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656B1 -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656B1
KR100316656B1 KR1019980044197A KR19980044197A KR100316656B1 KR 100316656 B1 KR100316656 B1 KR 100316656B1 KR 1019980044197 A KR1019980044197 A KR 1019980044197A KR 19980044197 A KR19980044197 A KR 19980044197A KR 100316656 B1 KR100316656 B1 KR 100316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element
optical
support
movement
optica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6597A (ko
Inventor
엄재용
이원형
최환영
조성민
이문규
민지홍
김영일
최진승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44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656B1/ko
Publication of KR20000026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6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6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0Light-tight connections for movable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unting And Adjusting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는, 광학계 시스템의 소정 광 경로 상에 설치되는 광학소자를 기준위치에 정확히 유지되도록 지지 및 압착할 수 있는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 시스템의 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광학소자가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결합되는 것으로 그 몸체에 상기 광학소자를 탄성적으로 가압 지지하는 탄성지지부가 형성된 광학소자 지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광 경로 상의 광학소자를 기준위치에 정확히 유지되도록 지지 및 압착함으로써, 그 위상차를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점에 그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
본 발명은 광원모듈로부터 생성 출사되는 광 경로 상에 위치된 광학소자를 기준위치에 정확히 유지되도록 지지 및 압착할 수 있는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칼라 레이저 프린터, 디지털 복사기, 스캐너, 팩시밀리 등과 같은 전자사진방식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출력 시스템에 채용되는 광주사장치, 화상생성수단에서 생성된 화상을 광원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투영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는 프로젝터장치, CDP(Compact Disk Player), LDP(Laser Disk Player) 및DVDP(Digital Disk Player) 등의 광디스크 플레이어에 채용되는 광픽업장치 등과 같은 광학계는, 광원모듈로부터 생성 출사되는 광 경로 상에 상기 광을 집속 및 발산하거나, 광 경로를 변환시켜 회절시키는 등의 기능을 하는 다양한 광학소자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광학소자들은 상기 광 경로 상의 소정 위치에 정확히지지 및 압착되도록 하여 그 위상차를 정밀하게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광 경로 상에 위치한 광학소자를 압착 및 지지할 수 있는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광학소자 20... 지지수단
20a... 베이스 프레임 20b... 결합홈
21... 몸체부 21a... 결합공
21b... 결합부재 22a,22b... 제1이동규제부
23... 제2이동규제부 24... 제3이동규제부
24a... 펀칭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는, 광학계 시스템의 소정 광 경로 상에 설치되는 광학소자를 기준위치에 정확히 유지되도록 지지 및 압착할 수 있는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 시스템의 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광학소자가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결합되는 것으로 그 몸체에 상기 광학소자를 탄성적으로 가압 지지하는 탄성지지부가 형성된 광학소자 지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광학소자 지지수단은, 몸체부와; 상기 광학소자의 기준위치로부터 길이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광학소자가 안착되어 위치 고정되는 제1이동규제부; 상기 광학소자의 기준위치로부터 기울기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하방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연장되어 상기 광학소자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이동규제부; 및 상기 광학소자의 기준위치로부터 기울기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방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연장되어 상기 광학소자의 상면을 파지하는 제3이동규제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이동규제부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광학소자의 지지 및 압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펀칭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광 경로 상의 광학소자를 기준위치에 정확히 유지되도록지지 및 압착함으로써, 그 위상차를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는 크게, 광학계의 시스템 본체에 소정 광 경로 상의 광학소자(10)가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도 2의 20a)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0a)에 설치되어 상기 광학소자(10)를 탄성적으로 가압 지지하는 일체형의 판 스프링으로 형성된 탄성 지지부를 가진 광학소자 지지수단(2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광학소자(10)는 