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8855B1 - 전극팁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전극팁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8855B1
KR100318855B1 KR1019990019709A KR19990019709A KR100318855B1 KR 100318855 B1 KR100318855 B1 KR 100318855B1 KR 1019990019709 A KR1019990019709 A KR 1019990019709A KR 19990019709 A KR19990019709 A KR 19990019709A KR 100318855 B1 KR100318855 B1 KR 100318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ip
rotation
insertion hole
tip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276A (ko
Inventor
가즈히로 데자와
Original Assignee
쿠사노 가즈요시
주식회사 교쿠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86451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680154B2/ja
Application filed by 쿠사노 가즈요시, 주식회사 교쿠토 filed Critical 쿠사노 가즈요시
Publication of KR20000011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72Devices for exchanging or removing electrodes or electrode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팁 부분에 배치된 부위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생크(Shank)사이의 좁은 부위에 끼워맞춤된 전극팁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작업시 소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전극팁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특히, 회전기반(27)의 전극팁(4)용 삽입공(27a)의 내주면에 조편(爪片)(25)이 배치된다. 조편(爪片)은 전극팁(4)을 유지가능하게 회전기반의 가압면(27c)으로 눌려져 선단(25b)을 전극팁 외주면에서 잠식되는 영역과 전극팁 유지를 해제가능하게하고 회전기반의 가압면(27d)에 눌려 선단(25b)을 전극팁 외주면으로 부터 이탈시키는 영역과, 각각 회동가능하게 회동제동력을 받은 상태의 유지부재(20)에 유지된다. 유지부재의 회전제동력은 조편(爪片)의 잠식저항증대시 조편(爪片)의 지지부위를 회전작용면(21d,22e)으로써 회전기반의 회전토크를 받아 회전기반(27)과 함께 유지부재(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크기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전극팁 제거장치{An electrode tip elimination device}
본 발명은 저항용접기의 생크(Shank)에 대하여 테이퍼축에 끼워맞춤된 전극팁의 교환시 전극팁을 생크(Shank)로 부터 제거하는 전극팁의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제거장치로는 생크(Shank)와 전극팁과의 사이에 있는 부위에 팽창부재나 쐐기를 박아 넣어 전극팁을 생크(Shank)로 부터 떨어지도록 해서, 전극팁을 제거하는 장치와 생크(Shank)로 부터 떨어지도록 전극팁에 세세히 타격(打擊)을 주어 전극팁을 제거하는 장치가 있었다.(특개평 3-291175호 공보, 특관평 4-9285호 공보등 참조)
그러나 팽창부재와 쐐기를 박아 넣는 타입은 전극팁의 전체길이를 삽입시켜 생크(Shank)와의 전극팁 사이에 팽창부위와 쐐기부위를 배치시키고, 다시 제거한 전극팁을 유지하는 기구를 전극팁 선단부근에 배치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극팁 부근에 배치된 부위의 두께가 두껍게 되어 상하에 배치한 생크(Shank)의 사이가 좁아서 용접로보트등에는 사용하기 어렵다. 또, 타격을 가하는 타입은 전극팁에 타격을 줄때, 몇번이고 충돌음(衝突音)을 발생시켜 소음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극팁 부근에 배치시킨 부위의 두께를 얇게할 수 있으며, 생크(Shank)사이의 좁은부위에 끼워맞춤된 전극팁으로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작업시에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전극팁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형태의 제거장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부위의 확대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형태의 개략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형태의 제거작업에 대해 회전기반의 정회전 직전의 상태를 표시하는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제1실시형태의 제거작업에 대해 회전기반의 정회전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제1실시형태의 제거작업시에 대하여 도 6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제1실시형태의 제거작업시에 유지부재의 회전 직전 상태를 표시하는 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제1실시형태의 회전기반 역회전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제2실시형태의 제거장치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 제2실시형태의 제거장치 정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Ⅶ-Ⅶ부위의 확대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제2실시형태의 개략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제2실시형태의 제거작업시에 대하여 회전기반의 정회전 직전의 상태를 표시한 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 제2실시형태의 제거작업시에 대하여 회전기반의 정회전후 상태를 표시한 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 제2실시형태의 제거작업시 유지부재의 회전직전 상태를 표시하는 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 제2실시형태의 회전기반 역회전시 상태를 표시하는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생크(Shank),, 3:테이퍼축,
4:전극, 20,40:유지부재,
21a,22b,22j,41a,42a:삽입공, 21c,22d,41c,42c:지지구멍,
21d,22e,41d,42d:회전작용면, 21d,41f:제동면,
22k:凹부. 24,45:조편(爪片),
25b,45b:선단, 25h,45g:지지축(회전축),
27,47:회전기반, 27a,47a:삽입공,
27c,47c:잠식용 가압면, 27d,47d:여유공간용 가압면,
31:브레이크장치, 32:브레이크 암,
34:압축코일스프링(받침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제거장치는 저항용접기의 생크(Shank)에 의한 테이퍼축에 끼워맞춤된 전극팁을 회전시켜 제거하는 전극팁의 제거장치로, 정회전, 역회전 가능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회전중심에 상기 전극팁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을 갖춘 회전기반과,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삽입공의 축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갖추어 회전시 상기 삽입공내의 상기 전극팁을 유지가능하게 선단을 상기 전극팁의 외주면에 잠식시키는 영역과, 상기 삽입공내에서의 전극팁의 유지를 해소가능하게 선단을 상기 전극팁의 외주면으로 부터 이탈시킨 여유공간영역과, 여기에 각각 배치가능하게 유지시키는 조편(爪片)과, 상기 회전기반과 일치하는 회전중심을 갖춤과 함께 해당 회전중심의 상기 전극팁이 삽입가능한 삽입공을 갖추어 상기 조편(爪片)을 회전가능하게 유지함과 함께 상기 회전기반과 상대 회전가능하고 또한 회전제동력을 받아 회전가능하게 유지시키는 유지부재를 갖추어 상기 회전기반이 정회전시 상기 조편(爪片)을 상기 잠식영역까지 압압시켜 회전시키는 잠식용 가압면과, 역회전시 상기 조편(爪片)을 여유공간영역까지 압압해서 회전시키는 여유공간용 가압면을 갖추어, 상기 유지부재로의 회전제동력이 상기 조편(爪片)의 잠식영역으로 배치될 때 상기 조편(爪片)의 잠식저항의 증대시 상기 조편(爪片)의 지지부위를 회전작용면으로서 상기 회전기반의 정회전 회전토크를 받아, 상기 회전기반과 함께 상기 유지부재를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크기로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유지부재에 상기 회전기반을 삽입하도록 배치시킴과 동시에 단부를 상기 회전기반으로 부터 돌출시켜 상기 유지부재에 부과되는 회전제동력을 상기 유지부재에 대하여 회전기반으로 부터 돌출한 외주면에 마찰저항을 주도록 받침수단에 의해 유지부재 외주면에 압압을 받는 브레이크 암에 의해 발생시키도록 해도 좋다.
