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8596B1 -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용 릴레이 - Google Patents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용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8596B1
KR100318596B1 KR1020000013948A KR20000013948A KR100318596B1 KR 100318596 B1 KR100318596 B1 KR 100318596B1 KR 1020000013948 A KR1020000013948 A KR 1020000013948A KR 20000013948 A KR20000013948 A KR 20000013948A KR 100318596 B1 KR100318596 B1 KR 100318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resistor input
input terminal
terminal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3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2045A (ko
Inventor
한상록
Original Assignee
이충전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전,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충전
Priority to KR1020000013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8596B1/ko
Publication of KR20010092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용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외부 입력전원을 별도의 작업 없이 결선이 될 수 있도록 한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용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릴레이의 저항체 입력단자중에서 'S'상에 연결되는 2번의 단자가 복수로 만들어져 여기에 결선되는 외부 입력전원을 별도의 작업없이 결선이 될 수 있도록 한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용 릴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원과 스타팅콘덴서 및 런닝콘덴서가 결선되는 다수개의 저항체입력단자를 갖춘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용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입력단자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직각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보조단자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항체입력단자가 모터의 'S'에 결합되는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용 릴레이{A RELAY FOR COMPRESSOR FORM AIR-TIGHT TYPE RETERN POSE }
본 발명은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용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입력전원을 별도의 작업 없이 결선이 될 수 있도록 한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용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용 모터의 보호는, 전원 전압의 이상이나 주위 조건의 이상에 의해 과부하 운전이 된 경우, 또 단상 운전이 된 경우등, 전류가 규정 이상 흘렀을 때에 오버로드 프로텍터와 릴레이가 단락되어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여 모터를 보호한다.
상기 압축기에 전원이 연결되는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압축기 케이스(10)의 외측벽에 설치된 릴레이브라켓(20)의 중앙으로 돌출된 밀봉터미널(12a)의 일단에 단자(A)로 전원이 공급되는 오버로드프로텍터(100)가 연결되고, 상기 밀봉터미널(12a)의 하측 두단자에는 릴레이(30)가 연결된다.
미설명부호 50은 릴레이덮게, 60은 어스캡, 70은 스크류이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모터에 과전류가 발생되면 상기 오버로드프로텍터(100)의 내부에 설치된 전열스프링에 열이 발생되어 바이메탈이 반전되게 되고, 이때 반전되는 힘에 의해 스위치가 단락되어 전류가 계속적으로 전달되지 않아 압축기모터가 정지하게 되므로 과부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릴레이(30)도 일정시간이 지나면 일측으로의 입력전원이 단락되어 타측으로만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릴레이의 결선방법은 콘덴서가 없는 방식인 포지스터 기동방식(RSIR)과, 스타팅콘덴서 기동방식(CSIR), 런닝콘덴서 기동방식(RSCR), 런닝콘덴서와 스타팅콘덴서의 혼합형 기동방식(CSR)의 4가지가 있다.
여기서 상기 릴레이(30)가 포지스터 기동방식으로 기동하는 것은 도 4 및 도 8과 도 9에서와 같이, 전원(80)의 일단이 오버로드프로텍터(100)를 통해 모터(200)의 'C'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릴레이(30)의 저항체입력단자(32)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S'상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30)가 스타팅콘덴서 기동방식으로 기동하는 것은 도 5 및 도 8과 도 9에서와 같이, 전원의 일단이 오버로드프로텍터(100)를 통해 모터(200)의 'C'상로 연결되고, 타단이 릴레이(30)의 저항체입력단자(32)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S'상으로 전원이 공급됨과 더불어 스타팅콘덴서(90)가 저항체입력단자 (32,31)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릴레이(30)가 런닝콘덴서 기동방식으로 기동하는 것은 도 6 및 도 8과 도 9에서와 같이, 전원의 일단이 오버로드프로텍터(100)를 통해 모터(200)의 'C'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릴레이(30)의 저항체입력단자(32)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S'상으로 전원이 공급됨과 더불어 런닝콘덴서(91)가 저항체입력단자(32,33)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릴레이(30)가 런닝콘덴서와 스타팅콘덴서방식을 혼합하여 기동하는 것은 도 7 및 도 8과 도 9에서와 같이, 전원의 일단이 오버로드프로텍터(100)를 통해 모터(200)의 'C'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릴레이(30)의 저항체입력단자(32)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S'상으로 전원이 공급됨과 더불어 스타팅콘덴서(90)가 저항체입력단자(32,31)에 연결되고, 상기 런닝콘덴서(91)가 저항체입력단자(32,33)에 연결된다.
