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7498B1 - 입력 패드 제어 회로 - Google Patents

입력 패드 제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7498B1
KR100317498B1 KR1019990023698A KR19990023698A KR100317498B1 KR 100317498 B1 KR100317498 B1 KR 100317498B1 KR 1019990023698 A KR1019990023698 A KR 1019990023698A KR 19990023698 A KR19990023698 A KR 19990023698A KR 100317498 B1 KR100317498 B1 KR 100317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ell
output
fuse
fuse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3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3405A (ko
Inventor
권오원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23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7498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4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7/00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 G11C17/14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in which contents are determined by selectively establishing, breaking or modifying connecting links by permanently altering the state of coupling elements, e.g. PROM
    • G11C17/16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in which contents are determined by selectively establishing, breaking or modifying connecting links by permanently altering the state of coupling elements, e.g. PROM using electrically-fusible lin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7/00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 G11C17/14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in which contents are determined by selectively establishing, breaking or modifying connecting links by permanently altering the state of coupling elements, e.g. PROM
    • G11C17/18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Landscapes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패드 제어 회로에 관한 것으로, 동일한 어드레스를 입력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입력 패드와, 상기 제 1 및 제 2 입력 패드와 각각 접속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입력 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스위칭 수단과, 셀의 프로그램 및 소거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칭 수단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 발생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력 패드 제어 회로{Control circuit for input pad}
본 발명은 입력 패드 제어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같은 입력을 가지는 기준 패드와 더미 패드(dummy pad)를 형성하고 이를 퓨즈 블록을 통해 제어하므로써 용도에 맞는 다양한 패키지가 가능한 메모리 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입력 패드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메모리 제품은 개발에 앞서 소비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패키지(package) 형태에 맞추어 패드(pad) 배치를 설계한다. 또한, 다양한 제품군을 개발하는데 있어 메모리 용량이 큰 제품에서 컷다운(cutdown)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예를들어 도 1의 TSOP 패키지의 패드 배열과 같이 듀얼 인 라인(dual in line)으로 배치하여 설계된 제품을 컷다운할 경우 도 2의 SOP 패키지와 같은 패키지가 불가능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11번과 12번, 33번과 34번 리드 프레임이 단락될 수 있다. 따라서 두가지 패키지가 모두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도 3과 같이 리드 프레임이 단락되지 않도록 새로운 패드 배치를 설계해야 한다. 이 경우 컷다운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형태로 구성해야 하고 좌우 패드를 새로 배치함에 따라 X-방향으로 칩 사이즈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같은 입력을 가지는 더미 패드(dummy pad)를 설정하므로써 유연성있게 패키지할 수 있어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입력 패드 제어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일한 어드레스를 입력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입력 패드와, 상기 제 1 및 제 2 입력 패드와 각각 접속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입력 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스위칭 수단과, 셀의 프로그램 및 소거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칭 수단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 발생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TSOP 패키지의 평면도.
도 2는 SOP 패키지의 평면도.
도 3은 SOP 패키지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패드의 변경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패드 제어 회로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블록의 상세 블록도.
도 6은 파워 업 리셋 회로도.
도 7은 디코더 회로도.
도 8은 셀 프로그램 선택 회로도.
도 9는 논리 회로도.
도 10은 기준 퓨즈 셀 회로도.
도 11은 퓨즈 셀 회로도.
도 12는 퓨즈 셀이 프로그램되었을 경우의 파형도.
도 13은 퓨즈 셀이 소거되었을 경우의 파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 1 스위칭 수단 200 : 제 2 스위칭 수단
300 : 퓨즈 블록
10 : 파워 업 리셋 회로 20 : 디코더 회로
30 : 셀 프로그램 선택 회로 40 : 논리 회로
50 : 기준 퓨즈 셀 회로 60 : 퓨즈 셀 회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패드 제어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 블록(300)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제 1 스위칭 수단(100) 및 제 2 스위칭 수단(200)이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제 1 및 제 2 패드(PAD1 및 PAD2)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제 1 스위칭 수단(100)은 제 1 패드(PAD1)를 출력하도록 구성 되고, 제 2 스위칭 수단(200)은 제 2 패드(PAD2)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제 1 및 제 2 패드(PAD1 및 PAD2)는 동일한 입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제 1 스위칭 수단(100)은 제 1 패드(PAD1)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접속되며 퓨즈 블록(300)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키는 제 1 인버터(I11)의 출력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N11)와, 제 1 패드(PAD1)와 출력 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퓨즈 블록(300)의 출력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N12)로 구성된다. 한편, 제 2 스위칭부(200)는 제 2 패드(PAD2)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접속되며 퓨즈 블록(300)의 출력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제 3 NMOS 트랜지스터 (N13)와, 제 2 패드(PAD2)와 출력 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퓨즈 블록(300)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키는 제 2 인버터(I12)의 출력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 4 NMOS 트랜지스터(N1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패드 제어 회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퓨즈 블록(300)의 출력 신호가 하이 상태일 경우, 제 1 스위칭 수단 (100)의 제 1 인버터(I11)을 통해 로우 상태로 반전되고, 이 신호에 의해 제 1 NMOS 트랜지스터(N11)가 턴오프되어 접지 단자(Vss)로의 패스가 차단된다. 그리고, 하이 상태의 퓨즈 블록(300)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 2 NMOS 트랜지스터(N12)가 턴온되어 제 1 패드(PAD1)를 출력시킨다. 한편, 하이 상태의 퓨즈 블록(300)의 출력 신호는 제 2 스위칭 수단(200)의 제 2 인버터(I12)를 통해 로우 상태로 반전되고, 이 신호에 의해 제 4 NMOS 트랜지스터(N14)가 턴오프된다. 그리고, 하이 상태의 신호에 의해 제 3 NMOS 트랜지스터(N13)가 턴온되어 제 2 패드(PAD2)와 접지 단자 (Vss) 사이에 패스를 형성한다. 따라서, 퓨즈 블록(300)의 출력 신호가 하이 상태일 경우 제 1 패드(PAD1)가 출력된다.
퓨즈 블록(300)의 출력 신호가 로우 상태일 경우 제 1 스위칭 수단(100)의 제 1 인버터(I11)을 통해 하이 상태로 반전되고, 이 신호가 제 1 NMOS 트랜지스터 (N11)를 턴온시켜 제 1 패드(PAD1)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패스를 형성한다. 그리고, 로우 상태의 퓨즈 블록(300)의 출력 신호가 제 2 NMOS 트랜지스터(N12)를 턴오프시켜 제 1 패드(PAD1)를 출력시키지 못한다. 한편, 로우 상태의 퓨즈 블록 (300)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 3 NMOS 트랜지스터(N13)가 턴오프되어 제 2 패드 (PAD2)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패스를 차단한다. 그리고, 로우 상태의 퓨즈 블록(300)의 출력 신호는 제 2 스위칭 수단(200)의 제 2 인버터(I12)를 통해 하이 상태로 반전되고, 이 신호가 제 4 NMOS 트랜지스터(N14)를 턴온시켜 제 2 패드 (PAD2)를 출력시킨다. 따라서, 퓨즈 블록(300)의 출력 신호가 로우 상태일 경우 제 2 패드(PAD2)가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퓨즈 블록(300)의 출력 신호가 하이 상태일 경우 제 1 패드(PAD1)가 출력되고, 로우 상태일 경우 제 2 패드(PAD2)가 출력된다.
