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657B1 - 광학계의 미러 위치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광학계의 미러 위치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657B1
KR100316657B1 KR1019980054533A KR19980054533A KR100316657B1 KR 100316657 B1 KR100316657 B1 KR 100316657B1 KR 1019980054533 A KR1019980054533 A KR 1019980054533A KR 19980054533 A KR19980054533 A KR 19980054533A KR 100316657 B1 KR100316657 B1 KR 100316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bracket
adjusting
pivot memb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9255A (ko
Inventor
민지홍
최진승
엄재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54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657B1/ko
Publication of KR20000039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6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02B7/18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comprising means for aligning the optical axis
    • G02B7/1824Manual alignment
    • G02B7/1825Manual alignment made by screws, e.g. for lase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 B41J2/47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10Mirrors with curved 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02B7/18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for rotating or oscillating 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unting And Adjusting Of Optical Elements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Abstract

광학계의 미러위치 조정장치에 관하여 개시된다. 개시된 미러위치 조정장치는: 광학계의 광 경로상에 설치되는 미러의 양측단부를 지지하는 미러 베이스; 광학계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미러 베이스와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미러 베이스를 간섭하여 상기 미러를 그 길이방향("Y"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미러의 중심 위치를 조정하는 "Y"방향 조정스크루; 상기 브라켓을 간섭하여 상기 미러를 그 두께방향("Z"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포커스를 조정하는 "Z"방향 조정지그; 및 상기 미러 베이스를 간섭하여 소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미러의 반사각을 조정하는 각도 조정지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광학계의 미러의 위치 및 각도를 미세 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광 경로 상의 기준위치에 정확히 유지되도록 지지할 수 있게 되어 미러를 경유한 주사선의 위상차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계의 미러위치 조정장치
본 발명은 광주사장치 등의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으로부터 생성 출사되는 광의 경로 상에 설치된 미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광학계의 미러위치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 디지털 복사기, 스캐너, 팩시밀리 등과 같은 전자사진방식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출력 시스템에 채용되는 광주사장치, 화상생성수단에서 생성된 화상을 광원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투영하므로써 화상을 형성하는 프로젝터장치, CDP(Compact Disk Player), LDP(Laser Disk Player) 및DVDP(Digital Disk Player) 등의 광디스크 플레이어에 채용되는 광픽업장치 등과 같은 광학계는, 광원으로부터 생성 출사되는 광의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광을 집속 및 반사하거나, 광 경로를 변환시키는 등의 기능을 하는 다양한 미러가 구비된다.
도 1은 인쇄기에 채용된 종래의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예를 들어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나 복사기 등의 인쇄기는 감광드럼 또는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에 정전잠상(Latent electrostatic image)을 형성시키고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로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한 뒤 기록지에 전사시켜 원하는 화상을 얻는 장치로서, 상기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기 위하여 광학계가 구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광학계는 광원(10)과, 상기 광원(10)에서 출사된 광을 편향 주사시키는 편향디스크(21)와, 상기 편향디스크(21)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22)과, 상기 편향 주사된 광의 경로를 변환하는 광로변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원(10)으로는 통상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사용된다. 상기 편향디스크(21)는 광을 회절 편향시키는 홀로그램패턴이 형성된 복수의 섹터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광원(10)으로부터 입사된 광은 상기 편향디스크(21)의 회전시 상기 홀로그램패턴에 의해 회절되어 주사선을 형성한다.
상기 광로변환수단은 복수의 주사선이 동일 광로를 유지하면서 서로 나란한 상태로 감광매체(40)의 영상면에 맺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평면미러(31)와 만곡미러(Curved mirror, 32) 및 홀로그램소자(33)를 구비한다.
