도록 접합하여 형성되는 복합도형에 의거하여, 판재로부터 상기한 여러개의 부재를 차례로 절단할 때에 절단경로를 설정하는 판금절단 작도방법으로서, 상기한 복합도형에 있어서 그 복합도형을 형성하는 내외변 중에서 홀수개의 변으로 구성되는 4개 이상의 짝수개의 홀수정점이 있는 경우에는, 이들 홀수정점 중에서 상기한 복합도형의 외형을 형성하는 정점 사이를 연결하고, 그들 정점이 2개 또는 0개로 되도록 보조변을 그 복합도형 밖으로 형성하여, 상기한 복합도형을 형성하는 내외변 및 보조변을 한바퀴 지나가는 절단경로를 설정가능하게 구성한다.

Description

판금절단 작도방법 및 그 장치
종래에, 이 종류의 판금절단 작도방법 및 그 장치로서 특개평 5-19831호 공개특허공보에는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다.
판재 위에 판이 놓인 위치가 설정되어서 절단되는 여러개의 부재에 대응하는 각 도형을, 이들 도형이 서로 인접하는 도형의 변을 포개어 맞춰지도록 접합하여 복합도형을 예를 들면 제3도에 표시되어 있도록 형성함과 아울러, 판재로부터 상기한 여러개의 부재를 차례로 절단할 때에 변의 길이가 긴 것을 우선으로 하고, 또 근접해 있는 변을 우선으로 해서 절단경로를 설정한다.
그런데, 앞에서 진술한 것에 있어서는 절단경로를 설정하는데, 단지 변이 긴것, 또 근접해 있는 변을 우선으로 해서 절단경로를 설정할 뿐이므로, 예를 들면 제3도에 표시되어 있는 복합도형과 같이 그 복합도형을 형성하는 내외변 중에서 홀수개의 변으로 구성되는 4개의 홀수정점이 있는 경우에는, 어떻게 하더라도 복합도형을 형성하는 내외변에 있어서 그들 내외변을 한바퀴 지나가는 절단경로를 설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연속절단할 수 없고, 절단개시동작(피어싱동작 등)이 여러회 반복되어서 절단의 고속화에 한계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연속절단할 수 있고 절단의 고속화가 도모되는 판금절단 작도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의한 판금절단 작도방법은, 앞에서 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판재 위에 판이 놓인 위치가 설정되어서 절단되는 여러개의 부재에 대응하는 각 도형을, 이들 도형이 서로 인접하는 도형의 변을 포개어 맞춰지도록 접합하여 형성되는 복합도형에 의거하여, 판재로부터 상기한 여러개의 부재를 차례로 절단할 때에 절단경로를 설정하는 판금절단 작도방법으로서, 상기한 복합도형에 있어서 그 복합도형을 형성하는 내외변 중에서 홀수개의 변으로 구성되는 4개이상의 짝수개의 홀수정점이 있는 경우에는, 이들 홀수정점 중에서 상기한 복합도형의 외형을 형성하는 정점 사이를 연결하고 그들 정점이 2개 또는 0개로 되도록 보조변을 그 복합도형 밖으로 형성하여, 상기한 복합도형을 형성하는 내외변 및 보조변을 한바퀴 지나가는 절단경로를 설정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의한 판금절단 작도장치는, 앞에서 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판재 위에 판이 놓인 위치가 설정되어서 절단되는 여러개의 부재에 대응하는 각 도형을, 이들 도형이 서로 인접하는 도형의 변을 포개어 맞춰지도록 접합하여 형성되는 복합도형에 의거하여, 판재로부터 상기한 여러개의 부재를 차례로 절단할 때에 절단경로를 설정하는 판금절단 작도장치로서, 상기한 복합도형에 있어서 그 복합도형을 형성하는 내외변 중에서 홀수개의 변으로 구성되는 4개이상의 짝수개의 홀수정점이 있는 경우에는, 이들 홀수정점 중에서 상기한 복합도형의 외형을 형성하는 정점 사이를 연결하여 그들 정점이 2개 또는 0개로 되도록 보조변을 그 복합도형 밖으로 형성하는 보조변 형성수단을 구비하여, 상기한 복합도형을 형성하는 내외변 및 보조변을 한바퀴 지나가는 절단경로를 설정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우선, 복합도형에 있어서 그 복합도형을 형성하는 내외변을 한바퀴 지나가는 연속절단의 절단경로를 설정시키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절단개시점과 절단종료점이 다른 점인 경우는, 각 절단개시점 및 절단종료점은 홀수개의 변으로 구성되는 홀수정점이다.
