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873B1 - 렌티큘러 렌즈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렌티큘러 렌즈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873B1
KR100316873B1 KR1019980044278A KR19980044278A KR100316873B1 KR 100316873 B1 KR100316873 B1 KR 100316873B1 KR 1019980044278 A KR1019980044278 A KR 1019980044278A KR 19980044278 A KR19980044278 A KR 19980044278A KR 100316873 B1 KR100316873 B1 KR 100316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ticular lens
layer
lens sheet
base memb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290A (ko
Inventor
마사히로 고토
Original Assignee
기타지마 요시토시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지마 요시토시,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지마 요시토시
Publication of KR19990037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12Array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 G02B3/0031Replication or moulding, e.g. hot embossing, UV-casting, injection 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5Storage media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game information, e.g. video game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278Lenticular she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03B21/625Lenticular 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6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two different directions in a plane, e.g. honeycomb arrangement of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10)는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베이스부재(15)와, 베이스부재(15)의 입광면(11)측에 凸상으로 형성된 렌티큘러 렌즈시트를 갖춘 렌즈부(12)를 구비하고 있다. 렌즈부(12)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또는 전자선 경화형 수지 등의 전이방사선 경화형의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렌티큘러 렌즈의 기부측에는 거의 투명하면서 비착색의 비착색층(12A)이 형성되며, 입광면(11)을 따라 착색층(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착색층(13)에는 입광측 편면 렌티큘러 렌즈시트(10)의 콘트라스트를 높이는 기능이 있다. 이 렌티큘러 렌즈시트(10)에 의하면, 영상광의 광도를 지나치게 낮추는 것 없이 외광반사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 콘트라스트를 높이면서 렌티큘러렌즈의 파인피치(fine pitch)화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렌티큘러 렌즈시트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등의 셀구조를 갖춘 화상광원으로부터의 화상을 투영하는데 적당한 렌티큘러 렌즈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적색과 녹색 및 청색의 3개의 CRT(Cathorde Ray Tube)로 이루어진 화상광원과, 이 화상광원으로부터의 화상을 투영하기 위한 투과형 스크린을 구비한 배면투사형 프로젝션 텔레비젼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프로젝션 텔레비젼에서는 투과형 스크린으로서, 예컨대 프레넬렌즈와 렌티큘러렌즈를 조합시킨 것이 이용되고 있고, 그 중 렌티큘러 렌즈시트에서는 광을 넓은 범위로 확산하는 것과, 외광의 영향을 적게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도 13은 종래의 렌티큘러 렌즈시트(40)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낸 렌티큘러 렌즈시트(40)에서는 광을 집광하는 복수의 렌티큘러렌즈(이하 간단히 「렌즈」라 함)를 갖춘 렌즈부(42)가 입광면(41)측에 형성되고, 또한 렌즈부(42)의 각 렌즈의 초점(집광점) 근처에 출광면(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출광면(44) 중 렌즈부(42)의 각 렌즈의 초점과 초점 사이에는 차광부(48;블랙스트라이프)가 형성된 비출광부(47)가 설치되어 있어, 광을 확산시킴과 더불어 외광의 영향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프로젝션 텔레비젼에서는 화상광원으로서 LCD나 DMD 등을 이용한 것도 개발되어 있고, 이와 같은 프로젝션 텔레비젼에서도 광의 확산특성의 향상 및 외광반사의 방지라는 관점으로부터,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블랙스트라이프 부착 렌티큘러 렌즈시트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화상광원으로서 LCD나 DMD 등을 이용한 프로젝션 텔레비젼에서는 LCD나 DMD 등의 셀구조에 기인하는 격자 패턴이 투과형 스크린상에 투영되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투과형 스크린에 이용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는 일정 피치의 주기적인 구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렌티큘러 렌즈시트상에 화상을 투영하여 관찰하면, 렌티큘러렌즈의 샘플링 효과에 의해 모아레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모아레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렌티큘러렌즈의 피치가 투영된 격자패턴 격자 간격의 1/3.5 이하로 되도록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LCD나 DMD 등을 이용한 프로젝션 텔레비젼에서는 신틸레이션이라 불리워지는 영상의 반짝거림이 발생하지만, 렌티큘러렌즈의 피치를 작게하는 것은 이 신틸레이션을 약화시키는데도 유효하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블랙스트라이프 부착 렌티큘러 렌즈시트에서는 일반적으로 확산각 40˚이상의 넓은 범위로 광을 확산시키면서 출광면에 블랙스트라이프를 형성하도록 하면, 입광면측에 형성된 렌티큘러렌즈와 출광면 사이의 거리를 렌티큘러 렌즈피치의 1.3배 정도 이하로 할 필요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블랙스트라이프 부착의 렌티큘러 렌즈시트에서는 투과형 스크린상에 투영된 격자 패턴과 렌티큘러렌즈의 주기적인 구조에 의해 발생하는 모아레를 현저히 없애기 위해, 렌티큘러렌즈의 피치를 0.4mm 이하로 하고, 또한 렌티큘러렌즈와 출광면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두께를 0.54mm 이하로 하고 있다.
