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116B1 - 회전복열식예열기 - Google Patents

회전복열식예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116B1
KR100320116B1 KR1019980710713A KR19980710713A KR100320116B1 KR 100320116 B1 KR100320116 B1 KR 100320116B1 KR 1019980710713 A KR1019980710713 A KR 1019980710713A KR 19980710713 A KR19980710713 A KR 19980710713A KR 100320116 B1 KR100320116 B1 KR 100320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arriage
casing
sensor
pre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2291A (ko
Inventor
타덱 카시미르 브리지트와
베리 에드워드 캠벨
Original Assignee
아더 이. 포니어, 2세
알스톰 파워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더 이. 포니어, 2세, 알스톰 파워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더 이. 포니어, 2세
Publication of KR20000022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7/00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7/00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 F28F27/006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Suppl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Abstract

선형 스캔 과열점 검출 시스템(38)을 갖는 회전 복열식 공기 예열기(10)가 제공된다. 선형 스캔 과열점 검출 시스템(38)은 일반적으로 중앙부로 부터 회전자 (12)의 공동의 주변부까지 연장되는 선형 레일 조립체(44)를 갖는다. 레일 조립체 (44)는 적합하게는 선형 운동을 하도록 2개의 캐리지 어셈블리(54)를 지지한다. 공기 예열기(10)의 외벽상에 위치된 구동 메커니즘(58)은 캐리지(54)를 중앙부 및 회전자(14) 주변부 사이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한다. 각각의 캐리지 조립체(54)는 공기 예열기 회전자(14)상의 과열점을 검출하기 위한 단일의 적외선 센서 조립체 헤드(66)를 지지한다. 2개의 캐리지(54)의 선형 왕복 운동은 회전하는 공기 예열기 회전자(14)를 위해 완전한 검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 복열식 예열기
회전 복열식 공기 예열기는 도관 가스를 배출하는 노(furnace)로부터 연소 공기 도입부까지 열을 전달시키는뎨 통상 사용되어 왔다. 대부분의 경우 상온 시동(cold start-up)중 또는 고온 대기(hot standby) 후의 시동 중에 상기와 같은 공기 예열기 내에서 화염이 발생한다. 상기 화염은 도관 가스 내의 미연소 또는 부분 연소 연료가 공기 예열기 요소 상에 응축 및 적층되는 연료의 불완전 연소에 의해 발생한다. 공기 예열기로 들어가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적층물은 구워지게 되어 경질의 니스형 물질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워지게 되는 것은 205 내지 260℃(400 내지 500°F)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적층물은 온도가 315 내지 370℃(600 내지 700°F) 범위로 증가하면 점화될 수 있다.
통상, 점화는 적층물의 작은 영역에서 시작되기 때문에 장치 작업자가 화염이 발생되었다는 것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점화 초기 상태 중에는, 외부 효과가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적층물은 통상 가스 또는 공기의 유동을 제한하기 때문에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과다 열이 거의 운반되어 소멸되지 않는다. 게다가, 유체 하류의 혼합은 외부 효과를 최소화하고 화염의 존재를 감춰주게 된다. 또한, 발생된 열은 화염의 위치에 있는 금속 열전달 요소에 의해 흡수된다. 실제적인 온도 상승은 비교적 천천히 발생될 수 있다. 과열점이 초기에 검출된다면, 공기 예열기 요소를 점화 온도 이하로 억제시키기 위해 필요한 물의 양은 많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초기에 검출하지 못한다면, 공기 예열기 요소의 표면은 금속 자체가 점화될 수 있는 포인트까지 온도가 계속 증가하게 된다. 이는 대략 705℃(1300°F) 에서 발생될 수 있으며, 온도는 몇분 내에 1650℃(3000°F) 또는 그 이상으로 급격하게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의 화염은 자체적으로 유지되며 온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게 된다.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물이 아닌 소화제(fire extinguisher)는 충분한 냉각 효과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는 비효과적이다.
화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과열 상태(과열점)을 검출하고 경보를 울려주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왔다. 상기 검출 시스템은 적합하게는 배경 온도의 작은 변화에 대한 빠른 응답 시간과 민감도 때문에 적외선 검출기 또는 센서를 사용한다. 적외선 시스템의 민감도는 조절 가능하지만 도관 가스 입구 온도 이상 인 95 내지 150℃(200 내지 300°F)에서 과열점이 검출되면 경보가 울리기 시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공기 예열기 회전자에서의 "과열점"을 검출하기 위한 고정형 센서 또는 검출기가 구비된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그 일례가 위손 등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 3,730,259호에 개시되어 있다. 적외선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36)는 반사기(38)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기(38)는 회전식 열교환기의 단부에 근접한 도관(28) 내에 위치되며, 그로부터 발산하는 적외선을 열교환기의 본체부 내로 반사시키기 위해 검출기(36)와 정렬된다. 열교환기의 본체부 내의 "과열점"은 검출된 적외선을 반사기(38)를 통해 검출기(36)로 반사한다.