2. 절단개시점 및 절단종료점이 동일점인 경우는, 이 동일점은 짝수개의 변으로 구성되는 짝수정점이다.
3. 절단개시점 및 절단종료점 이외의 정점은 짝수개의 변으로 구성되는 짝수정점이다.
이상으로부터, 앞에서 진술하듯이 4개의 홀수정점이 있는 복합도형의 경우에는, 연속절단이 불가능하다. 그런데, 제4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4개의 홀수정점 중에서 그 복합도형의 외형을 형성하는 2개의 홀수정점(b, c) 사이로 그들 2개의 홀수정점(b, c) 사이를 보조변(t)으로 연결하면, 이들 2개의 홀수정점(b, c)은 짝수정점으로 되어서 전체로서 2개의 홀수정점으로 되어 연속절단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4개이상의 짝수개의 홀수정점이 있는 경우에는, 이들 홀수정점 중에서 복합도형의 외형을 형성하는 홀수정점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변을 그 복합도형 밖으로 형성하여, 복합도형을 형성하는 내외변 및 보조변을 한바퀴 지나가는 절단경로를 설정할 수 있어서 제4도에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는 순서로 연속절단 가능하게 한다.
앞에서 진술한 판금절단 작도는, 바람직하게는 계산기원용설계시스템(CAD) 및 또는 제조지원시스템(CAM)에 있음과 아울러, 상기한 보조변은 직선형상 또는 만곡(활처혐 굽음)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한 판재는 철강판재, 예를 들면 A1, T1 등의 비철판재 또는 예를 들면 세라믹,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판재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절단은 바람직하게는 가스절단, 아크절단, 전자빔절단, 레이저절단 또는 워터제트절단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한 변에는 직선부분에 더해서 곡선부분까지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뒤에서 진술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진다. 그런데,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 실시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상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내의 여러가지의 변경 및 변형은 그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명확한 점으로 구체예로서만 진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판금절단 작도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는 판재 위에 절단되는 부재의 판이 놓인 위치를 설정함과 아울러, 절단경로를 설정하는 판금절단 작도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판금절단 작도방법 및 그 장치를 적용한 경우의 구체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1도는 콘솔형 컴퓨터를 함유하는 판금절단시스템의 개략도.
제2도는 CAD/CAM프로그램의 기본처리순서의 순서도(플로챠트).
제3도는 복합도형의 선도.
제4도는 복합도형의 절단경로를 표시하는 설명도.
제5도는 제4도에 대응하는 다른 복합도면의 절단경로를 표시하는 개략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판금절단 작도방법 및 그 장치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에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판금절단시스템(S)에 있어서, 이 판금절단시스템(S)은 계산기원용설계시스템 및 제조지원시스템(CAD/CAM)이 탑재되어서 본 발명에 의한 판금절단장치가 적용되는 콘솔형 컴퓨터(10)와, 판재를 레이저빔 열을 사용하여 절단하는 레이저절단기(20) 및 그 레이저절단기(20)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수치제어기(3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콘솔형 컴퓨터(10)는, 앞에서 진술한 계산기원용설계시스템 및 제조지원시스템(CAD/CAM)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중앙처리장치(CPU)(10A)와, 이 프로그램을 기억해서 읽어내는 전용메모리(ROM)(10B)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연산을 할 때에 할당되는 각종 레지스터를 함유하는 워킹메모리로서의 기입이 가능한 메모리(RAM)(10C)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입력장치로서의 키보드(11) 및 마우스(12)와, 출력장치로서의 모니터(13) 및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14) 등이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키보드(11) 또는 마우스(12)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앞에서 진술한 프로그램에의거하여 각종 연산처리가 실행되며, 이 연산처리결과가 모니터(13)에 표시됨과 아울러,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14)에 있어서는 플로피디스크에 최종적인 절단용의 NC정보로서 그 연산처리가 기입된다. 