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453B1 - 석분을 이용한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 Google Patents

석분을 이용한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453B1
KR100424453B1 KR10-2001-0061230A KR20010061230A KR100424453B1 KR 100424453 B1 KR100424453 B1 KR 100424453B1 KR 20010061230 A KR20010061230 A KR 20010061230A KR 100424453 B1 KR100424453 B1 KR 100424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eve
cement
water
concrete
ston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5522A (ko
Inventor
황익현
Original Assignee
한국투수개발 주식회사
황익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투수개발 주식회사, 황익현 filed Critical 한국투수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1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453B1/ko
Publication of KR20020005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4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cement or like binders
    • E01C7/14Concrete paving
    • E01C7/145Sliding coverings, underlayers or intermediate layers ; Isolating or separating intermediate layers; Transmission of shearing force in horizontal intermediate planes, e.g. by protrusions, by inlay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cement or like binders
    • E01C7/14Concrete paving
    • E01C7/142Mixtures or their components, e.g. aggre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일부 충전재로 사용되거나 폐기처분의 대상으로만 여겨지고 있는 석분을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 도로의 포장에 있어서 골재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석분의 효용가치를 높이는 한편,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의 시공비를 저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조기층 또는 쇄석기층의 상부에 1㎡당 1㎏이상의 물을 살수하고, 그 상부에 석분, 시멘트, 물, 혼화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포설 및 롤러 다짐한 후 살수하여 투수성의 하부층을 포설하고, 그 상부에 단입도 골재, 시멘트, 물, 혼화제를 혼합한 콘크리트를 포장 및 롤러 다짐한 후 살수하고, 이를 통상의 방법으로 양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석분을 이용한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Paving method using stone powder for water permeable cement concrete road}
본 발명은 석분을 이용하여 시멘트콘크리트 도로를 포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재 대신에 석분을 이용하여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 도로를 포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투수성 도로를 포장함에 있어서는 특별히 그 입도가 정해진 골재들, 예를 들면, 13-5㎜의 골재 또는 10-6㎜의 골재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골재는 주로 석산에서 인공적으로 채취 가공되어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이러한 골재는 비투수성의 일반도로에 사용되는 골재에 비하여 가 그 가격이 상당히 비싸다.
한편, 석분은 골재 채취 및 가공에 따른 부산물인데, 그 생산되는 양은 엄청나게 많은 반면에, 일부 도로공사에서 충전재로 사용되는 이외에는 이러한 석분을 소모할 마땅한 용도가 없음으로 인하여, 석분의 대부분이 폐기처분의 대상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석분은 대부분이 미립의 상태이지만, 일정 규격으로 특별히 가공된 것이 아니라 골재 가공 후에 남는 부산물이므로, 그 속에 불규칙한 입도의 골재들이 상당히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석분을 골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면이 고르지 못하여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석분을 시멘트와 혼합하여 포장하는 경우, 석분은 그 성질상 물(수분)을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물을 많이 투여하지 않으면 시멘트와의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전체적으로 푸석푸석해지면서 결합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물을 많이 투여하는 경우에는 석분이 시멘트와 결합할 때 일부 석분이 떡짐 현상을 일으켜 포장체의 표면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석분은 도로포장의 재료로 사용되지 못하였으며, 특히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의 재료로 사용하는 것은 전혀 생각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석분은 종래 투수성 도로포장에 사용되던 골재와 비교하여 1/10 이하의 가격으로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석분을 투수성 포장의 골재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 원가 절감의 효과뿐만 아니라, 폐기처분 대상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연구한 결과, 석분을 투수성(또는 배수성)의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자재로 사용하는 방법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 일부 충전재로 사용되거나 폐기처분의 대상으로만 여겨지고 있는 석분을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 도로의 포장에 있어서 골재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석분의 효용가치를 높이는 한편, 투수성시멘트콘크리트의 시공비를 저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로 도로를 포장함에 있어서는, 특별히 선별된 입도 분포의 골재를 사용하고, 물-시멘트비는 30∼40%로 하며 시멘트는 250∼400kg/㎥ 범위에서 사용한다. 그러나, 골재 대신에 미립자를 시멘트와 혼합하는 경우에는 물-시멘트비가 25%이하가 되도록 하지 않으면, 석분이 시멘트와 결합함에 있어서 떡짐 현상을 일으켜 제대로 포장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특히 롤러 다짐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석분을 골재 대신에 사용하는 경우, 석분과 시멘트를 혼합할 때 물-시멘트비가 25%이하가 되도록 하는 경우에, 주변이 건조하면 수분 증발이 빨라져 수분 부족으로 시멘트가 충분히 수화할 수 없기 때문에 양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강도가 낮게되고, 도로 포장재로서 가치를 잃게된다.
