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8958B1 - 전화기의위급상황연락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의위급상황연락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8958B1
KR100318958B1 KR1019970061223A KR19970061223A KR100318958B1 KR 100318958 B1 KR100318958 B1 KR 100318958B1 KR 1019970061223 A KR1019970061223 A KR 1019970061223A KR 19970061223 A KR19970061223 A KR 19970061223A KR 100318958 B1 KR100318958 B1 KR 100318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ontact
handset
telephone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1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749A (ko
Inventor
오태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1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8958B1/ko
Priority to US09/196,060 priority patent/US6173169B1/en
Publication of KR19990040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04M1/724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with manual activation of emergency-service fun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16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with means for out-of-range ale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04M1/7242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with automatic activation of emergency service functions, e.g. upon sensing an 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대기상태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는 핸드셋과, 상기 핸드셋과 접속되는 소정의 충전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한 무선전화기에서 상기 고정장치가 미리 정한 연락처로 위급상황을 알리는 장치에 있어서, 충전단자로부터의 이탈여부를 감지하는 이탈감지부와, 위급상황모드의 설정 혹은 해제 명령 및 연락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수단과, 연락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위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음성메시지를 발생하는 음성안내부와, 상기 음성메시지를 전화선을 통해 송출하기 위한 국선접속부와, 설정 명령에 응답하여 위급상황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위급상황모드가 설정되면 스피커를 뮤트시키고 강제로 후크 오프 상태를 설정한 다음,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연락처 전화번호를 읽어 다이얼링한 후 통화로가 형성되면 상기 음성안내부로 하여금 음성메시지를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화기에 있어서 위급한 상황을 외부의 기관에 연락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취침 중에 강도가 들어 왔다거나 화재가 발생하는 등과 같은 위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일부 가정에서는 특정 위치에 있는 버튼을 눌러 유선으로 연결된 경찰서나 소방서의 벨이 울리도록 함으로써 위급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위급한 상황에서 이렇게 특정 위치의 버튼을 찾아 누른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강도 칩입시에는 그러한 행동을 한다는 것이 더 위험한 일이 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가정에서는 보안전문업체에 의존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가정에 보안 감지 장치를 갖추고 위급상황 발생이 자동으로 감지된 경우 비상벨이 울리면서 보안전문업체의 시스템에 비상 점등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그 등록 및 유지 보수 비용은 물론이고 가정에 설치할 고가 장비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이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기를 이용하여 위급한 상황을 외부의 기관에 연락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기상태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는 핸드셋과, 상기 핸드셋과 접속되는 소정의 충전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한 무선전화기에서 상기 고정장치가 미리 정한 연락처로 위급상황을 알리는 장치에 있어서. 충전단자로부터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이탈감지부와, 위급상황모드의 설정 혹은 해제 명령 및 연락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수단과, 연락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위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음성메시지를 발생하는 음성안내부와, 상기 음성메시지를 전화선을 통해 송출하기 위한 국선접속부와, 설정 명령에 응답하여 위급상황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위급상황모그가 설정되면 스피커를 뮤트시키고 강제로 후크 오프 상태를 설정한 다음,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연락처 전화번호를 읽어 다이얼링한 후 통화로가형성되면 상기 음성안내부로 하여금 음성메시지를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화기 고정장치(base unit)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기의 위급상황 연락을 가능하게 하는 연락처 등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기의 위급상황 연락을 가능하게 하는 위급상황 모드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기의 위급상황 연락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화기 고정장치(base unit)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어부(11)는 고정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는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one chip microprocessor)로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램 등을 구비한다. RF부(23)는 핸드셋과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어부(11)에서 출력하는 데이터 혹은 마이크(19)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변조 및 주파수 변환하여 무선신호의 형태로 출력한다. 또한 송신할 혹은 수신된 무선신호를 분리하여 안테나에 전달하며, 상기 분리된 수신 무선신호를 주파수 변환 및 복조하여 음성신호는 코덱(15)을 통해 스피커(20)로 전달하고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11)로 전달한다. 국선 접속부(16)는 교환망(PSTN)과 유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교환망과의 연결을 위해 고정장치와 상기 교환망 사이에서 각종 신호(예: 링신호, 음성신호 등)를 인터페이스 한다. 음성안내부(40)는 상기 제어부(11)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며, 상기 국선 접속부(16)를 통해 미리 등록된 연락처에 위급상황을 통보하는 음성메세지를 발생한다. 상기 음성안내부(40)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DSP(Digital Signal Processor)(12)와 메모리(flash memory, 14)로써 구현하거나 공지의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사용하는 음성 안내 방법을 채택할 수도 있다. 상기 음성메시지에는 해당 위급상황(예: 강도 칩입, 화재 등) 및 주소 등을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이중음다중주파수(Dual Tone Multi Frequency: DTMF) 발생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하여 상기 음성메시지 대신에 미리 약속된 이중음다중주파수를 송출할 수도 있다.
