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8826B1 - 탄성 포장체 - Google Patents

탄성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8826B1
KR100318826B1 KR1019990047441A KR19990047441A KR100318826B1 KR 100318826 B1 KR100318826 B1 KR 100318826B1 KR 1019990047441 A KR1019990047441 A KR 1019990047441A KR 19990047441 A KR19990047441 A KR 19990047441A KR 100318826 B1 KR100318826 B1 KR 100318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layer
resin emulsion
resin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5110A (ko
Inventor
나카무라카즈야
미야모리켄이치
미야타케이사무
이와타후지오
Original Assignee
정진호
이와타 후지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호, 이와타 후지오 filed Critical 정진호
Publication of KR20000035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8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5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road constr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50Flexible or elastic materials
    • C04B2111/503Elastic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의 다리 및 허리에 미치는 부담을 경감시켜 운동하기에 적합한 포장면을 부여하고, 또한 대형 차량의 통행을 견딜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부여하는 탄성 포장체 및 그 포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포장체는 피포장기반 상의 하지층 위에 수지 에멀젼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결합제와 골재를 주체로 하여 수경화성 재료를 혼합한 탄성 컴파운드층을 형성하며, 건조경화 후 해당 탄성 컴파운드층의 연신율은 3 내지 400% 범위 내로 설정하고, 또한 그 층 두께를 5 내지 50mm 범위 내로 설정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성 포장체{An elastic pavement}
본 발명은 보도(步道)나 광장, 운동장 등의 포장면의 내구성 및 탄성을 향상시키는 포장체(鋪裝體)에 관한 것이다.
근래, 노면의 내구성이나 환경 적성을 높이기 위해, 적당한 탄성을 갖는 노면 포장체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탄성 포장체로는 시멘트나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주체로 하여 각종 골재와 이들 골재를 상호 접착시키는 합성수지 결합제를 함유한 것을 들 수 있다. 합성수지 결합제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포장체는 다소의 탄성을 갖게 된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탄성 포장체는 기계적 강도나 내마모성이 요구되는 환경 하에서는 충분히 기능할 수 있는 것이지만, 운동장이나 조깅 코스 등과 같이 인체의 다리 및 허리에 미치는 부담을 경감시킬 정도로 유연한 탄성을 얻을 수 없었다.
한편, 이와 같은 탄성을 포장체에 부여하는 것으로서는, 본 출원인 등에 의한 일본특허공개공보 소63-7404호(이하, '공보'라 함)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공보에는 경질입상(硬質粒狀) 골재, 연탄성(軟彈性) 골재 및 이들 골재끼리 상호 결합하는데 충분한 양의 합성수지 결합제를 혼련(混練;mulling)하여 레진 콘크리트로 만들며, 이 레진 콘크리트를 피포장 기반 표면에 도포하여 경화시키고, 이 기반상에 골재끼리 결합수지로 상호 결합되어 된 투수성 다공질의 탄성 레진 콘크리트층을 형성한 포장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탄성 레진 콘크리트층은 그 기계적 강도가 낮으며, 그 층 위를 대형 차량 등의 중(重)하중이 통과하면 변형되기 쉽기 때문에 테니스 코트 등의 용도에 한정된 것이었다.