따라서, 석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낮은 물-시멘트비에서의 수분관리를 하고, 주변의 습기를 일정정도가 되도록 유지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수분이 공급되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즉, 일차로 콘트리트 재료에 첨가되는 물의 양을 적절히 관리하고, 나아가 하부층을 포설한 후 물을 살수하고 또한 석분 투수콘크리트 상부에 표면층을 포설한 후 물을 살수함으로써 석분 투수콘크리트층에 물이 간접적으로 공급되도록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물의 간접공급 방법으로 수화에 필요한 물이 적절히 보충되면, 적정한 투수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도로포장에 필요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석분은 그 입도가 불규칙하기 때문에, 석분을 사용한 시멘트콘크리트를 포설하면 표면이 고르지 못하여 미감이 좋지 않게 되므로, 그 상부에 (입도가 고른) 단입도의 골재를 사용한 시멘트콘크리트로 박층의 투수성포장을 함으로써, 표면이 미려한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 포장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석분을 골재 대신으로 사용하여 하부층을 포설하고, 그 상부에 단입도 골재를 사용한 표면층을 포설하되, 하부층의 석분투수콘크리트층은 적절한 수분관리를 행하고, 또한 하부층 포설 후 그 상부에 지체 없이 표면층을 포설함으로써, 짧은 공기 내에, 미려한 표면층을 가지면서 비용이 저렴한 2중 구조를 갖는 투수성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 2중 구조의 투수콘크리트에 있어서 하부의 석분 콘크리트층과 표면층의 일체화가 매우 중요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일체화를 위하여 하부에 석분 콘크리트층을 포설한 후 시험용 공시체의 90% 이하로 롤러 다짐하고, 그 위에 포설되는 상부(표면)층은 포설한 후 시험용의 95%이상으로 롤러 다짐하여 하부의 석분 투수콘크리트층의 잔입자가 상부 표면층의 투수콘크리트의 공극에 박히면서 완전 일체화를 이루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다음의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제 1공정 : 보조기층 또는 쇄석기층 포설 후 살수하는 공정
본 발명의 석분 콘크리트층을 포설하기 위해서는, 그 기초가 되는 보조기층 또는 쇄석기층을 먼저 포설한 후 그 상부에 1㎥당 1kg 이상 충분히 살수하여, (다음 공정에서) 그 상부에 포설되는 석분콘크리트층에 간접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하였듯이, 일반적으로 시멘트 콘크리트는 적정 수량이 있어야 수화반응으로 강도가 증진되는데, 석분 투수콘크리트는 물 시멘트비가 25% 이하가 되도록 하여 혼합하므로, 주변이 건조한 상태에서는, 자연 증발수를 감안하면, 수분이 부족하게 되어 시멘트의 수화반응이 제대로 일어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보조기층 또는 쇄석기층에 충분한 살수를 하여 하부로부터 석분 콘크리트층에 수분이 간접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 2공정 : 석분 콘크리트층 포설 공정
전기 공정에서 포설된 보조기층 또는 쇄석기층의 상부에 석분 투수콘크리트층을 포설하는 공정이다. 콘크리트 혼합물 1㎥ 당, 석분 1500∼2000kg, 시멘트는 200∼400kg, 물은 물-시멘트비(W/C) 15∼25%, 혼화제는 AE제, AE감수제(표준제, 지연제, 조강제등) 또는 고성능 감수분산제 등의 KSF2560(콘크리트용 혼화제)의 혼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크랙방지 및 강도 증가를 위하여 보강 섬유인 강섬유, P.P, P.E, 탄소섬유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강도 증가를 위하여 후라이애쉬, 실리카흄 또는 에멀젼 수지인 에폭시, 아크릴, EUA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이 공정에 사용되는 석분은 19mm 체에서 90∼100% 통과하고, 0.074mm(#200체)체에서 0∼15% 통과하는 입도 분포로서 소성지수(PI)가 