도 5는 도 4의 퓨즈 블록의 상세 블록도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파워 업 리셋 회로(10)는 전원 전압이 소정의 상승 시간을 가지고 상승할 때 이를 감지하여 소정의 시간에 리셋 신호(RST)와 리셋 바 신호(RSTb)를 생성한다.
디코더 회로(20)는 프로그램 전압과 독출 전압을 인가하는 제 1 전원(VPPI), 소거시 소거 전압 VEE를 인가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접지되는 제 2 전원(VEEI), 퓨즈 셀 리셋 신호(XRST) 및 논리 회로(40)로부터 디코더 신호(XPREA)를 입력하여 퓨즈 셀의 게이트 단자에 입력되는 퓨즈 셀 게이트 신호(CGATE)를 생성한다.
셀 프로그램 선택 회로(30)는 프로그램 전압을 인가하는 제 4 전원(VPPY)과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를 입력하여 셀 프로그램 선택 신호(TPACSEL)를 생성한다.
논리 회로(40)는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TERACEN) 및 기준 퓨즈 셀 회로(50)로부터 기준 퓨즈 셀 신호(REFCAMb)를 입력하여 기준 퓨즈 셀 독출 신호(CAMSAON), 기준 전압(VREF) 및 디코더 신호(XPREA)를 생성한다.
기준 퓨즈 셀 회로(50)는 셀 포스트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REPRECEN), 파워 업 리셋 회로(10)로부터 리셋 신호(RST) 및 리셋 바 신호(RSTb), 디코더 회로 (20)로부터 퓨즈 셀 게이트 신호(CGATE), 논리 회로(40)로부터 퓨즈 셀 독출 신호 (CAMSAON),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TERACEN), 논리 회로(40)로부터 기준 전압(VREF), 그리고 소오스 라인 소거를 위한 제 4 전원(VSSC)을 각각 입력하여 기준 퓨즈 셀 신호(REFCAMb)를 생성한다.
퓨즈 셀 회로(60)는 파워 업 리셋 회로(10)로부터 리셋 신호(RST) 및 리셋 바 신호(RSTb), 디코더 회로(20)로부터 퓨즈 셀 게이트 신호(CGATE),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 논리 회로(40)로부터 기준 전압(VREF), 제 4 전원(VSSC), 그리고 셀 프로그램 선택 회로(30)로부터 셀 프로그램 선택 신호(TPACSEL)를 입력하여 제 1 스위칭 수단(100) 및 제 2 스위칭 수단(200)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 신호(PKGON)를 생성한다.
도 6은 파워 업 리셋 회로도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전원 단자와 제 2 노드(Q2) 사이에는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P21 및 P22)가 접속되는데, 제 1 PMOS 트랜지스터(P21)는 제 1 노드(Q1)의 전위에 따라 구동되고, 제 2 PMOS 트랜지스터(P22)는 다이오드 역할을 한다. 제 1 내지 제 5 NMOS 트랜지스터(N21 내지 N25)는 제 2 노드(Q2)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접속되며, 게이트 단자가 전원 단자와 접속되어 항상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제 6 NMOS 트랜지스터(N26)는 전원 단자와 제 2 노드(Q2) 사이에 접속되며, 게이트 단자가 제 2 노드(Q2)에 접속된다. 제 2 노드(Q2)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는 제 2 캐패시터 (C12)가 접속된다. 전원 단자와 제 3 노드(Q3) 사이에는 제 3 및 제 4 PMOS 트랜지스터(P23 및 P24)가 접속되는데, 제 3 PMOS 트랜지스터(P23)는 제 1 노드(Q1)의 전위에 따라 구동되고, 제 4 PMOS 트랜지스터(P24)는 접지 단자(Vss)와 접속되어 항상 턴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 3 노드(Q3)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는 제 7 내지 제 9 NMOS 트랜지스터(N27 내지 N29)가 접속되는데, 이들의 게이트 단자는 각각 제 2 노드(Q2)와 접속된다. 전원 단자와 제 3 노드(Q3) 사이에 제 3 캐패시터(C13)가 접속되고, 제 3 노드(Q3)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는 제 10 내지 제 13 NMOS 트랜지스터(N30 내지 N33)가 접속되는데, 이들의 게이트 단자는 각각 제 1 노드(Q1)와 접속된다. 제 3 노드(Q3)의 전위는 제 1 내지 제 4 인버터(I21 내지 I24)를 통해 지연되어 리셋 신호(RST)를 출력하고, 이 신호가 제 5 인버터(I25)를 통해 반전된 리셋 바 신호(RSTb)를 출력한다. 한편, 전원 단자와 제 1 노드(Q1) 사이에는 직렬로 접속된 다수의 PMOS 트랜지스터와 제 14 NMOS 트랜지스터(N34)가 접속되고, 제 15 NMOS 트랜지스터(N35)가 접속된다. 직렬로 접속된 다수의 PMOS 트랜지스터는 각각의 게이트 단자가 접지 단자(Vss)와 접속된다. 제 1 노드(Q1)와 접지단자 (Vss) 사이에는 제 1 캐패시터(C11)가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파워 업 리셋 회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 상태에서 제 1 노드(Q1)는 로우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PMOS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Vpn) 이상으로 전원 전압(Vcc)이 공급되면 제 1 및 제 3 PMOS 트랜지스터(P21 및 P23)는 턴온된다. 전원 전압(Vcc)은 턴온된 제 1 PMOS 트랜지스터(P21)와 제 2 PMOS 트랜지스터(P22)를 통해 제 2 노드(Q2)로 공급된다. 그러나, 전원 단자가 게이트와 접속되고 제 2 노드(Q2)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접속된 제 1 내지 제 5 NMOS 트랜지스터(N21 내지 N25)를 통해 제 2 노드(Q2)의 전위는 로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 1 내지 제 5 NMOS 트랜지스터(N21 내지 N25)를 통해 전원 전압이 접지 전압으로 강하되기 전 제 2 노드(Q2)는 하이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 6 NMOS 트랜지스터(N26)가 턴온되어 전원 전압(Vcc)이 제 6 NMOS 트랜지스터(N26)를 통해 제 2 노드(Q2)로 공급되고, 이 전위는 제 2 캐패시터(C12)에 차지된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5 NMOS 트랜지스터(N21 내지 N25)가 턴온되면서 제 2 캐패시터(C12)에 차지되어 있던 전하가 방전되면서 접지 전압(Vss)으로 강하된다. 따라서, 제 2 노드(Q2)는 로우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제 2 노드(Q2)와 게이트가 접속되고 제 3 노드(Q3)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접속된 제 7 내지 제 9 NMOS 트랜지스터(N27 내지 N29)는 턴오프된다. 한편, 전원 전압(Vcc)은 턴온된 제 3 PMOS 트랜지스터(P23)와 제 4 PMOS 트랜지스터(P24)를 통해 제 3 노드(Q3)에 공급되고, 제 7 내지 제 9 NMOS 트랜지스터(N27 내지 N29)가 턴오프되어 있기 때문에 제 3 노 드(Q3)는 하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게이트 단자가 제 1 노드(Q1)와 접속되고, 제 3 노드(Q3)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접속된 제 10 내지 제 13 NMOS 트랜지스터(N30 내지 N33)가 로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제 1 노드(Q1)의 전위에 의해 턴오프되어 있기 때문에 제 3 노드(Q3)는 하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하이 상태를 유지하는 제 3 노드(Q3)의 전위는 제 1 내지 제 4 인버터(I21 내지 I24)를 통해 소정 시간 지연되어 리셋 신호(RST)를 출력하여 칩을 리셋시키고, 이 신호가 제 5 인버터(I25)를 통해 반전되어 리셋 바 신호(RSTb)를 출력시킨다.