그러나,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블랙스트라이프 부착 렌티큘러 렌즈시트에서는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두께를 얇게 하면 강성이 저하되어, 렌티큘러 렌즈시트를 평평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얇은 렌티큘러 렌즈시트를 압출 성형 등을 이용하여 정밀도가 양호하게 형성하는 것은 대단히 곤란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LCD나 DMD 등을 이용한 프로젝션 텔레비젼에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광이 확산특성 향상 및 외광반사의 방지라는 관점으로부터 출광측 편면 렌티큘러 렌즈시트나 입광측 편면 렌티큘러 렌즈시트 등을 착색하여 이용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여기서, 출광측 편면 렌티큘러 렌즈시트에서는 렌티큘러 렌즈의 단면형상으로서 원형이나 타원의 일부 형상이 이용되는 것 외에 전반사를 이용하는 형상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자의 단면형상이 원이나 타원의 일부 형상인 경우에는 렌즈의 스커트부분에서의 투사광에 대한 렌즈각도가 임계각을 넘어 전반사를 일으키기 때문에, 시야각을 넓게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후자의 전반사를 이용하는 형상의 경우에는 그 특이한 형상 때문에 압축 성형에서는 정확한 형전사가 행해지지 않아 생산성이 나쁜 캐스트(cast) 성형에 의해 제조하지 않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도 14는 입광측 편면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입광 위치에서 렌즈의 경사각과 광의 출사각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광측 편면 렌티큘러 렌즈시트(60)에서는 광을 집광하는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를 갖춘 렌즈부(62)가 입광면(61)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 부호 ø는 렌즈부(62)의 각 렌즈의 스커트의 부분의 렌즈각도(경사각), 부호 θ는 렌즈부(62)의 각 렌즈의 스커트의 부분으로 입사된 광의 출사각, 부호 h는 렌즈부(62)의 높이, 부호 L은 입광점(렌즈부(62)의 각 렌즈의 스커트의 부분)으로부터 집광점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여기서,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굴절률을 n=1.5, 렌즈피치를 p=1.0mm로 한 경우에 있어서, 렌즈의 스커트부분의 렌즈각도(ø)에 대한 광의 출사각(θ) 및 집광점의 위치의 관계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N=1.5, P=1.0mm)
ø (deg) θ(deg) L(mm) h(mm)
30 15.9 2.69 0.14
40 22.3 1.92 0.19
50 29.7 1.42 0.26
60 38.9 1.08 0.33
70 51.0 0.83 0.42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은 입광측 편면 렌티큘러렌즈(60)에서는, 출사각 θ=40˚ 이상의 넓은 시야각을 얻기 위해서는 렌즈의 스커트부분의 렌즈각도(ø)를 60˚ 이상으로 크게 할 필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입광측 편면 렌티큘러 렌즈시트(60)에서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의 스커트부분의 렌즈각도(ø)를 크게 하면 출광면(64)측으로부터 입사하는 외광(D)이 렌즈에 전반사 되어 출광면(64)으로부터 다시 출사하여 관찰되기 때문에(부호 D1, D2, D3, D4 참조),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분명하게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블랙스트라이프 부착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경우에는 출광면은 렌즈부의 각 렌즈의 초점(집광점) 부근에 형성되어 있고, 입사면에 형성된 렌즈와 출광면 사이의 거리는 h+L이 된다. 상기 표 1에 있어서, 거리 h+L은 렌즈의 스커트부분의 렌즈의 각도(ø)가 60°일 때 1.41, 각도(ø)가 70°일 때 1.25이고, 입사면에 형성된 렌즈부와 출광면 사이의 거리는 렌즈피치의 약 1.3배 정도로 설계할 필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렌즈부와 출광면의 거리를 반드시 h+L로 할 필요가 없는 입광측편면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경우와 달리, 종래의 블랙스트라이프 부착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렌즈피치를 작게하면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두께가 얇아져, 강성의 저하 및 성형의 곤란성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영상광의 강도를 지나치게 낮추지 않고 외광반사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 콘트라스트를 높이면서 렌티큘러 렌즈의 파인피치(fine pitch)화를 가능하게 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제1실시형태 및 이를 이용한 투과형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에 있어서 외광반사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착색층의 기능을 종래의 입광측 편면 렌티큘러 렌즈시트와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렌티큘러 렌즈시트 렌즈부의 스크린면에 대한 각도와 외광의 입사각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투과율과 콘트라스트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착색층 두께의 최적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착색층 두께의 최적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광확산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착색층의 두께를 균일하게 한 경우와 스커트부측의 착색층의 두께를 얇게 한 경우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공정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13은 종래의 블랙스트라이프 부착 렌티큘러 렌즈시트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입광측 편면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입광위치에서 렌즈의 경사각과 광의 출사각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특징은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베이스부재와, 이 베이스부재의 입광면측에 凸상으로 형성된 렌티큘러렌즈를 갖춘 렌즈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상기 렌즈부의 상기 렌티큘러렌즈의 기부측에 비착색층이 형성되며, 상기 렌즈부의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적어도 정부(頂部)에 착색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이다.