또한, 다른 탄성 포장체로서, 포틀랜드 시멘트 모르타르에 유리 섬유와 합성수지 에멀젼을 시멘트량에 대해 5∼20% 혼입(混入)한 강화 모르타르를 피포장 기반상에 부설한 것도 있지만, 시멘트 모르타르의 수축이 크기 때문에 유연한 탄성을 얻기 어렵다. 또한, 상기 강화 모르타르 대신에 아스팔트 콘크리트나 합성 고무를 혼입한 강화 아스콘도 탄성 포장체 재료로서 시도되었지만, 유연한 탄성을 얻을 수는 없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탄성 포장체에 두가지 특성, 즉 기계적 강도와 유연한 탄성을 모두 부여하는 것은 어려웠다. 또한, 모든 탄성 포장체에 대해 말할 수 있는 것은, 하지(피포장 기반)에 전압(轉壓;rolling compaction) 등을 실시하여 이 하지를 충분히 고르게 한 후에 포장을 실시하지 않으면, 하지면과 표층 사이에 틈이 발생하거나 포장체에 홈이나 변형이 발생한 채 회복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포장체 표층의 유연성이 높을수록 발생하는 현상이기도 하다. 예를 들면, 공사 현장 등의 차량 출입구측 노면에는 트럭 등 대형차량의 타이어로 인한 바퀴 하중의 유동(流動)이 원인이 되어 움푹 패인 바퀴자국이 생기기 쉽다. 상기 탄성 포장체를 사용했을 때, 이와 같은 움푹 패인 바퀴자국으로 인한 노면의 결락부(缺落部)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결락부 주변의 노면을 벗겨내고, 평탄하게 고른 하지면 위에 포장해야만 하므로, 이 포장 공사에 시간과 노력이 들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한 것으로, 피포장 기반인 하지를 충분히 고르지 않고도 포장이 가능하며, 포장체 표층에 변형이나 홈이 발생하더라도 회복 가능하고, 인체에 미치는 부담을 경감시켜 운동하기에 적합한 유연한 탄성을 가지며, 대형 차량의 통행을 견딜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부여하는 탄성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탄성 포장체는, 하지층 위에, 수지에멀젼과 골재를 주체로 하여 수경화성 재료를 혼합한 탄성 컴파운드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수지 에멀젼의 수분을 증발시키거나 또는 상기 수경화성 재료를 상기 수분과 수화(水和)반응시킴으로써 상기 수분을 제거하고 또한 상기 골재를 합성수지결합제로 상호 결합하여, 해당 탄성 컴파운드층의 연신율을 3∼400%의 범위 내로 설정하고, 그 층 두께를 5∼50mm 범위 내로 설정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탄성 컴파운드층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골재로서, 평균 입경(粒徑)이 0.1∼15.0m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지 에멀젼의 배합량으로서는 상기 골재의 100중량부(重量部)에 대해, 3∼50 중량부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수경화성 재료의 배합량으로서는 수지 에멀젼 배합량의 200% 이하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지 에멀젼 중의 수분 함유량은 40∼60중량%의 범위 내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바람직한 수지 에멀젼으로서는 올레핀계 수지 에멀젼, 아크릴계 수지 에멀젼을 들 수 있으며, 고무계 수지 에멀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하지층의 탄성 변형에 탄성 컴파운드층을 용이하게 추종 변형시키기 위해서는 아크릴계 수지 등을 구성성분으로 하는 점착성 수지 에멀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경화성 재료로는 구체적으로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포장체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포장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지층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지층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지층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지층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지층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포장체의 응용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탄성체 2: 피포장기반
3 : 하지층 4 : 탄성 컴파운드층
5 : 탄성 포장체 6 : 탄성 컴파운드층
7 : 하지면 8 : 하지층
10 : 하지층 11 : 율석층(栗石層:cobble layer)
12 : 크러셔 런(crusher run)이나 토사 등으로 이루어진 층
13 : 하지층 14 : 모래층
15 : 크러셔 런(crusher run)이나 토사 등으로 이루어진 층
6 : 하지층 17a : 목재나 철판, 암석 등의 혼합물
17b : 콘크리트 18 : 하지층
19 : 콘크리트층 20 : 방수층
21 : 합성수지 발포체층 22 : 하지층