또, 레이저절단기(20)는 판재를 설치하여 Y축방향에 있는 기단측에 X축으로 따라서 판재를 접는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클램프를 보유하는 워크테이블(21)과, 이 워크테이블(21) 위를 도면에 표시되어 있는 Y축방향으로 전후로 도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Y축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캐리지(22)와, 이 캐리지(22)에 따라서 도면에 표시되어 있는 X축방향으로 전후와 동일하게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X축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레이저헤드(2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치제어기(30)는 앞에서 진술한 콘솔형 컴퓨터(10)와 동일하게 NC제어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중앙처리장치(CFU)(30A)와, 이 프로그램을 기억해서 읽어내는 전용메모리(ROM)(30B)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연산할 때에 할당되는 각종 레지스터를 함유하는 워킹메모리로서의 기입이 가능한 메모리(RAM)(30C)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입력장치로서 조작패널(31)이 설치되며, 또,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32)가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조작패널(31)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앞에서 진술하듯이 콘솔형 컴퓨터(10)측에 있어서 기입되며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32)에 삽입되어 있는 플로피디스크로부터 상기한 NC정보를 읽어 내고, 앞에서 진술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각종 연산처리가 실행되어서 앞에서 진술한 Y축 및 X죽의 구동모터가 구동되며, 캐리지(22) 및 레이저헤드(23)가 구동제어되어서 워크테이블(21)에 설치되어 있는 판재가 필요한 형상으로 절단된다. 또한, 이 NC제어의 프로그램의 처리순서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 있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앞에서 진술한 계산기원용설계시스템 및 제조지원시스템(CAD/CAM)의 프로그램에 의거하는 기본처리순서에 대하여, 제2도에 표시되어 있는 순서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기본처리순서를 설명할 때에는, 키보드(11) 및 마우스(12)로부터 입력되는 판재 위에 판이 놓인 위치가 설정되어서 절단되는 여러개의 부재에 대응하는 각 도형은, 특개평 5-19831호 공개특허공보에 명시되어 있는 방법 등에 의하여 키보드(11) 및 마우스(12)의 조작에 의거하여 회전이동 및 평행이동의 위치이동처리가 실시되어서 그들 도형이 서로 인접하는 도형의 변이 포개어 맞춰지도록 결합되고, 이미 예를 들면 제3도에 표시되어 있는 복합도형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복합도형에 있어서의 그 복합도형을 형성하는 내외변 중에서 홀수개의 변으로 구성되는 홀수정점의 개수를 센다. 제3도에 표시되어 있는 복합도형에 있어서는, 정점(a, b, c, f)이 홀수정점이고, 4개의 혼수정점을 보유하고 있다.
복합도형에 있어서의 혼수정점이 1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1개인 경우에는 복합도형을 형성하는 바깥변이 고리형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연속절단의 전제인 복합도형의 폐도형 자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모니터(13)에 "폐도형이 아님"이라는 취지를 표시시킨다.
스템(S-2)에 있는 판단에 있어서 복합도형에 있어서의 홀수정점이 1개가 아닌 경우에는, 홀수정점에 2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2개인 경우에는 스템(S-12)으로 행한다. 또, 2개가 아닌 경우에는, 또한 홀수정점이 3개 이상인지의 여부를판단하고 3개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스템(S-18)으로 행한다.
스템(S-5)에 있는 판단에 있어서 복합도형에 있어서의 홀수정점이 3개 이상인 경우에는, 이 홀수정점의 개수가 짝수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짝수개가 아닌 경우에는 연속절단 할 수 없으므로 모니터(13)에 "연속절단할 수 없음"이라고 취지를 표시시킨다.
스템(S-6)에 있는 판단에 있어서, 복합도형에 있어서의 홀수정점이 짝수개인 경우에는 그들 홀수정점 중에서 3개 이상의 홀수정점이 복합도형의 내부에 있는 홀수정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3개 이상이 복합도형의 내부에 있는 홀수정점인 경우에는 복합도형의 내부에는 뒤에서 진술하는 보조변을 형성할 수 없으며 연속절단을 할 수 없으므로 모니터(13)에 "연속절단 할 수 없음"이라고 취지를 표시시킨다.