본 발명의 제1특징에서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출광면측에 거의 투명한 프론트시트를 더 구비하고,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의 출광면측 또는 상기 프론트시트의 전면에 표면처리층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표면처리층은 반사방지층과, 대전방지층, 흠방지층, 편광필터층, 오염방지층, 전자파쉴드층, 방현층 및 터치센서기능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렌즈부는 전이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특징은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베이스부재의 한쪽 면에 전이방사선 경화형의 비착색수지를 코팅하는 공정과, 렌티큘러렌즈형상이 형성된 렌즈성형주형에 전이방사선 경화형의 착색수지를 도포하는 공정, 상기 렌즈성형주형에 대하여 상기 착색수지 및 상기 비착색수지를 끼워 상기 베이스부재를 니핑하는 공정, 상기 비착색수지 및 상기 착색수지로 전이방사선을 조사하여 그 수지를 경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2특징에 있어서는 상기 베이스부재로 코팅된 상기 비착색수지를 건조시키는 건조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로 코팅된 상기 비착색수지의 렌즈형성시에 있어서 유동성을 상기 비착색수지 보다도 작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와 거의 투명한 프론트시트를 코팅법 및/또는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일체화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의 출광면측 또는 상기 프론트시트의 전면에 코팅법 및/또는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특징에 의하면 영상광의 광도를 지나치게 낮추는 것 없이 외광반사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 콘트라스트를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렌티큘러 레즈의 파인피치화를 가능하게 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제1실시형태를 이용한 투과형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를 나타낸 도 1a의 B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렌티큘러 렌즈시트에서 외광반사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10)는 프레넬 렌즈시트(20)와 조합되어 투과형 스크린(1)을 구성한다. 또한, 이 투과형 스크린(1)은 LCD 프로젝터 등의 광원(2)과 조합되어 배면투사 시스템을 구성한다.
렌티큘러 렌즈시트는(10)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베이스부재(15)와, 베이스부재(15)의 입광면(11)측에 凸상으로 형성된 렌티큘러 렌즈시트를 갖춘 렌즈부(12)를 구비하고 있다.
렌즈부(12)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또는 전자선 경화형 수지 등의 전이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렌티큘러렌즈의 기부측에는 거의 투명하면서 비착색의 비착색층(12a)이 형성되며, 입광면(11)을 따라 착색층(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착색층(13)에는 입광측 편면 렌티큘러 렌즈시트(10)의 콘트라스트를 높이는 기능이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10)의 착색층의 기능을 종래의 입광측 편면 렌티큘러 렌즈시트(60)와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렌티큘러 렌즈시트(60)는 입광측 편면 렌티큘러 렌즈시트에 있어서, 기재층(65)이 전체적으로 착색된 바디착색타입의 것이다. 도 3b에 나타낸 렌티큘러 렌즈시트(60)에 있어서, 관찰측으로부터 입사된 외광(D1)은 입광면(61)에 형성된 렌즈부(62)에서 전반사되고, 관찰측으로 외광(D4)으로서 재출사한다. 이때, 외광(D1)은 렌즈부(62)의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형상을 따라 반사를 반복한다 (D1→D2→D3→D4).
한편,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렌티큘러 렌즈시트(10)는 렌즈부(62)의 렌티큘러렌즈의 형상을 따라 전반사 하는 광의 경로를 따라 착색층(13)이 형성되기 때문에, 영상광(A)의 착색층(13)내의 광로 길이에 대하여 외광(D)의 착색층(13)내의 광로 길이는 5~10배 정도로 된다. 또한, 도 3b에 나타낸 종래의 바디착색타입의 렌티큘러 렌즈시트(60)의 경우에는 영상광(A)의 착색층(기재층(65))내의 광로 길이에 대하여 외광(D)의 착색층(기재층(65))내의 광로 길이는 많아야 2~3배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10)에 의하면, 영상광(A)의 강도를 지나치게 낮추는 것 없이 외광(D)의 반사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콘트라스트가 양호한 스크린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10)는 입광면(11)측에 형성된 렌즈부(12)의 각 렌즈에서 전반사하는 외광(D)을 효율 좋게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외광(D)을 렌즈부(12)의 각 렌즈에서 전반사시키기 위해서는 렌즈부(12)의 각 렌즈에 있어서, 스크린면에 대한 각도(ø; 도 4 참조)가 적어도 임계각(약 42˚) 이상의 경사를 갖춘 부위를 갖추고 있을 필요가 있고, 이 이하의 경사밖에 없는 렌즈부(12)의 경우에는 도 3b에 나타낸 바디착색타입의 렌티큘러 렌즈시트(60)에 대하여 우위성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도 4는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렌즈부의 스크린면에 대한 각도와 외광의 입사각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티큘러 렌즈시트에 수직으로 입사한 외광이 렌즈부(12)에서부터 출사할 때, 또는 렌즈부(12)에서 전반사 할 때의 입사각(ø')은 그 부위의 스크린면에 대한 렌즈각도(ø)와 동일하다.
즉, 도 4에 있어서 L-L'(접선)과 M-M'이 직각으로 교차하고 i=i'인 것으로부터 ø=ø'으로 된다.
이 때문에, 외광(D)을 렌즈부(12)의 각 렌즈에서 전반사시키기 위해서는 렌즈부(12)의 각 렌즈에 있어서 렌즈각도(ø)가 임계각 sin-1(1/n)(n은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굴절률) 이상의 부위를 갖추고 있는 것이 필요로 된다.