23 : 아스팔트 콘크리트층 23a : 결락부(缺落部)
24 : 하지층 25 : 주상물체(柱狀物體)
26 : 탄성 컴파운드층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표적인 여러 가지 실시형태에 대해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포장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탄성 포장체(1)는 천연 또는 인공 지반인 피포장기반(2) 위에 하지층(3)을 형성하고, 상기 하지층(3) 위에 수지 에멀젼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결합제와 골재를 주체로 하여, 포틀랜드 시멘트 등의 수경화성 재료를 혼합한 탄성 컴파운드층(4)을 형성하며, 이 탄성 컴파운드층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증발시키거나 또는 상기 수경화성 재료를 그 수분과 수화반응시킴으로써 상기 수분을 제거하고, 또한 상기 골재를 합성수지 결합제로 상호 결합하여, 이 탄성 컴파운드층의 연신율을 3∼4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0%의 범위 내로 설정하고 또한 그 층 두께를 5∼50mm의 범위 내로 설정한 것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탄성 포장체(5)는 천연의 피포장지반 등의 하지층(8)의 거친 하지면(7) 위에 직접 상기 탄성 컴파운드층과 동일한 구성의 탄성 컴파운드층(6)을 그 층 두께가 5∼50mm 범위 내가 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컴파운드층은 거친 하지면과도 밀착 접합할 수 있기 때문에 탄성 컴파운드층과 하지층 사이에 어긋남이나 박리가 발생하기 어려우며, 뛰어난 내구성을 갖게 된다.
상기 골재로서는 평균 입경이 0.1∼15.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0.0mm인 것, 구체적으로는 그레인 사이즈(粒度)를 조정한 야산 모래나 하천 모래, 쇄석(碎石), 자갈, 규사, 분쇄 유리 등을 이용한다. 또한, 골재 상호간의 결합력을 조정하여 상기 연신율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골재의 100 중량부에 대해, 수지 에멀젼을 3∼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2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 중량부 범위내에서 배합하고, 상기 수경화성 재료를 상기 수지 에멀젼 배합량의 2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로 배합한다. 또한, 형성후의 탄성 컴파운드층에 탄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투수성도 부여할 경우에는 상기 수지 에멀젼의 배합량을 억제하여 층중의 공극률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에멀젼의 배합량이 3중량부 미만에서는 골재 상호간의 결합력을 충분히 높일 수 없기 때문에 층이 위태로워지며, 한편 그 배합량이 50중량부를 넘어 과잉이 되면, 탄성 컴파운드층 중의 수지가 차지하는 비율이 너무 높아져서 층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다. 또한, 상기 수지 에멀젼의 배합량이 15중량부를 넘으면, 층중의 공극률이 낮아져서 연속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층의 투수성을 만족하게 확보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수지 에멀젼중의 수분 함유율은 40∼60 중량%, 특히 40∼50 중량 %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수분 함유율이 60 중량%를 넘으면, 수경화성 재료를 다량으로 이용하지 않으면 탄성 컴파운드층을 경화시키는 것이 어려우며, 수경화성 재료를 다량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유연한 탄성을 얻을 수 없다.
상기 수지 에멀젼중의 수분과 수화반응시키는 수경화성 재료로서는, 저가이면 구입하기 쉬운 점 때문에, 포틀랜드 시멘트나 백색 시멘트가 바람직하지만, 실리카 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및 엔트린 가이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가소성을 향상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첨가제로서 DBP(디 부틸 프탈레이트) 등의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가소제는 환경 오염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제조물 책임을 묻게 되는 원인이 되며, 또한 가소제는 수지 에멀젼의 안정성을 손상시키는 원인이 되기 쉬우므로 가능하면 사용하지 않는 편이 좋다.
이렇게 해서 얻어지는 탄성 컴파운드층은 그 위를 중하중이 통과하였다 하더라도 용이하게 변형, 회복할 수 있는 탄성(연신율, 굽힘 탄성율)을 가지므로 갈라지거나 박리(剝離)되는 일이 없으며, 양호한 기계적 강도를 갖게 되고, 또한 거친 하지면과도 밀착접합하므로, 미리 하지면을 전압(轉壓)하는 등의 안정화를 도모할 필요가 없다.