스템(S-8)에 있는 판단에 있어서 홀수정점 중에서 3개 이상의 홀수정점이 복합도형의 내부에 있는 홀수정점이 아닌 경우에, 환언하면 복합도형에 있는 홀수정점이 짝수개의 4개 이상의 홀수정점으로서 그들 홀수정점 중에서 3개 이상의 홀수정점이 복합도형의 내부에 있는 홀수정점이 아닌 경우, 제3도에 표시되어 있는 복합도형에 있어서는 4개의 홀수정점(a, b, c, f)으로서 그들 홀수정점(a, b, c, f) 중에서 1개의 홀수정점(f)이 복합도형의 내부에 있는 홀수정점인 점에서 그것에 의해서 복합도형의 외형을 형성하는 홀수정점, 제3도에 표시되어 있는 복합도형에 있어서는 홀수정점(a, b, c) 중에서 보조변을 연결하는 2개의 홀수정점을 다음의 우선 순서로 선택한다.
① 우선, 초기에 설정되는 절단개시점으로 되기 어려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X축의 영점에 근접한 측, Y축의 영점으로부터 먼 측의 반대측, 환언하면 X축의 영점으로부터 먼 측, Y축의 영점에 근접한 측에서 선택한다.
② 다음에는, 최단거리의 보조변이 연결되도록 선택한다.
③ 최후에는, 연결되는 보조변이 X축 또는 Y축과 이루는 각도의 절대치가 작아 지도록, 환언하면 될 수 있는 한 X축 또는 Y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선택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3도에 표시되어 있는 복합도형에 있어서는, 홀수정점(b, c)이 선택된다.
다음에, 앞에서 진술하듯이 선택되는 2개의 홀수정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되는 예를 들면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여유거리를 두고 최단거리에서 그들 홀수정점사이를 연결하는 복합도형 밖으로 보조변을 형성한다.
제3도에 표시되어 있는 복합도형에 있어서는, 제4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홀수정점(b, c)으로부터 Y축방향으로 여유거리의 점(g, h)을 취해서 직선으로 연결하여 복합도형 밖으로 그자 형상인 보조변(t)을 형성한다.
보조변에 의하여 홀수정점의 개수가 2개로 됐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2개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템(S-10)에 복귀해서 더욱 복합도형 밖으로 보조변을 형성하여 홀수정점의 개수가 2개로 될때까지 반복한다. 또한, 제3도에 표시되어 있는 복합도형의 경우에는, 제4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보조변(t)에 의하여 2개의 홀수정점(2, f)으로 된다.
스템(S-4)에 있는 판단에 있어서 복합도형에 있는 홀수정점이 2개인 경우,또 스템(S-11)에 있는 판단에 있어서 보조변이 형성되어서 복합도형에 있는 홀수정점이 2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의 조건에서 절단개시점을 선택한다.
① 보조변을 함유하는 복합도형의 외형을 형성하는 홀수정점을 절단개시점으로 우선적으로 선택하고, 다음에 보조변을 함유하는 복합도형의 내부의 홀수정점을 선택한다. 이런 이유는, 내부의 홀수정점을 절단개시점으로 선택하면, 피어싱할 때의 조주거리(절삭홈)를 두지 않고, 그 홀수정점을 피어싱포인트로 꼭 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② 보조변을 함유하는 복합도형의 외형을 형성하는 홀수정점이 2개, 또는 내부의 홀수정점이 2개인 경우의 선택은, 초기에 설정되는 절단개시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X축의 영점에 근접한 측, Y축의 영점에서 먼 측을 절단개시점으로서 선택한다.
이렇게 하여, 제4도에 표시되어 있는 보조변(t)을 함유하는 복합도형에 있어서는 점(P)을 피어싱포인트로서 홀수정점(a)이 선택된다.
선택된 홀수정점을 구성하는 홀수개의 변 중에서 1개의 변을 절단변으로서, 다음에 초기설정된 우선 순서로 선택 결정한다.