그러나,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가 42°정도에서는 약 25°의 확산각 밖에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렌즈부(12)의 각 렌즈는, 통상 확산각이 40° 이상으로 되도록 렌즈각도가 60° 정도 이상의 부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된 착색층(13)의 착색방법과, 색, 착색농도, 형상 및, 두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착색층의 착색방법)
착색층(13)의 착색은 전이방사선 경화형의 성형수지에 염료나 미세한 안료를 혼합 또는 분산시키는 것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층의 색)
착색층(13)의 색은 그레이와 같은 무채색이나 광원의 분광특성에 있어서, 3원색(적색과 녹색 및 청색)의 균형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과 같은 특정 색의 광을 선택적으로 흡수 또는 투과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층의 착색농도)
착색층(13)의 착색농도는 착색층(13)으로부터 보아 출광면(14)측에 위치하는 부분(비착색층(12A) 또는 베이스부재(15))의 착색농도 보다도 높게 하고, 비착색층(12A) 및 베이스부재(15)의 착색농도는 0 또는 낮게 남도록 하며, 이에 의해 광원(2)으로부터의 투사광(영상광)의 투과율을 지나치게 손상시키는 것 없이 외광의 영향을 억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착색층(13)의 착색농도는 렌티큘러 렌즈시트(10)의 투과율이 40~70%로 되도록 하는 농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과율이 70% 보다도 높게 되도록 착색농도를 낮게 하면 투과율은 향상되지만, 그에 따라 렌즈부(12)에서 전반사되어 관찰측으로 되돌아가는 외광의 강도가 강하게 되어, 콘트라스트가 악화된다. 반대로, 투과율이 40% 보다도 낮게 되도록 착색농도를 높게 하면, 영상광의 투과율이 나쁘게만 되고, 출광면(14)에서의 외광반사가 상대적으로 현저하도록 되어, 결국 콘트라스트의 악화를 초래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투과율과 콘트라스트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착색층의 착색농도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제작한 렌티큘러 렌즈시트(10)에 있어서, 그 투과율 및 반사율을 분광광도계(시마즈제작소(주)제의 UV2100)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투과율(횡축)에 대하여 반사율및, 투과율과 반사율의 비(투과율/반사율)를 플로트하였다. 또한, 반사율은 좌측의 종축에서, 투과율과 반사율의 비는 우측의 종축에서 볼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색농도를 낮추면, 투과율은 상승하지만 반사율은 투과율이 70%를 넘어서부터 급격하게 상승한다. 이것은 착색농도가 낮게 되기 때문에 착색층(13)이 외광을 충분하게 흡수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10)는 관찰측의 출광면(14)에서 반사하는 외광은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착색농도를 높게하여 투과율을 낮게하는 경우에도 투과율과 반사율의 비는 감소하여가고, 투과율과 반사율의 비는 투과율이 50%일 때를 피크로 하여 양측에서 하강한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착색층(13)의 착색농도는 렌티큘러 렌즈시트(10)의 투과율이 40~70%로 되도록 하는 농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원(2)으로서 투과형의 LCD광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LCD광원의 출력이 지나치게 크지 않고, 투과율을 희생하는 것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착색층(13)의 착색농도는 투과율이 45~60%로 되는 농도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착색층의 형상)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착색층의 두께의 최적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관찰측의 출광면(14)으로부터 입사된 외광이 렌즈부(12)를 따라 진행하는 것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착색층(13)은 렌즈부(12)를 따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착색층(13)의 기하광학적인 최저 두께(tmin)는 렌즈부(12)의 접선(T)의 경사 ψ=45°로 되는 위치의 렌즈 높이와 같고, 렌즈의 단면형상이 타원일 때는 다음 식(1)에 의해서 계산할 수 있다.
tmin=b-b2(a2+b2)1/2.....(1)
여기서, a, b는 각각 타원의 횡경(橫徑;짧은 지름) 및 종경(縱徑;긴지름)이다 (도 1b 참조). 또한, 상기 식(1)에 의해서 계산된 tmin을 착색층(13)의 두께로 하면, 콘트라스트가 가장 양호하게 된다.
원추계수가 k=0.45(=a2+b2-1) 정도이면서 스커트부의 렌즈각도가 60°정도인 타원의 렌티큘러렌즈의 경우에는 상기 tmin은 렌즈피치의 대략 1/10의 값으로 된다.
이에 대하여, 착색층(13)을 렌즈부(12)를 따른 형상으로 하지 않은 경우, 예컨대 베이스부재(15)를 비착색층(12A)으로 하고, 렌즈부(12) 전체를 착색층(13)으로 한 경우나, 착색층(13)과 비착색층(12A)의 경계면이 평탄면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도 3a 및 도 3b의 비교로부터 예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디착색타입의 렌티큘러 렌즈시트(60) 보다도 양호한 렌티큘러 렌즈시트(10)가 얻어진다.