상기 평면미러(31)는 상기 편향디스크(21)에 의해 회절된 주사선을 소정의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상기 만곡미러(32)는 상기 평면미러(31)를 경유하여 복수의 광로로 입사된 주사선을 집속 반사시킴으로써, 발산되는 주사선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홀로그램소자(33)는 입사되는 주사선을 소정 각도 만큼 회절 투과시켜 상기 감광매체(40)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주사선이 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광학계는 편향디스크(21)를 회전시킴에 따라 광원(10)에서 출사된 광을 감광매체(40)의 영상면에 일 주사라인 단위로 편향 주사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파장 변동이 있거나 광학계의 조립시 각 구성품들의 위치 변동 등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미러(31, 32)를 경유한 주사선에 위상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결국 화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만곡미러(32)는 주사선의 반사면이 곡면으로 되어 있어서, 그 위치에 미세한 변동이 있더라도 상기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미러(31, 32)들은 광 경로 상의 소정 위치에 정확히 유지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상기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파장 변동 및 조립시의 위치 변동을 보상하기 위하여 그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광학계의 광 경로 상에 설치된 미러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광학계의 미러위치 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인쇄기에 채용된 종래의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미러위치 조정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미러 베이스를 상세하게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미러 베이스와 브라켓 및 "Y"방향 조정스크루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2에 도시된 "Z"방향 조정지그를 상세하게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2에 도시된 각도 조정지그를 상세하게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2...만곡미러 321...가이드홈
50...하우징 210...미러 베이스
211...가이드부 212...안착부
213...베이스 핀 214...미러 고정스크루
220...브라켓 221...부쉬
230..."Y"방향 조정스크루 231...스프링
240..."Z"방향 조정지그 241...제1 지그프레임
244..."Z"방향 조정스크루 247...제1 스프링
248...제1 회동부재 249..."Z"방향 조정핀
250...각도 조정지그 251...제2 지그프레임
254...각도 조정스크루 255...제2 회동부재
256...각도 조정핀 259...제2 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미러위치 조정장치는: 광학계의 광 경로상에 설치되는 미러의 양측 단부를 지지하는 미러 베이스; 광학계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미러 베이스와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미러 베이스를 간섭하여 상기 미러를 그 길이방향("Y"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미러의 중심 위치를 조정하는 "Y"방향 조정스크루; 상기 브라켓을 간섭하여 상기 미러를 그 두께방향("Z"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포커스를 조정하는 "Z"방향 조정지그; 및 상기 미러 베이스를 간섭하여 소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미러의 반사각을 조정하는 각도 조정지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미러 베이스는, 상기 미러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미러의 저면을 지지하는 안착부와,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며 중공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베이스 핀과,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미러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미러 고정스크루를 구비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미러 베이스와 마주보는 측면에 돌출 설치되는 부쉬를 구비하여, 상기 부쉬에 상기 미러 베이스의 베이스 핀이 회전할 수 있도록 삽입되고, 상기 "Y"방향 조정스크루는, 상기 브라켓의 부쉬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핀의 나사부에 체결됨으로써, 그 회전에 의해 상기 미러 베이스를 "Y"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Z" 방향 조정지그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지그프레임; 상기 제1 지그프레임의 일측에 그 중간부위가 힌지결합되는 제1 회동부재; 상기 제1 지그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제1 회동부재의 타단부를 간섭하여 상기 제1 회동부재를 소정 각도 회동시키는 "Z"방향 조정스크루; 상기 제1 회동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제1 지그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회동부재에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제1 회동부재의 타단부에 돌출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에 마련된 "Z"방향조정핀 삽입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브라켓을 "Z"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간섭하는 "Z"방향 조정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정지그는, 상기 브라켓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지그프레임; 상기 제2 지그프레임의 일측에 그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제2 회동부재; 상기 제2 지그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제2 회동부재의 타단부를 간섭하여 상기 제2 회동부재를 소정 각도 회동시키는 각도 조정스크루; 상기 제2 회동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제2 지그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회동부재에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스프링; 및 상기 제2 회동부재의 중간부위에 돌출 설치되며 상기 미러 베이스에 마련된 각도조정핀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미러 베이스를 소정 각도 회전하도록 간섭하는 각도 조정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광학계는 인쇄기에 사용되는 광주사장치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미러는 복수의 광로로 입사된 주사선을 집속 반사시키는 만곡미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광학계의 미러의 위치 및 각도를 미세 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광 경로 상의 기준위치에 정확히 유지되도록 지지할 수 있게 되어 미러를 경유한 주사선의 위상차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미러위치 조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미러위치 조정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로서, 만곡미러를 예로 들어 그 양측부에 대칭 구조로 설치된 미러위치 조정장치의 일측부만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미러위치 조정장치는 미러 베이스(210)와, 브라켓(220)과, "Y"방향 조정스크루(230)와, "Z"방향 조정지그(240)와, 각도 조정지그(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미러 베이스(210)는 광학계의 광 경로상에 설치되는 만곡미러(32)의 양측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만곡미러(3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라켓(220)은 광학계 하우징(50)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미러 베이스(210)와 결합된다. 상기 "Y"방향 조정스크루(230)는 상기 브라켓(220)에 설치되며 상기 미러 베이스(210)를 간섭하여 상기 만곡미러(32)를 그 길이방향, 즉 스캐닝 방향(이하 "Y"방향이라 한다)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만곡미러(32)의 길이방향 중심 위치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Z"방향 조정지그(240)는 상기 하우징(5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220)을 간섭하여 상기 만곡미러(32)를 그 두께방향(이하 "Z"방향이라 한다)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포커스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각도 조정지그(250)는 상기 브라켓(22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미러 베이스(210)를 간섭하여 소정 각도(θ)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만곡미러(32)의 반사각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미러위치 조정장치의 각 구성요소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미러 베이스를 상세하게 도시한 분리 사시도로서, 다른 방향으로 본 것이다.