① 우선, 선택 결정되는 변의 선단이 보조변을 함유하는 복합도형의 홀수정점인 경우에 있어서는, 선택된 홀수정점을 구성하는 변 중에서 아직도 다른 절단변으로서 선택 결정되어 있지 않은 내외변이 있을 때에는 다른 내외변을 우선적으로 결정한다.
② 다음에, 보조변을 함유하는 복합도형에 있어서 그 보조변을 함유하는 복합도형의 외형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변, 내변을 우선적으로 선택 결정한다.
이 이유는, 보조변을 함유하는 복합도형의 외형을 형성하는 모든 변, 모든 외변을 절단하면 내변을 함유하는 내측이 판재로부터 떨어져서 내변을 절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③ 최후로, 내변이 2개 이상인 경우는 X축과 이루는 각도의 절대치가 작은 것을 선택 결정한다.
이렇게 하여, 제4도에 표시되어 있는 보조변(t)을 함유하는 복합도형의 경우에는 변(ad)이 선택 결정된다.
선택 결정된 변의 선단이 절단종료점인지의 어부를 판단하고, 절단종료점인 경우에는 그 절단종료점의 정점을 구성하는 아직도 다른 절단변으로서 선택 결정되어 있지 않은 변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아직도 다른 절단변으로서 선택 결정되어 있지 않은 변이 없을 경우에는 모니터(13)에 "종료"를 표시시킨다.
스템(S-14)에 있는 판단에 있어서 선택 결정된 변의 선단이 절단종료점이 아닌 경우에는, 또 스템(S-15)에 있는 판단에 있어서 아직도 다른 절단변으로서 선택 결정되어 있지 않은 변이 있는 경우에는 스템(S-13)에 있어서와 동일하게 초기에 설정되는 우선 순서로 선택 결정된 변의 선단의 정점을 구성하는 변 중에서 아직도 다른 절단변으로서 선택 결정되어 있지 않은 1개의 변을 절단변으로서 선택 결정하여 스템(S-14)으로 복귀한다.
이렇게 하여, 제4도에 표시되어 있는 보조변(t)을 함유하는 복합도형의 경우에는, 홀수정점(a)을 절단개시점으로서 차례로 도면에 표시되어 있는 화살표방향으로 변(ad, dc, cb, ba, ae, ed, df, fb, bg, gh, hc, cf)의 순서로 내외변 및 보조변을 한바퀴 지나가는 절단경로가 설정된다.
스템(S-5)에 있는 판단에 있어서 복합도형에 있는 홀수정점이 3개 이상이 없고 1개도 홀수정점이 아닌 경우에는, 복합도형에 있는 그 복합도형을 형성하는 내외변 중에서 짝수개의 변으로 구성되는 짝수정점 중에서, 다음 조건에서 절단개시점을 선택한다.
① 복합도형의 외형을 형성하는 짝수정점을 절단개시점에 우선적으로 선택하고, 다음에 복합도형의 내부의 짝수정점을 선택한다. 이 이유는, 홀수정점의 정우와 동일하게 내부의 짝수정점을 절단개시점으로 선택하면, 피어싱할 때의 조주거리(절삭홈)를 두지 않고 그 짝수정점을 피어싱포인트로 꼭 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② 복합도형의 외형을 형성하는 짝수정점만, 또는 내부의 짝수정점 뿐인 경우의 선택은, 홀수정점의 경우와 동일하게 초기에 설정되는 절단개시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X축의 영점에 근접한 측, Y축의 영점에서 먼 측으로 선택한다.
이렇게 하여, 제5도에 표시되어 있는 복합도형에 있어서는 점(P')을 피어싱 포인트로서 짝수정점(a')이 선택된다.
선택된 짝수정점을 구성하는 짝수개의 변 중에서 1개의 변을 절단변으로서, 스템(S-13)에 있어서와 동일하게 초기에 설정되는 우선순서로 그 짝수정점을 구성하는 짝수개의 변 중에서 1개의 변을 절단변으로서 선택 결정한다.
이렇게 하여 제5도에 표시되어 있는 복합도형의 경우에는 변(a'd')이 선택결정된다.