여기서, 렌즈부(12) 전체를 착색층(13)으로 하는 경우에는 착색층(13)을 가능한 한 얇게 하기 위하여, 착색층(13)의 두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피치 이하 또는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두께의 적어도 1/2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층의 두께 분포)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착색층의 두께의 최적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착색층(13)은 렌즈부(12)의 하나의 렌즈에 있어서, 그 정부(12a)의 두께(t1a)보다도 스커트부의 두께(t1b)를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1a>t1b). 이것은 착색층(13)을 균일한 두께로 하면, 렌즈부(12)의 정부(12a)로부터 입사된 영상광의 착색층(13) 내의 광로 길이보다도 스커트부(12b)에 입사된 영상광의 광로 길이 쪽이 길어지게 되어, 착색층(13)에 있어서 보다 많이 흡수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확산각이 30~40°의 범위로 출사하는 광의 강도가 작게된다 (도 8 참조).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광확산 특성을 착색층의 두께를 균일하게 한 경우와, 스커트부측의 착색층 두께를 얇게 한 경우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10)에 있어서는 착색층(13)의 스커트부(12b)에서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현상(확산각이 30~40°의 범위에서의 출사 광강도의 저하)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착색층(13)의 두께는 입사광의 광로 길이에 따라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렌즈 설계에 따른 소정의 광확산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착색층(13)에는 확산제를 혼입하지 않고, (1) 비착색층(12A)에 확산제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2) 성형에 이용하는 금형을 매트형으로 하거나, 성형 후에 렌즈면을 매트화 또는 매트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렌티큘러렌즈의 광원측에 매트를 형성하여 확산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10)는 그 출광면(14)이 프론트면 또는 매트면이다.
출광면(14)을 프론트면으로 한 경우에는 화상의 클리어감(clear感)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서는 스크린의 전면에 투명한 프론트 패널을 배치할 필요가 없고, 프론트 패널의 입광면(표면)에서의 반사에 의한 영상의 전송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바람직한 화상이 얻어진다. 또한, 출광면(14)을 프론트면으로 한 경우에는 표면처리층으로서 반사방지층과, 저반사층, 편광필터층 등을 설계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의 블랙스트라이프 부착의 렌티큘러 렌즈시트와 동일한 콘트라스트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출광면(14)에는 대전방지층과, 흠방지층(하드코팅층), 방현층(안티그레어층), 오염방지층, 전자파쉴드층 및, 터치센서기능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출광면(14)을 매트면으로 한 경우에는 안티그레어로 되어, 스크린 표면에 영상 혼입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10)는 출광면(14)이 평탄면이기 때문에, 각종의 표면처리층(기능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거의 투명한 시트를 접합시켜 강성을 얻는 것에 의해, 종래의 블랙스트라이프 부착의 렌티큘러 렌즈시트를 갖춘 스크린에서 이용되는 전면판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10)는 출광면(14)에 광축보정용의 렌즈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광원(2)으로서는 하나의 렌즈로부터 영상광을 투사하는 것과 같은 1렌즈타입 또는 단관식의 프로젝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원(2)으로서는 램프의 광을 다이크로익미러에 의해서 광의 3원색으로 분광하고, 다음에 LCD를 투과시켜 화상정보를 부여하며, 이 광을 재차 합성하여 투사하는 LCD 프로젝터나 DMD 프로젝터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형태)
다음에, 도 9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제2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는 베이스부재의 출광면측에 프론트시트 및 표면처리층이 설치된 점을 제외하고, 그 밖의 것은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제1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제1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10)에 있어서는 베이스부재(15)의 출광면측에 거의 투명하면서 비착색의 프론트시트(17)가 설치되어 있다. 프론트시트(17)는 강성을 높이는 역할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과, 폴리카보네이트, 스틸렌 또는 폴리오레핀 등의 수지시트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프론트시트(17)의 전면에는 표면처리층(18)이 설치되어 있다. 표면처리층(18)으로서는 반사방지층과, 대전방지층, 흠방지층(하드코팅층), 편광필터층, 오염방지층, 전자파쉴드층, 방현층(안티그레어층) 및 터치센서기능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형성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프론트시트(17)를 설치하는 것 없이 베이스부재(15)의 전면에 표면처리층(18)을 직접 형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제조방법
다음에, 상기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0에 의해 렌티큘러 렌즈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장치(50)는 연속된 필름상의 베이스부재(15)가 권취된 롤(51)과, 베이스부재(15)의 편면(입광면측)에 용제로 희석된 자외선 경화형의 거의 투명하면서 비착색의 비착색수지(12A)를 코팅하는 코터(52), 베이스부재(15)에 코팅된 비착색수지(12a)를 건조시키는 건조기(53), 렌티큘러렌즈형상이 형성된 금형롤(54;렌즈성형주형), 금형롤(54)에 착색된 자외선 경화형의 착색수지(13)를 도포하는 디스펜서(55), 금형롤(54)에 대하여 착색수지(13) 및 비착색수지(12A)를 끼워 베이스부재(15)를 니핑하는 니핑롤(56), 금형롤(54)의 주형내의 착색수지(13) 및 비착색수지(12A)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UV램프(57) 및, 성형된 렌티큘러 렌즈시트(10)를 금형롤(54)로부터 이형하는 이형롤(58)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도 10에 나타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코터(52)를 이용하여 필름상의 베이스부재(15)의 편면에 고점도의 비착색수지(12A)를 용제 히석하여 코팅하고(공정 101), 다음에 건조기(53)에 의해서 온풍 건조하여 유동성을 억제한 비착색수지층을 형성한다 (공정102). 한편, 이 공정(102)은 제조조건의 설정에 의해서 생략할 수도 있다.
