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695Y1 - 자동차용 릴레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릴레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43695Y1 KR200243695Y1 KR2020010014884U KR20010014884U KR200243695Y1 KR 200243695 Y1 KR200243695 Y1 KR 200243695Y1 KR 2020010014884 U KR2020010014884 U KR 2020010014884U KR 20010014884 U KR20010014884 U KR 20010014884U KR 200243695 Y1 KR200243695 Y1 KR 20024369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lay
- power supply
- terminal
- unit
- switchin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릴레이의 돌출단자 중에서 전원부와 연결되는 단자들을 내부에서 서로 결선하고 외부에 하나의 단자만 노출시킴으로써 결선작업의 향상 및 원가절감,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용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릴레이의 돌출단자 중에서 전원부와 연결되는 단자들을 내부에서 서로 결선하고 외부에 하나의단자만 노출시킴으로써 결선작업의 향상 및 원가절감,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에는 많은 전기장치들을 제어부에서 제어하기 위해 전원부와 연결하기 위해 다수의 와이어하네스가 사용되며, 이중 차량의 종축길이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지는 와이어하네스는 조립상 편의를 위해(그외 전류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중간부분이 분리되고, 이 분리된 부분에 릴레이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릴레이를 통해 제어부의 스위칭 신호에 의한 부하의 작동을 릴레이를 통해서 수행하고 있다.
또한, 상기 릴레이를 통해 제어부의 저전류에 의한 스위칭작동으로 고전류로 작동되는 부하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릴레이는 4P, 5P, 8P, 9P 등 네 종류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 모든 릴레이는 공통적으로 작동부의 일측은 전원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어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스위칭부의 일측은 전원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부하와 연결된다.
도 1은 종래의 릴레이 구조와 주변기기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10)의 외부에는 작동부(12)의 양측단자(S1,S2)와 스위칭부(14)의 양측단자(B,L)와 외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부(12)의 일측단자(S1)는 전원부(30)와 연결되고, 타측단자(S2)는 제어부(40)와 연결된다. 그리고, 스위칭부(14)의 일측단자(B)는 전원부(30)에 연결되고, 타측단자(L)는 부하(50)와 연결된다.
이렇게 연결할 경우 작동부(12)에서 전원부(30)와 연결되는 일측단자(S1)와 스위칭부(14)에서 전원부(30)와 연결되는 일측단자(B)는 스플라이스 조인트(60)에 의해 전원부(30)와 연결되어 동일전원이 공급되도록 연결된다.
이때, 전원부(30)에는 퓨즈(35)가 매개된다.
한편, 전원부(30)와 연결하기 위한 배선은 굵은 배선으로 과전류가 흐를 경우 배선보다 퓨즈(35)가 먼저 끊어져 회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작동부(12)에서 제어부(40)와 연결되는 타측단자(S2)는 얇은 배선으로 연결되어 과전류가 흐를 경우 릴레이(10)가 끊어져 제어부(40)를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스위칭부(14)에서 부하(50)와 연결되는 타측단자(L)는 고전류의 전원을 부하(50)로 공급하기 위해 굵은 배선으로 연결한다.
위와 같은 릴레이(10)를 사용하여 제어부(40)에서 출력되는 저전류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원부(30)의 고전류를 부하(5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함에 있어서, 릴레이(10)의 돌출단자(S1,S2,B,L)들 중에서 전원부(30)와 연결되는 작동부(12)의 일측단자(S1)와 스위칭부(14)의 일측단자(B)를 동일하게 전원부(30)와 연결하기 위해 스플라이스 조인트(60)를 이용하여 두 개의 배선을 서로 연결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전압강하와 와이어하네스 측면에서 봤을 때 압착에 따른 작업성저하는 물론이고 압착부의 접촉불량의 위험성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두 개의 돌출단자(S1,B)와 연결하기 위해 스플라이스 조인트(60)를 사용하는 등 굵은 배선의 사용으로 원가상승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릴레이의 돌출단자 중에서 전원부와 연결되는 단자들을 내부에서 서로 결선하고 외부에 하나의 단자만 노출시켜 돌출단자의 수를 줄임으로써 결선작업의 향상 및 원가절감,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릴레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릴레이와 주변기기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릴레이와 주변기기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0 : 릴레이 12,22 : 작동부
14,24 : 스위칭부 30 : 전원부
35 : 퓨즈 40 : 제어부
50 : 부하 60 : 스플라이스 조인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작동부에서 전원부와 연결되는 일측단과 스위칭부에서 전원부와 연결되는 일측단을 본체 내부에서 결선되어 외부로 돌출 형성된 하나의 전원단자와, 작동부의 타측단과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 형성된 작동단자와, 스위칭부의 타측단과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 형성된 스위칭단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릴레이와 전원부를 연결하기 위해서 굵은 배선을 통해 릴레이의 외부에 돌출 형성된 하나의 전원단자와 연결할 경우 내부에서 작동부와 스위칭부에 전원이 공급되고, 작동단자에 제어부를 연결하고 스위칭단자에 부하를 연결함으로써 전원부와 연결을 위한 이중의 결선작업을 감소시켜 작업향상과 원가절감 및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릴레이와 주변기기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고안에 의한 릴레이(20)는 작동부(12)에서 전원부(30)와 연결되는 일측단(c)과 스위칭부(24)에서 전원부(30)와 연결되는 일측단(a)을 본체 내부에서 결선시키고 릴레이(20)의 외부에는 하나의 전원단자(26)만을 돌출 형성시킨다.
