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654B1 - 광학계의 렌즈 위치 조정장치_ - Google Patents

광학계의 렌즈 위치 조정장치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654B1
KR100316654B1 KR1019980044194A KR19980044194A KR100316654B1 KR 100316654 B1 KR100316654 B1 KR 100316654B1 KR 1019980044194 A KR1019980044194 A KR 1019980044194A KR 19980044194 A KR19980044194 A KR 19980044194A KR 100316654 B1 KR100316654 B1 KR 100316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system
set screw
lens uni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6594A (ko
Inventor
민지홍
이원형
최환영
조성민
이문규
김영일
최진승
엄재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44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654B1/ko
Publication of KR20000026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6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3Align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unting And Adjusting Of Optical Element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광학계의 렌즈위치 조정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광학계의 렌즈위치 조정장치는 광학 시스템의 소정 광 경로 상에 설치된 렌즈부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상기 광학 시스템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렌즈부의 양측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렌즈부의 위치조정 및 압착이 가능하도록 된 위치조정수단을 구비하는 광학계의 렌즈위치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몸체부가 마련되되, 상기 몸체부는 기울기방향에 따른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상기 렌즈부의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체결된 제1세트스크류와, 상기 제1세트스크류의 전후진 조정에 대응하여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렌즈부의 타측면을 압착하는 제1클립부를 구비하는 제1조정부; 및 상기 광 경로 상의 기준위치에 대한 상기 렌즈부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게 상기 광이 입사되는 상기 렌즈부의 전면에 접촉되도록 체결된 두 개의 제2 및 제3세트스크류와, 상기 제2 및 제3세트스크류들의 전후진 조정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렌즈부의 배면을 압착하도록 탄성 변형가능하게 클립되는 제2 및 제3클립부를 구비하는 제2조정부;가 마련됨으로써, 렌즈부의 위치 및 각도를 미세 조정함과 동시에, 지지 및 압착되게 하여 광 경로 상의 기준위치에 정확히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그 위상차를 미세 조정할 수 있는 점에 그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광학계의 렌즈위치 조정장치
본 발명은 광원모듈로부터 생성 출사되는 광 경로 상에 위치된 렌즈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광학계의 렌즈위치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칼라 레이저 프린터, 디지털 복사기, 스캐너, 팩시밀리 등과 같은 전자사진방식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출력 시스템에 채용되는 광주사장치, 화상생성수단에서 생성된 화상을 광원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투영하므로써 화상을 형성하는 프로젝터장치, CDP(Compact Disk Player), LDP(Laser Disk Player) 및DVDP(Digital Disk Player) 등의 광디스크 플레이어에 채용되는 광픽업장치 등과 같은 광학계는, 광원모듈로부터 생성 출사되는 광 경로 상에 상기 광을 집속 및 발산하거나, 광 경로를 변환시켜 회절시키는 등의 기능을 하는 다양한 렌즈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렌즈들은 상기 광 경로 상의 소정 위치에 정확히 유지되도록 하여 그 위상차를 정밀하게 보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광 경로 상에 위치한 렌즈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광학계의 렌즈위치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렌즈위치 조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렌즈부 20... 위치조정수단
21... 몸체부 22... 제1조정구멍
22a... 제1세트스크류 22b... 제1클립부
23... 제2조정구멍 23'... 제3조정구멍
23a... 제2세트스크류 23a'... 제3세트스크류
23b... 제2클립부 23b'... 제3클립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렌즈위치 조정장치는, 광학 시스템의 소정 광 경로 상에 설치된 렌즈부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상기 광학 시스템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렌즈부의 양측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렌즈부의 위치조정 및 압착이 가능하도록 된 위치조정수단을 구비하는 광학계의 렌즈위치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몸체부가 마련되되 상기 몸체부는 기울기방향에 따른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상기 렌즈부의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체결된 제1세트스크류와, 상기 제1세트스크류의 전후진 조정에 대응하여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렌즈부의 타측면을 압착하는 제1클립부를 구비하는 제1조정부; 및 상기 광 경로 상의 기준위치에 대한 상기 렌즈부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게 상기 광이 입사되는 상기 렌즈부의 전면에 접촉되도록 체결된 두 개의 제2 및 제3세트스크류와, 상기 제2 및 제3세트스크류들의 전후진 조정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렌즈부의 배면을 압착하도록 탄성 변형가능하게 클립되는 제2 및 제3클립부를 구비하는 제2조정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세트스크류가 체결되는 제1조정구멍과, 상기 제2세트스크류가 체결되는 제2조정구멍과, 상기 제3세트스크류가 체결되는 제3조정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의 렌즈위치 조정장치.