그런데, 점차적으로 상승되는 전원 전압(Vcc)은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PMOS 트랜지스터와 제 14 NMOS 트랜지스터(N34) 및 제 1 캐패시터(C11)에 의해 소정 시간 지연되어 제 1 노드(Q1)로 공급되고, 이 전압에 의해 제 1 노드(Q1)의 전위는 상승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 1 및 제 3 PMOS 트랜지스터(P21 및 P23)는 턴오프되어 전원 전압(Vcc)의 공급이 차단되고, 제 10 내지 제 13 NMOS 트랜지스터(N30 내지 N33)는 턴온되어 제 3 노드(Q3)의 전위를 로우 상태로 만든다. 이로써 제 1 내지 제 4 인버터(I21 내지 I24)를 통해 로우 상태의 신호가 출력되므로 리셋 동작을 멈추게 된다.
도 7은 디코더 회로의 상세 회로도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 1 PMOS 트랜지스터(P31)는 제 1 전원(VPPX)과 제 1 노드(Q11) 사이에 접속되며, 퓨즈 셀 리셋 신호(XRST)에 따라 동작된다. 제 2 PMOS 트랜지스터(P32)는 제 1 전원(VPPX)과 제 1 노드(Q11) 사이에 접속되며, 출력 단자(CGATE)의 전위에 따라 동작된다. 제 3 PMOS 트랜지스터(P33)는 제 1 전원(VPPX)과 출력 단자(CGATE) 사이에 접속되며, 제 1 노드(Q11)의 전위에 따라 동작된다. 제 1 NMOS 트랜지스터 (N31)는 제 1 노드(Q11)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접속되며, 디코더 신호(XPREA)에 따라 동작된다. 트리플 웰 NMOS 트랜지스터인 제 2 NMOS 트랜지스터(N32)는 제 2 전원(VEEX)과 출력 단자(CGATE) 사이에 접속되며, 전원 전압(Vcc)과 제 2 전원 (VEEX)에 따라 동작된다. 출력 단자로 출력되는 퓨즈 셀 게이트 신호(CGATE)는 기준 회로(50)과 퓨즈 셀 회로(60)로 입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디코더의 구동 바이어스 조건은 [표 1]과 같으며, 이를 이용하여 그 구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 소거 독출
VPPX VPPI 2V Vcc
XRST VPPI 0V 0V
VNWELL Vcc Vcc Vcc
XPREA Vcc 0V Vcc
VEEX 0V -9V 0V
CGATE VPPI -9V Vcc
먼저, 프로그램 모드의 동작을 설명하면, 제 1 전원(VPPX)은 포지티브 펌프 (positive pump)가 펌핑 동작을 수행하여 포지티브 펌핑 전압(VPPI) 레벨을 유지한다. 퓨즈 셀 리셋 신호(XRST)는 0V 전압 레벨에서 포지티브 펌프가 펌핑 동작을 수행하여 포지티브 펌핑 전압(VPPI) 레벨까지 상승된다. 또한, 디코더 신호(XPREA) 및 N웰 전압(VNWELL)은 전원 전압(Vcc) 레벨을 유지하므로, 즉, 퓨즈 셀 게이트 신호(CGATE)는 펌핑 전압(VPPI) 레벨을 유지한다.
퓨즈 셀 리셋 신호(XRST)로부터 공급된 펌핑 전압(VPPI)에 의해 제 1 PMOS 트랜지스터(P31)는 턴오프된다. 하이 상태의 디코더 신호(XPREA)가 제 1 NMOS 트랜지스터(N31)를 턴온시켜 접지 단자로 경로가 형성되므로 제 1 노드(Q11)는 로우 상태로 된다. 제 1 노드(Q11)의 전위를 각각 입력으로 하는 제 3 PMOS 트랜지스터 (P33)는 턴온되고, 트리플 웰 NMOS 트랜지스터인 제 2 NMOS 트랜지스터(N32)는 턴오프된다. 따라서, 출력 단자에 펌핑 전압(VPPI)이 공급되고, 이로 인해 제 2 PMOS 트랜지스터(P32)는 턴오프된다.
소거 모드의 동작을 설명하면, 제 1 전원(VPPX)은 2V의 전압을 유지하고, 퓨즈 셀 리셋 신호(XRST)는 0V의 전압, 제 2 전원(VEEX)은 -9V의 전압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디코더 신호(XPREA)는 0V의 전압, N웰 전압(VNWELL)은 전원 전압(Vcc) 레벨을 유지하도록 하여 퓨즈 셀 게이트 신호(CGATE)는 -9V가 유지되도록 한다.
0V의 디코더 신호(XPREA)가 제 1 NMOS 트랜지스터(N31)를 턴오프시키고, 0V의 퓨즈 셀 리셋 신호(XRST)가 제 1 PMOS 트랜지스터(P31)를 턴온시켜 제 1 노드 (Q11)는 제 1 전원(VPPX)에 의해 2V의 전압이 공급되어 하이 상태를 유지한다. 하이 상태의 제 1 노드(Q11)의 전위에 의해 트리플 웰 NMOS 트랜지스터인 제 2 NMOS 트랜지스터(N32)는 턴온되고, 제 3 PMOS 트랜지스터(P33)는 턴오프되어 출력 단자는 제 2 전원(VEEX)에 의해 공급된 -9V의 전위를 유지하게 된다. -9V를 유지하는 출력 단자의 전위에 의해 제 2 PMOS 트랜지스터(P32)가 턴온되어 제 1 노드(Q11)는 하이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독출 모드의 동작을 설명하면, 제 1 전원(VPPX)은 전원 전압(Vcc)의 전압을 유지하고, 퓨즈 셀 리셋 신호(XRST)는 0V의 전압, 제 2 전원(VEEX)은 0V의 전압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디코더 신호(XPREA)는 전원 전압(Vcc), N웰 전압(VNWELL)은 전원 전압(Vcc) 레벨을 유지하도록 하여 퓨즈 셀 게이트 신호 (CGATE)는 전원 전압(Vcc)이 유지되도록 한다.
