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316B1 - 열 찜질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 찜질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316B1
KR100316316B1 KR1019990016667A KR19990016667A KR100316316B1 KR 100316316 B1 KR100316316 B1 KR 100316316B1 KR 1019990016667 A KR1019990016667 A KR 1019990016667A KR 19990016667 A KR19990016667 A KR 19990016667A KR 100316316 B1 KR100316316 B1 KR 100316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mugwort
juice
binde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3408A (ko
Inventor
김종규
Original Assignee
김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규 filed Critical 김종규
Priority to KR1019990016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316B1/ko
Publication of KR20000073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3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3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38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pig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80Paper comprising more than one coating
    • D21H19/84Paper comprising more than one coating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8Reinforcing agents
    • D21H21/20Wet strength agents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aper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민방에서 잘 알려진 약효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쑥/한약재/쑥과 한약재 혼합물로부터 즙을 짜내어 이를 적정한 바인더와 섞어 종이 표면에 도포시킨 다음 건조시켜 만든 종이로써 사용 방법은 찜질을 하기 전에 우선종이 면에 물을 발라 타박상, 접들린 부위 또는 미용 등의 목적 부위에 대고 뜨거운 팩 또는 물수건을 이 위에 대고 열 찜질을 하면 사용하기 편리하면서 쑥 또는 한약재가 함유하고 있는 여러 가지 성분이 찜질 할 때의 열로 인하여 피부가 확장하면서 살갗을 통해 외·내부 환부에 전달됨으로써 약리 효과를 줄 수 있으면서, 종래의 방법으로 뜨거운 물수건이나 팩을 살갗에 직접 대고 사용하는 관계로 잘못하면 살갗에 화상을 입혀 상흔을 입힐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쑥/한약재를 적정 수분 량과 함께 증해(찜)한 것을 가지고 압착하여 즙을 내서 이에 적량(0.1∼0.5%)의 산화전분 등의 바인더를 섞은 것을 원액으로 하고, 초지 공정 중 도3에서 사이즈 부의 사이즈 받드(35)에 즙액(36)을 채워 넣은 속으로 가이드롤(31)과 (32)를 축으로 침적 통과시켜 프레스롤(33)으로 압착함으로써 종이(지필)(34)의 표리(21)(23) 양면에 도포 시킨다든지, 도4에서 노즐형 스프레이(41) 방식으로 프레스롤(42)과 (43)를 통과하는 지필 위(44)에 노즐형 스프레이로 연속해서 즙액을 공급하여 종이의 한 쪽 면(11)에만 도포시켜 만들 수 있다.

Description

열 찜질지 및 이의 제조방법{The paper for fomentation(apply a hot pack)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일반적으로 민간요법인 뜸을 하는데 사용하는 쑥은 고운 쑥을 이용하는데 봄철에 채취 해서 절구에 찧어 여러 번 비벼 고운 섬유질로 만든 것이 뜸쑥이며, 뜸쑥을 이용한 뜸의 종류는 무흔구법과 유흔구법이 있다. 무흔구의 경우 피부에 올려놓고 뜨거울만하면 떼 내는 방법으로 열의 자극만을 주기 위해 마늘, 생강, 황토 흙 등의 중간 개재물/ 구점지를 놓고 뜸을 뜨기도 했다.
쑥은 엉시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류로써 어린잎을 식용으로, 잎, 줄기는 약용으로 쓰이며, 성숙된 쑥으로 만든 대황색의 솜같이 된 것은 뜸쑥을 만들어 사용하게 된다. 쑥에는 씨네올이 함유되어 있어 혈전을 예방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인진 쑥은 위장과 손과 발을 따듯하게 하고 간 기능 개선과 비타민 A1(체질개선, 노화억제), B1,B2,C 그리고 칼슘, 철분 등으로 해독작용이 또렷하고, 항균작용을 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또한 한약재, 예를 들어 소재 개별적으로는 천궁의 경우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고, 기운의 순환을 도와서 통증을 없애는 약재로 알려져 있고, 오미자는 자양강장제로써 체력을 증강시키고 피로회복, 눈을 밝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황정은 자양강장, 허약 체질, 피로 감소, 병후 회복에 효과적이며, 인삼도 빈혈, 저혈압, 냉증, 당뇨병 등에 효과가 있는 성분 등을 내포하고 있고, 이들 약재는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더 나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겠다.