광원(미도시)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집속 및 발산하거나 반사 및 회절시킬 수 있도록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 스프링으로 된 상기 광학소자 지지수단(20)은 몸체부(21)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21)에 연장되어 상기 광학소자(10)의 기준위치로부터 길이방향 즉, 측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고,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광학소자(10)의 양측부에 접촉되는 것으로 상기 광학소자(10)가 안착되어 위치고정되는 제1이동규제부(22a)(2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학소자 지지수단(20)은 상기 몸체부(21)로부터 하방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기울어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광학소자(10)의 기준위치 즉, 조사된 광에 대한 광학소자(10)의 반사 및 회절형식에 대응하도록 소정 각도 기울어진 방향의 하방 이동을 규제하고, 광학소자(10)의 하부를 압착 및 지지하는 제2이동규제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학소자 지지수단(20)은 상기 몸체부(10)로부터 상방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연장되어 상기 광학소자(10)의 기준위치 즉, 광원(미도시)으로부터 조사된 광에 대한 광학소자(10)의 반사 및 회절형식에 대응하도록 소정 각도 기울어진 방향의 상방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광학소자(10)의 상면을 파지하여 압착할 수 있는 파지부를 가진 제3이동규제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이동규제부(24)의 몸체에는 상기 광학소자(10)의 기준위치에 대한 지지 및 견고한 압착력을 더 강화하도록 상기 광학소자(10)와 접촉되는 부위에 소정 크기의 펀칭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도 2의 20a)과 광학소자 지지수단(20)의 몸체부(21)에는 상호 체결부재(21b)에 의한 결합이 용이하도록 결합홈(20b) 및 결합공(21a)이 각각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를 앞서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의 화살표 A,B,C,D의 방향은 각각 광학소자의 이동방향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에 있어서, 광학계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광학소자(10)는 주로 광원모듈로부터 생성 출사되는 광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광을 집속 및 발산하거나, 광 경로를 변환시켜 반사 및 회절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그 위치를 다양하게 조정하여 기준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다양한 광학소자(10)가 구비될 수 있다.
앞서 도시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광학소자(10)는 광학계 시스템 본체의 베이스 프레임(도 2의 20a) 상에 결합부재(도 2의 21b)로 결합된 판 스프링의 광학소자 지지수단(20)에 의해 그 기준위치를 정확히 유지하도록 견고히 지지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광학소자(10)는 광 경로 상의 기준위치 예컨데, 그 몸체가 "A", "B"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C", "D"의 기울기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있으며, 이러한 광학소자(10)는 "A", "B"의 길이방향 및 "C", "D"의 기울기방향으로 각각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 및 압착되어야 한다.
이에, 상기 광학소자(10)의 길이방향에 대한 "A", "B" 방향 이동은 상기 광학소자 지지수단(20)의 제1이동규제부(22a)(22b)가 상기 광학소자(10)의 양측면에 접촉되어 있어서 상기 "A" 방향과, "B" 방향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광학소자(10)가 기준위치에 정확히 안착되어 위치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한편, 기준위치에 설치된 상기 광학소자(10)는 "C", "D"의 기울기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광경로를 변환시킴으로써 반사 및 회절기능을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광학소자(10)는 광학소자 지지수단(20)의 제2이동규제부(23) 및 제3이동규제부(24)에 의해 견고히 지지되고 "C"방향 및 "D"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게 된다. 상기 제2이동규제부(23)는 상기 광학소자(10)의 하부를 받치도록 몸체부(21)에서 하방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D"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기울기방향의 상측으로 압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이동규제부(24)는 제2이동규제부(23)에 의해 지지된 상기 광학소자(10)의 상면을 파지부가 파지할 수 있도록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C"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기울기방향의 하측으로 압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3이동규제부(24)의 몸체에는 광학소자(10)의 일면에 접촉하도록 된 펀칭부(24a)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기 광학소자(10)가 제2이동규제부(23)에 지지되어 압착되기 때문에 상기 제3이동규제부(24)의 지지력이 약화되기 때문에 상기 광학소자(10)의 압착력을 더 강화하여 견고히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광학소자 지지수단(20)의 압착력이 상기 펀칭부(24a)에 집중됨으로써 기울어진 상태로 제2이동규제부(23) 상에 지지된 광학소자(10)를 제3이동규제부(24)의 파지부가 보다 더 강화된 압착력으로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상기 광학소자(10)는 판 스프링 형상의 광학소자 지지수단(20)에 의해 광 경로 상의 기준위치를 정확히 유지하도록 견고히 지지되며, 지지된 상태에서 각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그 위상차를 정밀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는 광 경로 상의 광학소자를 기준위치에 정확히 유지되도록 지지 및 압착함으로써, 그 위상차를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광학계 시스템의 소정 광 경로 상에 설치되는 광학소자를 기준위치에 정확히 유지되도록 지지 및 압착할 수 있는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 시스템의 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광학소자가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결합되는 것으로 그 몸체에 상기 광학소자를 탄성적으로 가압 지지하는 탄성지지부가 형성된 광학소자 지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소자 지지수단은,