6이하이고, 액성지수가 NP(None Plastic)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멘트 사용량을 200-400㎏으로 한 것은 200㎏ 이하의 경우에는 강도를 보장할 수 없고, 400㎏ 이상에서는 스펀지현상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물-시멘트비를 25-15%로 한정한 것은, 25%이상일 경우에는 롤러 다짐 시 스펀지 현상이 발생되어 다짐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석분이 시멘트와 긴밀히 결합함으로써 투수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15%이하에서는 롤러 다짐 시 접착력과 강도 유지가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물-시멘트비가 25%이상인 경우에 (다짐에 문제가 있긴 하지만) 불투수성이 되는 점을 이용하여, 석분 콘크리트층을 불투수층으로 하면 상부의 표면층의 투수성 포장과 함께 전체적으로 배수성 포장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석분과 다소 성질이 비슷한 폐콘크리트 석분, 재강 스래그, 고로 스래그, 모래 등을 석분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의 석분 투수콘크리트를 트럭으로 운반 후 인력 또는 휘니샤로 포설하고, 로라로 다짐하는데 다짐은 시험용 공시체의 90% 이하로 다짐한다. 시험용 공시체의 90%이상으로 다짐을 하게 되면 다음 공정에서 포설되는 표면층과의 접착에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완전 다짐을 하지 않고 시험용 공시체의 90% 이하 범위에서 다짐을 하는 것은, 다음 공정에서 표면층을 포설한 후 (시험용 공시체의 95% 이상의 범위에서) 다짐할 때 하부 석분 콘크리트층의 잔입자가 상부 표면층의 공극에 침투되어 일체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3공정 : 석분 콘크리트층 상부에 살수하는 공정
석분 투수콘크리트를 다짐 후 즉시 석분 투수콘크리트의 수분 증발 방지와 수분 공급을 위하여 살수를 하게 되는데 살수량은 1㎡당 2㎏이하의 범위에서 살수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석분 콘크리트층을 불투수성으로 포설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살수량은 2kg이상이어야 한다. 석분 콘크리트층을 불투수성으로 하고, 그 상부에 포설되는 표면층을 투수성 포장으로 하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배수성 포장이된다. 살수 시 에멀젼의 아크릴, 에폭시, EUA를 혼합 살포하면 그 상부에 포설되는 표면층과의 접착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증강시킬 수 있다.
제 4공정 : 표면층 포설공정
석분 콘크리트층 상부에 살수한 후 약 1시간이내에 표면층을 포설하여야 한다. 석분콘크리트층 포설 후 시간이 약 1시간 이상 경과되면, 그 상부에 포설되는 표면층과의 접착력이 떨어지게 된다. 전술하였듯이, 표면층을 포설하는 이유는, 석분 콘크리트층은 석분 자체의 입도가 불규칙하여 표면 형상이 미려하지 않기 때문에, 단입도 골재를 사용한 투수콘크리트로 그 상부를 포장하는 것이다. 그리고, 표면층을 포설하면 석분 콘크리트층의 수분 증발을 방지함과 동시에 석분 콘크리트층에 필요한 수분을 간접 공급할 수 있다.
표면층에 사용하는 재료는 단입도의 골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즉, 중량 백분율로 19㎜체에서 80∼100% 통과하고 5㎜체에서 0∼20%통과하는 골재, 13㎜체에서 80∼100%통과하고 2.5㎜체에서 0∼20%통과하는 골재, 10㎜체에서 90∼100%통과하고 1.2㎜체에서 0∼20%통과하는 골재, 8㎜체에서 80∼100%통과하고 1.2㎜체에서 0∼20%통과하는 골재, 6㎜체에서 80∼100%통과하고 1.2㎜체에서 0∼20%통과하는 골재, 5㎜체에서 80∼100%통과하고 1.0㎜체에서 0∼20%통과하는 골재 또는 3㎜ 또는 2.5㎜체에서 80∼100%통과하고 1.0㎜체에서 0∼20% 통과하는 골재 등과 같이 입도가 일정 범위에 한정된 단입도의 골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통과 중량 백분율에 대하여 설명하면, 5㎜체에서 80∼100%통과한다면 5㎜체에서 통과하지 않는 입자가 20∼0%이고, 체를 통과하는 입자가 80∼100% 통과된다는 뜻이다.