이탈감지부(30)는 충전단자로부터의 이탈 여부를 감지한다. 키입력부(17)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수단으로서, 위그상황모드의 설정 혹은 해제 명령 및 연락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이이피롬(13)은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연락처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표시부(18)는 상기 제어부(11)의 제어를 받아 위급상황모드를 표시한다. 전원공급부(21)는 교류 어댑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며, 고정장치에 소정의 전원을 공급한다. 충전부(22)는 상기 전원공급부(21)로부터 충전할 전원을 제공받으며, 핸드셋 충전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상기 제어부(11)의 동작을 부연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설정 명령에 응답하여 위급상황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위급상황모드가 설정되면 스피커(20)를 뮤트시키고 강제로 후크 오프 상태를 설정한 다음, 상기 이이피롬(13)으로부터 연락처 전화번호를 읽어 다이얼링한 후 통화로가 형성되었을 때 위급상황을 경보하는 소정의 신호를 송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기의 위급상황 연락을 가능하게 하는 연락처 등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2a단계에서 제어부(11)는 사용자에 의한 메모리키 입력을 감지한다. 그리고 2b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메모리키 입력에 응답하여 전화번호 저장모드를 설정한다. 이어서 2c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사용자에 의한 위급상황 모드 설정키 입력을 감지하고, 2d단계로 진행하여 이이피롬(13)의 연락처 등록 번지(address) 데이터를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는 2e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전화번호 키 입력을 감지한 다음, 2f단계에서 메모리키 입력을 감지하면 2g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전화번호를 상기 이이피롬(13)의 연락처 등록 번지에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기의 위급상황 연락을 가능하게 하는 위급상황 모드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3a단계에서 제어부(11)는 위급상황 모드 설정키의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위급상황 모드 설정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3b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는 현재 이미 위급상황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는 특정 플래그(flag)의 세트(set) 여부로서 확인 가능하다. 이때 만일 위급상황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3c단계로 진행하여 위급상황모드를 해제하고, 그렇지 않으면 3d단계로 진행하여 위급상황모드를 설정한다. 결국, 상기 위급상황 모드 설정키가 입력될 때마다 위급상황모드의 설정과 해제가 토글(toggle)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기의 위급상황 연락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4a단계에서 제어부(11)는 이탈감지부 30으로부터 이탈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충전부(22)와 핸드셋 충전부(도시하지 않음.)의 충전단자가 서로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통상적으로 대기상태에서 핸드셋을 고정장치에 올려놓게 되면 고정장치의 충전부(22)를 통해서 핸드셋의 충전부로 전원이 공급되어 핸드셋의 배터리에 충전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착신 혹은 발신을 위해 후크 오프(hook off)를 하거나 실수로 핸드셋을 건드리거나 잘못 놓지 않는 한 고정장치와 핸드셋의 충전단자는 항상 서로 접속되어 있다. 위급상황에서는 사용자가 정상적인 후크 오프를 하기 힘들 것인 바, 핸드셋을 고의로 건드려 쓰러뜨리게 되면 이 경우도 전술한 충전단자의 이탈이 일어날 수 있는 몇 가지 상황중 하나에 포함된다.