이외에도 오이 등은 맛사지용으로 살갗에 영향을 주어 효과를 주는 등은 이미 잘 알려진 방법들이다.
쑥은 식용으로 쌀 또는 밀가루에 섞어 직접 빻아 이로써 쑥떡을 만들 듯 국내 특허 92-4464의 쑥 화장지 제조 방법은 제지 원료인 펄프와 쑥을 섞어 내부첨가제인 CMC를 첨가한 채 고해(섬유를 물에 풀어 짧게 잘라주는 것)하여 이를 원료로 종이를 초지한 또는 액기스를 고해한 펄프에 풀어 만든 종이를 특징으로 하고있으나 초지 시 많은 량의 진액인쑥물(즙)이 그물망을 통해 탈수되어 나갈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쑥의 효능이 환부 또는 피부에 미치는 역할은 경미하며, 쑥을 직접 펄프와 함께 고해하면 미세하게 고해한다 해도 쑥은 찌꺼기 상태로 남게 되고 이 상태에서의 쑥성분 용출은 극히 경미할 뿐만 아니라 종이의 품위가 손상도 감수해야한다. 또 다른 사용 예로 생리대용으로 사용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효과 면에서는 역시 위와 같은 이유로 약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쑥 또는 한약재가 함유하고 있는 여러 가지 성분이 찜질 할때의 열로 인하여 피부가 확장하면서 살갗을 통해 외·내부 환부에 전달됨으로서 약리 효과를 줄 수 있으면서, 종래의 방법인 뜨거운 물수건이나 팩을 사용함으로써 잘못하면 살갗에 화상을 입혀 상흔을 입힐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출한 즙을 종이의 표면에 도포시켜 맛사지 또는 타박상의 환부 등에 찜질의 매개체/대용품으로 사용하되 종전에 열탕 식의 뜨거운 수건으로 환부에 직접 닿음으로 인한 살갗의 화상방지와 더불어 쑥 또는 한약재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약효를 흡수시키면서 열 찜질을 할 수 있도록 한 종이 가공법에 의한 열 찜질지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도1 표면의 단면 도포층으로 한 쑥찜지 예
도2 표면의 양쪽 면을 도포층으로 한 쑥찜지 예
도3 초지기 상에서의 침적방식의 도포방법
도4 Press roll 통과시 스프레이식 단면 도포 방법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23........ 즙액 도포층
12,22........... 지필
31,32,37........ 가이드롤
33,42,43........ 프레스롤
34.............. 도포지
35.............. 사이즈받드
36.............. 도포액
41.............. 노즐형 스프레이
44.............. 즙액공급 표면 지층
본 발명은 쑥/한약재를 적정 수분 량과 함께 증해(찜)한 것을 가지고 압착하여 즙을 내서 이에 적량의 바인더를 섞은 것을 원액으로 하고, 초지 공정 중 도3에서 사이즈 부의 사이즈 받드(35)에 즙액(36)을 채워 넣은 속으로 가이드롤(31)과 (32)를 축으로 침적 통과시켜 프레스롤(33)으로 압착함으로써 종이(지필)(34)의 표리(21)(23) 양면에 도포 시킨다든지, 도4에서 노즐형 스프레이(41) 방식으로 프레스롤(42)과 (43)를 통과하는 지필 위(44)에 노즐형 스프레이로 연속해서 즙액을 공급하여 종이의 한 쪽 면(11)에만 도포시켜 만들 수 있다. 물론 마른 종이에 인쇄 방식으로 도포시킬 수 도 있겠으나 액즙의 침투가 쉽지 않아 비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요지는 쑥은 잎 또는 줄기를 채취하여 건조(가능한 그늘에서 건조)시킨 것을 원료로 하고, 쑥즙은 충분히 수분을 흡수하여 포화의 상태로 한 것을 건져내어 찜통(다량 생산 시에는 증해부 사용)에 넣고 적정시간을 증해(삶음)시킨 것을 압출기(또는 압축기)로 압착하여 즙액을 추출한다. 이 때 생쑥을 직집 빻아서 즙을 낸 것을 원액으로 할 수도 있겠으나 쑥의 성분을 열로 용출시켜 채취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이 때 사용하는 쑥 부위는 잎만 가지고 추출한 것 , 줄기와 잎을 통 채로 추출한 것, 쑥에 다른 약재를 섞어 추출해낸 액으로 하여 약효를 병용시켜 얻을 목적으로 할 수도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액에 종이에 도포시 접착력과 최소한의 습윤강도를 유지토록 하기 위하여 적량의 산화전분, 표면처리용 CMC 등의 바인더를 첨가한다.