상기의 단입도 골재는 최대다짐 기준 1㎥에 시멘트는 강도에 따라 200∼500㎏범위에서 사용하며, 현장 포설기준으로 물은 물-시멘트비가 25∼40% 범위에서 사용하고, 제품의 시멘트 분산과 하절기, 동절기에 따라, 일반 콘크리트와 같이, AE제, AE감수제, 감수제, 고성능 감수제, 고유동화제등의 KSF 2560의 혼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착색을 위하여 안료를 사용하는데 안료의 사용량은 시멘트 사용량의 10% 이내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황토 포장을 요할 시에는 시멘트는 백시멘트를 사용하고, 황토 사용량은 시멘트 사용량의 50% 이내의 범위에서 사용하면 된다. 또한 휨강도를 높이고, 크랙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 보강 섬유를 사용하는데 보강섬유는 강섬유, P.P, P.E, 탄소섬유등의 보강 섬유를 사용하며, 강도 증가를 위하여 실리카흄, 후라이애쉬등을 사용하고, 내구성을 위하여 에멀젼 수지를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재료를 혼합하여 덤프 트럭으로 운반하여 인력 또는 휘니샤로 포설한 후 로라로 다짐하는데 로라의 다짐은 상부층과 하부층이 시험용 공시체의 95%이상이 되도록 중력 다짐을 한다. 표면층은 미려한 투수성 포장재로서 역할을 위하여 포설되는 것이고, 본 발명은 공사비 절감과 폐자재의 재활용 측면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골재 크기를 감안하여 표면층은 5㎝이하 두께로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려한 자연석, 종석등을 사용한 투수성콘크리트를 포설, 다짐 후 스프레이 살수하여 골재를 돌출하게 할 수 있다.
제 5공정 : 표면층의 상부에 살수하는 공정
표층용을 포설, 다짐 후, 표층의 압축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물, 시멘트(일반 시멘트 또는 백시멘트), 안료를 혼합하여 스프레이 살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물 1중량부에 시멘트 0.2∼2중량부, 안료는 시멘트 사용량의 30% 이내의 범위에서 혼합하여 스프레이 살포한다. 안료 대신 황토를 혼합 사용할 수 있으며, 강도를 더욱 증진시키기 위하여 수용성의 아크릴, 에폭시, EUA등을 사용하거나 실리카흄등을 혼합할 수도 있으며, 그 사용량은 5중량부 이하의 범위에서 사용한다. 상기 재료를 사용하여 1㎥당 투수성의 경우에는 0.8㎏이내의 범위에서 살포하며, 비투수성의 경우에는 0.8㎏ 이상 균질하게 스프레이 살포한다. 상기와 같이하여 표층의 투수계수가 10×10-3㎝/sec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제 6공정 : 양생공정
표층용 다짐 후 가응고 상태인 2시간 경과 후 양생 보충수를 살수하는데 기층까지 도달할 수 있는 량의 물을 살수하며,. 이때의 살수는 석분층에 물을 간접적으로 공급하기 위함이다. 살수 후 비닐과 양생포를 덮어 양생한 후 24시간 이상 경과한 다음 일반콘크리트와 같이 수축 줄눈과 팽창 줄눈을 설치한다. 또한 양생 후 백화 방지를 위하여 물에 수용성의 아크릴, 에폭시, EUA를 혼합하여 양생 살수와 병행하여 살포하고, 공극에 라이닝을 설치하면, 시멘트에 포함되어 있는 수산화칼슘의 방출이 방지되어 결과적으로 백화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표면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액상 하드너를 살포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공정에 공사비가 저렴하고 표면층이 미려한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 도로 포장을 완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설명한다.
(실시예)
폭 1m 길이 100m의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 도로를 포장함에 있어서, 포장두께 7㎝ (하부층 5㎝, 표면층 2㎝)이고, 색상은 무광택 황토색상이며, 투수계수는 10×10-2㎝/sec 이상이고, 강도는 180㎏/㎠가 되도록 하였다. 하부층은 13㎜체에서 100% 통과하고 0.074㎜체에서 7% 통과하는 석분을 골재로 사용하고, 표면층은 8㎜체에서 100% 통과하고 5㎜체에서 55% 통과하며 1.2㎜체에서 5.2% 통과하는 골재를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는 다음의 공정으로 진행되었다.
제 1공정 : 보조기층인 쇄석기층을 조성한 후 그 상부에 1㎡당 3㎏의 물의 물차를 이용하여 살수하였다.
제 2공정 : 1㎥ 당 시멘트 280㎏, 물은 물-시멘트비가 20%인 56㎏, 표면건조 포화상태기준으로 석분 1700㎏, 혼화제로는 AE감수 지연제를 1.4㎏을 혼합한 콘크리트 혼합물을 덤프트럭으로 운반하여 인력으로 포설하며, 2.5톤 롤러로 2회 다짐하였다.