다음에, 자외선 경화형의 착색수지(13)를 금형롤(54)에 도포하고(공정 103), 착색수지(13)가 도포된 금형롤(54)에 대해서 니핑롤(56)를 이용하여 비착색수지(12A)가 코팅된 베이스부재(15)를 착색수지(13) 및 비착색수지(12A)가 적층되도록 하여 니핑한다 (공정104).
그 다음, UV 램프(57)에 의해서 베이스부재(15)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착색수지(13) 및 비착색수지(12A)를 경화시킨다 (공정105).
최종적으로, 금형롤(54)로부터 베이스부재(15)에 착색수지(13) 및 비착색수지(12A)로 이루어진 렌즈부(12)가 형성된 렌티큘러 렌즈시트(10)를 박리(剝離)한다 (공정 106).
또한, 이 제조방법에서는 전이방사선 경화형의 수지로서, 예컨대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나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의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착색수지(13)는 상기 수지에 염료나 안료를 혼합하거나 착색 UV 잉크를 혼합하는 것에 의해 얻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비착색수지(12A)는 착색수지(13)에 비해서 렌즈형성시에 유동성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니핑시에 예비코팅수지(비착색수지(12A))와 착색수지(13)가 혼합되지 않고 2층 구성으로 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수지에 폴리머를 첨가하거나, 올리코머나 폴리머의 분자량을 증가시키도록 하면 좋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공정(101)내지 공정(106)은 도 11에 나타난 공정(101) 내지 공정(106)과 동일하다.
렌티큘러 렌즈시트(10)에 프론트렌즈(17)를 설치한 경우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5)에 거의 투명하면서 비착색의 프론트렌즈(17)를 코팅법 또는 라미네이트법에 의해서 형성하는 공정(공정 107)을 추가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표면처리층(18)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베이스부재(15) 또는 프론트시트(17)의 전면에 코팅법 및/또는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반사방지층과, 대전방지층, 흠방지층, 편광필름층, 오염방지층, 전자파쉴드층, 방현층(안티그레어층) 및 터치센서기능층 중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처리층(18)을 형성하는 공정(공정 108)을 추가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프론트시트(17)에 대해서 표면처리층(18)을 사전에 형성함으로써 베이스부재(15)에 프론트시트(17)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제조방법에 의하면,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를 이용하여 렌티큘러 렌즈시트 성형하므로, 100㎛ 이하의 초 파인 피치(超 fine pitch)의 렌티큘러 렌즈시트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부재(15)는 연속필름 또는 연속시트로서 공급되어 연속성형 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상기한 제1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로서, 상기한 제1실시형태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시트(10)에 있어서, 렌즈부(12)의 렌티큘러렌즈의 단면형상을 타원으로 하고, 렌즈피치를 P=50㎛, 횡경을 a=24㎛, 종경을 b=26㎛로 한 것을 준비하였다. 여기서, 비착색층(12A)으로서는 굴절률=1.55의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를 이용하고, 베이스부재(15)에 두께 t3=10㎛로 되도록 코팅했다. 또한, 착색층(13)으로서는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흑색안료를 분산시킨 것을 이용하고, 렌티큘러렌즈 형상의 역형상이 형성된 금형롤에 도포했다. 또한, 베이스부재(15)로서는 두께 t3=0.25mm의 PET필름을 이용했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낸 제조장치(50)에 의해 도 11에 나타낸 제조방법에 따라서 렌티큘러 렌즈시트(10)를 제조했다. 이때, 니핑롤러압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렌티큘러 렌즈의 정부에서 두께가 7㎛인 착색층(13)을 형성했다.
실시예 2
실시예 2로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조된 렌티큘러 렌즈시트(10)의 출광면(14)측에 반사방지층(18)을 형성한 투명필름을 라미네이트 성형한 것을 준비했다.
비교예 1
비교예 1로서 실시예 1과 동일의 형상이면서 거의 동등한 스크린 이득이 얻어지는 바디착색타입의 입광측 편면 렌티큘러 렌즈시트(60)를 준비했다.
비교예 2
비교예 2로서, 비교예 1에 피치 P=0.72mm의 블랙스트라이프 부착 렌티큘러 렌즈시트(블랙스트라이프율 45%)를 형성한 것을 준비했다.
평가결과
우선,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렌티큘러 렌즈시트를 각각 평균입자직경 30㎛의 아크릴 비즈(beads)의 확산제를 혼입시킨 프레넬 렌즈시트와 조합시켜 투과형 스크린을 구성하고, LCD 광원을 이용한 배면 투사형 프로젝션 텔레비젼에 조립시켜 비교실험을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렌티큘러 렌즈시트를 각각 우측 및 좌측으로 세트하고, 형광등이 점등된 실내에서 비교 관찰한 바, 실시예 1의 렌티큘러 렌즈시트를 이용한 스크린 쪽이 콘트라스트가 양호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2를 평균입자직경 30㎛의 아크릴 비즈의 확산제를 혼입시킨 프레넬 렌즈시트와 조합시켜 투과형 스크린을 구성하고, 파장 550nm에서의 투과율 및 반사율을 분광광도계(시마즈제작소(주) UV 2100)로 측정하며, 투과율과 반사율의 비(투과율/반사율)를 계산한 바, 아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비교예 1(바디착색타입의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4배 이상, 실시예 2는 비교예 2(블랙스트라이프 부착 렌티큘러 렌즈시트)를 현저히 넘는 값으로 되었다.