본 발명에 사용할 바탕 종이는 찜, 특히 열탕 수건의 열수에 견디고, 통기성을 우수하게 하기 위해서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에폭시계 수지, 폴리에칠렌이민 등의 제지용 습윤증강제를 넣어 종이의 습윤강도를 높이고, 가능한 본 발명의 용도로 사용할 바탕 종이 제조는 제지 원료인 목재 또는 비목재 섬유펄프를 장섬유화로 고해 처리한 제지 원료로 초지 한 종이를 바탕지로 사용하는 것이 좋고, 얇은 박엽지 쪽이 열 전달 효과가 좋으며, 부직포를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 예 1>
초봄에 채취한 쑥을 물에 담구어 충분히 불린 것을 압력 밥솥에 이를 넣어 삶고, 믹서에 넣고 갈아서 헝겊 주머니에 넣어 소형 압착기로 압착하여 즙을 만든 것을 원료로 하였다.
이 원료액 100에 대하여 산화전분을 0.1∼0.5 비율로 섞어 받드에 채우고, 장섬유화하여 만든 목재섬유 종이를 받드의 액에 침적시켰다가 이를 롤 압착기를 통과시켜 균일 도포한 것을 열풍 건조하여 만들었다.
<실시 예 2>
실시 예 1의 원료에 원료액 100에 대하여 폴리아크릴아마이드계 수지를 0.3 비율로 섞어 받드에 채우고, 장섬유화하여 만든 목재섬유 종이를 받드에 채워 논 즙액에 침적시켰다가 이를 롤 압착기를 통과시켜 균일 도포한 것을 열풍 건조하여 만들었다.
<실시 예 3>
초가을에 채취한 쑥의 잎과 대를 적정크기로 잘라 물에 담구어 충분히 불린 것을 압력 밥솥에 이를 넣어 삶고, 소형 절구에 넣고 빻은 것을 헝겊 주머니에 넣어 소형 압착기로 압착하여 즙을 만든 것을 원료로 하였다.
이 원료액 100에 대하여 산화전분을 0.1∼ 0.5 비율로 섞어 받드에 채우고, 장섬유화하여 만든 목재섬유 종이를 받드의 액에 침적시켰다가 이를 롤 압착기를 통과시켜 균일 도포한 것을 열풍 건조하여 만들었다.
<실시 예 4>
실시 예 3의 방법으로 하되 바탕 종이는 닥나무 펄프로 만든 전통 한지를 사용하였다.
<실시 예 5>
실시 예 3의 방법으로 하되 바탕 종이 대체용으로 부직포를 이용하여 도포하였다.
이 때 부직포로의 흡수 침투력이 좋지 않아 도포상태가 불량하였다.
<실시 예 6>
실시 예 3의 방법으로 즙을 짜낸 쑥의 찌꺼기를 바탕용지 주원료인 목재/비목재 섬유 펄프와 섞어서 비터에 넣고 고해한 것으로 바탕지를 만들고 이외 공정은 실시 예 3과 같이 히였다.
<실시 예 7>
실시 예 1과 실시 예 3에서와 같은 즙액에 피부관리 또는 체력보강에 관련한 한약재(예, 천궁, 오미자, 황정, 인삼 등)를 다려서 즙을 내어 바인더와 섞어 바탕종이에 도포하고 열풍 건조시켜 만들었다.
<실시 예 8>
쑥의 생즙을 내어 바인더와 섞어 바탕 종이에 도포하고 열풍 건조시켜 만들었다.