상기 합성수지 에멀젼의 구성수지로서는 내수성이나 내후(耐候)성, 골재간의 접착력 면에서 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또는 이들 공중합(共重合) 수지 또는 고무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양호한 탄성을 갖는 VAc(초산 비닐 수지; 코니시(주)제의 상품명 「본드」등), 초산 비닐 수지를 에틸렌으로 개질한 EVA 수지(에틸렌-초산 비닐 공중합 수지; (주)클라레제의 상품명 「삼프렉스」등)가 바람직하고, 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에스테르 치환기로서 에칠기, 메틸기, 부틸기 또는 2-에틸 헥실기를 사용한 아크릴산 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acrylate) 수지, 예를 들면 AcSt 수지(아크릴-스티렌 공중합수지; 미쯔비시 화학 BASF(주)제의 상품명 「아크로날 S-400」등)가 바람직하고, 고무계 수지로서는 양호한 내수성을 갖는 SBR(스티렌 부타디엔 러버(styrene-butadiene rubber);(주) 이텍크제의 상품명 「토마크수퍼」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를 유화중합(乳化中合)에 의해 폴리머 입자로서 수중에 유탁(乳濁) 형태로 분산시킴으로써 수지 에멀젼을 얻을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컴파운드층의 배합 예를 표 1에 나타내고, 표 2에는 표 1에 따라 각종 합성수지를 배합하였을 때의, (1) 합성수지 에멀젼의 구성수지 자체 연신율, (2) 건조 경화후 탄성 컴파운드층의 연신율, (3)건조경화후 탄성 컴파운드층의 압축강도의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표 1에 있어서, 모래와 합성수지 에멀젼의 구성 수지와는 1:1의 중량비로 배합되어 있다.
모래 (평균입경 3 mm) 200 중량부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
합성수지 에멀젼 50 중량부
(20℃의 환경 하에서)
합성수지의 종류 수지의 연신률 층의 연신률 압축강도(kgf/cm2)
아크릴부틸 수지 150% 5% 60
2-에틸헥실아크릴 수지 200% 8% 45
아크릴스티렌 수지 800% 200% 80
SBR 500% 10% 40
초산비닐수지(DBP10 중량% 배합) 60% 4% 80
EVA 800% 20% 120
특히, 유연한 하지층에 대해 추후 변형을 가능하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수지 에멀젼으로 하여, 상기 아크릴계 수지를 수지 성분으로서 포함하며, 점착성(粘着性)을 향상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탄성 컴파운드층의 배합 예를 표 3에 나타낸다. 그 합성수지 에멀젼의 구성 수지로는 상기 표 2에 나타낸 것을 사용하였다. 이 때, 배합 직후에 건조 경화전의 탄성 컴파운드의 점성은 20℃의 환경하에서 10,000 ∼40,000cps(센티포이즈)였다. 이 점성 값은 탄성 컴파운드층을 흙손이나 레이크 (rake)봉으로 용이하게 시공하는 것에 적합한 것이었다.