도 2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미러 베이스(210)는 가이드부(211)와, 안착부(212)와, 베이스 핀(213)과, 미러 고정스크루(214)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211)는 상기 만곡미러(32)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홈(321)에 삽입되고, 상기 안착부(212)는 상기 만곡미러(32)의 저면을 지지한다. 상기 베이스 핀(213)은 상기 미러 베이스(210)의 외측면에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되고 후술하는 브라켓(220)의 부쉬(221)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만곡미러(32)의 회전 중심이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핀(213)의 중공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Y"방향 조정스크루(230)가 체결된다. 상기 미러 고정스크루(214)는 상기 미러 베이스(210)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만곡미러(32)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미러 베이스(210)에는 제1 초기위치설정홀(215)과, 각도조정핀 삽입홀(216)과, 제1 고정스크루체결홀(217)이 마련된다. 이들에 대해서는 각각 관련되는 곳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미러 베이스와 브라켓 및 "Y"방향 조정스크루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220)은 상기 하우징(50)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미러 베이스(210)와 마주보는 측면에는 부쉬(221)가 돌출 설치된다. 상기 부쉬(221)의 중공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미러 베이스(210)의 베이스 핀(213)이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미러 베이스(210)와 상기 브라켓(220)은 상기 하우징(50)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핀(213)과 상기 부쉬(221)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50)에는 상기 베이스 핀(213)과 상기 부쉬(221)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51)이 마련된다.
상기 "Y"방향 조정스크루(230)는 상기 브라켓(220)의 부쉬(221)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핀(213)의 나사부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부쉬(221)의 외주에는 상기 미러 베이스(210)와 상기 브라켓(220)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스프링(231)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Y"방향 조정스크루(23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미러 베이스(210)가 "Y"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만곡미러(32)의 길이방향 중심 위치가 조정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231)은 상기 만곡미러(32)에 복원력을 인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20)에는 상기 미러 베이스(210)와 결합할 때의 초기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미러 베이스(210)에 마련된 제1 초기위치설정홀(215)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초기위치설정홀(225)이 마련된다. 상기 제1 초기위치설정홀(215)과 제2 초기위치설정홀(225)에는 제1 결합핀(235)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220)을 상기 하우징(50)에 조립할 때의 초기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220)에는 제3 초기위치설정홀(226)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50)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4 초기위치설정홀(56)이 마련된다. 상기 제3 초기위치설정홀(56)과 제4 초기위치설정홀(226)에는 제2 결합핀(236)이 삽입된다. 따라서, 처음으로 상기 브라켓(220)을 상기 미러 베이스(210)에 결합하고 상기 하우징(50)에 조립할 때,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기준 파장에 따른 초기위치에 상기 만곡미러(32)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후술하는 각도 조정지그(250)에 의해 상기 만곡미러(32)의 각도를 조정한 후에는 각도의 변화가 없도록 상기 미러 베이스(210)와 상기 브라켓(220)을 상호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미러 베이스(210)에는 제1 고정스크루체결홀(217)이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220)에는 이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고정스크루삽입슬롯(227)이 마련된다. 상기 제1 고정스크루체결홀(217)과 제1 고정스크루삽입슬롯(227)에는 제1 고정스크루(237)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Z"방향 조정지그(240)에 의해 상기 만곡미러(32)의 위치를 조정한 후에는 그 위치의 변화가 없도록 상기 브라켓(220)을 상기 하우징(5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브라켓(220)의 상,하부에는 두 개의 제2 고정스크루삽입슬롯(228a, 228b)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50)에는 이와 대응하는 위치에 두 개의 제2 고정스크루체결홀(58a, 58b)이 마련된다. 