제 3공정 : 전기 공정의 석분 투수콘크리트층 포설 후, 그 상부에 1㎡당 0.7㎏의 물을 스프레이 살수하였다.
제 4공정 : 전기 공정에서 포설된 석분 콘크리트층의 상부에, 1㎡ 당, 백시멘트 280kg, 물은 골재의 표면 건조 포화생태기준으로 물-시멘트비가 38%인 106㎏, 골재의 표면건조 포화상태기준으로 1620㎏, 적토 40㎏, 지연형 감수제 0.85㎏을 혼합한 콘크리트 혼합물을 덤프 트럭으로 운반하고, 포크레인 및 인력으로 포설하여탄뎀로라 2.5톤 롤러로 5회 다짐하여 시험용 공시체의 95% 이상으로 다짐하며 가응고 상태인 2시간 경과 후 1㎡당 5㎏의 살수를 하여 비닐과 양생포를 덮었다.
제 5공정 : 전기 공정에서 포성된 표면층에 대하여, 48시간 양생 후 수축 줄눈을 5m간격으로 컷팅하고, 팽창줄눈을 30m 완전 컷팅하여 백업제와 실링제를 주입하였다. 그리고, 수용성 에폭시 10㎏, 백시멘트 10㎏, 물 20㎏, 적토 2㎏을 혼합한 혼합액을 1㎡당 0.7㎏을 살포한 후, 즉시 고형분 50%의 수용성 에폭시 10㎏에 물 100㎏을 혼합하여 쇄석기층에 도달하도록 충분히 살포하였다. 이와 같은 공정으로 도로포장을 완성하였다.
본 실시예에 의거 포장된 도로의 하부층(석분 콘크리트층)과 상부층(표면층)의 압축강도, 투수계수 및 색상에 대하여 품질검사를 하였는바, 그 결과는 하기 표와 같았다.
표 : 품질검사 결과
구분 압축강도(kg/㎠) 투수계수(cm/sec) 색상 비고
하부층(석분투수콘크리트) 229 2.4×10-1 -
상부층(투수콘크리트) 210 9.0×10-1 황토색
규격 180이상 10×10-2 황토색
* 석분 투수콘크리트는 공시체 제작 후 현장 조건과 동일하게 2시간 경과(가응고 상태) 후 살수한 것임.
위 표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의하여 포장된 도로는 표준 규격에 비하여 월등한 압축강도과 투수계수를 보일 뿐만 아니라 착색이 용이한 것이므로, 석분을 골재대용으로 사용하더라도, 하등의 문제가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일부 충전재로 사용되거나 폐기처분의 대상으로만 여겨지고 있는 석분을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 도로의 포장에 있어서 골재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석분의 효용가치를 높이는 한편,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의 시공비를 저렴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익한 것이다.

Claims (18)

  1. 보조기층 또는 쇄석기층을 포설하고, 그 상부에 1㎡당 1㎏이상의 물을 살수하는 공정;
    전기 공정에서 포설된 보조기층 또는 쇄석기층의 상부에 콘크리트 혼합물 1㎥ 당, 석분 1500∼2000kg, 시멘트는 200∼400kg, 물은 물-시멘트비(W/C) 15∼25%, 혼화제는 AE제, AE감수제(표준제, 지연제, 조강제등) 또는 고성능 감수분산제 등의 KSF2560(콘크리트용 혼화제)의 혼화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포설하고, 롤러 다짐한 후, 1㎡당 2㎏ 이하로 살수하여 투수성의 하부층을 포설하는 공정;
    전기 공정에서 석분 콘크리트층 상부에 살수한 후 약 1시간이내에, 골재는 단입도 골재로서 최대다짐 기준 1㎥에 시멘트는 200∼500㎏, 물은 물-시멘트비 25∼40%, 혼화제로는 AE제, AE감수제, 감수제, 고성능 감수제, 고유동화제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콘크리트를 포장하고, 그 상부를 롤러 다짐하여 투수성의 표면층을 포설하는 공정;
    전기 공정에서 표면층의 다짐 후 가응고 상태인 약 2시간 경과 후 기층까지 도달할 수 있는 량의 양생수를 살수하는 공정; 및
    통상의 방법으로 양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석분을 이용한 투수성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석분 콘크리트층 포설 후 그 상부를 시험용 공시체의 90%이하로 롤러 다짐하고, 표면층 포설 후 그 상부를 시험용 공시체의 95% 이상으로 롤러 다짐하는 석분을 이용한 투수성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석분 콘크리트층의 포설 후 살수시 에멀젼의 아크릴, 에폭시, EUA를 혼합 살포하는 석분을 이용한 투수성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표면층에 사용하는 단입도의 골재는, 중량 백분율로 19㎜체에서 80∼100% 통과하고 5㎜체에서 0∼20%통과하는 골재, 13㎜체에서 80∼100%통과하고 2.5㎜체에서 0∼20%통과하는 골재, 10㎜체에서 90∼100%통과하고 1.2㎜체에서 0∼20%통과하는 골재, 8㎜체에서 80∼100%통과하고 1.2㎜체에서 0∼20%통과하는 골재, 6㎜체에서 80∼100%통과하고 1.2㎜체에서 0∼20%통과하는 골재, 5㎜체에서 80∼100%통과하고 1.0㎜체에서 0∼20%통과하는 골재 또는 3㎜ 또는 2.5㎜체에서 80∼100%통과하고 1.0㎜체에서 0∼20% 통과하는 골재에서 선택된 것인 석분을 이용한 투수성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표면층의 두께는 5㎝ 이하인 석분을 이용한 