선택 결정된 변의 선단이 절단개시점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절단개시점인 경우에는 그 절단개시점의 정점을 구성하는 아직도 다른 절단면으로서 선택 결정되어 있지 않은 변이 있는지의 여부론 판단하고, 아직도 다른 절단변으로서 선택 결정되어 있지 않은 변이 없는 경우에는 모니티(13)에 "종료"를 표시시킨다.
스템(S-20)에 있는 판단에 있어서 선택 결정된 변의 선단이 절단개시점이 아닌 경우에는, 또 스템(21)에 있는 판단에 있어서 아직도 다른 절단변으로서 선택 결정되어 있지 않은 변이 있는 경우에는 스템(S-19)에 있어서와 동일하게 초기에 설정되는 우선순서로 그 변의 선단의 짝수정점을 구성하는 짝수개의 변 중에서 아직도 절단변으로서 선택 결정되어 있지 않은 1개의 변을 절단변으로서 선택결정하여 스템(S-20)으로 복귀한다.
이렇게 하여, 제5도에 표시되어 있는 복합도형의 경우에는, 짝소정점(a')을 절단개시점으로서 차례로 도면에 표시되어 있는 화살표 방향으로 변(a'd', d'b', b'a', a'e', e'd', d'c', c'b', b'f', f'a')의 순서로 내외면을 한바퀴 지나가는 절단경로가 설정된다.
또한, 판재로서는 철강판재 외에 Al, Ti의 비철판재, 세라믹,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판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레이저절단기를 사용했지만 가스절단기, 아크절단기, 전자빔절단기, 워터제트절단기 등을 사용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판금절단 작도장치를 계산기원용설계시스템 및 제조지원시스템의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는 콘솔형 컴퓨터에 사용했지만, 계산기원용설계시스템만 또는 제조지원시스템만을 탑재하고 있는 콘솔형 컴퓨터에 사용할 수도 있음과 아울러, 콘솔형 컴퓨터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어떠한 컴퓨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보조변을 그자 형상으로 형성했지만, く자 형상 이라도 좋고, 환언하면 선택되는 2개의 홀수정점을 연결하는 것이라면 직선형상 혹은 만곡형상이라도 좋다. 또, 복합도형을 형성하는 내외변은 직선부분 뿐만 아니라 곡선부분이 라도 좋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NC정보가 플로피디스크를 매체로서 콘솔형 컴퓨터(10)로부터 수치제어기(30)로 이송되지만, 콘솔형 컴퓨터(10)로부터 수치제어기(30)에 통신으로서 이송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다. 이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 위반되는 일없이, 또 당업자로서 명료한 모든 그와 같은 변형, 변경은 청구의 범위에 함유되는 것이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복합도형에 있어서 4개이상의 짝수개의 홀수정점이 있는 경우에는, 이들 홀수정점 중에서 복합도형의 외형을 형성하는 홀수정점 사이를 연결하여 보조변을 형성하므로서 복합도형을 형성하는 내외변 및 보조변을 한바퀴 지나가는 절단경로가 설정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연속절단을 할 수 있어서 절단의 고속화가 도모된다. 특히, 판금절단 작도에 있어서의 계산기원용설계시스템 및/또는제조지원시스템으로의 적용에 바람직하다.

Claims (10)

  1. 판재상의 판 위치가 설정되어서 절단되는 다수개의 부재에 대응하는 각 도형을, 이들 도형이 서로 인접하는 도형의 변을 겹치도록 접합하여 형성되는 복합도형에 의거하여, 판재로부터 상기 다수개의 부재를 차례로 절단할 때에 절단경로를 설정하는 판금절단 작도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복합도형을 형성하는 내외변중 홀수개의 변으로 이루어지는 홀수정점이 4개 이상의 짝수로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b) 상기 홀수정점이 4개 이상 짝수로 존재할 경우, 이들 홀수정점중 상기 복합도형의 외형을 형성하는 홀수정점 사이를 연결하여 이들 홀수정점이 2개로 되도록 하는 보조변을 복합도형 외부에 형성하는 단계;
    (c) 2개로 된 홀수정점으로부터 절단개시점을 선택하는 단계;
    (d) 상기 선택된 절단개시점으로부터 상기 복합도형을 형성하는 내외변 및 보조변을 따라 1순하는 절단경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금절단 작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보조변은 직선상 및/또는 만곡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금절단 작도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판금절단 작도에 있어서의 계산기원용설계시스템 및/또는 제조지원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금절단 작도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판재는 철강판재, 비철판재 또는 비금속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금절단 작도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절단은 가스절단, 아크절단, 전자빔절단, 레이저절단 또는 워터제트절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금절단 작도방법.