[표 2]
투과율[%] 반사율[%] 투과율/반사율
실시예 1 60.0 6.8 10.0
실시예 2(AR) 60.0 3.0 20.0
비교예 1(BODY) 63.3 27.8 2.3
비교예 2(BS) 70.4 9.4 7.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광의 강도를 지나치게 낮추지 않고 외광반사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 콘트라스트를 높이면서 렌티큘러렌즈의 파인피치(fine pitch)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4)

  1.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베이스부재와,
    이 베이스부재의 입광면측에 凸상으로 형성된 렌티큘러렌즈를 갖춘 렌즈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상기 렌즈부의 상기 렌티큘러렌즈의 기부측에 비착색층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의 상기 렌티큘러렌즈의 적어도 정부에 착색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출광면측에 거의 투명한 프론트시트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출광면측에 표면처리층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층은 반사방지층과, 대전방지층, 흠방지층, 편광필터층, 오염방지층, 전자파쉴드층, 방현층 및, 터치센서기능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시트의 전면에 표면처리층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층은 반사방지층과, 대전방지층, 흠방지층, 편광필터층, 오염방지층, 전자파쉴드층, 방현층 및 터치센서기능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전이방사선 경화형의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
  8.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베이스부재의 한쪽 면에 전이방사선 경화형의 비착색수지를 코팅하는 공정과,
    렌티큘러 렌즈형상이 형성된 렌즈성형주형에 전이방사선 경화형의 착색수지를 도포하는 공정,
    상기 렌즈성형주형에 대해 상기 착색수지 및 상기 비착색수지를 끼워 상기 베이스부재를 니핑하는 공정 및,
    상기 비착색수지 및 상기 착색수지에 전이방사선을 조사하여 그 수지를 경화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 코팅된 상기 비착색수지를 건조시키는 건조공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 코팅된 상기 비착색수지의 렌즈성형시에 있어서 유동성을 상기 착색수지 보다도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와 거의 투명한 프론트시트를 코팅법 및/또는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일체화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출광면측에 코팅법 및/또는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시트의 전면에 코팅법 및/또는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제조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가 연속필름 또는 연속시트로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제조방법.
KR1019980044278A 1997-10-22 1998-10-22 렌티큘러 렌즈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316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89342 1997-10-22
JP9289342A JPH11125704A (ja) 1997-10-22 1997-10-22 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290A KR19990037290A (ko) 1999-05-25
KR100316873B1 true KR100316873B1 (ko) 2002-04-17

Family

ID=17741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278A KR100316873B1 (ko) 1997-10-22 1998-10-22 렌티큘러 렌즈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46855A (ko)
EP (1) EP0911654B1 (ko)
JP (1) JPH11125704A (ko)
KR (1) KR100316873B1 (ko)
CN (1) CN1135404C (ko)
DE (1) DE69822265T2 (ko)
DK (1) DK0911654T3 (ko)
HK (1) HK1018813A1 (ko)
TW (1) TW3597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0599B2 (en) 1998-06-09 2003-07-29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ar projection screens and light filters with conformable coating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0604123B1 (ko) * 1998-08-05 2006-07-25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렌즈 시트 및 그 제조방법
US7099080B2 (en) * 2000-08-30 2006-08-29 Stereo Graphics Corporation Autostereoscopic lenticular screen
TW537965B (en) * 2000-11-20 2003-06-21 Sony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lens
US6795250B2 (en) * 2000-12-29 2004-09-21 Lenticlear Lenticular Lens, Inc. Lenticular lens array
US6833961B2 (en) * 2001-06-08 2004-12-21 Web Communications Group, Inc. Pseudo elliptically-shaped tool
KR100535733B1 (ko) * 2001-06-13 2005-12-09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렌즈 시트의 제조방법
JP2004145251A (ja) * 2002-08-30 2004-05-20 Seiko Epson Corp 透過型スクリーン及びリア型プロジェクタ
JP2004145252A (ja) * 2002-08-30 2004-05-20 Seiko Epson Corp 透過型スクリーン及びリア型プロジェクタ
DE10242441A1 (de) * 2002-09-11 2004-04-01 Erco Leuchten Gmbh Leuchte
US20050259322A1 (en) * 2004-05-20 2005-11-24 Boecker James A Touch-enabled projection screen incorporating vibration sensors
KR100589225B1 (ko) * 2004-05-31 2006-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향상된 시야각을 갖는 마이크로렌즈 배열 시트
US20060061861A1 (en) * 2004-09-23 2006-03-23 Reflexite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rear-projection screen
JP4114656B2 (ja) * 2004-10-20 2008-07-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レンズ基板、レンズ基板の製造方法、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リア型プロジェクタ
US7781022B2 (en) * 2004-11-30 2010-08-24 Conley Kenneth E Method for producing a patterned sheet or film having a predetermined surface characteristic
US20080090658A1 (en) * 2004-12-03 2008-04-17 Toshiyuki Kaji Game Machine
US8146744B2 (en) * 2005-06-10 2012-04-03 Mattel, Inc. Blister pack assemblies with lenticular lenses
JP4650131B2 (ja) * 2005-07-07 2011-03-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レンズ基板およびリア型プロジェクタ