특히, 조편(爪片)을 한 개로 유지부재와 같게 함은 상기 회전기반의 삽입공의 내경치수를 조편(爪片)의 잠식영역으로의 배치시, 삽입공의 내주면에 대하여 조편(爪片)과 대향하는 부위에 조편(爪片)으로 압압을 받은 전극팁의 외주면을 압접 가능한 치수로서 설정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조편(爪片)의 잠식영역으로의 배치시에 대하여 삽입공 내주면의 조편(爪片)과 대향하는 부위에 凹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편(爪片)을 삽입공의 내주면 부위에 3개이상 방사장에 배치시키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제1실시 형태의 제거장치(M1)은 도 1,2에 나타난 것처럼 저항용접기로서의 용접로보트의 생크(Shank)(1,2)에 달라붙은 전극팁(4)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소정의 작업로보트에 대하여 표시하지 않은 암에 연결 유지되는 본체부(10)와, 이 본체부(10)의 상면측으로 부터 수평방향에 돌출하도록 배설시킨 전극팁(4)을 제거할때에 생크(Shank)(1,2)사이에 삽입된 소정의 전극팁(4)에 외장된 선단부(13)로 구성된다. 여기서, 5는 생크(Shank)(1,2)의 테이퍼축(3)에 끼워맞춤된 전극팁(4)의 테이퍼구멍이다.
본체부(10)은 도 1∼3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하우징생크(Shank)(11)내에 후술할 구동기어(12)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감속기가 붙은 것을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터를 배설하여 구성된다.
선단부(13)는 하우징생크(Shank)(11)에 연속 고정된 케이스(14)와 케이스(14)내의 수납되어 유지된 유지부재(20)와 회전기반(27)과 유지부재(20)에 유지된 조편(爪片)(25)과 구동기어(12)에 교합한 회전기반(27)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중간기어(29)와 브레이크 장치(31)와 케이스(14)의 상하면에 볼트가 조여지게 2장의 눌러주는 링(18)으로 구성된다.
회전기반(27)은 도 3, 4에 나타난 것처럼 중앙에 전극팁(4)의 외경치수보다 큰 내경 치수의 삽입공(27a)을 중앙에 가지고 있는 약 원판장으로서 외주면에 중간기어(29)와 교합한 치동부(27e)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하면에 원통상의 리브(27f)가 형성된다. 회전기반(27)의 회전중심(X)은 삽입공(27a)의 중앙에서 상하방향으로 설계된다. 또, 삽입공(27a)의 내주면에는 조편(爪片)(25)를 배치가능하도록 凹부(27b)가 형성된다. 凹부(27b)의 일방 면은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회전기반(27)의 정회전시에 조편(爪片)(25)의 凸부(25d)와 측면(25e)을 압압해서 조편(爪片)선단(25b)을 전극팁(4)으로 삽입시켜 제거되는 영역까지 조편(爪片)(25)를 회전시키는 잠식용 가압면(27e)로 하고 있다. 또한, 凹부(27d)의 다른방향 면이 회전기반(27)의 역회전시 조편(爪片)(25)의 凸부(25f)와 측면(25g)(도 9참조)을 압압시켜 조편(爪片)선단(25b)를 전극팁(4)에 간섭하지 않게 여유공간영역까지 회전시키는 여유공간용 가압면(27d)으로 하고 있다.
조편(爪片)(25)은 도 3∼9에 나타난 것처럼 약 장방형 상의 본체(25a)와 그 상하의 단면에 형성된 원주상의 지지축(25h)으로 구성된다. 본체(25a)는 예각상으로서 선단(25b)의 주위에는 전극팁(4)과의 마찰저항을 높이기 위하여 복수의 凹구(25e)가 형성된다. 즉, 제1실시형태의 조편(爪片)(25)은 상하의 지지축(25h)과 선단(25b)측에 대하여 유지부재(20)의 후술할 리브(22f)의 공간부(22i)에 침입할 형상으로서, 회전중심(X)과 평행하게 되는 지지축(25h)을 회전중심으로 하는 회전시, 선단(25b)이 유지부재(20)의 삽입공(22j)내에 돌출가능한 치수로 형성된다. 또한 본체(25a)의 높이(hl)(도 3참조)는 후술할 유지부재의 리브(22f)의 두께치수(tl)(도 4참조)보다 조금 작게 설계된다.
유지부재(20)는 회전기반(27)과 일치하는 회전중심(X)를 갖추고, 제1실시형태의 경우, 도3,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원판상의 평판부(21)와 단차부(22)로 구성된다.
평판부(21)는 회전기반(27)의 상면측에 있는 리브(27f)의 내주측에서 회전가능한 외경치수로서 진극팁(4)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치수의 삽입공(21a)을 중앙에 배치시키고 있다. 평판부(21)의 두께치수는 리브(27f)의 높이 치수보다 크게하고, 리브(27f)로 부터 돌출한 외주면이 후술할 브레이크암(22)의 제동면(21g)이 된다. 또 평판부(21) 상면측의 삽입공(21a)의 주연에는 상방으로 부터 전극팁(4)삽입이 쉽도록 테이퍼면(21b)이 형성되다. 또한 삽입공(21a)의 주위에는 하나의 지지구멍(21c)를 사이로 해서 두 개씩의 취부구멍(21e)이 형성된다. 여기서, 취부구멍(2 1e)의 내부에는 하부측의 내경을 작게한 단차면(21f)이 형성된다.
단차부(22)는 원판상의 원판부(22a)와 원판부(22a)의 상면으로 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한 리브(22f)가 갖추어진다.
원판부(22a)는 회전기반(27)의 하면측에 대한 리브(27f)의 내주측으로 회전가능한 외경치수로서의 전극팁(4)의 외경보다 조금 크게 삽입공(22b)을 중앙에 배치시키고 있다. 원판부(22a)의 두께치수는 리브(27f)의 높이치수와 같게 설정되며 하편측의 삽입공(22b)의 테두리에는 밑방향으로 부터 전극팁(4) 삽입이 쉽도록 테이퍼면(22c)이 형성된다. 또 원판부(22a)의 삽입공(22b)의 주위에는 평판부(21)의 지지구멍(21c)에 대응해 지지구멍(22d)이 형성된다. 이것들의 지지구멍(21c,22d)에 조편(爪片)(25)의 상하면 지지축(25h)과 각각 맞물려 삽입시킨다. 그리고 제1실시형태의 경우 각 지지구멍(21c,22d)의 내주면 안에 회전중심(X)을 중심으로 한 시계방향의 면이, 회전기반(27)의 정회전시 회전토크를 받는 회전작용면(21d,22e)이 된다.