따라서, 세트스크류 및 클립부에 의해 렌즈의 위치 및 각도를 미세 조정함과 동시에, 지지 및 압착되게 하여 광 경로 상의 기준위치에 정확히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그 위상차를 미세 조정할 수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렌즈위치 조정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렌즈위치 조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렌즈위치 조정장치는 광학계 시스템의 소정 광 경로 상에 배치되는 렌즈부(10)와, 상기 렌즈부(10)의 양측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렌즈부(10)를 지지 및 압착함과 동시에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된 위치조정수단(20)을 구비한다.
상기 위치조정수단(20)은 몸체부(21)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21)는 상기 광학계 시스템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렌즈부(10)의 양측단부에 클립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몸체부(21)의 일측 즉, 상기 렌즈부(10)의 기울기방향에 따른 a위치면에 접촉되는 몸체부(21)에는 상기 렌즈부(10)가 소정 광원모듈로부터 조사된 광에 대한 반사 및 회절형식에 대응하도록 소정 각도 기울어진 기울기방향을 따라 a위치면 및 b위치면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게 하는 제1조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조정부는 상기 렌즈부(10)의 a위치면과 상호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몸체부(21)에 형성된 제1조정구멍(22)에 결합되는 제1세트스크류(22a)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세트스크류(22a)에 의해 조정되는 상기 렌즈부(10)의 타측면 즉, b위치면에는 제1세트스크류(22a)의 전후진에 의한 렌즈부(10)의 조정에 대응하여 상기 렌즈부(10)를 탄성적으로 압착 및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제1조정구멍(22a)에 대응되는 몸체부(21)에 형성된 제1클립부(22b)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위치조정수단(20)은 상기 광 경로 상의 기준위치에 대한 상기 렌즈부(10) 즉, 소정 광원모듈로부터 조사된 광에 대한 반사 및 회절형식에 대응하도록 설치된 렌즈부(10)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게 제2조정부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2조정부는 상기 광이 입사되는 렌즈부(10)의 전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몸체부(21)의 타측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제2 및 제3조정구멍(23)(23')에 체결된 두 개의 제2 및 제3세트스크류(23a)(23a')들과, 상기 제2 및 제3조정구멍(23)(23')에 대응되는 몸체부(21)에 형성되며, 상기 렌즈부(10)의 배면에 접촉되는 것으로 상기 제2 및 제3세트스크류(23a)(23a')들의 전후진에 의한 렌즈부(10)의 조정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렌즈부(10)를 탄성적으로 압착 및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2 및 제3클립부(23b)(23b')를 구비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렌즈위치 조정장치의 동작을 앞서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의 화살표 A,B,C,D의 방향은 각각 렌즈부의 소정 방향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렌즈위치 조정장치에 있어서, 광학계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렌즈부(10)는 주로 광원모듈로부터 생성 출사되는 광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광을 집속 및 발산하거나, 광 경로를 변환시켜 반사 및 회절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그 위치를 다양하게 조정하여 기준위치를 정확히 유지하여야 한다. 이에, 렌즈부(10)의 양측단부에 설치되며, 광학계 시스템 본체에 결합부재(미도시)로 결합된 몸체부(21)를 가진 위치조정수단(20) 즉, 제1 및 제2조정부는 렌즈부(10)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정하여 그 기준위치가 정확히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렌즈부(10)를 탄성적으로 압착하여 위치조정을 지지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된 렌즈부(10)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기울기방향의 "C", "D"방향에 대한 위치조정을 위해서는 제1세트스크류(22a)를 전후진 하여 조정한다. 즉, 상기 렌즈부(10)의 a위치면에 접촉된 제1세트스크류(22a)를 "C"방향으로 전진시키면 상기 렌즈부(10)는 기울기방향의 "C"방향으로 그 위치가 조정된다. 그러면, 제1클립부(22b)는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a위치면의 대응면인 b위치면을 압착하여 "C"방향의 위치조정을 지지한다. 반면, 상기 렌즈부(10)를 기울기방향의 "D"방향으로 그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제1세트스크류(22a)를 "D"방향으로 후진시키다. 그러면, 제1클립부(22b)는 탄성변형에 의해 렌즈부(10)의 b위치면을 "D"방향으로 밀어 위치를 조정한다.