실시 예 1∼실시 예 8에서 만들어진 쑥즙/한약재 추출즙의 도포지는 해당피부에 붙이기 전에 피부에 닿는 종이 면을 물에 적셔서 피부에 붙이고 열탕 수건 또는 찜팩을 올려 놓고, 찜질을 하면 표면에 도포된 원액막 층이 습해 열로 인하여 용출되어 살갗으로 침투되는 효과를 얻게 되며, 특히 양면 도포형인 경우 한쪽 면을 이용한 다음 다시 뒤집어 반대 면을 계속 사용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약용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쑥/한약재/쑥과 한약재 혼합물로부터 즙을 짜내어 이를 적정한 바인더와 섞어 종이 표면에 도포시킨 다음, 건조시켜 만든 종이로써 사용 방법은 찜질을 하기 전에 우선 종이 면에 물을 발라 타박상, 접들린 부위 또는 미용 등의 목적 부위에 대고 뜨거운 팩 또는 물수건을 이 위에 대고 열 찜질을 하면 사용하기 편리하면서 쑥 또는 한약재가 함유하고 있는 여러 가지 성분이 찜질 할 때의 열로 인하여 피부가 확장하면서 살갗을 통해 외·내부 환부에 전달됨으로써 약리 효과를 줄 수 있으면서, 종래의 방법으로 뜨거운 물수건이나 팩을 살갗에 직접 대고 사용하는 관계로 잘못하면 살갗에 화상을 입혀 상흔을 입힐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고, 사우나, 찜질 방 등에서는 타올 도포형으로 가공한 것을 착용하고 증기를 받으면 예를 들어 쑥의 경우 쑥욕을 즐길 수 있다.

Claims (5)

  1. 열 찜질용 종이에 있어서,
    바탕 종이, 및
    상기 바탕 종이의 적어도 일 표면 상에 코팅되어 건조되며, 약효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소정의 약재로부터 추출된 원액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코팅층
    을 포함하되,
    상기 바인더는 상기 원액이 추후의 수분 공급에 의해 상기 바탕 종이로부터 용출 가능하게 하는 열 찜질용 종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0.1∼1.0 % 정도의 산화 전분 및 표면 처리용 CMC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열 찜질용 종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 종이는,
    상기 소정의 약재로부터 상기 원액을 추출하고 남고 찌꺼기를 해당 펄프와 함께 고해하여 섞어 습윤 증강제로 습윤 강도를 조정하고 초지하여 만든 열 찜질용 종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약재는 쑥, 천궁, 오미자, 황정 및 인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열 찜질용 종이.
  5. 열 찜질용 종이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바탕 종이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바탕 종이의 적어도 일 표면 상에, 약효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소정의 약재로부터 추출된 원액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코팅하고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바인더는 상기 원액이 추후의 수분 공급에 의해 상기 바탕 종이로부터 용출 가능하게 하는 열 찜질용 종이 제조 방법.
KR1019990016667A 1999-05-10 1999-05-10 열 찜질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16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667A KR100316316B1 (ko) 1999-05-10 1999-05-10 열 찜질지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667A KR100316316B1 (ko) 1999-05-10 1999-05-10 열 찜질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408A KR20000073408A (ko) 2000-12-05
KR100316316B1 true KR100316316B1 (ko) 2001-12-12

Family

ID=19584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667A KR100316316B1 (ko) 1999-05-10 1999-05-10 열 찜질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3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842A (ko) * 2002-09-05 2004-03-11 (주) 그린페이퍼텍 천연 쑥 향과 고농축 약쑥액을 함유하는 미용용지 및 이의제조방법
KR101003833B1 (ko) 2008-12-31 2010-12-23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인삼향 종이 제조방법 및 인삼향 종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663B1 (ko) * 2007-04-18 2008-06-19 김지문 이비인후과 질환 치료보조용 원통형 뜸봉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410A (ko) * 1990-07-16 1992-02-29 원본 미기재 처리가공시 가스베이스 기판 후면을 보호하는 장치 및 방법