  6. 판재상의 판 위치가 설정되어서 절단되는 다수개의 부재에 대응하는 각 도형을, 이들 도형의 인접하는 변을 겹쳐 접합하여 형성되는 복합도형에 의거하여, 판재로부터 상기 다수개의 부재를 차례로 절단할 때에 절단경로를 설정하는 판금절단 작도장치에 있어서:
    판재를 장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워크테이블, 상기 워크테이블 위를 Y축 구동모터에 의해 Y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캐리지, 및 상기 캐리지를 따라 X축 구동모터에 의해 X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레이저헤드를 구비한 레이저절단기: 및
    상기 레이저절단기의 상기 Y축 구동모터 및 X축 구동모터를 구동제어하는 수치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치제어기는,
    (a) 상기 복합도형을 형성하는 내외변중 홀수개의 변으로 이루어지는 홀수정점이 4개 이상 짝수로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
    (b) 상기 홀수정점이 4개 이상 짝수로 존재할 경우, 이들 홀수정점중 상기 복합도형의 외형을 형성하는 정점 사이를 연결하여 이들 홀수정점이 2개로 되도록 하는 보조변을 복합도형의 외부에 형성하는 보조변 형성수단:
    (c) 2개로 된 홀수정점중에서 절단개시점을 선택하는 절단개시점 선택수단;
    (d) 상기 선택된 절단개시점으로부터 상기 복합도형을 형성하는 내외변 및 보조변을 따라 1순하는 절단경로를 선택하는 절단경로 선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금절단 작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보조변은 직선형상 및/또는 만곡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금절단 작도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판금절단 작도에 있어서의 계산기원용설계시스템 및/또는 제조지원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금절단 작도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판재는 철강판재, 비철판재 또는 비금속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금절단 작도장치.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절단은 가스절단, 아크절단, 전자빔절단, 레이저절단 또는 워터제트절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금절단 작도장치.
KR1019960700162A 1993-07-30 1994-06-24 판금절단작도방법및그장치 KR100322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90508 1993-07-30
JP19050893A JP3293693B2 (ja) 1993-07-30 1993-07-30 板金切断作図装置
PCT/JP1994/001026 WO1995004315A1 (fr) 1993-07-30 1994-06-24 Procede et appareil permettant de tracer une figure servant de gabarit de decoupe de pla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4259A KR960704259A (ko) 1996-08-31
KR100322668B1 true KR100322668B1 (ko) 2002-06-22

Family

ID=16259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0162A KR100322668B1 (ko) 1993-07-30 1994-06-24 판금절단작도방법및그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01251A (ko)
JP (1) JP3293693B2 (ko)
KR (1) KR100322668B1 (ko)
DE (1) DE4495581T1 (ko)
WO (1) WO19950043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0499B1 (en) * 1999-10-29 2003-05-06 Demm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sign and fabrication of stamping dies for making precise die blanks
CH693786A5 (fr) * 2000-05-16 2004-02-13 Bobst Sa Dispositif de commande d'une machine de découpage d'ébauches dans un matériau en feuille.