모래 (평균입경 3mm) 100 중량부
포틀랜드 시멘트 7.5 중량부
합성수지 에멀젼 15 중량부
이어,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컴파운드층에 적합한 하지층을 이하에 설명한다. 하지층의 구성 재료로서는 콘크리트, 아스팔트 콘크리트, 합성수지 발포체, 방수층, 목재, 철 및 크러셔 런(crusher run)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하지층의 구성예를 도 3 내지 도 7에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하지층(10)은 피포장기반(도시되지 않음)위에 직경 64∼256mm정도의 율석층(11; 栗石層)을 형성하고, 이 율석층(11) 위에, 피포장기반으로 균일하게 하중을 전달하기 위한 암석 또는 옥석 등을 파쇄기로 부순 체질하지 않은 분쇄 등의 크러셔 런 및 토사 등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층(12)을 형성하며, 이 층(12)을 로울러 등을 이용하여 전압하고 고른 것이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하지층(13)은 모래층(14)을 전압하여 고른 후에, 크러셔 런(crusher run) 및 토사 등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층(15)을 형성하고, 이 층(15)을 로울러 등을 사용하여 전압(轉壓)함과 동시에 표층(15)에 합성수지 에멀젼을 살포하고, 상기 혼합물을 상호 수지결합한 것이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하지층(16)은 목재나 철판, 암석 등의 혼합물 (17a),......을 콘크리트(17b)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한 것이다. 이 콘크리트(17b) 대신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6(a)에 나타낸 하지층(18)은, 콘크리트층(19) 위에 스티롤 폼 등으로 이루어진 방수층(20)을 형성한 것이다. 도 6(b)는 도 6(a)에 나타낸 방수층(20) 위에 또다시 우레탄 폼 등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발포체층(21)을 형성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하지층은 방수나 단열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나, 옥상주차장 등의 바닥면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하지층(22)은 아스팔트 콘크리트층(23)에 결락부(23a)가 생긴 것이다. 상기 탄성 컴파운드층은 이와 같은 결락부에서도 박리 등이 발생하지 않고 하지층과 접합한다.
또한, 탄성 컴파운드층의 매몰을 막을 경우에는 상기 하지층과 탄성 컴파운드층과의 경계면에 비교적 경량의 망(網)형상의 보강체를 배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보강체로서는 금속, 유리 섬유, 합성수지 및 카본 섬유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도 8(a)는 본 실시예를 상방에서 본 도면이며, 8(b)는 그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포장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지층(24) 위에 둥글고 두꺼운 주상물체(25; 柱牀物體), ....를 배설하면서, 그 주상 물체(25),....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컴파운드층(26)을 형성한 것이다. 골재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투수성이 양호한 포장체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주상물체의 크기 및 재질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주위의 경관을 해치지 않는 포장체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탄성 컴파운드층에 컬러 시멘트 밀크 등의 침투용 밀크를 혼합시키거나, 색성분을 갖는 모래를 혼합시키거나 함으로써 원하는 표면색을 갖는 포장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탄성 컴파운드의 경화 조건이 겨울철 기후불량 등에 의해 불량일 때에는 버너 등으로 그 표면을 가열하거나, 시멘트 가루나 생석회 가루 등을 그 표면에 얇게 살포하거나 하여 그 건조, 경화를 촉진시킬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포장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하지층은 지반상에 크러셔 런을 10cm 두께로 부설하고, 로울러로 전압(轉壓)한 층의 표면에, 수분 함유량을 50 중량%로 조정된 초산 비닐 수지 에멀젼(「본드 H-17」; 코니시(주)제)을 1 평방 미터당 1kg씩 살포하여 건조시킨 것이다. 또한, 탄성 컴파운드에는 하천 모래(평균 입경:2∼5mm)의 100중량부에 대해, 아크릴-스티렌 공중합 수지 에멀젼(「아크로날 S-400」; 미쯔비시 화학 BASF(주)제)을 15중량부, 포틀랜드 시멘트를 7.5 중량부 배합하여 혼련(mulling)하여 사용하였다. 