즉, 각각의 결선방법은 도 4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모터(200)에 입력되는 전원(80)의 2선 중에서 1선은 'C'상으로 결선되고 나머지 1선은 릴레이(30)와 스타팅콘덴서(90) 및 런닝콘덴서(91)로 결선된다.
그런데 상기 도 4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릴레이(30)의 저항체입력단자 (32)가 1단자로 되어 있어 런닝콘덴서(91)를 결선할 때 전원입력을 하는 하나의 선으로 저항체입력단자(32)와 런닝콘덴서(91) 및 스타팅콘덴서(90)로 결선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배선을 하여 연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릴레이의 저항체입력단자 중에서 'S'상과 연결되는 2번의 단자가 복수로 만들어져 여기에 결선되는 외부 입력전원을 별도의 작업 없이 결선이 될 수 있도록 한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용 릴레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의 저항체입력단자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3은 일반적으로 릴레이가 압축기의 밀봉터미널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릴레이 결선방법 중 콘덴서가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릴레이 결선방법 중 스타팅콘덴서 기동방식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릴레이 결선방법 중 런닝콘덴서 기동방식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7은 릴레이 결선방법 중 런닝콘덴서와 스타팅콘덴서를 혼합한 기동방식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릴레이의 저항체입력단자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우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릴레이 31,32,33: 저항체입력단자
32a: 보조단자 80: 전원
90: 스타팅콘덴서 91: 런닝콘덴서
200: 모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원과 스타팅콘덴서 및 런닝콘덴서가 결선되는 다수개의 저항체입력단자를 갖춘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용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입력단자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직각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보조단자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항체입력단자가 모터의 'S'에 결합되는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의 저항체입력단자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로서,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도 3 내지 도 9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릴레이(30)가 압축기케이스(10)에 설치되는 것은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요부에 해당하는 릴레이(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개의 저항체입력단자(31,32,33)를 갖추고 있는바, 상기 저항체입력단자(32)의 상부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보조단자(32a)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저항체입력단자(32)는 모터(200)의 'S'상과 연결되는 2번의 단자이다.
따라서 여기서 상기 릴레이(30)가 포지스터 기동방식으로 기동하는 것은, 전원(80)의 일단이 오버로드프로텍터(100)를 통해 모터(200)의 'C'로 연결되고, 타단이 릴레이(30)의 저항체입력단자(32)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S'로 전원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30)가 스타팅콘덴서 기동방식으로 기동하는 것은, 전원의 일단이 오버로드프로텍터(100)를 통해 모터(200)의 'C'로 연결되고, 타단이 릴레이(30)의 저항체입력단자(32)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S'로 전원이 공급됨과 더불어 스타팅콘덴서(90)가 저항체입력단자(31)와 보조단자(32a)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릴레이(30)가 런닝콘덴서 기동방식으로 기동하는 것은, 전원의 일단이 오버로드프로텍터(100)를 통해 모터(200)의 'C'로 연결되고, 타단이 릴레이(30)의 저항체입력단자(32)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S'로 전원이 공급됨과 더불어 런닝콘덴서(91)가 저항체입력단자(33)와 보조단자(32a)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릴레이(30)가 런닝콘덴서와 스타팅콘덴서방식을 혼합하여 기동하는 것은, 전원의 일단이 오버로드프로텍터(100)를 통해 모터(200)의 'C'로 연결되고, 타단이 릴레이(30)의 저항체입력단자(32)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S'로 전원이 공급됨과 더불어 스타팅콘덴서(90)가 저항체입력단자(31)와 보조단자(32a)에 연결되고, 상기 런닝콘덴서(91)가 저항체입력단자(33)와 보조단자(32a) 또는 저항체입력단자(32)에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릴레이에 의한 각각의 결선방법은, 상기 모터(200)에 입력되는 전원(80)의 2선 중에서 1선은 'C'로 결선되고 나머지 1선은 릴레이(30)와 