디코더 신호(XPREA)에 의해 전원 전압(Vcc)이 공급되어 제 1 NMOS 트랜지스터(N31)는 턴온되고, 0V의 퓨즈 셀 리셋 신호(XRST)에 의해 제 1 PMOS 트랜지스터(P31)는 턴온되지만 제 1 노드(Q11)는 로우 상태를 유지하여 제 2 NMOS 트랜지스터 (N32)가 턴오프되고, 제 3 PMOS 트랜지스터(P33)가 턴온되어 출력 단자는 제 1 전원(VPPX)에 의해 공급된 전원 전압(Vcc)의 전위를 유지하게 된다. 전원 전압(Vcc)을 유지하는 출력 단자의 전위에 의해 제 2 PMOS 트랜지스터(P32)가 턴오프되어 제 1 노드(Q11)는 로우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도 8은 셀 프로그램 선택 회로의 상세 회로도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 1 PMOS 트랜지스터(P41)는 독출 및 프로그램 전압을 공급하는 제 3 전원 (VPPY)과 제 1 노드(Q21) 사이에 접속되며, 제 2 노드(Q22)의 전위에 따라 동작된다. 제 2 PMOS 트랜지스터(P42)는 제 3 전원(VPPY)과 제 2 노드(Q22) 사이에 접속되며, 제 1 노드(Q21)의 전위에 따라 동작된다. 제 1 노드(Q21)와 제 1 NMOS 트랜지스터(N41) 사이에 접속된 제 3 NMOS 트랜지스터(N43) 및 제 2 노드(Q22)와 제 2 NMOS 트랜지스터(N42) 사이에 접속된 제 4 NMOS 트랜지스터(N44)는 전원 전압(Vcc)이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어 항상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제 1 NMOS 트랜지스터 (N41)는 제 3 NMOS 트랜지스터(N43)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접속되어 제 1 인버터(I41)를 통해 반전된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에 따라 동작되며, 제 2 NMOS 트랜지스터(N42)는 제 4 NMOS 트랜지스터(N44)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접속되어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에 따라 동작된다. 제 3 전원(VPPY)과 출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3 PMOS 트랜지스터(P43)와 출력 단자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접속된 제 5 NMOS 트랜지스터(N45)는 제 2 노드(Q22)의 전위에 따라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셀 프로그램 선택 신호(TPACSEL)의 전위를 조절한다. 프로그램 선택 회로에 의해 출력된 셀 프로그램 선택 신호(TPACSEL)는 퓨즈 셀 회로(60)로 입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셀 프로그램 선택 회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3 및 제 4 NMOS 트랜지스터(N43 및 N44)는 각각의 게이트 단자에 전원 전압(Vcc)이 인가되어 항상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셀을 프로그램하기 위해 하이 상태의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가 입력되면 제 1 인버터(I41)를 통해 로우 상태로 반전되어 제 1 NMOS 트랜지스터(N41)를 턴오프시키고, 제 1 인버터(I41)를 통하지 않은 하이 상태의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 (TPACEN)에 의해 제 2 NMOS 트랜지스터(N42)가 턴온된다. 턴온된 제 4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N44 및 N42)에 의해 접지 단자(Vss)로 패스가 형성되므로 제 2 노드(Q22)는 로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로우 상태를 유지하는 제 2 노드(Q22)의 전위에 의해 제 1 PMOS 트랜지스터(P41)가 턴온되고, 이를 통해 제 3 전원(VPPY)이 제 1 노드(Q21)에 공급되어 제 1 노드(Q21)의 전위를 하이 상태로 만든다. 하이 상태를 유지하는 제 1 노드(Q21)의 전위에 의해 제 2 PMOS 트랜지스터(P42)가 턴오프되어 제 2 노드(Q22)는 로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로우 상태를 유지하는 제 2 노드(Q22)의 전위에 의해 제 3 PMOS 트랜지스터(P43)는 턴온되고, 제 5 NMOS 트랜지스터(N45)는 턴오프되어 제 3 전원(VPPY)의 전압이 셀 프로그램 선택 신호(TPACSEL)로 출력된다.
제 3 및 제 4 NMOS 트랜지스터(N43 및 N44)는 각각의 게이트 단자에 전원 전압(Vcc)이 인가되어 항상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셀을 독출 또는 소거하기 위해 로우 상태의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가 입력되면 제 1 인버터(I41)를 통해 하이 상태로 반전되어 제 1 NMOS 트랜지스터(N41)를 턴온시키고, 제 1 인버터(I41)를 통하지 않은 로우 상태의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에 의해 제 2 NMOS 트랜지스터(N42)가 턴오프된다. 턴온된 제 3 및 제 1 NMOS 트랜지스터(N43 및 N41)에 의해 접지 단자(Vss)로 패스가 형성되므로 제 1 노드(Q21)는 로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로우 상태를 유지하는 제 1 노드(Q21)의 전위에 의해 제 2 PMOS 트랜지스터(P42)가 턴온되고, 이를 통해 제 3 전원(VPPY)이 제 2 노드 (Q21)에 공급되어 제 2 노드(Q22)의 전위를 하이 상태로 만든다. 하이 상태를 유지하는 제 2 노드(Q21)의 전위에 의해 제 1 PMOS 트랜지스터(P41)가 턴오프되어 제 1 노드(Q21)는 로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하이 상태를 유지하는 제 2 노드(Q21)의 전위에 의해 제 3 PMOS 트랜지스터(P43)는 턴오프되고, 제 5 NMOS 트랜지스터(N45)는 턴온되어 접지 단자로 패스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로우 상태의 신호가 셀 프로그램 선택 신호(TPACSEL)로 출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셀 프로그램 선택 회로는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 (TPACEN)가 하이 상태로 인가될 경우 제 3 전원(VPPY)을 셀 프로그램 선택 신호(TPACSEL)로 출력하고, 로우 상태로 인가될 경우 로우 상태의 신호를 셀 프로그램 선택 신호(TPACSEL)로 출력한다.
도 9는 논리 회로의 상세 회로도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 1 NAND 게이트(11)는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와 제 1 인버터 (I51)를 통해 반전된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TERACEN)를 입력하여 논리 조합한다. 제 2 NAND 게이트(12)는 제 1 NAND 게이트(11)의 출력 신호와 퓨즈 셀 독출 바 신호(CAMSAONb) 신호를 입력하고, 이를 논리 조합한 디코더 신호(XPREA)를 디코더로 출력한다.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P51 및 P52)는 전원 단자와 출력 노드 (Q31) 사이에 접속되며, 제 1 PMOS 트랜지스터(P51)는 기준 퓨즈 셀 신호(REFCAMb)에 따라 구동되며, 제 2 PMOS 트랜지스터(P52)는 출력 노드(Q31)의 전위에 따라 구동된다. 기준 퓨즈 셀 신호(REFCAMb)는 파워업시 로우 상태를 유지하다가 칩의 리셋이 종료된 후 소정 시간 지연되어 하이 상태를 유지한다.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N51 및 N52)는 출력 노드(Q31)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접속되고, 제 1 NMOS 트랜지스터(N51)는 출력 노드(Q31)의 전위에 따라 구동되어 다이오드 역할을 하며, 제 2 NMOS 트랜지스터(N52)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N51)에 의해 입력되는 전위에 따라 구동되는 다이오드 역할을 한다. 출력 노드(Q31)과 접지 단자(Vss) 사이에 접속된 제 3 NMOS 트랜지스터(N53)는 기준 퓨즈 셀 신호(REFCAMb)에 따라 구동된다. 출력 노드(Q31)의 전위는 기준 전압 (VREF)으로 기준 퓨즈 셀 회로로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논리 회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준 셀 회로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퓨즈 셀 신호(REFCAMb)가 로우 상태로 입력되면, 제 1 PMOS 트랜지스터(P51)는 턴온되어 전원 전압(Vcc)이 공급된다. 전원 전압(Vcc)은 로우 상태를 유지하는 출력 노드(Q31)에 의해 턴온된 제 2 PMOS 트랜지스터(P52)를 통해 출력 노드(Q31)로 공급되는데, 제 2 PMOS 트랜지스터 (P52)의 문턱 전압만큼 상승되다가 그 문턱 전압 이상이 되면 제 2 PMOS 트랜지스터(P52)가 턴오프되어 출력 노드(Q31)의 전위 상승은 중단된다. 이때, 출력 노드(Q31)의 전위는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N51 및 N52)의 문턱 전압보다 낮기 때문에 이들은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로우 상태의 기준 퓨즈 셀 신호(REFCAMb)에 의해 제 3 NMOS 트랜지스터(N53)가 턴오프되어 출력 노드(Q31)의 전위가 기준 전압(VREF)으로 출력된다. 한편, 로우 상태의 기준 퓨즈 셀 신호 (REFCAMb)는 제 2 인버터(I52), 제 1 캐패시터(C51), 제 3 인버터(I53) 및 제 2 캐패시터(C52)를 통해 소정시간 지연되어 제 3 NAND 게이트(13)로 입력된다. 제 3 NAND 게이트(13)는 이 신호 이외에 로우 상태의 기준 퓨즈 셀 신호(REFCAMb)와 제 1 인버터(I51)를 통해 반전된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TERACEN)를 입력하고, 이들을 논리 조합하여 퓨즈 셀 독출 신호(CAMSAON)를 출력한다.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가 하이 상태로 입력되고,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TERACEN)가 로우 상태로 입력될 경우, 제 1 NAND 게이트(11)는 하이 상태의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와 제 1 인버터(I51)을 통해 하이 상태로 반전된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TERACEN)를 입력하여 로우 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 3 NAND 게이트(13)는 로우 상태의 지연된 기준 퓨즈 셀 신호(REFCAMb) 및 하이 상태의 반전된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TERACEN)를 입력하여 하이 상태의 퓨즈 셀 독출 신호(CAMSAON)를 출력한다. 제 2 NAND 게이트(12)는 로우 상태의 제 1 NAND 게이트(11)의 출력 신호와 로우 상태의 퓨즈 셀 독출 바 신호(CAMSAONb)를 입력하여 하이 상태의 디코더 신호(XPREA)를 디코더 회로로 출력한다.