하지층상에, 두께 2cm, 폭 4cm, 길이 3m의 철판 2개를 2m 간격으로 평행하게 두고, 이들 철판간의 하지층 위에 상기 탄성 컴파운드를 흘려 집어넣고, 평탄한 판으로 쓸어 절단하도록 컴파운드층을 형성하였다. 이 탄성 컴파운드층을 하루 동안 방치하여 경화시킨 후에 그 물성(物性)을 측정한 결과, 압축강도가 80kgf/cm2, 연신율이 200%이며, 하지층의 크러셔 런 위에 아스팔트 콘크리트와 같이 잘 융합되어 변형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탄성 컴파운드층 위에, 1평방 미터당 500g∼1,000g 정도의 하천 모래(입경 1∼3mm)를 살포하였더니 보행하기 매우 용이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의 탄성 컴파운드층 위에, 1평방 미터당 1000g의 규사(5∼6호)를 살포한 결과 넘어져도 기스가 잘 안나고, 테니스 코트나 교정(校庭)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한 포장체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게이트 볼장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1평방 미터당 2,000∼4,000g의 규사(5∼6호)를 살포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실시예 2
하지층은 이미 형성된 그라운드면의 요철부를 수정, 정지하고, 래머(rammer)로 전압(轉壓)한 층의 표면에, 보강 네트를 부설하고, 수분함유량을 50%로 조정한 에틸렌-초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젼(「삼플렉스」;(주)클라레제)을 1평방 미터당 1kg 살포하여 건조시킨 것이다. 또한, 탄성 컴파운드에는 하천 모래(평균 입경: 2∼5mm)의 100중량부에 대해, 아크릴-스티렌 공중합 수지 에멀젼(「아크로날 S-400」;미쯔비시 화학 BASF(주)제)을 15중량부, 포틀랜드 시멘트를 3중량부 배합하여 혼련(mulling)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하지층 위에, 상기 탄성 컴파운드를 흘려 집어넣고, 미장이 흙손으로 골라, 두께가 20mm인 탄성 컴파운드층을 형성하였다. 이 탄성 컴파운드층을 2일 동안 방치하여 경화시킨 후에 그 물성을 측정한 결과, 압축강도가 50kgf/cm2, 연신율이 200%이며, 하지층 위에 친숙해져서 변형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탄성 컴파운드층 위에, 1평방 미터당 1kg의 규사(5∼6호)를 살포하였더니, 표면 미끄럼이 양호해지고, 쿠션성, 굴삭성이 개선된 놀이기구 그네의 접지면에 적합한 탄성 포장체가 얻어졌다. 토대 콘크리트도 본 실시예의 탄성 컴파운드층으로 커버함으로서, 넘어졌을 때의 충격을 완화시키고, 또한 주변과의 조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자연사(自然砂)와 같은 느낌을 주는 탄성포장체를 얻을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탄성 포장체에 따르면, 하지층 위에 수지 에멀젼과 골재를 주체로 하여, 수경화성 재료를 혼합한 탄성 컴파운드층을 형성하고, 건조경화 후의 해당 탄성 컴파운드층의 연신율을 3∼400% 범위 내로, 그 층 두께를 5∼50mm의 범위 내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인체에 미치는 부담을 경감시켜 운동하기에 적합한 유연한 탄성을 얻으며, 대형 차량이 통행하는데 견딜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포장체의 하지층을 안정화해야만 한다는 사고 방식이 지배적이고 현실적이었던 반면, 본 발명의 탄성 포장체는 요철이 큰 거친 하지면이어도, 이 하지면에 밀착접합하는 탄성 컴파운드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평균 입경이 0.1∼15.0mm인 골재를 사용하고, 또한 상기 골재의 100중량부에 대해, 수지 에멀젼을 3∼50 중량부 배합하고, 수경화성 재료를 수지 에멀젼 배합량의 200% 이하로 배합함으로써, 하지층과의 접착이 양호하여, 층간의 어긋남이나 박리가 발생하기 어렵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상기의 유연한 탄성이나 기계적 강도 뿐만아니라 투수성을 균형있게 구비하는 것이 가능한 탄성 포장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에멀젼으로서, 특히 올레핀계 수지 에멀젼, 아크릴계 수지 에멀젼 또는 고무계 수지 에멀젼을 사용함으로써, 골재들간의 접착력이 종래에 비해 3∼15배가 되어, 내수성이나 내후성이 향상되고, 포장체의 내구성을 대폭 높인 탄성 포장체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8)

  1. 하지층 위에, 수지 에멀젼과 골재를 주체로 하여, 수경화성(水硬化性) 재료를 혼합한 탄성 컴파운드층을 형성하고, 상기 수지 에멀젼의 수분을 증발시키거나 또는 상기 수경화성 재료를 상기 수분과 수화(水和)반응시킴으로써 상기 수분을 제거하고 또한 상기 골재를 합성수지 결합제로 상호 결합하여, 해당 탄성 컴파운드층의 연신율을 3∼400%의 범위 내로, 그 층 두께를 5∼50mm의 범위 내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포장체.