상기 4a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제어부(22)가 충전단자 이탈을 감지하면, 4b단계에서 제어부(11)는 위급상황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위급상황모드가 설정되어 있다면 4c단계에서 제어부(11)는 스피커 20을 뮤트(mute)시키기 위한 뮤트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4d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는 강제로 후크 오프 상태를 설정하고, 4e단계에서 이이피롬(13)의 연락처등록번지를 액세스(access)하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읽어 다이얼링 한다. 이어서 4f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는 통화로의 형성 여부, 즉 상대측(예: 소방서, 경찰서 등)의 후크 오프를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통화로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면 4g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음성안내부(40)를 제어하여 미리 입력해둔 위급상황경보음성메시지가 코덱(15) 및 국선접속부(16)를 거쳐 송출되도록 한다. 이어서 4h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는 마이크 개방(open)신호를 발생하여 현재의 위급상황이 마이크(19)와 코덱(15) 및 국선접속부(16)를 거쳐 전화선을 통해 상대측에 그대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후 4i단계에서 미리 정한 소정 시간(예: 30분)의 경과 여부를 체크하고, 경과된 경우 4j단계에서 마이크 폐쇄(close)신호를 발생한 다음 4k단계로 진행하여 후크 온(hook on) 상태로 전환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 즉 휴대장치와 고정장치를 가지는 무선전화기에서 고정장치에 의한 위급상황 연락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휴대용 전화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위급상황에서 핸드셋을 건드려 쓰러뜨림으로써 충전단자의 이탈만 일어나게 하면 미리 설정한 연락처에 자동으로 위급상황이 알려져 편리하다. 또한 기존의 전화기가 방범장비로서의 역할을 겸하므로 경제적이고 효과적이다. 또한 스피커가 뮤트되고 전화선을 통해서만 위급상황이 알려지는 바, 예를 들어 강도가 칩입한 경우 강도는 그 경보 사실을 알아채지 못한다. 또한 기존의 경우처럼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고 핸드셋을 건드려 쓰러뜨리는 정도로 경보가 이루어지므로 강도가 경보 사실을 눈치채기 어렵다.

Claims (4)

  1. 대기상태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는 핸드셋과, 상기 핸드셋과 접속되는 소정의 충전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한 무선전화기에서 상기 고정장치가 미리 정한 연락처로 위급상황을 알리는 장치에 있어서,
    충전단자로부터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이탈감지부와,
    위급상황모드의 설정 혹은 해제 명령 및 연락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수단과,
    연락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위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음성메시지를 발생하는 음성안내부와,
    상기 음성메시지를 전화선을 통해 송출하기 위한 국선접속부와,
    설정 명령에 응답하여 위급상황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위급상황모드가 설정되면 스피커를 뮤트시키고 강제로 후크 오프 상태를 설정한 다음,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연락처 전화번호를 읽어 다이알링한 후 통화로가 형성되면 상기 음성안내부로 하여금 음성메시지를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한 소정 시간동안 마이크를 개방시켜 위급상황에 따른 각종 소리가 상기 마이크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후 상기 국선접속부와 전화선을 통해 송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대기상태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는 핸드셋과, 상기 핸드셋과 접속되는 소정의 충전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한 무선전화기에서 상기 고정장치가 미리 정한 연락처로 위급상황을 알리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자의 이탈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이탈 감지시 위급상황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2과정과,
    위급상황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스피커를 뮤트시키고 강제로 후크 오프 상태를 설정하는 제3과정과,
    상기 후크 오프 상태가 설정되면 메모리의 연락처등록번지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읽어 다이얼링하는 제4과정과,
    상기 다이얼링후 통화로 형성 여부를 체크하여 통화로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면 음성안내부에 미리 입력해둔 위급상황경보 음성메시지를 전화선을 통해 송출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로의 형성후 현재의 위급상황이 전화선을 통해 상대측에 그대로 전달되도록 마이크를 일정 시간동안 개방하는 제6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61223A 1997-11-19 1997-11-19 전화기의위급상황연락장치및방법 KR100318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223A KR100318958B1 (ko) 1997-11-19 1997-11-19 전화기의위급상황연락장치및방법
US09/196,060 US6173169B1 (en) 1997-11-19 1998-11-19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emergency call in cordless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223A KR100318958B1 (ko) 1997-11-19 1997-11-19 전화기의위급상황연락장치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749A KR19990040749A (ko) 1999-06-05
KR100318958B1 true KR100318958B1 (ko) 2002-04-22

Family

ID=19525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1223A KR100318958B1 (ko) 1997-11-19 1997-11-19 전화기의위급상황연락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173169B1 (ko)