한편, 상기 렌즈부(10)가 "A", "B"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조정하기 위해서는 제2조정부의 제2 및 제3조정구멍(23)(23')에 체결된 제2 및 제3세트스크류(23a)(23a')들을 전후진 조정한다.
즉, 렌즈부(10)의 상단부를 "A"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조정하기 위해서는 첫째, 제2세트스크류(23a)를 전진시킨다. 그러면, 렌즈부(10)의 상단부는 제2세트스크류(23a)의 접촉력에 의해 "A"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제2클립부(23b)는 제2세트스크류(23a)의 전진에 의한 렌즈부(10)의 밀착력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렌즈부(10)의 조정을 지지한다. 둘째, 제3세트스크류(23a')를 후진시킨다. 그러면, 렌즈부(10)의 하단부는 제3클립부(23b')의 탄성변형에 의한 압착력에 의해 "A"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셋째, 제2세트스크류(23a)를 약간 전진시킴과 동시에 제3세트스크류(23a')를 약간 후진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은 제2 및 제3클립부(23b)(23b')이 탄성변형되어 렌즈부(10)의 위치가 조정된다.
반면, 상기 렌즈부(10)의 상단부를 "B"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조정하기 위해서는 첫째, 제2세트스크류(23a)를 후진시킨다. 그러면, 렌즈부(10)의 상단부는 제2클립부(23b)의 탄성변형에 의한 압착력에 의해 "B"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둘째, 제3세트스크류(23a')를 전진시킨다. 그러면, 렌즈부(10)의 하단부는 제3세트스크류(23a')의 접촉력에 의해 "B"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제3클립부(23b')는 제3세트스크류(23a')의 전진에 의한 렌즈부(10)의 밀착력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렌즈부(10)의 조정을 지지한다. 셋째, 제2세트스크류(23a)를 약간 후진시킴과 동시에 제3세트스크류(23a')를 약간 전진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은 제2 및 제3클립부(23b)(23b')이 탄성변형되어 렌즈부(10)의 위치가 조정된다.
이로써, 상기 렌즈부(10)는 위치조정수단에 의해 광 경로 상의 기준위치에 대응하도록 그 위치를 정확히 유지하며, 결과적으로는 그 위상차를 미세하게 보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렌즈위치 조정장치는 세트스크류 및 클립부에 의해 렌즈의 위치 및 각도를 미세 조정함과 동시에, 지지 및 압착되게 하여 광 경로 상의 기준위치에 정확히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그 위상차를 미세 조정할 수 있는 점에 그 장점이 있다.