여기서,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가 로우 상태로 입력되고,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TERACEN)가 하이 상태로 입력될 경우, 제 1 NAND 게이트(11)는 로우 상태의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와 제 1 인버터(I51)을 통해 로우 상태로 반전된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TERACEN)를 입력하여 하이 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 3 NAND 게이트(13)는 하이 상태의 지연된 기준 퓨즈 셀 신호(REFCAMb) 및 로우 상태의 반전된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TERACEN)를 입력하여 하이 상태의 퓨즈 셀 독출 신호(CAMSAON)를 출력한다. 제 2 NAND 게이트(12)는 하이 상태의 제 1 NAND 게이트(11)의 출력 신호와 하이 상태의 퓨즈 셀 독출 바 신호(CAMSAONb)를 입력하여 로우 상태의 디코더 신호(XPREA)를 디코더 회로로 출력한다.
다음, 기준 셀 회로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퓨즈 셀 신호(REFCAMb)가 하이 상태로 입력되면, 제 1 PMOS 트랜지스터(P51)는 턴오프되어 전원 전압(Vcc)이 공급되지 못한다. 또한, 제 3 NMOS 트랜지스터(N53)은 턴온되어 접지 단자(Vss)로 패스가형성된다. 따라서, 출력 노드(Q31)는 로우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 전위를 기준 전압(VREF)으로 출력하게 된다. 한편, 하이 상태의 기준 퓨즈 셀 신호(REFCAMb)는 제 2 인버터(I52), 제 1 캐패시터(C51), 제 3 인버터(I53) 및 제 2 캐패시터(C52)를 통해 소정시간 지연되어 제 3 NAND 게이트(13)로 입력된다. 제 3 NAND 게이트 (13)는 이 신호 이외에 하이 상태의 기준 퓨즈 셀 신호(REFCAMb)와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를 입력하고, 이들을 논리 조합하여 퓨즈 셀 독출 신호 (CAMSAON)를 출력한다.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가 하이 상태로 입력되고,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TERACEN)가 로우 상태로 입력될 경우, 제 1 NAND 게이트(11)는 하이 상태의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와 제 1 인버터(I51)을 통해 하이 상태로 반전된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TERACEN)를 입력하여 로우 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 3 NAND 게이트(13)은 하이 상태의 지연된 기준 퓨즈 셀 신호(REFCAMb) 및 하이 상태로 반전된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TERECEN)를 입력하여 로우 상태의 퓨즈 셀 독출 신호(CAMSAON)를 출력한다. 제 2 NAND 게이트(12)는 로우 상태의 제 1 NAND 게이트(11)의 출력 신호와 하이 상태의 퓨즈 셀 독출 바 신호(CAMSAONb)를 입력하여 하이 상태의 디코더 신호(XPREA)를 디코더 회로로 출력한다.
여기서,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가 로우 상태로 입력되고,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TERACEN)가 하이 상태로 입력될 경우, 제 1 NAND 게이트(11)는 로우 상태의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와 제 1 인버터(I51)을 통해 로우 상태로 반전된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TERACEN)를 입력하여 하이 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 3 NAND 게이트(13)는 하이 상태의 지연된 기준 퓨즈 셀 신호 (REFCAMb), 하이 상태의 기준 퓨즈 셀 신호(REFCAMb) 및 로우 상태의 반전된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를 입력하여 하이 상태의 퓨즈 셀 독출 신호 (CAMSAON)를 출력한다. 제 2 NAND 게이트(12)는 하이 상태의 제 1 NAND 게이트(11)의 출력 신호와 하이 상태의 퓨즈 셀 독출 바 신호(CAMSAONb)를 입력하여 로우 상태의 디코더 신호(XPREA)를 디코더 회로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이 상태의 기준 퓨즈 셀 신호(REFCAMb)와 하이 상태의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 및 로우 상태의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 (TERACEN)가 입력되면, 로우 상태의 퓨즈 셀 독출 신호(CAMSAON)와 하이 상태의 디코더 신호(XPREA)를 출력하고, 하이 상태의 기준 퓨즈 셀 신호(REFCAMb)와 로우 상태의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 및 하이 상태의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 (TERACEN)가 입력되면, 하이 상태의 퓨즈 셀 독출 신호(CAMSAON)와 로우 상태의 디코더 신호(XPREA)를 출력한다.