KR20020043417A (ko) * 2000-12-04 2002-06-10 이용일 임의형상 판재 자동절단 장치
US7133734B2 (en) 2002-09-20 2006-11-07 Richard Backer Method for creating a sculpture
US7054708B1 (en) 2003-11-05 2006-05-30 Xyron, Inc. Sheet material cutting system and methods regarding same
US7845259B2 (en) 2005-07-14 2010-12-07 Provo Craft And Novelty, Inc. Electronic paper cutting apparatus
US7930958B2 (en) 2005-07-14 2011-04-26 Provo Craft And Novelty, Inc. Blade housing for electronic cutting apparatus
US20070012148A1 (en) 2005-07-14 2007-01-18 Robert Workman Electronic cutt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cutting
KR100797944B1 (ko) * 2006-08-28 2008-01-25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기판 패턴 입력 시스템 및 그 패턴 형성 방법과 이를기록한 기록매체
US20110280999A1 (en) 2009-12-23 2011-11-17 Provo Craft And Novelty, Inc. Foodstuff Crafting Apparatus, Components, Assembly, and Method for Utilizing the Same
WO2012136262A1 (en) 2011-04-07 2012-10-11 Tomologic Ab Method of,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machine cutting several parts of a piece of material using controlling rules and variables for cutti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6068A (en) * 1968-12-30 1971-07-27 California Computer Products System for optimizing material utilization
US3803960A (en) * 1972-12-11 1974-04-16 Gerber Garment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cutting pattern pieces from sheet material
US4469930A (en) * 1981-07-17 1984-09-04 Fuji Tool & Die Co., Ltd. Three-dimensional laser cutting system by a playback method
JPS60155342A (ja) * 1984-01-10 1985-08-15 Fanuc Ltd 領域加工方法
JPH0760334B2 (ja) * 1985-09-20 1995-06-28 松下電工株式会社 Nc加工機用部品加工camシステム
KR930003126B1 (ko) * 1989-04-20 1993-04-19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곡선정합에 있어서 형상을 표시하는 직선쇼트벡터의 접속상태를 판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5042339A (en) * 1990-08-21 1991-08-27 Gerber Garment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successive segments of sheet material with cut continuation
US5134911A (en) * 1991-04-05 1992-08-04 Gerber Garment Technology, Inc. Method for the interrupted cutting of a line in sheet material
US5214590A (en) * 1991-05-02 1993-05-25 Gerber Garment Technology, Inc. Method for splitting marker lines and related method for bite-by-bite cutting of sheet material
JPH0760337B2 (ja) * 1991-07-16 1995-06-28 特機システム株式会社 組立部品溶断装置及び組立部品溶断情報作成装置
DE4228528A1 (de) * 1991-08-29 1993-03-04 Okuma Machinery Works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etallblechverarbeitung
JP2643679B2 (ja) * 1991-09-02 1997-08-2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ーコードラベ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44601A (ja) 1995-02-14
KR960704259A (ko) 1996-08-31
US5701251A (en) 1997-12-23
WO1995004315A1 (fr) 1995-02-09
JP3293693B2 (ja) 2002-06-17
DE4495581T1 (de) 1996-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2668B1 (ko) 판금절단작도방법및그장치
CN100591490C (zh) 机器人程序设计装置
JP4847428B2 (ja) 加工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S6257852A (ja) 自動プログラミング装置
JP2014021759A (ja) コーナ複数曲線挿入部を有する数値制御装置
US4683543A (en) Time-based interpolation control of a robot
JP2001125613A (ja) 数値制御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H0367822B2 (ko)
US20090036280A1 (en) Movement control apparatus for machine tool
EP1580632B1 (en) Machining configuration drawing apparatus and machining configuration drawing method
CN111665788B (zh) 机床的数值控制系统
JPH09164483A (ja) 溶接経路の自動決定システム
JPH1133726A (ja) 溶接ロボットへの教示方法
JP2002116816A (ja)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10067101A (ja) 工具の干渉域設定方法
JPS63127853A (ja) 加工経路の算出方法
JPH06110534A (ja) 工作機械における位置制御方法
JPH0760337B2 (ja) 組立部品溶断装置及び組立部品溶断情報作成装置
JPS61256407A (ja) 数値制御装置
JP3343826B2 (ja) 数値制御情報作成装置
KR100299177B1 (ko) 아크용접로봇의위빙평면설정방법
JPH03174604A (ja) 数値制御情報作成装置
JPH07328894A (ja) 工作機械における段取り方法
JP2707992B2 (ja) 外形加工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外形加工データ生成方法
JP2677889B2 (ja) 数値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