투수성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표면층의 콘크리트 혼합시 강섬유, P.P, P.E 또는 탄소섬유를 보강섬유로 첨가하고, 강도 증가를 위하여 실리카흄 또는 후라이애쉬를 첨가하고, 내구성을 위하여 에멀젼 수지를 첨가하는 석분을 이용한 투수성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석분은 19㎜ 체에서 90∼100% 통과하고, 0.074㎜(#200체)체에서 0∼15% 통과하는 입도 분포로서 소성지수(PI)가 6이하이고, 액성지수가 NP(None Plastic)인 석분을 이용한 투수성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석분 콘크리트층의 투수계수가 10×10-3㎝/sec이고 표면층의 투수계수가 10×10-2㎝/sec인 석분을 이용한 투수성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다짐된 표면층의 상부에 물 1중량부에 시멘트 0.2∼2중량부, 안료는 시멘트 사용량의 30% 이내의 범위에서 혼합한 혼합액을 1㎥당 0.8㎏이내의 범위에서 살포하는 석분을 이용한 투수성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10. 보조기층 또는 쇄석기층을 포설하고, 그 상부에 1㎡당 1㎏이상의 물을 살수하는 공정;
    전기 공정에서 포설된 보조기층 또는 쇄석기층의 상부에 콘크리트 혼합물 1㎥ 당, 석분 1300∼1800kg, 시멘트는 200∼400kg, 물은 물-시멘트비(W/C) 25∼40%, 혼화제는 AE제, AE감수제(표준제, 지연제, 조강제등) 또는 고성능 감수분산제 중의하나 또는 둘 이상 선택된 혼화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포설하고, 그 상부를 시험용 공시체의 90% 이하로 롤러 다짐한 후, 1㎡당 2㎏ 이상 살수하여 불투수성의 하부층을 포설하는 공정;
    전기 공정에서 석분 콘크리트층 상부에 살수한 후 약 1시간이내에, 골재는 단입도 골재로서 최대다짐 기준 1㎥에 시멘트는 강도에 따라 200∼500㎏, 물은 물-시멘트비 25∼40%, 혼화제로는 AE제, AE감수제, 감수제, 고성능 감수제, 고유동화제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콘크리트를 포장하고, 그 상부를 시험용 공시체의 95%이상으로 롤러 다짐하여 투수성의 표면층을 포설하는 공정;
    전기 공정에서 다짐된 표면층의 상부에 물 1중량부에 시멘트 0.2∼2중량부, 안료는 시멘트 사용량의 30% 이내의 범위에서 혼합한 혼합액을 1㎥당 투수성의 경우에는 0.8㎏ 이상 살포하는 공정; 및
    통상의 방법으로 양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석분을 이용한 배수성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석분 콘크리트층 포설 후 그 상부를 시험용 공시체의 90% 이하로 롤러 다짐하고, 표면층 포설 후 그 상부를 시험용 공시체의 95% 이상으로 롤러 다짐하는 석분을 이용한 배수성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석분 콘크리트층의 포설 후 살수시 에멀젼의 아크릴, 에폭시, EUA를 혼합 살포하는 석분을 이용한 배수성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표면층에 사용하는 단입도의 골재는, 중량 백분율로 19㎜체에서 80∼100% 통과하고 5㎜체에서 0∼20%통과하는 골재, 13㎜체에서 80∼100%통과하고 2.5㎜체에서 0∼20%통과하는 골재, 10㎜체에서 90∼100%통과하고 1.2㎜체에서 0∼20%통과하는 골재, 8㎜체에서 80∼100%통과하고 1.2㎜체에서 0∼20%통과하는 골재, 6㎜체에서 80∼100%통과하고 1.2㎜체에서 0∼20%통과하는 골재, 5㎜체에서 80∼100%통과하고 1.0㎜체에서 0∼20%통과하는 골재 또는 3㎜ 또는 2.5㎜체에서 80∼100%통과하고 1.0㎜체에서 0∼20% 통과하는 골재에서 선택된 것인 석분을 이용한 배수성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표면층의 두께는 5㎝ 이하인 석분을 이용한 배수성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표면층의 콘크리트 혼합시 강섬유, P.P, P.E 또는 탄소섬유를 보강섬유로 첨가하고, 강도 증가를 위하여 실리카흄 또는 후라이애쉬를 첨가하고, 내구성을 위하여 에멀젼 수지를 첨가하는 석분을 이용한 배수성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석분은 19㎜ 체에서 90∼100% 통과하고, 0.074㎜(#200체)체에서 0∼15% 통과하는 입도 분포로서 소성지수(PI)가 6이하이고, 액성지수가NP(None Plastic)인 석분을 이용한 배수성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표면층의 투수계수가 10×10-2㎝/sec인 석분을 이용한 배수성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다짐된 표면층의 상부에 물 1중량부에 시멘트 0.2∼2중량부, 안료는 시멘트 사용량의 30% 이내의 범위에서 혼합한 혼합액을 1㎥당 0.8㎏이내의 범위에서 살포하는 석분을 이용한 배수성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KR10-2001-0061230A 2001-10-04 2001-10-04 석분을 이용한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KR100424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230A KR100424453B1 (ko) 2001-10-04 2001-10-04 석분을 이용한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230A KR100424453B1 (ko) 2001-10-04 2001-10-04 석분을 이용한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522A KR20020005522A (ko) 2002-01-17