도 10은 기준 퓨즈 셀 회로의 상세 회로도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 1 PMOS 트랜지스터(P61)는 전원 단자와 제 1 노드(Q41) 사이에 접속되며, 제 1 인버터(I61)을 통해 반전된 셀 포스트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REPRECEN)에 의해 동작된다. 제 1 노드(Q41)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는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N61 및 N62)가 접속된다. 제 1 NMOS 트랜지스터(N61)는 제 1 인버터 (I61)에 의해 반전된 셀 포스트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REPRECEN)에 의해 동작되고, 제 2 NMOS 트랜지스터(N62)는 NAND 게이트(21)의 출력 신호에 따라 동작된다. NAND 게이트(21)은 퓨즈 셀 독출 신호(CAMSAON)와 제 2 인버터(I62)에 의해 반전된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를 논리 조합하여 출력한다. 기준 퓨즈 셀(22)은 게이트 단자로 퓨즈 셀 게이트 신호(CGATE)를 입력하고, 소오스 단자로 소오스로 소거시키기 위한 제 4 전원(VSSC)이 인가되며, 드레인 단자는 제 3 NMOS 트랜지스터 (N63)와 접속된다. 제 3 및 제 4 NMOS 트랜지스터(N63 및 N64)는 기준 퓨즈 셀(22)과 래치 회로(23) 사이에 접속되며, 제 3 NMOS 트랜지스터(N63)는 기준 전압 (VREF)에 따라 동작되고, 제 4 NMOS 트랜지스터(N64)는 리셋 바 신호(RSTb)에 따라 동작된다. 제 2 PMOS 트랜지스터(P62)는 전원 단자와 래치 회로(23) 사이에 접속되어 리셋 바 신호(RSTb)에 따라 동작된다. 제 4 NMOS 트랜지스터(N64)와 제 2 PMOS 트랜지스터(P62) 사이에 접속된 제 3 및 제 4 인버터(I63 및 I64)로 구성된 래치 회로(23)은 기준 퓨즈 셀(22)을 센싱하여 그 데이터를 래치한다. 래치 회로(23)의 출력단과 접지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5 NMOS 트랜지스터(N65)는 리셋 신호(RST)에 따라 동작된다. 래치 회로(23)의 출력 신호는 제 5 인버터(I65)를 통해 반전되고, 이 신호가 제 6 인버터(I66), 제 1 캐패시터(C61), 제 7 인버터(I67), 제 2 캐패시터(C62), 제 8 인버터(I68) 및 제 3 캐패시터(C63)을 통해 반전 지연되어 NOR 게이트(24)에 입력된다. NOR 게이트(24)에는 지연된 래치 회로(23)의 출력 신호 뿐만 아니라 셀 포스트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REPRECEN) 및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 (TERACEN)를 입력한 후 논리 조합하여 출력한다. NOR 게이트(24)의 출력 신호는 제 9 인버터(I69)를 통해 반전되어 기준 퓨즈 셀 신호(REFCAMb)로 논리 회로에 입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기준 회로의 구동 바이어스 조건은 [표 2]와 같으며, 이를 이용하여 기준 회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거 포스트프로그램 독출
VPPX 2V Vcc Vcc
XRST 0V 0V 0V
VNWELL Vcc Vcc Vcc
XPREA 0V 0V Vcc
VEEX -9V 0V 0V
CGATE -9V 0V Vcc
VSSC 4V 0V 0V
비트라인 플로팅 Vcc 플로팅
먼저, 기준 퓨즈 셀의 소거시 구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셀 포스트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REPRECEN) 및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는 로우 상태로 입력되고, 퓨즈 셀 독출 신호(CAMSAON) 및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TERACEN)는 하이 상태로 입력된다. 이때, 기준 퓨즈 셀(22)에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즉, 2V의 제 1 전원(VPPX), 0V의 퓨즈 셀 리셋 신호(XRST), Vcc의 N웰 전압(VNWELL), 0V의 디코더 신호(XPREA), -9V의 제 2 전원(VEEX)에 의해 -9V의 퓨즈 셀 게이트 신호(CGATE)가 생성되어 게이트 단자에 인가된다. 또한, 소오스에는 4V의 제 4 전원(VSSC)이 인가되고, 드레인 단자(비트라인)는 플로팅된다. 이 상태에서 로우 상태로 입력되는 셀 포스트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REPRECEN)는 제 1 인버터(I61)을 통해 하이 상태로 반전되어 제 1 PMOS 트랜지스터(P61)를 턴오프시키고, 제 1 NMOS 트랜지스터(N61)을 턴온시킨다. 또한, 하이 상태로 입력되는 퓨즈 셀 독출 신호(CAMSAON)와 제 2 인버터(I62)를 통해 하이 상태로 반전된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가 NAND 게이트(21)에 입력되어 로우 상태의 신호가 출력되고, 이 신호에 의해 제 2 NMOS 트랜지스터(N62)가 턴오프된다. 따라서, 제 2 NMOS 트랜지스터(N62)는 턴오프되어 제 1 노드(Q41), 즉 비트라인이 플로팅된다. 전원이 인가되어 초기에 하이 상태의 리셋 신호(RST)가 제 5 NMOS 트랜지스터(N65)를 턴온시키고, 로우 상태의 리셋 바 신호(RSTb)가 제 4 NMOS 트랜지스터(N64)를 턴오프시키고 제 2 PMOS 트랜지스터(P62)를 턴온시킨다. 따라서, 상승되는 전원 전압(Vcc)이 래치 회로(23)에 인가되고, 데이터를 래치하면서 로우 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로우 상태로 출력되는 래치 회로(23)의 신호는 제 5 인버터(I65), 제 6 인버터(I66), 제 1 캐패시터 (C61), 제 7 인버터(I67), 제 2 캐패시터(C62), 제 8 인버터(I68), 제 3 캐패시터 (C63)를 통해 소정 시간 지연되어 NOR 게이트(24)에 입력된다. NOR 게이트(24)에는 소정 시간 지연된 래치 회로(23)의 출력 신호 뿐만 아니라 로우 상태의 셀 포스트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REPRECEN)와 하이 상태의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 (TERACEN)가 입력되어 로우 상태의 신호가 출력되고, 이 신호가 제 9 인버터(I69)를 통해 반전되어 기준 퓨즈 셀 신호(REFCAMb)로 논리 회로로 출력된다.
리셋이 종료되어 로우 상태의 리셋 신호(RST)가 제 5 NMOS 트랜지스터(N65)를 턴오프시키고, 하이 상태의 리셋 바 신호(RSTb)가 제 4 NMOS 트랜지스터(N64)를 턴온시키고 제 2 PMOS 트랜지스터(P62)를 턴오프시킨다. 이때 기준 퓨즈 셀신호(REFCAMb)를 입력하여 기준 전압(Vref)에 의해 제 3 NMOS 트랜지스터(N63)가 턴온되면서 래치 회로의 전원 전압이 디스차지되어 로우 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는 기준 퓨즈 셀 신호(REFCAMb)를 하이 상태로 만들어 기준 전압(Vref)을 접지시켜 제 3 NMOS 트랜지스터(N63)를 턴오프시킨다. 결국 기준 퓨즈 셀은 패키지 선택 셀을 센싱하는 소정의 시간, 즉 기준 퓨즈 셀 신호(REFCAMb)가 로우인 시간을 제공하게 된다.
퓨즈 셀 회로의 퓨즈 셀을 완벽하게 센싱하기 위해 기준 퓨즈 셀 회로의 기준 퓨즈 셀을 포스트프로그램시켜야 하는데, 기준 퓨즈 셀의 포스트프로그램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셀 포스트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REPRECEN)는 하이 상태로 입력되고, 퓨즈 셀 독출 신호(CAMSAON),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 및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TERACEN)는 로우 상태로 입력된다. 이 상태에서 하이 상태로 입력되는 셀 포스트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REPRECEN)는 제 1 인버터(I61)을 통해 로우 상태로 반전되어 제 1 PMOS 트랜지스터(P61)를 턴온시키고, 제 1 NMOS 트랜지스터(N61)를 턴오프시킨다. 또한, 로우 상태로 입력되는 퓨즈 셀 독출 신호(CAMSAON)와 제 2 인버터(I62)를 통해 하이 상태로 반전된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가 NAND 게이트(21)에 입력되어 하이 상태의 신호가 출력되고, 이 신호에 의해 제 2 NMOS 트랜지스터(N62)가 턴온된다. 따라서, 턴온된 제 1 PMOS 트랜지스터(P61)를 통해 전원 전압(Vcc)가 공급되어 제 1 노드(Q41)는 하이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결국 셀의 비트라인에 전원 전압(Vcc)이 인가되어 포스트프로그램을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조건에서의 논리 회로의 입출력을 살펴보면, 기준 퓨즈 셀(22)에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Vcc의 제 1 전원(VPPX), 0V의 퓨즈 셀 리셋 신호(XRST), Vcc의 N웰 전압(VNWELL), Vcc의 디코더 신호(XPREA), 0V의 제 2 전원(VEEX)이 인가되어 0V의 퓨즈 셀 게이트 신호(CGATE)를 생성하여 게이트 단자에 인가된다. 또한, 소오스에는 0V의 제 4 전원(VSSC)이 인가되고, 드레인 단자(비트라인)에는 Vcc가 인가된다.