"과열점"과 같은 온도 관련 상태가 검출되는 높은 온도 환경과 관련하여 가동성 센서 또는 검출기가 구비된 다른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특허공보 JP-A-62 030 914호에서는 높은 온도 환경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기 위하여 레일 상에 장착된 검사 캐리지(8)가 개시되어 있다. 온도 센서(23)와 다른 센서들은 높은 온도 환경의 외부에서 컴퓨터 및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는 캐리지(8)상에 제공된다.
일본 특허공보 JP-A-02 170 025호에서는 공기 예열기(1)와 통신하는 도관(6)에 신축적으로 삽입 및 배출 가능한 파이프(24)가 개시되어 있다. 적외선 검출기 (25)는 파이프(24) 내에 수용되어, 적외선 검출기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관 (6) 내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케이블(36)은 적외선 검출기로부터 파이프 (24)의 장치 외부로 온도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적외선 검출기로부터 연장된다.
현재의 과열점 검출 시스템은 공기 예열기 회전자 상의 과열점을 측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다수의 적외선 센서를 갖는다. 상기 센서는 전체 예열기 회전자에 걸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센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센서 구동 조립체에 장착된다. 센서 구동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공기 예열기 중앙부로부터 주변부까지 연장된다. 통상 2개 내지 4개의 균일하게 이격된 다수의 스윙 아암은 구동 조립체로 부터 연장된다. 적외선 센서는 과열점을 감지하기 위해 각각의 스윙 아암에 장착된다. 필요한 수의 스윙 아암 및 센서는 일반적으로 직접적으로는 예열기의 크기와 관련하여 변화한다. 각각의 스윙 아암은 회전자 반경을 완전히 커버하기 위해서 대략 180°의 원호형 경로로 각각의 센서를 이동시킨다. 센서 및 센서 구동 조립체 구성 요소는, 공기 예열기의 냉각 단부 중앙부의 측면을 통해 통상 장착되는 센서 구동 조립체의 포트 및 구동 모터를 포함한다.
필요한 구동 메커니즘, 레버, 연동 장치 및, 센서 구동 조립체의 스윙 아암은 공기 예열기 내부의 상당히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 종래의 센서 구동 조립체에 필요한 공간은 통상 공기 도관을 고정하는 파이프와 같은 다양한 구조 부재와 간섭할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은 공기 예열기 요소에 대해 센서의 최적의 간격을 보다 작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한다. 센서와 가열 요소의 가장 근접된 거리는 구동 메커니즘이 장착되는 중앙부의 높이에 따라 대략 762mm 내지 1016mm(30 내지 40 인치)가 된다.
또한, 구동 모터, 호스 및, 센서를 지지하고 구동시키는 포트는 예열기의 중앙부에 위치된다. 중앙부에서 상기 구성 요소들의 위치는 센서 구동 조립체 및 센서 헤드가 작동될 때 협소한 작업 조건 및 곤란을 초래한다.
현재의 과열점 검출 시스템은 몇몇의 작동 상의 단점을 나타낸다. 센서의 광범위한 원호형 궤도는 회전자 표면을 가로지르는 불필요한 운동을 발생시킨다. 게다가, 필요한 구동 장치, 연동 장치 및, 회전자 전체를 커버하기 위한 센서를 이동시키는 스윙 아암은 현재의 과열점 검출 시스템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8 항의 특징을 갖는 회전 복열식 예열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형 스캔 과열점 검출 시스템을 사용하는 공기 예열기의 개략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선형 과열점 검출 시스템을 부분적으로 가상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선형 과열점 검출 시스템의 3-3 선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선형 과열점 검출 시스템의 4-4 선을 따라 취하여 부분 가상선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2의 선형 과열점 검출 시스템의 5-5 선을 따라 취하여 부분 가상선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의 캐리지, 검출기 및, 레일의 6-6 선을 따라 취하여 부분 가상선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 측면도.
도 7은 도 5의 구동 스프로켓 조립체의 7-7 선을 따라 취한 확대 부분 단면도.