리브(22f)는 도 3∼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원판부(22a)의 상면에서 지지구멍(22d)의 부위에 공간부(22i)를 만들어, 삽입공(22b)의 주연으로 부터 윗방향으로 돌출한 원주상으로 한다. 리브(22f)는 회전기반(27)의 삽입공(27a)에 삽입가능한 외경치수로 함과 동시에 내주측의 삽입공(22j) 내경치수 dl을 삽입공(22b)과 같게 한다. 삽입공(22j)의 내주면에 대하여 공간부(22i)와 대향하는 부위에는 복수의 凹부(22k)가 형성된다. 특히 리브(22f)의 두께치수(높이치수)tl를 회전기반(27)에 대하여 리브(27f)의 내주측 두께치수(t0)보다 조금 큰 치수로 한다. 그리고 리브 (22f)의 상단면에는 평판부(21)의 취부구멍(21e)에 대응하는 4개의 나사구멍(22g)이 형성된다. 특히 이 리브(22f)의 공간부(22i) 한쪽면에는 도 5∼8에 표시한데로 잠식영역에 배치될때까지의 조편(爪片)(25)과 간격이 없도록 凹구(22h)가 형성되다.
즉, 유지부재(20)의 삽입공(22j) 내경치수(dl)은 조편(爪片)(25)의 잠식영역으로서 배치시 삽입공(22b)의 내주면에 대하여 조편(爪片)(25)과 대향하는 부위(凹부(22k) 측부위)가 조편(爪片)(25)에서 압압된 전극팁(4)의 외주면에 압접가능한 치수로서 설정된다. 즉, 실시형태의 경우 삽입공(22j) 내경치수(dl)는 지름이 17로, 전극팁(4)의 외경치수는 지름이 16으로 된다.
케이스(14)는 상/하 케이스(15/16)으로 구성되며 이것들의 상하케이스(15/1 6)는 도 1∼4에 나타난것처럼 선단측에 돌출부(15b,16b)를 내주면에 돌출시켜, 회전기반(27)에 치차부(27e)의 외경치수에 대응한 관통부(15a,16a)를 갖추고, 각 돌출부(15b,16b)에는 각각의 압축링(18)을 붙이기 위하여 표시하지 않은 볼트를 조이는 6개씩의 나사구멍(15c,16c)이 형성된다. 또한 상하케이스(15/16)에는 본체부(10)측의 가장자리에 볼트를 사용해서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6개씩의 연결구멍 (15,16d)이 형성된다. 또, 상/하케이스(15/16)에는 중간기어(29)와 브레이크장치(31)의 후술할 브레이크 암(3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볼트(33)와 취부구멍(15e,16e)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취부구멍(15e)은 단순한 관통구멍으로 하고, 취부구멍(16e)가 나사구멍으로 한다. 그리고, 특히 상하 케이스(15/16)의 대향면에는 중간기어(29)를 각각 수납할 수납凹부(15g)(도시하지 않음) 16g(도 4참조)가 구성된다. 수납凹부(16g)는 관통구멍으로 구성된다.
압축링(18)은 회전기반(27)을 회전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상하케이스(15/16)안에 수납되기 위한 것이고, 도 3,4에 나타난 것처럼 상하케이스(15/16)의 돌출부(15b,16b) 내부측에 삽입가능한 원통상의 통부(18a)와 통부(18a) 단부측의 외주면에 형성된 날밑부위(18d)가 구성된다. 각 날밑부위(18d)에는 상하케이스 (15/16)의 나사구멍(15c,16c)에 대응하는 취부구멍(18e)이 형성된다. 이것들의 압축링(18)은 각각의 각 취부구멍(18e)을 통과해서 나사구멍(15c/16e)에 조여지는 도시하지 않은 볼트에 의해 날밑부위(18d)를 상하케이스(15/16)의 돌출부(15b/16c)에 당접시켜 날밑부분(18d)로 부터 떨어진 통부(18a)의 선단(18c)에 대향시키도록 상하케이스(15/16)에 붙어 있다. 즉, 각 취부구멍(18e)는 상하케이스(15/16)으로 붙인 상태에서 볼트가 돌출되지 않도록 내주면에 볼트 머리부위를 받는 단차면을 갖추고 있다. 그래서 상하케이스(15/16)에 붙은 상태로 각 압축링(18)은 회전기반(27)을 회동가능하게한 상태로 통부(18a)의 내주면(18b)과 회전기반(27)의 원통상의 링(27f)의 외주면을 규제함과 동시에 단면(18c) 사이에서 회전기반(27)의 치차부(27e)의 상하면을 규제한다.
브레이크장치(31)는 한 대의 브레이크암(32) 받침수단으로의 압축코일 스프링(34)이 구비된다. 한 대의 브레이크암(32)은 각각 유지부재(20)의 평판부(21)에 대하여 제동면(21g)을 반분식 숨기도록 반 나눈 원판상의 가압판부(32a)를 선단측에 준비함과 동시에 중앙부분을 지지하는 볼트(33)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시켜 원부측에 상호 사이의 압축코일스프링(34)을 배설시키는 스프링자리(32b)가 배설되어 구성된다.
선단부(13)의 조립은 먼저 상하케이스(15/16)사이에 회전기반(27)과 중간기어(29)를 배설시킨 상태에서 상하케이스(15/16)의 압축링(18)을 도시하지 않은 볼트로 붙이고, 또한 연결구멍(15d,16d)에 볼트를 삽입시켜 상하케이스(15/16) 상호를 연결시키고, 그후 조편(爪片)(25)을 회전기반(27)의 凹부(27b)내에 배설시킴과 동시에 그 회전기반(27)의 상하부터 평판부(21)와 단차부(22)를 배설시킨다. 상세히 기술하자면 리브(22f)를 밑에서 부터 삽입공(27a)내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각 취부구멍(21e)과 각 나사구멍(22g)을 대응시키고, 특히 각 지지구멍(21c,22d)에 지지축(25h)을 끼워맞춤시킨다. 그리고 각 취부구멍(21e)을 관통하여 각 연결볼트(23)를 나사구멍(22g)에 결합시키면 평판부(21)와 단차부(22)가 연결되어 유지부재(20)에 조립됨과 동시에 회전기반(27)이 삽입되도록 유지부재(20)는 회전기반(27)내에 배설된다. 그리고 이때 유지부재(20)의 리브(22f) 높이치수(tl)와 조편(爪片)(25)의 본체(25a) 높이치수 hl를 회전기반(27)에 대하여 리브(27f/27f)의 내경측의 두께치수(t0)보다 조금 큰 치수로 하고 있기때문에 조편(爪片)(25)과 지지축(25h)을 회전중심으로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부재(20)에 유지시킨 유지부재가 리브(27f)등에서 규제되어 회전기반(27)과 회전중심(X)에 일치되도록 회전기반(27)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케이스(14)내에 배설된다.
그후 나사자리(32b,32b)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34)을 배설한 상태로, 가압판부(32a)를 유지부재(20)의 평판부(21)에 대해 제동면(21)에 당접시키고, 지지볼트(33)를 이용해서 한 대의 브레이크암(32)을 케이스(14)에 붙이면 선단부(13)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즉, 선단부(13)를 조립한 후는 중간기어(29)와 구동기어(12)를 결합시켜 선단부(13)를 본체부(10)에 붙이면 된다.