상기 제2 고정스크루삽입슬롯(228a, 228b)과 제2 고정스크루체결홀(58a, 58b)에는 제2 고정스크루(238a, 238b)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만곡미러(32)의 각도 및 위치 조정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제1 고정스크루(237)와 제2 고정스크루(238a, 238b)에 의해 상기 미러 베이스(210)와 브라켓(220)이 상기 하우징(5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20)에는 "Z"방향조정핀 삽입슬롯(229)과, 제2 고정스크루체결홀(223a, 223b)이 마련된다. 이들에 대해서는 다음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Z"방향 조정지그를 상세하게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2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Z"방향 조정지그(240)는 제1 지그프레임(241)과, 제1 회동부재(248)와, "Z"방향 조정스크루(244)와, 제1 스프링(247)과, "Z"방향 조정핀(249)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지그프레임(241)은 제1 고정스크루(232a, 232b)에 의해 상기 하우징(50)에 고정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지그프레임(241)에는 상기 제1 고정스크루(232a, 232b)가 삽입되는 제1 고정스크루삽입홀(242a, 242b)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50)에는 상기 제1 고정스크루(232a, 232b)가 체결되는 제1 고정스크루 체결홀(52a, 52b)이 마련된다.
상기 제1 회동부재(248)는 상기 제1 지그프레임(241)의 일측에 그 중간부위가 힌지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지그프레임(241)에는 제1 힌지핀(245a)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제1 회동부재(248)에는 상기 제1 힌지핀(245a)이 삽입되는 제1 힌지핀삽입홀(245b)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회동부재(248)의 일단부에는 후술하는 제1 스프링(247)이 연결되는 제1 스프링연결핀(246b)이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Z"방향 조정핀(249)이 설치된다.
상기 제1 스프링(247)은 상기 제1 지그프레임(241)과 상기 제1 회동부재(248)의 일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스프링연결핀(246a, 246b)에 그 양단부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스프링(247)은 상기 제1 회동부재(248)에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게 된다.
상기 "Z"방향 조정스크루(244)는 상기 제1 지그프레임(241)의 상부에 형성되는 "Z"방향 조정스크루삽입홀(243)에 체결되며, 그 하단부는 상기 제1 회동부재(248)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1 스프링연결핀(246b)과 접촉한다.
상기 "Z"방향 조정핀(249)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동부재(248)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220)에 마련되는 "Z"방향조정핀 삽입슬롯(229)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Z"방향 조정스크루(244)를 회전시켜 상기 제1 스프링연결핀(246b)을 간섭하면, 상기 제1 회동부재(248)는 상기 제1 힌지핀(245a)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Z"방향 조정핀(249)이 회동하며 상기 브라켓(220)을 간섭하여 "Z"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키게 되므로, 상기 만곡미러(32)의 "Z"방향 위치가 조정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각도 조정지그를 상세하게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2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각도 조정지그(250)는 제2 지그프레임(251)과, 제2 회동부재(255)와, 각도 조정스크루(254)와, 제2 스프링(259)과, 각도 조정핀(256)을 구비한다.
상기 제2 지그프레임(251)은 제2 고정스크루(233a, 233b)에 의해 상기 브라켓(220)에 고정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지그프레임(251)에는 상기 제2 고정스크루(233a, 233b)가 삽입되는 제2 고정스크루삽입홀(253a, 253b)이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220)에는 상기 제2 고정스크루(253a, 253b)가 체결되는 제2 고정스크루 체결홀(223a, 223b)이 마련된다.
상기 제2 회동부재(255)는 상기 제2 지그프레임(251)의 일측에 그 일단부가 힌지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지그프레임(251)에는 제2 힌지핀(257a)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제2 회동부재(255)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 힌지핀(257a)이 삽입되는 제2 힌지핀삽입홀(257b)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회동부재(255)의 중간부웨에는 상기 각도 조정핀(256)이 설치되고, 상기 각도 조정핀(256)은 상기 미러 베이스(210)에 마련되는 각도조정핀 삽입홀(216)에 삽입된다.