도 8은 도 2의 레일 시스템의 내부 단부를 확대한 부분 확대 평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캐리지 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간단한 구조의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중앙부와 주변부를 갖는 내부 케이싱 체적및 외부면을 한정하는 케이싱과; 도관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공기 스트림까지 열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자 수단과; 상기 케이싱 체적의 중앙부와 주변부 사이로 연장되는 선형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 수단과; 상기 회전자 수단 상의 과열점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수단과; 상기 센서 수단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캐리지 수단과; 상기 케이싱 체적의 중앙부와 주변부 사이의 상기 레일 수단 상에서 상기 캐리지 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캐리지 수단에 연결된 구동수단과;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센서 수단에 연결되는 케이블 수단과; 상기 캐리지 수단에 연결되는 한 단부를 갖는 가요성 부분을 포함하는 케이블 하우징 수단과; 상기 케이싱 체적의 중앙부와 주변부의 중간인 중간 위치에서 상기 케이블 하우징 수단을 지지하는 수단 및; 상기 케이싱 체적의 중앙부와 주변부 사이 및 상기 중앙부와 주변부로 연장되는 상기 레일 수단을 따라 상기 캐리지 수단을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수단은 상기 케이싱의 외부면으로부터 상기 케이블 하우징 수단을 통해 상기 캐리지 수단에 수용된 상기 센서 수단으로 연장되며, 상기 케이블 하우징 수단의 상기 가요성 부분은 상기 캐리지 수단과 상기 중간 위치 사이의 상기 케이블 하우징 수단의 범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상기 중간 위치에서 상기 캐리지 수단과 상기 케이블 하우징 지지 수단 사이의 간격이 변동할 때의 운동을 수용하도록 탄력적으로 이동하며, 이에 의해 상기 캐리지 수단은 상기 레일 수단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레일 수단의 한 측부로부터 다른 측부로 상기 중간 위치에 대하여 이동하는 회전 복열식 예열기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된다.
간단히 서술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스캔 과열점 검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중앙부로부터 회전자 공동의 주변부까지 연장되는 선형 레일 조립체를 갖는다. 레일 조립체는 적합하게는 선형 운동을 하도록 2개의 캐리지 조립체를 지지한다. 공기 예열기의 외벽 상부에 위치된 구동 메커니즘은 캐리지를 회전자의 공동의 중앙부와 주변부 사이로 왕복 운동시킨다. 각각의 캐리지 조립체는 공기 예열기 회전자 상의 과열점을 검출하기 위해 단일의 적외선 센서 조립체 헤드를 지지한다. 2개의 캐리지의 선형 왕복 운동은 회전하는 공기 예열기 회전자에 대해 완전한 검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스캔 과열점 검출 시스템은 최대 크기의 예열기의 완전한 스캐닝 검출을 위해 단지 2개의 센서 조립체를 필요로 한다. 레일 조립체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필요로 하는 부가적인 또는 다른 센서 조립체 또는 구동 요소가 없어도 상이한 크기의 예열기에 검출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과열점 검출 시스템은 필요한 기계 부품들을 간단하게 해주기 때문에 제조 원가가 감소되며 검출 시스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구동 모터, 리듀서(reducer), 급수용 포트, 공기와 전기 연결부 및, 다른 구성 요소들은 공기 예열기의 케이싱의 외부에 위치된다. 구성 요소의 외부 위치는 향상되고 안전한 작업 환경에서 공기 예열기 외부에서 모든 유지 보수 작업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선형 과열점 검출 시스템의 정비 및 보수가 간단해진다.
부가적인 발전으로써, 스캐닝 헤드는 구동조립체의 낮은 프로파일로 인하여 향상된 과열점 검출을 위해 공기 예열기 요소에 보다 근접하게 위치된다. 레일 조립체 및 구동 메커니즘은 일반적으로 케이싱 내에서 수평 방위를 갖게 때문에 과열점 검출 시스템의 높이가 감소된다. 구동 조립체와 같이 수직으로 방향이 설정된 구성 요소는 케이싱의 외부에 위치된다.