이 제1실시형태의 제거장치(M1)에서는 전극팁(4)의 제거시 먼저 전극팁(4)을 회전기반(27)의 삽입공(27a)과 동심적으로 배치한 유지부재(20)의 삽입공(21a,22b)내에 삽입되도록 전극팁(4)에 회전기반(27)을 외장시킨 이후 본체부(10)안에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구동기어(12)와 중간기어(29)를 이용해서 도5-7에 나타난 것과 같이 회전기반(27)을 회전 중심축(X)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정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5∼7에 나타난 것과 같이 회전기반(27)의 잠식용 가압면(27c)이 조편(爪片)(25)의 凸부(25d)와 측면(25e)에 당접하여 지지축(25h)을 회전중심으로 조편(爪片)(25)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도8에 표시한 것처럼 조편(爪片)(25)을 잠식영역까지 회전시킴으로써 조편(爪片)(25)의 선단(25b)과 전극팁(4)을 삽입공(22j)안에서 유지할 수 있으며 전극팁(4)의 외주면에 잠식된다.
이때, 제1실시상태의 경우에는 전극팁(4)는 조편(爪片)(25)의 선단(25b)에 잠식되어 조금 경사가 생기고 삽입공(22j)의 凹부위(22k)측 부위는 압접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특히 회전기반(27)이 정회전하면 조편(爪片)(25)의 선단(25b)이 전극팁(4)의 중심방향측을 향하는 모양이 되어 전극팁(4)으로 깊게 잠식되므로 조편(爪片)(25)의 잠식저항이 증대한다. 그러면 조편(爪片)(25)이 회전하기 어렵게 되고 회전기반(27)의 회전토크가 조편(爪片)(25)의 지지부위인 회전작용면 (21d,22e)에 작용하여 유지부재(20)가 브레이크암(32,32)의 회전제동력에 저항해서 회전기반(27)과 함께 정회전하게 된다.
이때, 유지부재(20)는 조편(爪片)(25)을 전극팁(4)에 잠식시켜 전극팁(4)을 삽입공(22j)내부에서 유한상태서 회전하기 위하여 전극팁(4)이 회전기반(27)의 정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전극팁(4)이 조금이라도 회전하면 생크(Shank)(1)의 테이퍼측(3)과 전극팁(4)의 끼워맞춤상태가 해소된다. 그 때문에 그후에 본체부(10)과 함게 선단부(13)를 생크(Shank)(1)의 선단측인 밑방향에 이동시키면 전극팁(4)을 생크(Shank)(1)부터 제거할 수 있다.
그후 선단부(13)를 표시하지 않은 회수상자의 윗방향에 배치한후 본체부(10)측의 구동모터를 역구동시켜 회전기반(27)을 회전중심(X)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역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9에서 나타난것처럼 회전기반(27)의 여유공간용가압면 (27d)이 졸판(25)의 凸부(25f)와 측면(25g)에 당접해서, 지지축(25h)을 회전중심으로 조편(爪片)(25)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조편(爪片)(25)의 선단(25b)이 삽입공(22j) 내에서의 전극팁(4)의 유지를 해소하는 여유공간영역에 배치시킨다.
그러면 전극팁(4)은 조편(爪片)선단(25b)이 잠식이 해소됨과 동시에 삽입공(22j)의 내주면에 대하여 凹부위(22k)측 부위의 압접력이 해소되어 유지부재(20)의 삽입공(22j)과 회전기반(27)의 삽입공(27a)로 부터 낙하헤서 회수상자에 수용할 수 있다.
즉, 회전기반(27)의 역회전은 조편(爪片)(25)의 잠식저항이 줄어드는 방향의 회전이고, 유지부재(20)는 제동면(21g)에 브레이크암(32.32)의 압축판부(32a) 회전제동력이 작용되고 있기 때문에 회전되지 않고 회전기반(27)의 역회전에서는 조편(爪片)(25)만이 여유공간영역에 회전하게 된다.
또 밑방향 생크(Shank)(2)의 전극팁(4)도 선단부(13)을 외장시켜 회전기반 (27)을 정회전시킨후 선단부(13)를 소정위치에 이동시켜, 특히 회전기반(27)을 역회전시키면 윗방향이 생크(Shank)(1)의 전극팁(4)과 같은 동작으로 용이하게 회수상자에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형태의 제거장(M1)에서는 전극팁(4)부근에 배치된 부위가 회전기반(27), 조편(爪片)(25)을 유지한 유지부재(20), 이것들을 수납한 케이스(14) 및 브레이크암(32,32)등이고 특히 전극팁(4)을 제거할 때의 회전기구자체가 제거한 전극팁(4)를 유지하는 기구와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 얇게 구성되어 있고 생크(Shank)(1,2)사이에 좁은 부위에 끼워맞춤된 전극팁(4)에서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 제거작업시에는 간단하게 조편(爪片)(25)의 선단(25b)을 전극팁(4)에 잠식시키만 하고 충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작업시에 소음발생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실시형태에서는 유지부재(20)를 회전기반(20)의 삽입공(27a)에 삽입하도록 배설시킴과 동시에 평판부(21)의 선단(21g)을 회전기반(27)로 부터 돌출시켜 유지부재(20)에 부가되는 회전제동력을 그 외주면(21g)에 마찰저항을 주도록 하여 압축코일스프링(34)를 이용한 외주면(21g)에 압압시킨 브레이크암(32)에 의해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브레이크암(32)을 외주면(21g)의 높이치수 이내에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특히 브레이크암(32)이외의 브레이크장치(31)부위를 전극팁(4)의 근접부위에서 부터 떨어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장치(31)를 준비하고 있어도 제거장치(M1)에 대해 전극팁(4)의 근접부위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한층 생크(Shank)(1,2)사이의 좁은 부위에 끼워맞춤된 전극팁(4)으로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제1실시형태에서는 조편(爪片)(25)을 한 개로서 유지부재(20)의 삽입공(22j)이 내경치수(dl)의 조편(爪片)(25) 잠식영역으로의 배치시 그 삽입공(22j)의 내주면에 대하여 조편(爪片)(25)와 대향한 凹부(22k)측부위에 조편(爪片)(25)으로 압압된 전극팁(4)의 외주면을 압접가능한 치수로서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유지부재(20)의 삽입공(22j)의 전극팁(4)의 유지가 조편(爪片)(25)의 선단(25b)과 전극팁(4)에 당접한 삽입공(22j)의 내주면의 凹부위의(22k)측 부위와 이 대향하는 2점으로 협지할 수 있고 한쪽 조편(爪片)선단(25b)을 전극팁(4)에 잠식시킨 모습으로 있기 때문에 안전한 전극팁(4)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제1실시형태의 경우 조편(爪片)(25)의 잠식영역으로의 배치시에 대하여 삽입공(22j)의 내주면에 조편(爪片)(25)과 대향하는 부위에 凹부(22k)가 형성되어 있고, 전극팁(4)의 유시 조편(爪片)선단(25b)와 함께 그 凹부위(22k) 凸부(221)로 전극팁(4)에 잠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한층 안정한 전극팁(4)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실시형태에서는 조편(爪片)선단(25b)과 유지부재(20)의 삽입공(22j)의 내주면으로 협지하도록 전극팁(4)를 유지하는 구성을 표했지만 나중에 기술하겠지만 조편(爪片)선단(25b)과 회전기반(27)의 삽입공(27a)의 내주면으로 전극팁(4)을 유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도 10-13에 나타난 제2실시형태의 제거장치(M2)처럼 조편(爪片)(45)만으로 전극팁(4)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실시형태의 제거장치(M2)는 조편(爪片)(45), 조편(爪片)(45)를 유지하는 유지부재(40), 및 회전기반(47)이 제1실시형태와 상이하고, 그 외에 상하케이스(15/16)으로 부터 나온 케이스(14), 압축링(18) 중간기어(29), 브레이크장치(31), 구동기어(12), 본체부(10)은 제1실시형태와 동일부재이고, 이것들의 동일부재의 설명은 생략한다.
