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659B1 -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을 부착시킨 복합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을 부착시킨 복합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659B1
KR100315659B1 KR1019990050880A KR19990050880A KR100315659B1 KR 100315659 B1 KR100315659 B1 KR 100315659B1 KR 1019990050880 A KR1019990050880 A KR 1019990050880A KR 19990050880 A KR19990050880 A KR 19990050880A KR 100315659 B1 KR100315659 B1 KR 100315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tar
polymer
cement
cement mortar
polymer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0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6911A (ko
Inventor
연규석
이윤수
황진하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연규석
이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규석, 이윤수 filed Critical 연규석
Priority to KR1019990050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5659B1/ko
Publication of KR20010046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comprising such water setting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comprising such water setting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32B2037/262Partition plates or sheets for separating several laminates pressed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2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using vibration, e.g. sonic or ultrason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을 부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폴리머 몰탈이 시멘트 몰탈 내부 깊숙하게 침투하여 경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멘트 몰탈이 가지는 단점과 폴리머 몰탈이 가지는 단점을 상호 보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착강도가 증진될 수 있도록 한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을 부착시킨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을 부착시킨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앙에 제거 가능한 격막이 설치되어 있는 거푸집의 일측에 시멘트 몰탈을 타설하고 다른 일측으로는 폴리머 몰탈을 타설하여 시멘트 몰탈과 폴리머 몰탈이 경화되기 전에 격막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을 부착시킨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을 부착시킨 복합체의 제조방법{The processing method of complex mortar adhered polymer mortar and cement mortar}
본 발명은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을 부착시킨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하수관이나 건축자재 등의 시멘트 몰탈 성질과 폴리머 몰탈 성질을 모두 필요로 하는 시멘트 몰탈과 폴리머 몰탈의 복합체에 있어서 시멘트 몰탈과 폴리머 몰탈의 부착강도가 우수한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 몰탈(이하 총칭하여 '시멘트 몰탈'로 표기한다)은 시공이 간편하고, 내구성 및 경제성 등에 있어서 유리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각종 건축재의 제조시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지만, 수축성, 부식성, 접착성, 중성화 또는 염화물 이온의 침투에 의한 철근의 부식 및 알칼리 골재 반응 등에 약하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폴리머 콘크리트 또는 폴리머 몰탈(이하 총칭하여 '폴리머 몰탈'로 표기한다)은 단위면적당 강도가 시멘트 몰탈에 비해 매우 높고, 방수성, 접착성, 내약품성, 내동결융해성 및 보온성 등의 물리화학적 성질이 우수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각종 내약품성을 필요로 하는 하수관이나 오폐수 처리관 등에 사용되어 왔으나, 일반적으로 난연성에 있어서는 약하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시멘트 몰탈과 폴리머 몰탈이 가지는 결점을 상호 보완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내구성 및 경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방수성이나 내약품성을 필요로 하는 각종 하수관이나 건축자재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멘트 몰탈과 폴리머 몰탈을 접착시킨 복합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특히 시멘트 몰탈층 위에 폴리머 몰탈층을 형성시켜 복합체를 형성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통상적으로 완전 경화된 시멘트 몰탈층 위에 폴리머 몰탈층을 타설하여 부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으로 시멘트 몰탈과 폴리머 몰탈을 부착하는 경우 일단 용융된 상태에서 폴리머 몰탈이 경화되면 표면장력 및 수축으로 인해 시멘트 몰탈층에 단단하게 고정되지 못하여 쉽게 분리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초기에는 단단하게 부착되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시멘트 몰탈 층과 폴리머 몰탈 층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해 단단하게 부착되지 못하고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완전 경화된 시멘트 몰탈층 표면을 조면화한 다음 폴리머 몰탈을 타설하여 시멘트 몰탈층과 폴리머 몰탈층을 부착시키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시멘트 몰탈층과 폴리머 몰탈층을 부착할 경우 부착 초기에는 단단하게 부착되는 경향이 있으나, 여전히 폴리머의 표면장력 및 수축으로 인해 단단하게 부착되지 못하여 쉽게 탈리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머 몰탈이 시멘트 몰탈 내부 깊숙하게 침투하여 경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멘트 몰탈이 가지는 단점과 폴리머 몰탈이 가지는 단점을 상호 보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착강도가 증진될 수 있도록 한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을 부착시킨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을 부착시켜 복합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거푸집 2 : 격막