Claims (2)

  1. 광학 시스템의 소정 광 경로 상에 설치된 렌즈부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상기 광학 시스템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렌즈부의 양측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렌즈부의 위치조정 및 압착이 가능하도록 된 위치조정수단을 구비하는 광학계의 렌즈위치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몸체부가 마련되되,
    상기 몸체부는 기울기방향에 따른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상기 렌즈부의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체결된 제1세트스크류와, 상기 제1세트스크류의 전후진 조정에 대응하여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렌즈부의 타측면을 압착하는 제1클립부를 구비하는 제1조정부; 및
    상기 광 경로 상의 기준위치에 대한 상기 렌즈부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게 상기 광이 입사되는 상기 렌즈부의 전면에 접촉되도록 체결된 두 개의 제2 및 제3세트스크류와, 상기 제2 및 제3세트스크류들의 전후진 조정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렌즈부의 배면을 압착하도록 탄성 변형가능하게 클립되는 제2 및 제3클립부를 구비하는 제2조정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의 렌즈위치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세트스크류가 체결되는 제1조정구멍과, 상기 제2세트스크류가 체결되는 제2조정구멍과, 상기 제3세트스크류가 체결되는 제3조정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의 렌즈위치 조정장치.
KR1019980044194A 1998-10-21 1998-10-21 광학계의 렌즈 위치 조정장치_ KR100316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194A KR100316654B1 (ko) 1998-10-21 1998-10-21 광학계의 렌즈 위치 조정장치_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194A KR100316654B1 (ko) 1998-10-21 1998-10-21 광학계의 렌즈 위치 조정장치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594A KR20000026594A (ko) 2000-05-15
KR100316654B1 true KR100316654B1 (ko) 2002-02-19

Family

ID=1955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194A KR100316654B1 (ko) 1998-10-21 1998-10-21 광학계의 렌즈 위치 조정장치_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6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6011A (ja) * 1988-11-28 1990-06-05 Asahi Optical Co Ltd ミラー支持部材及びミラー支持構造
JPH04156414A (ja) * 1990-10-19 1992-05-28 Ricoh Co Ltd 光書込み装置
JPH04309916A (ja) * 1991-04-08 1992-11-02 Ricoh Co Ltd 光学レンズ保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6011A (ja) * 1988-11-28 1990-06-05 Asahi Optical Co Ltd ミラー支持部材及びミラー支持構造
JPH04156414A (ja) * 1990-10-19 1992-05-28 Ricoh Co Ltd 光書込み装置
JPH04309916A (ja) * 1991-04-08 1992-11-02 Ricoh Co Ltd 光学レンズ保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594A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0460A (en) Adjustable mount for cylindrical lens with torque applied directly to lens
JP2662105B2 (ja) 密着型センサおよびイメージスキャナならびにファクシミリ
US5793408A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with improved structure for adjusting focus position
US20060132881A1 (en) Mirror support device and optical scann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US492424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and adjusting parallax in electronic camera
US5521763A (en) Optical device
KR100316654B1 (ko) 광학계의 렌즈 위치 조정장치_
KR200294451Y1 (ko) 프로젝터의 투사렌즈장치
US514231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and adjusting parallax in electronic camera
KR100346721B1 (ko) 광학계의 렌즈 위치 조정장치
KR100316655B1 (ko) 광학계의 렌즈 위치 조정장치_
KR100316653B1 (ko) 광학계의 렌즈 위치 조정장치_
EP0483830A1 (en) Optical head
US6808272B1 (en) Projector and method for assembly thereof
KR100316656B1 (ko)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
CN220381362U (zh) 一种反射镜弯曲调整装置以及激光扫描组件
KR100316657B1 (ko) 광학계의 미러 위치 조정장치
KR200168982Y1 (ko) 프로젝터용투사렌즈설치구조체
JPH08234129A (ja) 光走査装置
US7106480B2 (en) Film scanning device
JP3173927B2 (ja) イメージ読取装置の結像装置
KR100350979B1 (ko) 광주사 유닛의 미러 지지 구조체
JP3057938B2 (ja) 光学走査装置における反射鏡の支持装置
KR100267245B1 (ko) 셔틀방식스캐너의렌즈위치조정장치
JPH06337342A (ja) 反射鏡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