회전기반(47)은 도12-1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중앙에 전극팁(4)의 외경치수보다 조금 크게 내경치수의 삽입공(47a)을 중앙에 갖춘 약 원판상으로서 외주면에 중간기어(29)를 결합하여 상하케이스(15/16)의 관통구멍(16a)내에 수반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하의 압축링(18)의 원통부 단면(18c), 18c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상하방향에 규제된 치차부(47e)가 형성된다. 회전기반(47)의 회전중심(X)은 삽입공(47a)의 중앙에서 상하방향으로 준비된다.
또 회전기반(47a)의 내주면에는 각각 세 개가 조편(爪片)(45)을 각각 배치가능한 凹부(47b)가 방사상에 균등간격으로 형성된다. 각 凹부(47)은 각각 한쪽 면이 횐전기반(47)의 정회전시에 조편(爪片)(45)의 凸부(45c)와 측면(45d)를 압압해서, 조편(爪片)선단(45b)을 전극팁(4)으로 잠식시키는 잠식영역까지 조편(爪片)(45)을 회전시켜 잠식용 가압면(47c)으로 하고 있다. 특히 각 凹부(47b)의 각각의 다른 방향의 면이 도 17에 나타난 것처럼 회전기반(47)의 역회전시에 조편(爪片)(45)의 凸부(45e)와 측면(45f)을 압압해서 조편(爪片)선단(45b)을 전극팁(4)과 간섭하지 않는 여유공간영역까지 회전시켜 여유공간용 가압면(47d)으로 하고있다.
또, 제2실시형태의 회전기반(47)은 각각의 凹부위(47b)사이에 회전기반(47)의 회전중심(X)을 중심으로 한 원호상의 안내구멍(47g)이 회전기반(47)에 대해 유지부재(20)의 상대회전을 안내하는 것이다.
각 조편(爪片)(45)은 도 12∼14에 나타난 것처럼 약 장방형 판상의 본체(45a)와 그 상항의 단면에 형성된 원주상의 지지축(45g)으로 구성된다. 본체(45g)의 선단(45b)은 예각상에 형성된다. 즉, 제2실시형태의 각 조편(爪片) (45)은 상하의 지지축(45g)을 원부측(凹45c,45e(도15,17참조)과 선단(45b)측과의 사이에 약 중간에 배치시켜 회전중심(X)와 평행하게 되는 지지축(45g,45g)을 회전중심으로 하는 회전시 회전기반(47)의 삽입공(47a)내에 선단(45b)를 돌출가능한 치수로 형성시키고 있다. 본체(45a)의 높이치수(h2)(도 12참조)는 나중에 기술할 유지부재(40)의 스페샤(43)의 높이치수(h3)(도 13참조)보다 조금 작게 설정된다.
유지부재(40)는 회전기반(47)과 일치하는 회전중심(X)를 갖고 있고, 제2실시형태의 경우 도 12,13에 나타난것처럼 2장의 원판상의 평판부(41,42)와 3개의 스페샤(43)와 6개의 연결볼트(44)로 연결시켜 구성된다.
평판부(41,42)는 각각 회전기반(47)의 상하면에 리브(47f)의 내주측으로 회전가능한 외경치수로서, 전극팁(4)의 외경치수보다 조금 크게 해서 회전기반(47)의 삽입공(47a)과 동등하게 한 내경치수의 삽입공(41a,42a)을 중앙에 배치시킨다.각 평판부(41,42)의 외면측의 삽입공(41a,42a)주위에는 각각의 상하방향으로 부터 전극팁(4)을 삽입시키기 좋도록 테이퍼면(41b,42b)이 형성된다. 특히 평판부(41,42)는 각 삽입공(41a,42a)의 주위에 상호 대응하도록 3개씩의 지지구멍(41c,42c)과 취부구멍(41e,42e)이 형성되지만 각각 동심적 한편으로 방사상에 형성된다. 지지구멍(41c,42c)은 각 조편(爪片)(45)의 상하의 지지축(45g)을 맞물리리게해 각 조편(爪片)(45)을 회전가능하게 유지하는 부위가 되게 함과 동시에 그 내주면에 일부가 정회전시의 회전기반(47)과 함게 회전할때의 회전 토크를 받는 회전작용면(41d,42d)으로 하고 있다. 즉, 수면(受面)(41d,42d)은 제2실시형태의 경우 각 지지구멍(41c,42c)의 내주면에 대해 회전기반(47)의 회전중심(X)을 중심으로 할 때 근처 반시계방향의 한다. 각 취부구멍(41e,42e)은 내부측의 내경을 작게해서 연결볼트(44)의 머리부분과 접하게 단차면을 갖는다.
그리고, 평판부분(41)의 두께치수(t2)(도 13참조)가 회전기반(47)의 상면측에 대하여 리브(47f)의 높이치수(h4)(도 12참조)보다 크게해 리브(47f)로 부터 돌출한 외주면이 브레이크암(32,32)에 대해 가압판부(32a)의 제동면(41f)으로 한다. 또 평판부(42)의 두께치수는 회전기반(47)의 하면측에 대하여 리브(47f)의 높이치수와 같게 한다.
각 스페샤(43)는 회전기반(47)의 각 안내구멍(47g)에 삽입 가능한 외경치수로 한 원통형상으로서 내주측에는 연결볼트(44)에 대응한 나사구멍(43a)이 형성된다. 각 스페샤(43)의 높이치수(h3)(도 13참조)는 기술했듯이 각 조편(爪片)(45)의 본체(45a)의 높이치수(h2)보다 조금 크게 특히, 회전기반(47)에 대해 리브(47f,47f)의 내주측의 두께치수(t3)보다 조금 큰 치수로 한다.