KR (1) KR1003189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5187B1 (en) * 1999-05-24 2002-02-05 Agere Systems Guardian Corp. Receipt of type II caller identification in multi-cordless environment
US8374574B1 (en) * 2000-07-06 2013-02-12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 message for playback during a user-initiated emergency telephone call from a wireless device
JP4159301B2 (ja) * 2001-11-28 2008-10-01 三洋電機株式会社 密閉電池
JP3851554B2 (ja) * 2001-12-11 2006-11-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電話装置を制御する制御方法
JP3759908B2 (ja) * 2002-02-19 2006-03-29 株式会社バーテックススタンダード 無線通信機における緊急通報装置
US7030752B2 (en) * 2002-12-18 2006-04-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Universal gateway module for interfacing a security system control to external peripheral devices
US7096001B2 (en) 2002-12-18 2006-08-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ecurity system with telephone controller
US7031436B1 (en) * 2003-02-03 2006-04-18 William Garey Security telephone
DE10345529B3 (de) * 2003-09-30 2005-04-14 Siemens Ag Verfahren zur Verringerung einer Strahlung in einem Funk-Telekommunikationssystem sowie zugehörige Basisstation und zugehöriges mobiles Endgerät
KR100600383B1 (ko) * 2003-12-24 2006-07-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긴급통화 자동 통보 장치
KR100663539B1 (ko) * 2004-03-05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긴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FR2876854B1 (fr) * 2004-10-14 2007-01-05 Sagem Telephone mobile et procede d'utilisation de ce telephone
KR100659881B1 (ko) * 2004-10-28 2006-1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리튬 이온 전지
US20060128448A1 (en) * 2004-12-15 2006-06-15 Meoung-Jin Lim Mobile phone having an easy-receive feature for an incoming call
WO2006135120A1 (en) * 2005-06-17 2006-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emergency message and method thereof
US20080079563A1 (en) * 2006-10-02 2008-04-03 George Crisafulli Security alarm operation in telephone device
US8433281B1 (en) 2011-02-01 2013-04-30 Alvin S. Blum Emergency cordless telephone system
US8081951B1 (en) 2011-02-01 2011-12-20 Blum Alvin S Emergency cellular telephone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5960U (ko) * 1991-01-21 1992-08-17 이규윤 비상전화 자동통보장치
KR930022514U (ko) * 1992-03-05 1993-10-16 나우정밀 주식회사 긴급전화번호 다이얼링 기능을 가진 무선전화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30647A1 (de) * 1991-09-14 1993-03-18 Bosch Gmbh Robert Notrufeinrichtung
US5575002A (en) * 1994-10-31 1996-11-12 Motorola, Inc. Method for muting a radio
KR0164372B1 (ko) * 1995-08-23 1999-02-01 김광호 무선전화기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5960U (ko) * 1991-01-21 1992-08-17 이규윤 비상전화 자동통보장치
KR930022514U (ko) * 1992-03-05 1993-10-16 나우정밀 주식회사 긴급전화번호 다이얼링 기능을 가진 무선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73169B1 (en) 2001-01-09
KR19990040749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8958B1 (ko) 전화기의위급상황연락장치및방법
EP0284324B1 (en) Radio telephones
CA2153240A1 (en) Wireline interface for cellular telephone
JPH05219266A (ja) 緊急時呼出装置
US5602900A (en)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US6547620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mory medium and method
KR10071345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수신호의 선택적 착신 및 거부 방법
KR920009332B1 (ko) 무선 전화기
JP5019330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4244888B2 (ja) 携帯電話端末装置
JP3606397B2 (ja) 携帯電話機
JP3667087B2 (ja) 携帯電話端末の制御方法
JP3097137B2 (ja) 携帯通信端末
KR200254224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유무선 전화기의 발신자 번호 음성안내 장치
KR20010001043A (ko) 발신 전화번호 확인시스템 및 그에 따른 호 처리방법
JP3005565B1 (ja) 携帯電話端末装置および方法
JP4362773B2 (ja) 送受話システム
KR20000001188A (ko) 모닝콜 원격 제어방법
EP1895753A1 (en) Door entryphone system
JP3354350B2 (ja) 携帯電話機
JP2001177639A (ja) 携帯電話機
JP3037317B1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録音方法
JP3467104B2 (ja) 無線電話システム及び無線電話機
JP3379423B2 (ja) 携帯端末装置
JPH04179352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