KR100424453B1 true KR100424453B1 (ko) 2004-03-24

Family

ID=19714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230A KR100424453B1 (ko) 2001-10-04 2001-10-04 석분을 이용한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4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053B1 (ko) * 2002-02-18 2004-10-02 황익현 석분을 이용한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 도로 포장방법
KR20020042573A (ko) * 2002-05-01 2002-06-05 김상철 석분을 활용한 고유동 콘크리트 배합기술
KR100817447B1 (ko) * 2007-04-12 2008-03-31 황익현 다공성 시멘트 콘크리트 표면공극 채움 포장방법
KR100949252B1 (ko) * 2009-08-07 2010-03-25 대림산업 주식회사 석재를 이용한 도로 포장방법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994A (ko) * 1994-02-19 1995-09-15 황선두 투수성 수지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체
KR960037605A (ko) * 1995-04-11 1996-11-19 황익현 투수 콘크리트의 칼라 코팅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칼라 코팅재
KR960041526A (ko) * 1995-05-01 1996-12-19 황익현 도로 포장용 투수 콘크리트의 포장 방법
KR970021514A (ko) * 1997-02-13 1997-05-28 최영길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및 보도블록 제조 방법
KR970043602A (ko) * 1997-04-16 1997-07-26 황익현 투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박층(薄層) 포장방법
KR980002442A (ko) * 1997-10-13 1998-03-30 황익현 칼라 투수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KR19980013875A (ko) * 1996-08-05 1998-05-15 황익현 보도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설 방법
KR19990007693A (ko) * 1998-10-22 1999-01-25 황익현 고유동성(高流動性) 투수콘크리트
KR19990070191A (ko) * 1998-02-18 1999-09-15 황익현 표면 투수콘크리트 박층 포장방법
KR19990073697A (ko) * 1998-03-02 1999-10-05 황익현 잔 입도 아스팔트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84186A (ko) * 1999-09-10 1999-12-06 강철구 투명 또는 착색 도로 포장용 혼합물의 제조방법 및 시공
KR20000020919A (ko) * 1998-09-24 2000-04-15 황익현 다공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및 그 포장방법
KR20000065874A (ko) * 1999-04-09 2000-11-15 강영만 폐석회를 이용한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방법
KR20010054014A (ko) * 1999-12-02 2001-07-02 황익현 밀립도 투수콘크리트의 박층 포장방법
KR20010079470A (ko) * 2001-07-23 2001-08-22 강영만 폐석고를 이용한 시멘트콘크리트도로 포장방법 및시멘트블록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994A (ko) * 1994-02-19 1995-09-15 황선두 투수성 수지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체
KR960037605A (ko) * 1995-04-11 1996-11-19 황익현 투수 콘크리트의 칼라 코팅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칼라 코팅재
KR960041526A (ko) * 1995-05-01 1996-12-19 황익현 도로 포장용 투수 콘크리트의 포장 방법