KR940005301A (ko) * 1992-06-23 1994-03-21 데이비드 제이. 블룸필드 가변식 볼링레인 및 그 사용방법
KR950014483A (ko) * 1993-11-03 1995-06-16 곽창근 쑥 종이 및 그의 제조 방법
KR960011249U (ko) * 1994-09-23 1996-04-15 쌍용제지주식회사 고흡수성 쑥종이
KR960703447A (ko) * 1993-06-30 1996-08-17 제이코버스 코넬리스 레이서 화학 연화제 조성물 및 결합제 물질을 포함하는 다층의 티슈 종이 웹 및 이의 제조방법(multi-layered tissue paper web comprising chemical softening compositions and binder material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KR970064624A (ko) * 1996-03-12 1997-10-13 박영일 쑥 함유 패드재와 그 제조 방법
KR19980087654A (ko) * 1998-09-07 1998-12-05 장의상 식물(쑥.수리취)에서 얻은 천연섬유소를 소재로 한 종이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종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410A (ko) * 1990-07-16 1992-02-29 원본 미기재 처리가공시 가스베이스 기판 후면을 보호하는 장치 및 방법
KR940005301A (ko) * 1992-06-23 1994-03-21 데이비드 제이. 블룸필드 가변식 볼링레인 및 그 사용방법
KR960703447A (ko) * 1993-06-30 1996-08-17 제이코버스 코넬리스 레이서 화학 연화제 조성물 및 결합제 물질을 포함하는 다층의 티슈 종이 웹 및 이의 제조방법(multi-layered tissue paper web comprising chemical softening compositions and binder material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KR950014483A (ko) * 1993-11-03 1995-06-16 곽창근 쑥 종이 및 그의 제조 방법
KR960011249U (ko) * 1994-09-23 1996-04-15 쌍용제지주식회사 고흡수성 쑥종이
KR200162346Y1 (ko) * 1994-09-23 1999-12-15 차석용 고흡수성 쑥종이
KR970064624A (ko) * 1996-03-12 1997-10-13 박영일 쑥 함유 패드재와 그 제조 방법
KR19980087654A (ko) * 1998-09-07 1998-12-05 장의상 식물(쑥.수리취)에서 얻은 천연섬유소를 소재로 한 종이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종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842A (ko) * 2002-09-05 2004-03-11 (주) 그린페이퍼텍 천연 쑥 향과 고농축 약쑥액을 함유하는 미용용지 및 이의제조방법
KR101003833B1 (ko) 2008-12-31 2010-12-23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인삼향 종이 제조방법 및 인삼향 종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408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5506B2 (ja) 漢方温灸剤
CN101940244A (zh) 一种沉香普洱茶及其制作工艺
CN101077189B (zh) 药膳补胶原蛋白养颜餐
CN106399030A (zh) 一种保健荔枝甜酒及其制备方法
CN104546802B (zh) 治疗风湿性关节炎的自发热中药敷贴及其制备方法
CN105994785A (zh) 一种哈密瓜菠萝味黑木耳奶茶
CN104947496A (zh) 鼻洁涕护肤湿巾
KR200343135Y1 (ko) 일회용 천연염색 부직포
KR100316316B1 (ko) 열 찜질지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689330A (zh) 一种谷物养生面粉及其制备方法
CN104905061A (zh) 一种牛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KR20100013108U (ko) 고 기능성 한지 마스크 시트
CN107007720A (zh) 一种黑膏药及其制备工艺和应用
KR100650439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기능성 베갯잇의 제작방법
CN103583652A (zh) 一种具有排毒祛湿功效的保健饼干及其制备方法
CN106615452A (zh) 一种杜仲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13521257A (zh) 一种中药草本面膜及其制备方法及其使用方法
CN1122463C (zh) 保健服
CN101601791A (zh) 治疗习惯性便秘的双面外用贴剂
CN110538055A (zh) 一种按摩保健手套
CN105326754B (zh) 无添加剂食品级绿豆祛痘养护面膜及其绿色生产方法
CN110419719A (zh) 一种调理气血型富硒全营养粉及其制备方法
CN113576900B (zh) 一种用于艾灸隔物的活性复合纤维膜材料及其制作工艺
CN104498298B (zh) 一种高粱酒及其制备方法
CN107583020A (zh) 天然食材泡手脚粉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