스타팅콘덴서(90) 및 런닝콘덴서(91)로 결선될 때 저항체입력단자(32)에 전원이 연결되고, 복단자인 보조단자(32a)에는 스타팅콘덴서(90) 및 런닝콘덴서(91)가 결선되어 배선작업이 간편하고 작업효율도 향상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릴레이의 저항체입력단자중에서 2번의 단자가 복수로 만들어져 여기에 결선되는 외부 입력전원을 별도의 작업 없이결선이 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전원과 스타팅콘덴서 및 런닝콘덴서가 결선되는 다수개의 저항체입력단자를 갖춘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용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입력단자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직각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보조단자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용 릴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입력단자가 모터의 'S'에 결합되는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용 릴레이.
KR1020000013948A 2000-03-20 2000-03-20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용 릴레이 KR100318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948A KR100318596B1 (ko) 2000-03-20 2000-03-20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용 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948A KR100318596B1 (ko) 2000-03-20 2000-03-20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용 릴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045A KR20010092045A (ko) 2001-10-24
KR100318596B1 true KR100318596B1 (ko) 2001-12-28

Family

ID=19656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948A KR100318596B1 (ko) 2000-03-20 2000-03-20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용 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85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1672A (ja) * 1988-02-19 1989-08-24 Matsushita Refrig Co Ltd 圧縮機の電装品取付構造
JPH05202860A (ja) * 1991-12-06 1993-08-10 Hitachi Ltd 密閉形電動圧縮機
JPH10196574A (ja) * 1985-06-17 1998-07-31 Texas Instr Inc <Ti> 密閉形電動圧縮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6574A (ja) * 1985-06-17 1998-07-31 Texas Instr Inc <Ti> 密閉形電動圧縮機
JPH01211672A (ja) * 1988-02-19 1989-08-24 Matsushita Refrig Co Ltd 圧縮機の電装品取付構造
JPH05202860A (ja) * 1991-12-06 1993-08-10 Hitachi Ltd 密閉形電動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045A (ko) 2001-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9137B2 (en) Electrical switchgear
JP2001057780A (ja) オフライン放電保護装置
KR100318596B1 (ko)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용 릴레이
KR970077934A (ko)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모터 기동용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장치
ATE306136T1 (de) Elektronisch kommutierter motor
KR101897090B1 (ko)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JPH10116552A (ja) スイッチング装置
KR102133309B1 (ko) 서지보호기의 무극성 이중접점 고장신호 생성장치
KR100234044B1 (ko) 모터 구동 교대운전 제어 장치
US6215632B1 (en) Switching device
JPH11273522A (ja) 電流・温度ヒューズ
CN210225276U (zh) 一种电源设备
KR100317913B1 (ko)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오버로드 프로텍터
KR100662030B1 (ko) 배선용차단기의 박스터미널 취부구조
JP4540910B2 (ja) 電力遮断器用の電気接続装置
KR20020003647A (ko) 3상모터를 사용하는 에어컨 실외기의 압축기 보호장치
KR200243695Y1 (ko) 자동차용 릴레이
JPH07296919A (ja) 差し込み式ヒューズ付きソケット
KR200310900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KR200310901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KR100425191B1 (ko) 다극결합형 회로차단기의 트립바 구조
KR100463603B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단자구조
JP2532060B2 (ja) リレ−ユニット
KR20010046073A (ko) 밀폐형 압축기의 과부하 차단 장치
KR200241476Y1 (ko) 배선용차단기의터미널마운트와고정자간의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