  2. 제 1 항에 있어서,
    평균 입경이 0.1∼15.0mm인 골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포장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의 100 중량부에 대해 수지 에멀젼을 3∼50 중량부 배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포장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의 100 중량부에 대해 수지 에멀젼을 3∼50 중량부 배합하고, 수경화성 재료를 상기 수지 에멀젼 배합량의 200% 이하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포장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에멀젼중의 수분함유율이 40∼6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포장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에멀젼으로서 올레핀계 수지 에멀젼, 아크릴계 수지 에멀젼 또는 고무계 수지 에멀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포장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에멀젼으로서 점착성 수지 에멀젼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포장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화성 재료로서 시멘트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포장체.
KR1019990047441A 1998-11-10 1999-10-29 탄성 포장체 KR1003188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18831? 1998-11-10
JP31883198A JP3380758B2 (ja) 1998-11-10 1998-11-10 弾性舗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110A KR20000035110A (ko) 2000-06-26
KR100318826B1 true KR100318826B1 (ko) 2002-01-04

Family

ID=18103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441A KR100318826B1 (ko) 1998-11-10 1999-10-29 탄성 포장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380758B2 (ko)
KR (1) KR1003188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110A (ko) 2000-06-26
JP2000144611A (ja) 2000-05-26
JP3380758B2 (ja) 2003-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050B1 (ko) 폐시멘트콘크리트 재생골재를 사용한 아스콘 도로포장방법및 블록제조방법
EP1004704A1 (en) Mixture for flexible pavement usable at ordinary temperature
CN109736167A (zh) Stp单组分湿固化无溶剂聚氨酯健身步道
KR101167279B1 (ko) 슬래그볼 및 우레탄 바인더 혼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보도 및 자전거도로 포장시공방법
KR100318826B1 (ko) 탄성 포장체
KR100874496B1 (ko) 제강슬래그가 혼합된 도로 포장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도로 흙포장방법
JPS5929726B2 (ja) 柔軟性を有する透水性舗装体
JP4387995B2 (ja) 瓦舗装材
JP2006169830A (ja) 弾性舗道の施工方法
JP4361477B2 (ja) 法面や路面の被覆方法及び法面や路面の被覆構造
JP2544970B2 (ja) 硬化性土壌組成物及び土壌硬化工法
KR100907751B1 (ko) 콩자갈을 이용한 포장방법
JPH02266005A (ja) 水硬性簡易舗装方法
KR0134989B1 (ko) 세립도 투수 콘크리트의 박층 포장방법
KR100424453B1 (ko) 석분을 이용한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JP2005256387A (ja) 自然舗装道、自然舗装道用の舗装材及び舗装方法
KR100673055B1 (ko) 투수형 다목적 포장재
KR20140011201A (ko) 흙포장 조성물을 이용한 흙포장 시공방법.
JP4310782B2 (ja) 透水性舗装材組成物および舗装方法
KR20010067731A (ko) 생명수를 저장하는 탄성체 투수콘크리트 포장방법
JPH11310445A (ja) 透水性弾性舗装用材料、透水性弾性舗装体、及び透水性弾性舗装用敷設板
KR200241523Y1 (ko) 생명수를 저장하는 탄성체 투수콘크리트 포장구조
KR100916938B1 (ko) 내구성이 뛰어난 친환경 탄성 황토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의 포장방법
CN206859047U (zh) 混凝土钢桥面铺装结构
JP3795767B2 (ja) 土質系舗装体及びその施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