그리고, 작동부(22)의 타측단(d)과 연결시키기 위해 릴레이(20)의 외부에 작동단자(S2)를 돌출 형성시키며, 스위칭부(24)의 타측단(b)과 연결시키기 위해 릴레이(20)의 외부에 스위칭단자(L)를 돌출 형성시킨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릴레이(20)를 통해 제어부(40)와 전원부(30)와 부하(50)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전원부(30)와 릴레이(20)의 전원단자(26)와 굵은 배선을 통해 연결한다. 이때 전원부(30)에는 퓨즈(35)가 매개된다. 그리고, 제어부(40)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에 의해 고전류가 공급되는 부하(50)를 작동시키기 위해 릴레이(20)의 작동단자(S2)와 연결되고, 고전류의 전원이 부하(50)로 공급되는 것을 스위칭하기 위해 스위칭단자(L)에는 부하(50)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어부(40)에서 저전류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작동부(22)가 작동되면서 스위칭부(24)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스위칭부(24)의 온오프 작동에 의해 전원단자(26)와 스위칭단자(L)간에 온오프되어 전원부(30)의 고전류가 스위칭부(24)를 통해 부하(50)로 공급되어 제어부(40)에서 부하(5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릴레이의 돌출단자 중에서 전원부와 연결되는 단자들을 내부에서 서로 결선하고 외부에 하나의 단자만 노출시킴으로써 전원부와 연결하기 위해 굵은 배선간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결선작업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사용이 억제됨에 따라 원가절감이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부에서 굵은 배선을 이용한 배선작업이 줄어들게 되어 결선작업이 향상되고 원가절감이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플라이스 조인트에 의해 배선간 압착에 따른 작업성저하는 물론이고 압착부의 접촉불량의 위험성을 제거하여 안정된 결선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전원부와 연결되는 단자를 내부에서 결선하고 외부에는 하나의 전원단자만 형성함으로써 단자를 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 작동부에서 전원부와 연결되는 일측단과 스위칭부에서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는 일측단을 본체 내부에서 결선되어 외부로 돌출 형성된 하나의 전원단자와,상기 작동부의 타측단과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 형성된 작동단자와,상기 스위칭부의 타측단과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 형성된 스위칭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릴레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4884U KR200243695Y1 (ko) | 2001-05-21 | 2001-05-21 | 자동차용 릴레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4884U KR200243695Y1 (ko) | 2001-05-21 | 2001-05-21 | 자동차용 릴레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43695Y1 true KR200243695Y1 (ko) | 2001-10-29 |
Family
ID=7310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14884U KR200243695Y1 (ko) | 2001-05-21 | 2001-05-21 | 자동차용 릴레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43695Y1 (ko) |
-
2001
- 2001-05-21 KR KR2020010014884U patent/KR20024369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730465B1 (en) | Wire harness structure and electronic control unit | |
CN100457514C (zh) | 电子转向锁 | |
JP2005190735A (ja) |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 |
US6270360B1 (en) | Electric junction box with a relay | |
JP6426956B2 (ja) | 車両用電力供給システム | |
JP6426955B2 (ja) | 車両用電力供給システム | |
KR102079484B1 (ko) |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지능형 스위치 | |
KR200243695Y1 (ko) | 자동차용 릴레이 | |
BR9905118A (pt) | Circuito de alimentação elétrica de um motor de arranque, e, arranque de veìculo automóvel | |
US5982051A (en) | Electronic two-way switching circuit | |
US6262537B1 (en) | Headlight circuit for an automobile | |
JP3731799B2 (ja) | 車載ワイヤハーネス及び車載ワイヤハーネスの軽量共線化方法 | |
US20080284557A1 (en) | Fuse | |
JP7239379B2 (ja) | リレーユニ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 |
KR19980024524A (ko) | 과부하 보호 릴레이 | |
KR980009800U (ko) | 자동차용 전기 접속구 | |
JP2007018796A (ja) | 電線の抵抗調整用中継コネクタ | |
KR100318596B1 (ko) |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용 릴레이 | |
KR200253331Y1 (ko) | 차량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의 터미널 고정구조 | |
CN113320390A (zh) | 电源电路 | |
KR0119193Y1 (ko) | 퓨즈와 릴레이 내장형 컨넥터 | |
KR19980045752U (ko) |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안전장치 | |
JPH09118182A (ja) | 自動車における電装品制御装置 | |
KR19990003225A (ko) | 폴리스위치를 이용한 스위치제어장치 | |
JP2003095037A (ja) | コネクタ接続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703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