제2실시형태의 경우 선단부(13)의 조립에 대하여 말하면 먼저 상/하케이스 (15,16)사이에 회전기반(47)과 중간기어(29)를 배설한 상태로 상/하케이스(15,16)에 압축링(18)을 표시하지 않는 볼트로 붙이고 또한 연결구멍(15d,16d)에 볼트를 넣어 상하케이스(15,16)상호를 연결시킨다. 그후 각 조편(爪片)(45)을 회전기반(47)의 각 凹부위(47b)내에 배치시킴과 동시에 각 스페샤(43)를 회전기반 (47)의 각 안내구멍(47g)에 배설시켜 회전기반(47)의 상하로 부터 평판부(41,42)를 배설시킨다. 그리고 각 취부구멍(41e,42e)과 각 스페샤(43)의 나사구멍(43a)을 대응시켜 특히 각 지지구멍(41c,42c)에 지지축(45g)을 넣어서 맞춘다. 그후 각 취부구멍(41e,42e)을 통과해 각 연결볼트(44)를 나사구멍(43a)에 결합시키면 평판부(41,42)와 세 개의 스페샤(43)과 연결된 유지부재(49)가 조립됨과 동시에 회전기반(47)을 관통하듯이 유지부재(40)가 회전기반(47)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때, 유지부재(40)의 각 스페샤(43)의 높이치수(h3)와 각 조편(爪片)(45)의 본체(45a)의 높이치수(h2)가 회전기반(47)에 대해 각 리브(47f)의 내주측에 두께치수(t3)보다 조금 큰 치수로 되어있기 때문에 각 조편(爪片)(45)과 지지축(45g)을 회전중심으로 해서 회전가능하게 유지부재(40)에 유지되게 유지부재(40)는 리브(47f)와 안내구멍(47g)등으로 규제되어 회전기반(47)과 회전중심(X)를 일치시켜 회전기반(47)과 상대 회전가능하게 케이스(14)내에 배치시키게 된다.
그후 나사자리(32b,,32b)사이에 압축코일 스프링(34)을 배치한 상태로 압축판부(32a,32a)를 유지부재(40)의 평판부(41)에 대해 제동면(41f)에 당접시키고 지지볼트(33)를 이용한 한 대의 브레이크암(32)을 케이스(14)에 붙이면 제2실시형태의 선단부(13)을 조립할 수 있다.
선단부(13)를 조립한 후에는 중간기어(29)와 구동기어(12)를 결합시키면서 선단부(13)를 본체부(10)에 합치면 된다.
이 제2실시형태의 제거장치(M2)는 전극팁(4)의 제거시에 먼저 전극팁(4)을 회전기반(47)의 삽입공(47a)내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전극팁(4)에 회전기반(47)을 외장시키고, 이어서 본체부(10)내의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구동기어(12)와 중간기어(29)를 이용해서 도 14,15에 나타난 것처럼 회전기반(47)을 회전중심(X)로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정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14,15에 나타난 것과 같이 회전기반(47)의 각 잠식용 가압면(47c)이 각 조편(爪片)(45)의 凸부분(45c)와 측면(45d)에 밀착되어 지지축(45g)을 회전중심으로 각 조편(爪片)(45)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리고 도16에 나타난 것처럼 각 조편(爪片)(45)을 잠식영역까지 회전시킬수 있기 때문에 각 조편(爪片) (45)의 선단(45b)과 전극팁(4)이 삽입공(47a)안에서 유지가능하도록 전극팁(4)의 외주면에 잠식시킨다.
이상태에서 특히, 회전기반(47)이 정회전되면서 각 조편(爪片)(45)의 선단(45b)과 전극팁(4)이 중심방향측으로 향하는 모습이 되어 전극팁(4)이 깊이 파여서 각 조편(爪片)(45)의 잠식저항이 증대된다. 그러면 각 조편(爪片)(45)이 회전하기 어렵게 되어 회전기반(47)의 회전토크가 각 조편(爪片)(45)의 지지부위인 회전작용면(41d,42d)에 작용해 유지부재(40)는 브레이크암(32)의 회전제동력에 저항하여 회전기반(47)과 함께 정회전 하게 된다.
이때, 유지부재(40)는 각 조편(爪片)(45)을 삽입공(47a)안에 유지한 상태로 회전하기 위하여 전극팁(4)과 회전기반(47)의 정회전 방향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전극팁(4)이 조금이라도 회전하면 생크(Shank)(1)의 테이퍼측(3)과의 전극팁(4)의 맞물리는 상태가 해제된다. 이 때문에 그후 본체부(10)와 함께 선단부(13)를 생크(Shank)(1)의 선단측인 아랫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전극팁(4)을 생크(Shank)(1)로 부터 제거할 수 있다.
그후 선단부(13)를 도시하지 않고 회수상자의 윗방향에 배치시킨 후 본체부(10)측의 구동모터를 역구동시켜 회전기반(47)를 회전중심(X)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역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17에 나타난 것처럼 회전기반(47)의 각 여유공간용 가압면(47d)이 각 조편(爪片)(45)의 凸부위(45e)와 측면(45f)에 당접하고 지지축(45g)를 회전중심으로 한 각 조편(爪片)(45)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각 조편(爪片)(45)의 선단(45b)가 삽입공(47a)내부에서의 전극팁(4)유지를 해소할 여유공간영역으로 배치시킨다.
그러면 전극팁(4)은 각 조편(爪片)선단(45b)의 잠식이 해제되어 회전기반 (47)의 삽입공(47a)으로 부터 떨어져 회수상자에 들어가게 된다.
즉, 이 회전기반(47)의 역회전도 조편(爪片)(45)의 잠식저항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의 회전이고 유지부재(40)는 제동면(41f)에 브레이크암(32)의 가압판부 (32a)회전제동력이 작용되고 있기 때문에 회전하지 않고 회전기반(47)의 역회전으로 조편(爪片)(45)만이 여유공간영역에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 아랫방향의 생크(Shank)(2)의 전극팁(4)도 선단부(13)를 외장시켜 회전기반(47)을 정회전시킨후 선단부(143)를 소정위치에 이동시키고 회전기반(47)을 역회전시키면 윗방향의 생크(Shank)(1)의 전극팁(4)과 같은 모양으로 회수상자에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형태의 제거장(M2)으로도 전극팁(4)부근에 배치시킨 부위가 회전기반(47), 조편(爪片)(45)을 유지한 유지부재(49), 이것들을 수납한 케이스 (14) 및 브레이크암(32)등이고 특히 전극팁(4)를 제거할 때의 회전기구 자체가 제거한 전극팁(4)을 유지하는 기구로서 겸용이기 때문에 얇게 구성되어 생크(Shank) (1,2) 사이의 좁은 부위에 결합된 전극팁(4)으로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 제거작업시에는 단순히 각 조편(爪片)(45)의 선단(45b)을 전극팁(4)에 먹히게 할뿐이고 충돌하는 듯한 충돌음은 발생하지 않고 작업시의 소음발생을 극히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실시형태에서도 유지부재(40)를 회전기반(47)에 관통하도록 배치시킴과 동시에 평판부(41)의 단부(41f)를 회전기반(47)부터 돌출시켜 유지부재(40)에 부가시키는 회전제동력을 그 외주면(41f)에 마찰저항을 가하도록 압축코일스프링(34)을 이용한 외주면(41f)에 압압된 브레이크암(32)에 의해 발생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브레이크암(32)을 외주면(41f)의 높이치수 이내로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브레이크암(32)이외의 브레이크장치(31)을 준비하고 있어도 제거장치(M2)에 대해 전극팁(4)의 근접부위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한층 생크(Shank)(1,2)사이의 좁은 부위에 끼워맞춤한 전극팁(4)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제2실시형태로도 각 조편(爪片)(45)을 회전기반(47)의 삽입공(47a)의 내주면의 부위에 방사상으로 3개소에 배치시키고 있다. 그때문에 전극팁(4)에 조편(爪片)(45)의 선단(45b)을 잠식시킬 때 각 조편(爪片)선단(45b)이 전극팁(4)의 주방향으로 약 균등하게 전극팁(4)에 잠식되게 되고 전극팁(4)의 기울기를 억제하여 생크(Shank)(1,2)에 테이퍼축(3)의 변형을 극히 감속시킬수 있다.