작동면에 있어서는, 과열점 검출 시스템의 상호 선형 운동이 종래 과열점 검출 시스템과 비교하여 회전자 표면을 가로지르는 스캐닝 헤드의 적합하지 않은 운동을 감소시켜 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과열점 검출 시스템을 갖는 과열점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덜 복잡하며 보다 신뢰할 수 있는 과열점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 예열기의 외부로부터 보수될 수 있는 과열기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향상된 과열점 검출을 위해 공기 예열기 요소에 근접되게 위치될 수 있는 과열점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과열점 검출을 실행하기 위해 감소된 개수의 스캐닝 헤드가 필요한 과열점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른 직경을 갖는 공기 예열기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과열점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술된 목적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회전 복열식 공기 예열기는 도면부호 10으로 도시한다. 예열기(10)는 내부 케이싱 체적(13) 및 외부면(21)을 한정하는 원통형 하우징 또는 케이싱(12)을 갖는다. 케이싱(1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자(14)는 열을 전달하기 위한 종래의 열교환 요소를 갖는다(도 1 참조). 회전자(14)는 상기 회전자(1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축(18)을 또한 갖는다. 축(18)은 고온 단부 중앙부(31) 및 저온 단부 중앙부(33)를 통해 연장된다.
케이싱(12)은 도관 가스 입구관(20), 도관 가스 출구관(22), 공기 입구관 (24) 및, 공기 출구관(26)을 또한 한정한다. 버팀대(50)는 케이싱(12)의 구조적 지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입구관 및 출구관(20, 22, 24, 26)을 가로질러 위치된다(도 2 참조). 회전자(14)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근접된 케이싱(12)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섹터 프렐이트(28, 30)는 예열기(10)를 공기측(11) 및 도관 가스측 (15)으로 분할한다. 도 1의 화살표는 예열기(10)를 통하는 공기 및 도관 가스의 유동 방향을 나타낸다. 도관 가스 입구관(20)을 통해 유입되는 고온의 도관 가스는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자(14)와 같은 공기 예열기 요소에 열을 전달한다. 다음, 가열된 공기 예열기 요소는 열이 공기 입구관(24)으로 유입되는 연소 공기 스트림으로 전달되는 예열기(10)의 공기측(11)에서 회전된다.
선형 스캔 과열점 검출 시스템(38)은 공기 입구관(24)에서 케이싱(12) 내에 위치된다(도 1 참조). 선형 스캔 과열점 검출 시스템(38)은 적합하게는 공기 예열기 회전자(14) 상의 과열점 검출을 위해 공기 입구관(24)에서 회전자(14) 하부에 위치된다. 검출 시스템(38)은 일반적으로 케이싱의 중앙과 케이싱(12)의 주변부사이로 연장된다. 선형 스캔 과열점 검출 시스템(38)은 공기 입구관(24)에서 케이싱(12)을 가로질러 일반적으로 수평 및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 레일 조립체 (44)를 갖는다. 레일 조립체(44)의 내부 단부(46)는 일반적으로 케이싱의 중앙부 에 인접하여 케이싱(12)에 장착된다(도 2 참조). 레일 조립체(44)의 외부 단부 (48)는 케이싱 주변부에서 케이싱(12)에 부착된다. 검출 시스템(38)은 과열점 검출을 위해서 상기 입구관 또는 출구관(20,22, 24, 26)들 중 어느 것에도 위치될 수 있다.
레일 조립체(44)는 한 쌍의 캐리지(54)를 지지하기 위해 한 쌍의 평행하게 이격된 선형 레일(52)을 갖는다(도 3 및 6 참조). 레일(52)은 케이싱(12)에 장착되며 예열기의 중앙부 근방에 장착된다. 레일(52)은 상기 레일(52) 및 버팀대(50)에 고정된 브래킷(49)에 의해 부가로 지지될 수 있다. 각각의 레일(52)은 일반적으로 단면이 I-형상이다. 각각의 레일(52) 상의 상부 플랜지(39) 및 하부 플랜지 (40)는 외부 레일 개구(53) 및 내부 레일 개구(55)를 한정한다. 하나의 캐리지 (54)는 각각의 레일(52)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캐리지(54)는 레일 개구(53, 55)의 전방 및 상부 플랜지(39) 상부로 연장되는 U-형상의 캐리지 프레임(36)을 갖는다. 캐리지 프레임(3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플랜지된 캐리지 휠 (41)은 레일(52)의 레일 개구(53, 55) 내측에서 하부 플랜지(4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롤러(45)는 원활한 선형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레일(52)상에 캐리지 프레임(36)을 유지하기 위해 각각의 하부 플랜지(40)의 하부 표면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각각의 캐리지 프레임(3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레일(52)은 세로축(A)및 일반적으로 세로축(A)과 직각인 가로축(B)을 한정한다. 과열점 검출 시스템(38)은 일반적으로 세로축(A)을 가로질러 대칭이다.