상기 제2 스프링(259)은 상기 제2 지그프레임(251)과 상기 제2 회동부재(255)의 타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2 스프링연결핀(258a, 258b)에 그 양단부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스프링(259)은 상기 제2 회동부재(255)에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게 된다.
상기 각도 조정스크루(254)는 상기 제2 지그프레임(251)의 상부에 형성되는 각도조정스크루 삽입홀(252)에 체결되며, 그 하단부는 상기 제2 회동부재(255)의 타단부에 설치된 제2 스프링연결핀(258b)과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각도 조정스크루(254)를 회전시켜 상기 제2 스프링연결핀(258b)을 간섭하면, 상기 제2 회동부재(255)는 상기 제2 힌지핀(257a)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도 조정핀(256)이 회동하며 상기 미러 베이스(210)를 상기 베이스 핀(213)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시키게 되므로, 상기 만곡미러(32)의 각도(θ)가 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에서 상기 미러 베이스(210)와 브라켓(220)과 "Y"방향 조정스크루(230)는 광학계에 상시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Z"방향 조정지그(240)와 상기 각도 조정지그(250)는 상기 만곡미러(32)의 위치를 조정할 때에만 설치되어 사용되고, 위치조정이 완료된 후에는 광학계에서 분리되어 별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광학계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조정지그(240, 250)를 다른 광학계에도 공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미러위치 조정장치는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파장 변동 및 조립시의 위치 변동이 있는 경우에는 미러의 위치 및 각도를 미세 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광 경로 상의 기준위치에 정확히 유지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미러를 경유한 주사선의 위상차를 미세 조정할 수 있게 되어 화상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광학계의 광 경로상에 설치되는 미러의 양측 단부를 지지하는 미러 베이스;
    광학계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미러 베이스와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미러 베이스를 간섭하여 상기 미러를 그 길이방향("Y"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미러의 중심 위치를 조정하는 "Y"방향 조정스크루;
    상기 브라켓을 간섭하여 상기 미러를 그 두께방향("Z"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포커스를 조정하는 "Z"방향 조정지그; 및
    상기 미러 베이스를 간섭하여 소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미러의 반사각을 조정하는 각도 조정지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의 미러위치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베이스는, 상기 미러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미러의 저면을 지지하는 안착부와,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며 중공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베이스 핀과,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미러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미러 고정스크루를 구비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미러 베이스와 마주보는 측면에 돌출 설치되는 부쉬를 구비하여, 상기 부쉬에 상기 미러 베이스의 베이스 핀이 회전할 수 있도록 삽입되고,
    상기 "Y"방향 조정스크루는, 상기 브라켓의 부쉬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핀의 나사부에 체결됨으로써, 그 회전에 의해 상기 미러 베이스를 "Y"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의 미러위치 조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베이스와 상기 브라켓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부쉬의 외주에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의 미러위치 조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베이스와 상기 브라켓을 결합할 때의 초기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미러 베이스와 상기 브라켓에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제1 초기위치설정홀과 제2 초기위치설정홀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초기위치설정홀과 제2 초기위치설정홀에는 제1 결합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의 미러위치 조정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을 상기 하우징에 조립할 때의 초기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에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제3 초기위치설정홀과 제4 초기위치설정홀이 마련되고, 상기 제3 초기위치설정홀과 제4 초기위치설정홀에는 제2 결합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의 미러위치 조정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의 각도를 조정한 후 상기 미러 베이스와 상기 브라켓을 상호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미러 베이스에는 제1 고정스크루가 체결되는 제1 고정스크루체결홀이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제1 고정스크루가 삽입되는 제1 고정스크루삽입슬롯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의 미러위치 조정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의 "Z"방향 위치를 조정한 후 상기 브라켓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에는 제2 고정스크루가 삽입되는 제2 고정스크루삽입슬롯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2 고정스크루가 체결되는 제2 고정스크루체결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의 미러위치 조정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Z" 방향 조정지그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지그프레임;
    상기 제1 지그프레임의 일측에 그 중간부위가 힌지결합되는 제1 회동부재;
    상기 제1 지그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제1 회동부재의 타단부를 간섭하여 상기 제1 회동부재를 소정 각도 회동시키는 "Z"방향 조정스크루;
    상기 제1 회동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제1 지그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회동부재에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제1 회동부재의 타단부에 돌출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에 마련된 "Z"방향조정핀 삽입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브라켓을 "Z"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간섭하는 "Z"방향 조정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의 미러위치 조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정지그는,
    상기 브라켓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지그프레임;
    상기 제2 지그프레임의 일측에 그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제2 회동부재;
    상기 제2 지그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제2 회동부재의 타단부를 간섭하여 상기 제2 회동부재를 소정 각도 회동시키는 각도 조정스크루;
    상기 제2 회동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제2 지그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회동부재에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스프링; 및
    상기 제2 회동부재의 중간부위에 돌출 설치되며 상기 미러 베이스에 마련된 각도조정핀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미러 베이스를 소정 각도 회전하도록 간섭하는 각도 조정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의 미러위치 조정장치.