즉, 제2실시형태에서 조편(爪片)(45)을 회전기반(47)의 삽입공(47a)의 내주면 부위에 방사상으로 3개소 배치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지만 삽입공(47a)내주면의 부위에 방사상으로 4개소 이상 설치되어도 좋다.
또, 제1실시형태의 변형상태로 해도 제2실시형태의 것에 비교해 선단(45b)을 조금 길게 돌출시킨 조편(爪片)(45)을 한 개로 해서 그 조편(爪片)(45)에 대응하는 삽입공(47)의 내주면의 부위에 전극 팁의 조편(爪片)선단 잠식시 전극팁(4)의 외주면을 압접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1실시형태의 변형을 예를 들면, 제2실시형태의 조편(爪片)(45)을 두개 사용하여 남은 조편(爪片)(45)의 부위 凹부(45b)를 없애고, 충전된듯한 부위에 전극팁으로의 조편(爪片)선단이 잠식시킬때 전극팁(4)의 외주면을 압접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제1,2실시형태의 유지부재(20,40)에 대응하는 브레이크암(32,32)의 회전제동력에 관하여 조편(爪片)(25,45)의 선단(25b,45b)과 전극팁(4)으로 깊에 파먹어 조편(爪片) (25,45)의 잠식저항이 증대하고, 조편(爪片)(25,45)이 회전하기 어렵게 되어 회전기반(27,47)의 회전토크가 조편(爪片)(25,45)의 지지부위인 회전작용면 (21d,22e,41d,42d)에 작용하여 유지부재(20,40)는 브레이크암(32)의 회전제동력에 저항하고, 회전기반(27,47)과 함께 정회전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조편(爪片) (25,45)의 선단(25b,45b)과 전극팁(4)의 중심방향에 완전하게 향하기 전에(전극팁 (4)에 제일 먼저 택하기전)유지부재(20,40)는 회전기반(27,47)과 함께 정회전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브레이크암(32)의 회전제동력이 너무 크게 되지 않게 하도록 스프링(34)의 받침력으로 조정해둘 필요가 있다.
본 개발에 관계하는 제거장치는 전극팁과의 제거시, 먼저 전극팁을 회전기반의 삽입공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전극팁에 회전기반을 외장시켜 회전기반을 정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기반의 잠식용 가압면이 조편(爪片)의 선단에 당접한 조편(爪片)을 잠식영역까지 회전시키는 일부터 조편(爪片)의 선단이 전극팁을 삽입공 내에서 유지가능하게 전극팁의 외주면에 잠식한다.
즉, 유지부재가 조편(爪片)을 전극팁에 잠식시켜 전극팁을 삽입공 내에서 유지한 상태로 조편(爪片)과 함께 회전하기 위하여 전극팁이 회전기반의 정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전극팁이 조금이라도 회전하면 생크(Shank)의 테이퍼축과 전극팁의 끼워맞춤상태가 해제된다. 그 때문에 그후에 회전기반과 유지부재 등을 생크(Shank)의 선단측에 이동시키면 전극팁을 생크(Shank)로 부터 제거할 수 있다.
그후 회전기반과 유지부재 등을 소정위치에 배치한 후, 회전기반을 역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기반의 여유공간용 가압면이 조편(爪片)에 당접해서 여기에 조편(爪片)을 회전시키면 조편(爪片)의 선단이 삽입공 내의 전극팁의 유지를 해소할 여유공간영역에 배치되어 전극팁은 회전기반의 삽입공으로 부터 낙하해서 소정위치에 수용할 수 있다. 즉, 이 회전기반의 역회전은 조편(爪片)의 결소저항이 저감되는 방향의 회전이고, 유지부재는 회전제동력을 받아 회전하지 않고, 회전기반만이 역회전해서 조편(爪片)이 여유공간영역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계한 제거장치는 전극팁 부근에 배치된 부위가 회전기반, 조편(爪片)을 유지한 유지부재 등이고 또한 전극팁을 떼어내는 부근의 회전기구자체가 제거한 전극팁을 유지하는 기구와 겸용이기 때문에 얇게 구성가능하고, 생크(Shank)사이의 좁은 부위에 끼워맞춤된 전극팁으로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 제거작업시에는 간단하게 조편(爪片)을 전극팁에 잠식시키기만 하고, 충돌음이 발생하지 않고 작업시 소음발생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그래서 유지부재를 회전기반에 삽입하도록 배설시킴과 동시에 단부를 회전기반으로 돌출시켜 유지부재에 첨가하는 회전제동력이 유지부재에 대해 회전기반으로 돌출한 외주면에 마찰저항을 줄 수 있도록 받침수단에 의해 유지부재 외주면에 압압되는 브레이크 아암에 자주 발생되는 구성이라고 하면 브레이크아암을 유지부재의 두께 이내로 억제할 수 있게 되고, 특히 브레이크 암 이외의 브레이크장치의 부위를 전극팁의 근방부위로 부터 떨어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암장치를 설치했다고 해도 제거장치에 대하여 전극팁의 근방부위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얇게 할수 있게 되어 한층 생크(Shank)사이의 좁은 부위에 끼워맞춤된 전극팁으로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여기에 조편(爪片)을 하나로 해서 유지부재 혹은 회전기반의 삽입공의 내경치수를 조편(爪片)의 잠식영역으로의 배치할 경우, 그 삽입공의 내주면에 대하여 조편(爪片)과 대향하는 부위에 조편(爪片)으로 압압시킨 전극팁을 외주면을 압접 가능한 수치로서 설정한 경우에는 유지부재 혹은 회전기반의 삽입공 내부에서의 전극팁의 유지가 조편(爪片)의 선단과 전극팁에 당접하는 삽입공 내부면 부위와의 대향하는 두 개의 점으로 협지함과 동시에 한편을 전극팁에 잠식시킨 모양으로 하기 위하여 안정한 전극팁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조편(爪片)의 잠식영역으로의 배치시에 삽입공의 내주면에 조편(爪片)과 대향하는 부위에 凹부를 형성하면 전극팁의 유지시 조편(爪片)선단과 함께 그 凹부위의 테두리 凸부도 전극팁에 잠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한층 한정한 전극팁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조편(爪片)을 삽입공의 내주면의 부위에 세곳이상 방사장에 배설된 경우에는 전극팁에 조편(爪片)을 잠식시킬때에 각 조(爪)의 선단이 전극팁의 외주면의 주방향으로 약균등(略均等)하게 전극팁에 잠식시키기 때문에 전극팁의 기울기로 인한 생크(Shank)의 테이퍼의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저항용접기의 생크(Shank)에 의한 테이퍼축에 끼워맞춤된 전극팁을 회전시켜 제거하는 전극팁의 제거장치로, 정회전, 역회전 가능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회전중심에 상기 전극팁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을 갖춘 회전기반과,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삽입공의 축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갖추어 회전시 상기 삽입공 내의 상기 전극팁을 유지가능하게 선단을 상기 전극팁의 외주면에 잠식시키는 영역과, 상기 삽입공 내에서의 전극팁의 유지를 해소가능하게 선단을 상기 전극팁의 외주면으로 부터 이탈시킨 여유공간영역과, 여기에 각각 배치가능하게 유지시키는 조편(爪片)과, 상기 회전기반과 일치하는 회전중심을 갖춤과 함께 해당 회전중심의 상기 전극팁이 삽입 가능한 삽입공을 갖추어 상기 조편(爪片)을 회전가능하게 유지함과 함께 상기 회전기반과 상대 회전가능하고 또한 회전제동력을 받아 회전가능하게 유지시키는 유지부재를 갖추어 상기 회전기반이 