구동 조립체(58)는 캐리지(54)를 선형 왕복 운동에 대향되게 레일(52)을 따라 이동시킨다. 구동 조립체(58)는 각각의 레일의 레일 개구(55) 내측을 따라 연장되는 단일의 체인(57)을 가지며, 나사 가공된 조절 가능한 체인 장착부(42)에 의해 각각의 캐리지 프레임(36)에 부착된다(도 6 참조). 와이어 케이블 또는 로프 (56)는 각각의 레일의 내측 레일 개구(55)를 따라 연장되며, 나사 가공된 조절 가능한 로프 장착부(37)에 의해 각각의 캐리지에 부착된다(도 6 참조). 체인(57), 와이어 로프(56) 및, 캐리지(54)는 따라서 연속적인 루프를 형성한다. 구동시에는, 단일의 체인(57)은 세로축(A)을 따라 대향되는 방향으로 레일 조립체(44) 상에서 양 캐리지(54)를 동시에 이동시킨다. 한 쌍의 풀리 휠(59)은 하나의 레일(52)의 내측 레일 개구(53)로 터 다른 레일(52)의 내측 레일 개구(53)까지 와이어 로프 (56)를 안내하기 위해 레일 조립체(44)의 내부 단부(46)에서 풀리 장착부(5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도 8 참조).
레일 조립체(44)의 외부 단부(48)에서, 체인(57)은 케이싱(12)을 통과하며 케이싱(12)으로 재진입하기 전에 케이싱(12)의 외부면(21)에 장착된 구동 조립체 (58)를 통과한다. 구동 조립체(58)는 체인(57)을 레일(52)의 내측 레일 개구(53) 내로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중간 스프로켓(idler sprocket)(61)을 갖는다. 중간 스프로켓은 케이싱(12) 및 레일 조립체(48)의 외부 단부(48)에 고정된 스프로켓 장착부(47)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도 7 참조). 와이어 로프(56)상의 턴버클(turnbuckle)(37)은 와이어 로프(56) 및 체인(57)의 충분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조절되기 때문에 체인(57) 및 와이어 로프(57)가 레일(52)의 플랜지 (39, 40) 상에서 마찰되고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6 참조).
회전 가능한 구동 스프로켓(63)은 체인(57)에 결합되어 체인(57) 및 캐리지 (54)를 레일 조립체(44) 상에서 이동시킨다. 이중 감소 리듀서(62)를 통해 작동하는 역회전 가능한 모터(60)는 교번적인 회전 운동으로 구동축(65)을 경유하여 구동 스프로켓(63)을 구동시킨다. 따라서 캐리지(54)는 대향된 선형 방향으로 이동되며, 하나의 캐리지(54)가 레일 조립체(44)의 내부 단부(46)에 있을 때, 다른 캐리지(54)는 레일 조립체(44)의 외부 단부(48)에 있게 된다. 구동 스프로켓(63)은 케이싱(12)의 외부에 장착된 구동 하우징(69) 내에 위치된다. 구동축(65)은 구동 스프로켓(63)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 하우징을 통해 연장된다. 4개의 캠 제한 스위치(64)는 캐리지(54)의 연속되는 대향된 선형 상호 운동이 발생하도록 모터(60)의 역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캐리지 위치에 기초하여 수동으로 설정된다(도 5 참조).
작동시, 모터(60)에 의한 구동 스프로켓(63)의 회전이 체인(57)의 한 단부를 인장시키기 때문에 캐리지(54) 중 하나를 레일 조립체(44)의 외부 단부(48)를 향해 끌어당기게 된다. 체인(57)의 인장력이 캐리지(54)를 통해 와이어 로프(56)로 전달되면, 풀리(59)가 회전하고 다른 캐리지(54)를 레일 조립체(44)의 내부 단부(46)를 향해 끌어당기게 된다. 구동 스프로켓(63)의 역회전은 체인의 다른 단부를 인장시키기 때문에 다른 캐리지(54)를 외부 단부(48)를 향해 그리고 제 1 캐리지(54)를 레일 조립체(44)의 내부 단부(46)를 향해 끌어당기게 된다.
각각의 캐리지(54)에는 센서 조립체(66)가 부착된다. 센서 조립체(66)는 적합하게는 공기 예열기 회전자(14) 상의 과열점을 검출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를 사용한다. 센서 조립체(66)는 회전자(14) 상의 열 차이를 검출하기 위해 열전쌍, 다양한 서미스터 및, 자외선 검출기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각각의 센서 조립체(66)는 적합하게는 각각의 레일(52) 상부의 중앙 및, 레일(52) 상에서 센서 조립체(66) 및 캐리지(54)의 향상된 균형있는 운동을 위해 각각의 캐리지 프레임(36)상에 위치된다.