기준 퓨즈 셀의 프로그램시 독출 방법을 설명하면, 셀 포스트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REPRECEN),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 및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TERACEN)는 로우 상태로 입력되고, 퓨즈 셀 독출 신호(CAMSAON)는 하이 상태로 입력된다. 이때, 기준 퓨즈 셀(22)에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Vcc의 제 1 전원(VPPX), 0V의 퓨즈 셀 리셋 신호(XRST), Vcc의 N웰 전압(VNWELL), Vcc의 디코더 신호(XPREA), 0V의 제 2 전원(VEEX)에 의해 Vcc의 퓨즈 셀 게이트 신호(CGATE)가 생성되어 게이트 단자에 인가된다. 또한, 소오스 단자에는 제 4 전원(VSSC)에 의해 0V가 인가되고, 드레인 단자(비트라인)에는 약 1V가 인가된다. 즉, 전원이 인가되어 초기에 하이 상태의 리셋 신호(RST)에 의해 제 5 NMOS 트랜지스터(N65)가 턴온되고, 로우 상태의 리셋 바 신호(RSTb)에 의해 제 4 NMOS 트랜지스터(N64)가 턴오프되고 제 2 PMOS 트랜지스터(P62)가 턴온된다. 따라서, 상승되는 전원 전압(Vcc)이 래치 회로(23)에 인가되고, 데이터를 래치하면서 로우 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로우 상태로 출력되는 래치 회로(23)의 신호는 제 5 인버터(I65), 제 6인버터(I66), 제 1 캐패시터(C61), 제 7 인버터(I67), 제 2 캐패시터(C62), 제 8 인버터(I68), 제 3 캐패시터(C63)를 통해 소정 시간 지연되어 NOR 게이트(24)에 입력된다. NOR 게이트(24)에는 소정 시간 지연된 래치 회로(23)의 출력 신호 뿐만 아니라 로우 상태의 셀 포스트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REPRECEN)와 로우 상태의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TERACEN)가 입력되어 하이 상태의 신호가 출력되고, 이 신호가 제 9 인버터(I69)를 통해 로우 상태로 반전되어 기준 퓨즈 셀 신호(REFCAMb)로 논리 회로로 출력된다.
리셋이 종료되어 로우 상태의 리셋 신호(RST)에 의해 제 5 NMOS 트랜지스터 (N65)가 턴오프되고, 하이 상태의 리셋 바 신호(RSTb)에 의해 제 4 NMOS 트랜지스터(N64)가 턴온되고 제 2 PMOS 트랜지스터(P62)가 턴오프된다. 이때, 래치 회로 (23)에 충전된 Vcc는 기준 퓨즈 셀 신호(REFCAMb)의 로우 신호에 의해 만들어지는 기준 전압(Vref)에 의해 제 3 NMOS 트랜지스터(N63)를 턴온시켜 래치 회로(23)를 방전하고 결국 소정의 지연 시간 후에 하이 상태의 기준 퓨즈 셀 신호(REFCAMb)로 논리 회로로 출력된다.
도 11은 퓨즈 셀 회로의 상세 회로도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 1 NMOS 트랜지스터(N71)는 셀 프로그램 선택 신호(TPACSEL)에 따라 구동되어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를 퓨즈 셀(31)에 인가한다. 퓨즈 셀(31)의 드레인 단자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접속된 제 2 NMOS 트랜지스터(N72)는 리셋 신호(RST)에 따라 동작된다. 퓨즈 셀(31)은 게이트 단자로 퓨즈 셀 게이트 신호(CGATE)를 입력하고, 소오스 단자로 소오스로 소거시키기 위한 제 4 전원(VSSC)이 인가되며, 드레인 단자는 제 3 NMOS 트랜지스터(N73)와 접속된다. 제 3 및 제 4 NMOS 트랜지스터(N73 및 N74)는 퓨즈 셀(31)과 래치 회로(32) 사이에 접속되며, 제 3 NMOS 트랜지스터(N73)는 기준 전압(VREF)에 따라 동작되고, 제 4 NMOS 트랜지스터(N74)는 리셋 바 신호(RSTb)에 따라 동작된다. 제 1 PMOS 트랜지스터(P71)는 전원 단자와 래치 회로(32) 사이에 접속되어 리셋 바 신호(RSTb)에 따라 동작된다. 제 4 NMOS 트랜지스터(N74)와 제 1 PMOS 트랜지스터(P71) 사이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인버터(I71 및 I72)로 구성된 래치 회로(32)은 퓨즈 셀(31)을 센싱하여 그 데이터를 래치한다. 래치 회로(32)의 출력 신호는 제 3 및 제 4 인버터(I73 및 I74)를 통해 지연되어 제 1 및 제 2 스위칭 수단을 구동하는 제어 신호(PKGON)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퓨즈 셀 회로의 구동 방법을 인가 바이어스 조건을 나타낸 [표 3]과 퓨즈 셀의 프로그램시와 소거시의 구동 파형을 도시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거 프로그램 독출
VPPX 2V 9V Vcc
XRST 0V 9V 0V
VNWELL Vcc Vcc Vcc
XPREA 0V Vcc 0V
VEEX -9V 0V 0V
CGATE -9V 9V 0V
VSSC 4V 0V 0V
비트라인 플로팅 Vcc 플로팅
먼저, 퓨즈 셀을 프로그램시킬 경우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이 상태로 인가되는 셀 프로그램 선택 신호(TPACSEL)에 의해 제 1 NMOS 트랜지스터(N71)이 턴온되어,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가 인가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퓨즈 셀(31)에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9V의 제 1 전원(VPPX), 9V의 퓨즈 셀 리셋 신호(XRST), Vcc의 N웰 전압(VNWELL), Vcc의 디코더 신호(XPREA), 0V의 제 2 전원(VEEX)이 인가되어 9V의 퓨즈 셀 게이트 신호(CGATE)를 생성하여 게이트 단자에 인가된다. 또한, 소오스에는 제 4 전원(VSSC)에 의해 0V의 전압이 인가되고, 드레인 단자(비트라인)에는 Vcc가 인가된다. 이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어 초기에 하이 상태의 리셋 신호(RST)가 제 2 NMOS 트랜지스터(N72)를 턴온시켜 셀의 드레인을 접지 단자로 패스시킨다.
퓨즈 셀(31)이 프로그램된 상태에서 리셋이 종료되어 로우 상태의 리셋 신호 (RST)가 제 2 및 제 5 NMOS 트랜지스터(N72 및 N75)를 턴오프시키고, 하이 상태의 리셋 바 신호(RSTb)에 의해 제 4 NMOS 트랜지스터(N64)가 턴온되고 제 1 PMOS 트랜지스터(P71)가 턴오프된다. 또한, 기준 전압(VREF)에 의해 제 3 NMOS 트랜지스터 (N73)가 턴온된다. 따라서, 래치 회로(32)에 전원 전압(Vcc)의 공급이 중단되고, 퓨즈 셀(32)의 데이터를 센싱하여 래치한 후 로우 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로우 상태의 출력 신호는 제 3 및 제 4 인버터(I73 및 I74)를 통해 소정 시간 지연되어 전되어 제어 신호(PKGON)를 출력한다.
도 12는 상기와 같이 구동되는 퓨즈 셀 회로의 파형도로서, 로우 상태로 출력되는 제어 신호(PKGON)에 의해 제 2 스위칭 수단이 동작되어 제 2 패드(PAD2)이출력되는 것을 도시한다.