    몸체부와;
    상기 광학소자의 기준위치로부터 길이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광학소자가 안착되어 위치 고정되는 제1이동규제부;
    상기 광학소자의 기준위치로부터 기울기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하방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연장되어 상기 광학소자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이동규제부; 및
    상기 광학소자의 기준위치로부터 기울기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방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연장되어 상기 광학소자의 상면을 파지하는 제3이동규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이동규제부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광학소자의 지지 및 압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펀칭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
KR1019980044197A 1998-10-21 1998-10-21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 KR100316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197A KR100316656B1 (ko) 1998-10-21 1998-10-21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197A KR100316656B1 (ko) 1998-10-21 1998-10-21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597A KR20000026597A (ko) 2000-05-15
KR100316656B1 true KR100316656B1 (ko) 2002-02-19

Family

ID=19554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197A KR100316656B1 (ko) 1998-10-21 1998-10-21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6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3418U (ja) * 1984-03-05 1985-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走査装置
JPS6354114U (ko) * 1986-09-25 1988-04-12
JPS6421408A (en) * 1987-07-17 1989-01-24 Seiko Epson Corp Adjusting structure for optical fiber lens arr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3418U (ja) * 1984-03-05 1985-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走査装置
JPS6354114U (ko) * 1986-09-25 1988-04-12
JPS6421408A (en) * 1987-07-17 1989-01-24 Seiko Epson Corp Adjusting structure for optical fiber lens ar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597A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0410B2 (en) Mirror support device and optical scann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JP5157093B2 (ja) レーザ走査光学装置
US5793408A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with improved structure for adjusting focus position
EP1309169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US7433106B2 (en) Mirror support device and optical scann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US5998786A (en) Apparatus for securing CCD board at a fixed position within a range of motion
US6582089B2 (en) Mirror angle adjustment and mounting system for a laser scanner device
KR100316656B1 (ko) 광학계의 광학소자 지지장치
KR100316653B1 (ko) 광학계의 렌즈 위치 조정장치_
KR100316655B1 (ko) 광학계의 렌즈 위치 조정장치_
KR20050047169A (ko)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반사미러 고정장치
KR100346721B1 (ko) 광학계의 렌즈 위치 조정장치
KR100316654B1 (ko) 광학계의 렌즈 위치 조정장치_
US6808272B1 (en) Projector and method for assembly thereof
JP2746191B2 (ja) レーザ走査光学装置
KR100788667B1 (ko) 이미지센싱유닛, 이를 구비한 스캐너, 상기 스캐너를구비한 복합기, 및 상기 이미지센싱유닛의 조립방법
CN220381362U (zh) 一种反射镜弯曲调整装置以及激光扫描组件
US7106480B2 (en) Film scanning device
JP3612476B2 (ja) Ccdの取付構造およびその構造が採用された画像読取装置
KR100267245B1 (ko) 셔틀방식스캐너의렌즈위치조정장치
JPH054366Y2 (ko)
JPH09197234A (ja) ミラーの取付構造
JP2001156990A (ja) Ccdの取付構造およびその構造が採用された画像読取装置
JP4164445B2 (ja) 光学機構保持構造
JPH07199100A (ja) プラスチック光学素子の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