한 세트의 물, 공기 및, 전기 케이블(67)은 각각의 센서 조립체(66)에 제공되어 센서 조립체(66)로부터 센서 디스플레이(도시 않음)로 신호를 전송한다. 각 세트의 케이블(67)은 케이싱(12) 내의 케이블 포트(68)를 통해 공기 예열기(10)로 들어간다. 한 세트의 공기, 물 및, 전기 케이블(67)은 레일 조립체(44) 하부에 위치된 각형성된 강성의 케이블 하우징(70)을 통해 연장된다. 강성의 케이블 하우징 (70)은 레일 조립체(44) 길이의 대략 절반이며 레일 조립체(44)의 중앙에 고정된 케이블 장착부(75)에서 종료된다. 다음 각각의 세트의 케이블(67)은 한 단부는 케이블 장착부(75)에 장착되고 다른 단부는 캐리지(54) 중 하나에 장착된 분리된 가요성 분할 케이블 하우징(72)을 통해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가요성 케이블 하우징(72)은 캐리지(54)가 레일 조립체(44)를 따라 이동할 때 레일(52) 사이에서 이동되는 U-형상의 통로를 형성한다. 레일(52) 사이에 장착되는 각각의 레일(52)의 하부 플랜지(40)로부터의 U-형상의 케이블 트레이(73)는 가요성 케이블 하우징(72)을 수직으로 지지한다. 케이블 트레이(73)는 캐리지(54)가 레일(52)을 따라 이동할때 레일(52)에 대해 가요성 케이블 하우징(72)을 평행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종방향 케이블 안내부(73)를 갖는다(도 3 참조).
접근 포트(74)는 각각의 캐리지(54) 및 센서 조립체(66)까지 접근하여 정비 및 보수하기 위하여 케이싱(12) 내에 형성된다. 각각의 접근 포트(74)는 일반적으로 캐리지(54) 중 하나의 이동 통로와 일렬로 위치된다. 포트 커버(80)는 예열기 (10)의 작동 중에 케이싱(12)을 밀봉하기 위해 각각의 접근 포트(74)와 밀봉 방식으로 결합한다. 플랜지(76)는 각각의 캐리지(54)가 레일 조립체(44)의 외부 단부 (48)에서 운동이 제한될 때 각각의 접근 포트(74)의 내부측 상에서 개스킷(78)을 밀봉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해 각각의 캐리지(54)로부터 연장된다. 캐리지(54)의 운동이 제한될 때, 캐리지(54) 상의 센서(66)는 접근 포트(74) 내로 연장된다. 다음, 포트 커버(80)는 센서 정비 및 보수를 위해 제거될 수 있다.
작동시, 선형 과열점 검출 시스템(38)의 대향된 선형 상호 운동은 회전자 (14)의 회전 운동과 결합하여 공기 예열기 회전자(14)의 완전한 스캐닝 과열점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검출 시스템(38)의 하부 프로파일은 시스템(38)이 회전자 (14)로부터 대략 533.4mm(21 인치)로 최적으로 위치되게 하여 향상된 과열점 검출을 위한 공기 입구관(24)을 지지하는 버팀대(50) 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가 상술되었지만,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상술된 실시예를 변형시킨 많은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은 명확하다. 따라서 후술되는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정신과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본 발명에 대한 모든 변경과 개량을 제한한다.