KR19980013875A (ko) * 1996-08-05 1998-05-15 황익현 보도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설 방법
KR970021514A (ko) * 1997-02-13 1997-05-28 최영길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및 보도블록 제조 방법
KR970043602A (ko) * 1997-04-16 1997-07-26 황익현 투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박층(薄層) 포장방법
KR980002442A (ko) * 1997-10-13 1998-03-30 황익현 칼라 투수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KR19990070191A (ko) * 1998-02-18 1999-09-15 황익현 표면 투수콘크리트 박층 포장방법
KR19990073697A (ko) * 1998-03-02 1999-10-05 황익현 잔 입도 아스팔트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20919A (ko) * 1998-09-24 2000-04-15 황익현 다공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및 그 포장방법
KR19990007693A (ko) * 1998-10-22 1999-01-25 황익현 고유동성(高流動性) 투수콘크리트
KR20000065874A (ko) * 1999-04-09 2000-11-15 강영만 폐석회를 이용한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방법
KR19990084186A (ko) * 1999-09-10 1999-12-06 강철구 투명 또는 착색 도로 포장용 혼합물의 제조방법 및 시공
KR20010054014A (ko) * 1999-12-02 2001-07-02 황익현 밀립도 투수콘크리트의 박층 포장방법
KR20010079470A (ko) * 2001-07-23 2001-08-22 강영만 폐석고를 이용한 시멘트콘크리트도로 포장방법 및시멘트블록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522A (ko) 200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441B1 (ko) 코팅된 친환경 순환골재를 포함하는 투수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의 포장방법
KR101192238B1 (ko) 이중 코팅 처리된 친환경 순환골재를 포함하는 투수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의 포장방법
CN107117893A (zh) 平板振动密实大孔隙透水混凝土路面施工的方法
KR101187633B1 (ko) 친환경 황토 콘크리트 및 시공방법
KR100957790B1 (ko) 황토 포장 재료 및 포장 시공 방법
KR20190006233A (ko) 안전성, 경제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보도 및 차도용 투수성 포장 시공 공법
KR100203990B1 (ko)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및 보도블록 제조방법
KR101432249B1 (ko) 흙 포장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흙 포장도로의 시공방법
KR100621963B1 (ko) 수재 슬래그를 이용한 흙포장재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바닥 포장방법
KR100984775B1 (ko) 저수형 투수성 보도 공사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하기 위한 보도블록
CN207244376U (zh) 一种渗水混凝土抗压路面结构
KR100406440B1 (ko) 흙을 자재의 일부로 사용하는 시멘트콘크리트도로포장방법 및 시멘트블록 제조방법
KR100424453B1 (ko) 석분을 이용한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 도로포장방법
KR100451053B1 (ko) 석분을 이용한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 도로 포장방법
KR20060131617A (ko) 폴리머 세립 재활용 투수 콘크리트 포장
CN108179672A (zh) 一种海绵型道路结构及其铺装方法
FI74758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belaeggning foer idrottsplaner, isynnerhet tennisplaner.
KR101233748B1 (ko) 친환경 도로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방법
KR0134989B1 (ko) 세립도 투수 콘크리트의 박층 포장방법
JP2005008841A (ja) 特殊接着剤及び特殊接着剤の常温製法とその常温利用方法
JP2005256387A (ja) 自然舗装道、自然舗装道用の舗装材及び舗装方法
JP4108883B2 (ja) 土質改良材および土質改良方法
KR100383365B1 (ko) 자연석 돌출형 아스팔트 콘크리트 박층 포장방법
KR20120131299A (ko) 흙포장조성물을 이용한 친환경 흙포장 시공방법.
KR100783013B1 (ko) 토양 개량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