  10. 제1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Z" 방향 조정지그와 상기 각도 조정지그는 상기 미러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정한 후 분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의 미러위치 조정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인쇄기에 사용되는 광주사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의 미러위치 조정장치.
  12.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는 복수의 광로로 입사된 주사선을 집속 반사시키는 만곡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의 미러위치 조정장치.
KR1019980054533A 1998-12-11 1998-12-11 광학계의 미러 위치 조정장치 KR100316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533A KR100316657B1 (ko) 1998-12-11 1998-12-11 광학계의 미러 위치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533A KR100316657B1 (ko) 1998-12-11 1998-12-11 광학계의 미러 위치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255A KR20000039255A (ko) 2000-07-05
KR100316657B1 true KR100316657B1 (ko) 2002-02-19

Family

ID=19562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533A KR100316657B1 (ko) 1998-12-11 1998-12-11 광학계의 미러 위치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6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954B1 (ko) * 2001-09-04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소자 미세조정장치
KR100636244B1 (ko) 2005-08-11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사경사 및 주사만곡 보정을 위한 반사미러의위치조정기구 및 이를 채용한 광주사장치
KR101040981B1 (ko) 2010-01-20 2011-06-16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정밀 광학계 정렬용 틸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1711U (ko) * 1987-10-29 1989-05-15
JPH04191812A (ja) * 1990-11-27 1992-07-10 Fuji Photo Optical Co Ltd 走査装置のレーザービーム光路変更用ミラー支持装置
JPH10186215A (ja) * 1996-12-24 1998-07-14 Nippon Steel Corp 高出力レーザ伝送ミラー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1711U (ko) * 1987-10-29 1989-05-15
JPH04191812A (ja) * 1990-11-27 1992-07-10 Fuji Photo Optical Co Ltd 走査装置のレーザービーム光路変更用ミラー支持装置
JPH10186215A (ja) * 1996-12-24 1998-07-14 Nippon Steel Corp 高出力レーザ伝送ミラー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255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3408A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with improved structure for adjusting focus position
JP3422581B2 (ja) 光走査装置の支持装置
US6582089B2 (en) Mirror angle adjustment and mounting system for a laser scanner device
KR100316657B1 (ko) 광학계의 미러 위치 조정장치
JP2001281587A (ja) 光走査装置用光源部の保持構造
KR100657298B1 (ko) 미러 지지 장치, 이를 구비하는 광주사장치 및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7048394B2 (en) Mechanism for adjustable installation of band plate-like member
JP5153586B2 (ja) 光学走査装置
JP4661024B2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090951A (ja) 帯板状部材の取付機構
JP3789770B2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2198413A (ja) レーザープリンタ等の光書き込み装置
JP2887918B2 (ja) ラスタ走査装置のミラー支持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ミラー角度調整方法
KR100346721B1 (ko) 광학계의 렌즈 위치 조정장치
JP2002277785A (ja) 光走査装置
JPH0398063A (ja) 画像記録装置
US6922296B2 (en) Optical path adjusting device
JP2001100137A (ja) 走査光学装置
US5317444A (en) Light scanning apparatus
JPS597923A (ja) ビ−ム検出装置
JPH09197234A (ja) ミラーの取付構造
AU697080B2 (en) Lens adjustment assembly for electronic digital imaging apparatus
KR20060015390A (ko) 렌즈 조립체
JP200231136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組立方法
JPH08234129A (ja) 光走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