Claims (7)

  1. 중앙부와 주변부를 갖는 내부 케이싱 체적(13) 및 외부면(21)을 한정하는 케이싱(12)과,
    도관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공기 스트림까지 열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 (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자 수단(14)과,
    상기 케이싱 체적(13)의 중앙부와 주변부 사이로 연장되는 선형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 수단(52)과,
    상기 회전자 수단(14) 상의 과열점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수단(66)과,
    상기 센서 수단(66)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캐리지 수단(54)과,
    상기 케이싱 체적(13)의 중앙부와 주변부 사이의 상기 레일 수단(52) 상에서 상기 캐리지 수단(54)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캐리지 수단(54)에 연결된 구동 수단(58)과,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센서 수단(66)에 연결되는 케이블 수단(67)과,
    상기 캐리지 수단(54)에 연결되는 한 단부를 갖는 가요성 부분(72)을 포함하는 케이블 하우징 수단과,
    상기 케이싱 체적(13)의 중앙부와 주변부의 중간인 중간 위치에서 상기 케이블 하우징 수단을 지지하는 수단(75) 및,
    상기 케이싱 체적(13)의 중앙부와 주변부 사이 및 상기 중앙부와 주변부로 연장되는 상기 레일 수단(52)을 따라 상기 캐리지 수단(54)을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수단(58)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수단(67)은 상기 케이싱(12)의 외부면으로부터 상기 케이블 하우징 수단을 통해 상기 캐리지 수단(54)에 수용된 상기 센서 수단(66)으로 연장되며,
    상기 케이블 하우징 수단의 상기 가요성 부분(72)은 상기 캐리지 수단(54)과 상기 중간 위치 사이의 상기 케이블 하우징 수단의 범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상기 중간 위치에서 상기 캐리지 수단(54)과 상기 케이블 하우징 지지 수단(75) 사이의 간격이 변동할 때의 운동을 수용하도록 탄력적으로 이동하며, 이에 의해 상기 캐리지 수단(54)은 상기 레일 수단(52)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레일 수단의 한측부로부터 다른 측부로로 상기 중간 위치에 대하여 이동하는 회전 복열식 예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58)은 스프로켓 구동 조립체(61) 및, 상기 캐리지 수단(54)에 고정되며 상기 스프로켓 구동 조립체(61)에 결합되는 체인(57)을 포함하는 회전 복열식 예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와 상기 주변부 사이의 상기 레일 수단(52) 상에서 상기 캐리지 수단(54)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 수단(58)에 연결되는 체인(57)을 또한 포함하는 회전 복열식 예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및 상기 캐리지 수단은 연속적인 루프를 형성하며, 상기 구동 수단(58)은 상기 체인(57)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외부면에 장착된 스프로켓 구동 조립체(61)를 또한 포함하는 회전 복열식 예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수단(66)은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회전 복열식 예열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레일은 레일 개구(53, 55)를 한정하는 I-형상 단면을 가지며, 상기 캐리지 수단(54)은 상기 개구(53, 55) 내에 위치되며 상기 레일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휠(41)을 포함하는 회전 복열식 예열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하우징 수단은 강성의 하우징 부분(70)을 또한 포함하는 회전 복열식 예열기.
KR1019980710713A 1996-07-01 1997-06-23 회전복열식예열기 KR100320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674,361 1996-07-01
US08/674,361 US5791400A (en) 1996-07-01 1996-07-01 Linear scan hot spot detection system
US08/674,361 1996-07-01
PCT/US1997/010876 WO1998000680A1 (en) 1996-07-01 1997-06-23 Linear scan hot spot detec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291A KR20000022291A (ko) 2000-04-25
KR100320116B1 true KR100320116B1 (ko) 2002-04-22

Family

ID=24706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713A KR100320116B1 (ko) 1996-07-01 1997-06-23 회전복열식예열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791400A (ko)
EP (1) EP0909370B1 (ko)
JP (1) JPH11514080A (ko)
KR (1) KR100320116B1 (ko)
AU (1) AU722667B2 (ko)
BR (1) BR9710863A (ko)
CA (1) CA2260193A1 (ko)
DE (1) DE69701361T2 (ko)
ES (1) ES2145617T3 (ko)
ID (1) ID18888A (ko)
TW (1) TW347461B (ko)
WO (1) WO1998000680A1 (ko)
ZA (1) ZA97581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789B1 (ko) 2019-09-30 2020-02-10 (주)나노통신기술 높이 가변형 조립식 카메라 폴 전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2260B1 (en) * 2001-01-30 2003-02-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rtable panel position detector
US6811154B2 (en) * 2003-02-08 2004-11-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oncontacting finger seal
US8973649B2 (en) * 2008-12-23 2015-03-10 Tai-Her Yang Heat exchange apparatus with a rotating disk and automatic control of heat exchange between two fluid streams by modulation of disk rotating speed and/or flow rate
CN105300527A (zh) * 2015-10-10 2016-02-03 赵佑民 回转式空气预热器转子的热点检测装置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4900A (en) * 1961-05-29 1964-08-18 Combustion Eng Retractable cleaner for rotary regenerative heat exchanger