US7628502B2 (en) * 2005-09-22 2009-12-08 Dai Nippon Printing Co., Ltd. Light controlling sheet and surface light source device
JP4984510B2 (ja) * 2005-12-06 2012-07-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レンズ基板、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リア型プロジェクタ
DE102010055689A1 (de) * 2010-12-22 2012-06-28 Giesecke & Devrient Gmbh Mikrooptische Betrachtungsanordnung
US9201228B1 (en) * 2013-02-27 2015-12-01 Focal Technologies, Inc. Light processing system
JP7088650B2 (ja) * 2017-09-29 2022-06-21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光学体及び発光装置
TWI821234B (zh) 2018-01-09 2023-11-11 美商康寧公司 具光改變特徵之塗覆製品及用於製造彼等之方法
CN109403090A (zh) * 2018-10-16 2019-03-01 镇江视伟光学有限公司 一种半成品镜片凸面加深染色液及其制备方法
US20220009824A1 (en) 2020-07-09 2022-01-13 Corning Incorporated Anti-glare substrate for a display article including a textured region with primary surface features and secondary surface features imparting a surface roughness that increases surface scatteri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71432B1 (en) * 1988-11-28 1995-07-05 Mitsubishi Rayon Co., Ltd. Transmission type scre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69022647D1 (de) * 1989-07-12 1995-11-02 Canon Kk Gerät zur Herstellung einer Substratschicht für optische Aufzeichnungsmedi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ubstratschicht für optische Aufzeichnungsmedien, das Gebrauch davon macht, Gerät zur Herstellung eines optischen Aufzeichnungsmedium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ptischen Aufzeichnungsmediums, das Gebrauch davon macht.
JPH03230101A (ja) * 1990-02-05 1991-10-14 Matsushita Electron Corp カラー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4005933A1 (de) * 1990-02-26 1991-08-29 Bke Bildtechnisches Konstrukti Rueckprojektions-scheibe
JP2957652B2 (ja) * 1990-07-20 1999-10-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背面投影透過型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US5400114A (en) * 1991-09-05 1995-03-21 Hitachi, Ltd. Rear-projection screen and a rear projection image display employing the rear-projection screen
JP2800697B2 (ja) * 1994-09-22 1998-09-21 凸版印刷株式会社 レンズ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3484827B2 (ja) * 1995-03-23 2004-0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シートと透過型スクリーン
EP0757261B1 (en) * 1995-07-29 2001-10-24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UV-curable fresnel lens resin composition, fresnel lens, and back projection screen
KR0167860B1 (ko) * 1995-10-23 1999-01-15 히로세 준고 광학기능의 연속시트
US5880887A (en) * 1996-08-16 1999-03-09 Dai Nippon Printing Co., Ltd. Lenticular lens sheet, display front plate and transmission type projection screen
JP2939207B2 (ja) * 1996-08-16 1999-08-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シート、ディスプレイ用前面板及び透過型スクリー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11654B1 (en) 2004-03-10
JPH11125704A (ja) 1999-05-11
CN1215172A (zh) 1999-04-28
CN1135404C (zh) 2004-01-21
HK1018813A1 (en) 2000-01-07
DE69822265D1 (de) 2004-04-15
TW359767B (en) 1999-06-01
EP0911654A1 (en) 1999-04-28
KR19990037290A (ko) 1999-05-25
DE69822265T2 (de) 2005-03-31
US6046855A (en) 2000-04-04
DK0911654T3 (da) 2004-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6873B1 (ko) 렌티큘러 렌즈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972271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シート状部材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スクリーンを用いた背面投写型画像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809772B1 (ko) 투과형 스크린
US5880887A (en) Lenticular lens sheet, display front plate and transmission type projection screen
US20020080483A1 (en) Rear-projection screen and rear-projection image display
JP2006065266A (ja) 反射スクリーン、反射投影システム、及び、反射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KR100258057B1 (ko) 렌티큐라렌즈시트와 디스플레이용 전면판 및 투과형 스크린
JPH11237692A (ja) 透過型スクリーン
KR100538220B1 (ko) 넓은 시야각을 가지는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하는 프로젝션텔레비전
US6961176B2 (en) Fresnel lens sheet, rear projection screen and rear projection display
WO1999015918A1 (fr) Ecran lenticulaire,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ecran de type transmission
KR100743671B1 (ko) 투과형 스크린
JP2003287819A (ja) 背面投射型スクリーンおよび背面投射型ディスプレイ
JP2000112036A (ja) レンチキュラ―レンズシ―ト及び透過型スクリ―ン
JPS5969748A (ja) 透過型投影スクリ−ン
KR100213601B1 (ko) 투과형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JPH08190149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JPH02304542A (ja) 透過形スクリーン
JP2004302005A (ja) 透過型スクリーン
JP2006030715A (ja) 透過型スクリーン
JP3335588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
JP2000171905A (ja) 透過型スクリーン
JP2006301311A (ja) 光機能性拡散板、反射型スクリ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270334A (ja) 透過型投影スクリーン
JPH04322240A (ja) 透過型スクリ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