정회전시 상기 조편(爪片)을 상기 잠식영역까지 압압시켜 회전시키는 잠식용 가압면과, 역회전시 상기 조편(爪片)을 여유공간영역까지 압압해서 회전시키는 여유공간용 가압면을 갖추어, 상기 유지부재로의 회전제동력이 상기 조편(爪片)의 잠식영역으로 배치될 때 상기 조편(爪片)의 잠식저항의 증대시 상기 조편(爪片)의 지지부위를 회전작용면으로서 상기 회전기반의 정회전 회전토크를 받아, 상기 회전기반과 함께 상기 유지부재를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크기로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극팁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가 상기 회전기반을 삽입하도록 배설됨과 동시에 단부를 상기 회전기반부터 돌출시켜 상기 유지부재에 부가시키는 회전제동력이, 상기 유지부재에 대하여 상기 회전기반으로 부터 돌출한 외주면에 마찰저항을 주도록 받침수단에 의해 상기 유지부재 외주면에 압압되는 브레이크암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 전극팁 제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편(爪片)이 하나로서 상기 유지부재와 같게 함은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에 대하여 상기 조편(爪片)과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조편(爪片)으로 압압된 상기 전극팁의 외주면을 압접가능한 치수로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극팁 제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편(爪片)의 잠식영역으로 배치할 때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의 상기 조편(爪片)과 대향하는 부위에 凹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극팁 제거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편(爪片)은 삽입공의 내주면 부위에 세 개의 방사장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극팁 제거장치.
KR1019990019709A 1998-07-01 1999-05-31 전극팁 제거장치 KR1003188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86451 1998-07-01
JP18645198A JP3680154B2 (ja) 1998-07-01 1998-07-01 電極チップの抜き取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276A KR20000011276A (ko) 2000-02-25
KR100318855B1 true KR100318855B1 (ko) 2001-12-29

Family

ID=1618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709A KR100318855B1 (ko) 1998-07-01 1999-05-31 전극팁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88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8804A (ko) * 2015-09-15 2017-07-07 가부시키가이샤 팁맨 회전교환장치
US10427240B2 (en) 2016-10-07 2019-10-01 Obara Korea Corporation Tip changer for spot welding machin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2945A (ja) * 1992-10-30 1994-05-24 Akihiro Saito 電極チップの抜き取り装置
JPH06170553A (ja) * 1992-12-03 1994-06-21 Daihatsu Motor Co Ltd スポット溶接電極の自動交換装置
JPH07100663A (ja) * 1993-10-06 1995-04-18 Kanto Auto Works Ltd 電極チップの自動抜取り装置
JPH08281449A (ja) * 1995-04-06 1996-10-29 Kiyokutoo:Kk 抵抗溶接用電極チップの抜取り装置
JPH0929458A (ja) * 1995-07-18 1997-02-04 Toyota Motor Corp スポット溶接ガンの電極チップ交換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2945A (ja) * 1992-10-30 1994-05-24 Akihiro Saito 電極チップの抜き取り装置
JPH06170553A (ja) * 1992-12-03 1994-06-21 Daihatsu Motor Co Ltd スポット溶接電極の自動交換装置
JPH07100663A (ja) * 1993-10-06 1995-04-18 Kanto Auto Works Ltd 電極チップの自動抜取り装置
JPH08281449A (ja) * 1995-04-06 1996-10-29 Kiyokutoo:Kk 抵抗溶接用電極チップの抜取り装置
JPH0929458A (ja) * 1995-07-18 1997-02-04 Toyota Motor Corp スポット溶接ガンの電極チップ交換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8804A (ko) * 2015-09-15 2017-07-07 가부시키가이샤 팁맨 회전교환장치
KR101963438B1 (ko) * 2015-09-15 2019-03-28 가부시키가이샤 팁맨 회전교환장치
US10427240B2 (en) 2016-10-07 2019-10-01 Obara Korea Corporation Tip changer for spot weld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276A (ko) 200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871874U (zh) 一种用于激光焊接圆盘形零件的夹具装置
JPH0686021B2 (ja) 溶接ガンの電極チップ交換装置
JP3142629U (ja) 旋盤用加工物保持治具
AU674438B2 (en) Cutter shell
KR100318855B1 (ko) 전극팁 제거장치
JP2004025429A (ja) モジュールに収容された工具保持アームの接続装置
JP5509319B2 (ja) 締結工具
US6186710B1 (en) Method for rotationally driving gear material when hob machining is performed and gear
JP4519672B2 (ja) 雌雄ネジ機構及びネジ回し
JPH0639002B2 (ja) 開先加工用のカツタ−
US4583890A (en) Taper adapt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3788851B2 (ja) チップドレッサー
JP7014331B1 (ja) チャック及び工作機械
JPH08257813A (ja) チャック
JP2670082B2 (ja) 旋削用バイト
JP2985629B2 (ja) スプライン嵌合ソケット
JP4140505B2 (ja) カッタホルダ及びそれを備えたチップドレッサ装置
JP2003089071A (ja) 回転工具のビット取付装置
JP4774689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のクランプ機構
JPH07279193A (ja) 作業機具の取付け装置
JP3361963B2 (ja) 工具装置
JPH0437688Y2 (ko)
JPH0649660Y2 (ja) コニカルビット
JP4385499B2 (ja) ピンミラーカッタの取付機構
KR20230139893A (ko) 전동차 기어박스 엔드플레이용 레비니스 커버 단차 가공지그 및 이를 이용한 단차 가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