US3730259A (en) * 1972-03-02 1973-05-01 Air Preheater Hot-spot detector for heat exchanger
DE2514173C3 (de) * 1975-04-01 1980-03-20 Kraftanlagen Ag, 6900 Heidelberg Vorrichtung zur Reinigung der wärmetauschenden Flächen der Speichermassen von umlaufenden Regenerativ-Wärmetauschern
US4022270A (en) * 1976-02-17 1977-05-10 The Air Preheater Company, Inc. Fire detector scanning arrangement
SU625122A1 (ru) * 1977-03-18 1978-09-25 Всесоюзный Дважды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Теплотехниче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 Ф.Э.Дзержин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регенеративных вращающихс воздухоподогревателей
JPS601522B2 (ja) * 1977-06-09 1985-01-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自動作業装置
US4192372A (en) * 1978-08-03 1980-03-11 The Air Preheater Company, Inc. Adjustable lever for fire detection system
US4383572A (en) * 1981-12-07 1983-05-17 The Air Preheater Company, Inc. Fire detection cleaning arrangement
US4515747A (en) * 1982-09-27 1985-05-07 Combustion Engineering, Inc. Remotely operated maintenance and inspection equipment transporter
EP0108549B1 (en) * 1982-10-29 1988-01-07 Kabushiki Kaisha Toshiba Control system of multi-joint arm robot apparatus
JPS6042631A (ja) * 1983-08-19 1985-03-06 Mitsubishi Electric Corp 水漏れ監視装置
JPS6230914A (ja) * 1985-08-02 1987-02-09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式点検装置
JPH02170025A (ja) * 1988-12-23 1990-06-29 Mitsubishi Heavy Ind Ltd 温度監視装置
US4971140A (en) * 1989-12-22 1990-11-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Process and equipment for the maintenance of the secondary section of a heat exchanger
JP2814125B2 (ja) * 1990-02-16 1998-10-22 エービービー株式会社 過熱点検出装置付き回転再生式熱交換装置
WO1992004589A1 (de) * 1990-08-31 1992-03-19 Emil Bader Waschvorrichtung für querstrom-plattenwärmeaustausch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789B1 (ko) 2019-09-30 2020-02-10 (주)나노통신기술 높이 가변형 조립식 카메라 폴 전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00680A1 (en) 1998-01-08
ES2145617T3 (es) 2000-07-01
AU3575997A (en) 1998-01-21
CA2260193A1 (en) 1998-01-08
DE69701361D1 (de) 2000-04-06
EP0909370B1 (en) 2000-03-01
ZA975815B (en) 1998-01-30
KR20000022291A (ko) 2000-04-25
ID18888A (id) 1998-05-20
BR9710863A (pt) 1999-08-17
TW347461B (en) 1998-12-11
DE69701361T2 (de) 2000-09-21
JPH11514080A (ja) 1999-11-30
US5791400A (en) 1998-08-11
EP0909370A1 (en) 1999-04-21
AU722667B2 (en) 200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45021B1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a heat detector on a heat exchanger
US20060260652A1 (en) Apparatus for cleaning heat exchanging surfaces, assembly having a heat installation and an apparatus for cleaning heat exchanging surfaces of the heat installation and method for carrying out relative movement between a supply line and a heating installation
CA2753276C (en) Retractable articulating robotic sootblower
KR100320116B1 (ko) 회전복열식예열기
KR100214176B1 (ko) 관식가열로의 연소제어방법 및 관식가열로
CA2773612C (en) System and method for non-contact sensing to minimize leakage between process streams in an air preheater
US4402790A (en) Coke oven flue temperature measuring process and probe machine
US4383572A (en) Fire detection cleaning arrangement
US6035811A (en) Water lance blower positioning system
US6073641A (en) Drive system for a water lance blower with a housing for blocking and flushing medium and a method for its operation
US6101985A (en) Water lance blower with shortened water lance
CN105300527A (zh) 回转式空气预热器转子的热点检测装置及其方法
JPS6115097A (ja) 蓄熱式熱交換器用洗浄装置
AU780381B2 (en) A feeding device for a fluid to a combustion chamber
US6925969B1 (en) Boiler wall box cooling system
CN218723911U (zh) 空气预热器的漏风间隙测量设备
CZ9804361A3 (cs) Lineární snímací systém pro detekci horkých míst
KR102075649B1 (ko) 육불화우라늄 기화 시스템
JP2814125B2 (ja) 過熱点検出装置付き回転再生式熱交換装置
CN1224494A (zh) 线形扫描热点探测系统
JPH02170025A (ja) 温度監視装置
CN114216118A (zh) 一种对冲锅炉水冷壁防止高温腐蚀保护装置及使用方法
US4451120A (en) Chimney obstruction detection apparatus
CN116659270A (zh) 一种传热效率高的热管式余热回收器及其使用方法
JPH0712886Y2 (ja) 熱間圧延機における光学式板幅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