퓨즈 셀을 소거시킬 경우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로우 상태로 인가되는 셀 프로그램 선택 신호(TPACSEL)에 의해 제 1 NMOS 트랜지스터(N71)가 턴오프되어,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TPACEN)가 인가되지 못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퓨즈 셀(31)에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V의 제 1 전원(VPPX), 0V의 퓨즈 셀 리셋 신호(XRST), Vcc의 N웰 전압(VNWELL), 0V의 디코더 신호(XPREA), -9V의 제 2 전원(VEEX)이 인가되어 -9V의 퓨즈 셀 게이트 신호(CGATE)를 생성하여 게이트 단자에 인가된다. 또한, 소오스에는 제 4 전원(VSSC)에 의해 4V의 전압이 인가되고, 드레인 단자(비트라인)는 플로팅된다. 이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어 초기에 하이 상태의 리셋 신호(RST)에 의해 제 5 NMOS 트랜지스터(N75)가 턴온되어 래치 회로 (32)를 초기화시킨다.
퓨즈 셀(31)이 소거된 상태에서 리셋이 종료되어 로우 상태의 리셋 신호 (RST)에 의해 제 5 NMOS 트랜지스터(N75)가 턴오프되고, 하이 상태의 리셋 바 신호 (RSTb)에 의해 제 4 NMOS 트랜지스터(N64)가 턴온되고 제 1 PMOS 트랜지스터(P71)가 턴오프된다. 또한, 기준 전압(VREF)에 의해 제 3 NMOS 트랜지스터(N73)이 턴온된다. 따라서, 래치 회로(32)에 전원 전압(Vcc)의 공급이 중단되고, 퓨즈 셀(32)의 데이터를 센싱하지만 퓨즈 셀(32)의 드레인 단자가 플로팅 상태로 있기 때문에 로우 상태의 신호를 래치한 후 하이 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하이 상태의 출력 신호는 제 3 및 제 4 인버터(I73 및 I74)를 통해 소정 시간 지연되어 제어 신호(PKGON)를 출력한다.
도 13는 상기와 같이 구동되는 소거된 퓨즈 셀 회로의 파형도로서, 하이 상태로 출력되는 제어 신호(PKGON)에 의해 제 1 스위칭 수단이 동작되어 제 1 패드(PAD1)가 출력되는 것을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컷다운 제품을 개발할 때 어드레스 패드와 이와 동일한 어드레스를 입력으로 하는 더미 패드를 배치하여 퓨즈 블록의 제어에 따라 이들 패드를 선택하므로써 다양한 패키지 요구에 따라 유연하게 입력 패스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패키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칩 사이즈가 증가되는 문제점을 쉽게 극복할 수 있다.

Claims (4)

  1. 동일한 어드레스를 입력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입력 패드와;
    퓨즈 셀의 프로그램 및 소거 상태에 따라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퓨즈 블록과;
    상기 제 1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어드레스를 출력 단자로 출력하기 위한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신호의 반전된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어드레스를 접지 단자로 출력하기 위한 제 2 스위치로 구성되는 제 1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2 신호의 반전된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어드레스를 상기 출력 단자로 출력하기 위한 제 3 스위치 및 상기 제 1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어드레스를 상기 접지 단자로 출력하기 위한 제 4 스위치로 구성되는 제 2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패드 제어 회로.
  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제 1 입력 패드와 출력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제 1 입력 패드와 접지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패드 제어 회로.
  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스위치는 상기 제 2 입력 패드와 출력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 3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고, 상기 제 4 스위치는 상기 제 2 입력 패드와 접지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 4 NMO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패드 제어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블록은 전원 전압이 소정의 상승 시간을 가지고 상승할 때 소정 시간에 리셋 신호와 리셋 바 신호를 생성하는 파워 업 리셋 회로와,
    제 1 전원, 제 2 전원, 퓨즈 셀 리셋 신호 및 디코더 신호를 각각 입력하여 셀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는 디코더 회로와,
    제 3 전원 및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를 각각 입력하여 셀 프로그램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셀 프로그램 선택 회로와,
    상기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 및 기준 퓨즈 셀 신호를 각각 입력하여 기준 퓨즈 셀 독출 신호, 기준 전압 및 디코더 신호를 생성하는 논리 회로와,
    셀 포스트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 상기 리셋 신호 및 리셋 바 신호, 상기 퓨즈 셀 게이트 신호, 상기 퓨즈 셀 독출 신호, 상기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 상기 셀 소거 인에이블 신호, 상기 기준 전압, 그리고 제 4 전원을 각각 입력하여 소정의 지연 시간을 갖는 기준 퓨즈 셀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 퓨즈 셀 회로와,
    상기 리셋 신호 및 리셋 바 신호, 상기 퓨즈 셀 게이트 신호, 상기 셀 프로그램 인에이블 신호, 상기 기준 전압, 상기 제 4 전원, 상기 셀 프로그램 선택 신호를 각각 입력하여 퓨즈 셀의 프로그램 및 소거 상태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를 생성하는 퓨즈 셀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패드 제어 회로.
KR1019990023698A 1999-06-23 1999-06-23 입력 패드 제어 회로 KR100317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698A KR100317498B1 (ko) 1999-06-23 1999-06-23 입력 패드 제어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698A KR100317498B1 (ko) 1999-06-23 1999-06-23 입력 패드 제어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405A KR20010003405A (ko) 2001-01-15
KR100317498B1 true KR100317498B1 (ko) 2001-12-24

Family

ID=19594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3698A KR100317498B1 (ko) 1999-06-23 1999-06-23 입력 패드 제어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74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5965A (ja) * 1992-12-25 1994-07-15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960042745A (ko) * 1995-05-25 1996-12-21 김광호 다수개의 스위칭 수단을 가지는 다용도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장치
JPH10134578A (ja) * 1996-10-29 1998-05-22 Fujitsu Ltd 半導体記憶装置
KR19980015268A (ko) * 1996-08-20 1998-05-25 김광호 반도체 장치의 특정 모드 신호 발생 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5965A (ja) * 1992-12-25 1994-07-15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960042745A (ko) * 1995-05-25 1996-12-21 김광호 다수개의 스위칭 수단을 가지는 다용도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장치
KR19980015268A (ko) * 1996-08-20 1998-05-25 김광호 반도체 장치의 특정 모드 신호 발생 회로
JPH10134578A (ja) * 1996-10-29 1998-05-22 Fujitsu Ltd 半導体記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405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5069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redundancy circuit having a reference resistance
US6181605B1 (en) Global erase/program ve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391020B1 (ko) 데이터 유지회로
US6128215A (en) Static random access memory circuits
US7420835B2 (en) Single-port SRAM with improved read and write margins
EP0448879A1 (en) SRAM based cell for programmable logic devices
KR100265390B1 (ko) 자동 센싱시간 트래킹 회로를 구비한 플래쉬 메모리 셀의래치 회로
EP0632594A2 (en) Latch controlled output driver
US6798272B2 (en) Shift register for sequential fuse latch operation
KR100314644B1 (ko) 리페어퓨즈셀의과소거확인회로
US20160225421A1 (en) Adjustment method of signal level in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KR100526576B1 (ko) 고전압 전달 회로
KR100616215B1 (ko) 안티퓨즈를 이용한 리페어 회로
KR100317498B1 (ko) 입력 패드 제어 회로
KR100641761B1 (ko) 디코더, 집적 회로 및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장치
US5654926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5239207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7050354B2 (en) Low-power compiler-programmable memory with fast access timing
US8803590B2 (en) High speed low power fuse circuit
KR950004863B1 (ko) Eprom 래치회로
JPH07334988A (ja) プログラマブル半導体集積回路
EP12663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reset and power-on arrangement for a dram generator controller
US5420533A (en) Pull-down circuit for wide voltage operation
EP1643507B1 (en) Static random access memory circuits
KR960006384B1 (ko) 와이드 전압동작을 위한 풀-다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