3 : 폴리머 몰탈 4 : 시멘트 몰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을 부착시킨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앙에 제거 가능한 격막이 설치되어 있는 거푸집의 일측에 시멘트 몰탈을 타설하고 다른 일측으로는 폴리머 몰탈을 타설하여 시멘트 몰탈과 폴리머 몰탈이 경화되기 전에 격막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을 부착시킨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은 하기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의 부착과정을 나타낸 공정도로, 상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푸집(1)의 중앙에 제거 가능한 격막(2)을 a와 같이 설치하고, 격막(2)이 설치된 거푸집(1)의 일측으로 b와 같이 시멘트 몰탈(4)을 타설하고 다른 일측으로는 폴리머 몰탈(3)을 타설한 다음, c와 같이 시멘트 몰탈과 폴리머 몰탈이 경화되기 전에 격막(2)을 제거하게 되면,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층의 표면에서 혼화가 일어나게 되고, 그에 따라 d와 같이 폴리머 몰탈이 시멘트 몰탈의 내부로 침투하여 경화되게 됨으로써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의 부착강도가 증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격막(2)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진동을 가해주게 되면 폴리머 몰탈(3)이 시멘트 몰탈(4) 내부로 더 깊숙히 침투하여 경화되게 됨으로써 부착강도를 보다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격막 제거시 진동을 가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봉 또는 테이블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여 40Hz 내지 60Hz의 진동을 가해주게 되는데, 이때 40Hz 미만으로 진동을 가해주게 되면 폴리머 몰탈(3)과 시멘트 몰탈(4)이 서로 깊숙히 침투되지 않아 접착력이 저하되어 경화된 후 분리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발명하며, 60Hz를 초과하여 진동을 주게 되면 폴리머 몰탈(3)이 시멘트 몰탈(4)면 밖으로 침투되어 경화 후 면이 깨끗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므로 40Hz 내지 60Hz의 진동을 가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시멘트 몰탈(4) 및 폴리머 몰탈(3)의 각 층의 두께는 사용자가 임으로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통상 강도가 높은 폴리머 몰탈(3)을 두껍게 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시멘트 몰탈(4)로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몰탈, 무수축 그라우팅 몰탈 및 초속경 시멘트 몰탈 등 시멘트계 고화제 몰탈이면 모두 사용 가능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수축 그라우팅 몰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무수축 그라우팅 몰탈이나 초속경 시멘트 몰탈은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물과 시멘트의 비 1:3 내지 1:7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경우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규사와 시멘트를 1:3내지 1:7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을 25내지 10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시멘트 몰탈을 사용한다.
또한 폴리머 몰탈(3)은 통상의 폴리머 몰탈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몰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불포화 폴리에스터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축저감제 10내지 20중량부, 경화제 1내지 2중량부, 충진제 120내지 140중량부 및 골재 500내지 60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한 폴리머 몰탈을 사용하였다.
상기한 폴리머 몰탈 제조시의 성분 비율은 본 발명자에 의해 앞서 등록 받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35438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35439호 및 대한 민국 특허등록 제162972호 등에서 확인한 폴리머 몰탈의 최적성분비율을 이용하였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터수지는 그 구성분자의 포화된 모노머가 에스테르 결합으로 중합된 고분자 화합물로 다른 폴리머에 비해 취급이 쉽고 경화성이 뛰어나며, 상온에서 자유롭게 경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열경화성수지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스틸렌 함량이 38%인 올소타입(ortho type) 불포화 폴리에스터수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수축저감제로 열가소성인 폴리스틸렌을 스틸렌 모노머에 용해시킨 수축저감제를 첨가하였는데, 이것은 불포화 폴리에스터수지가 경화되는 동안 재료가 응집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폴리머 몰탈의 체적수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경화제는 불포화 폴리에스터수지가 경화반응을 할 수 있도록 첨가하는 것으로, 속경형, 표준 경화형 및 지연형 3종류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메틸 에틸 케톤 퍼옥사이드(methyl ethyl ketone peroxide)를 55%함유하는 표준 경화형 경화제를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충진제는 비교적 고가인 폴리머의 사용량을 줄일 목적으로 사용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저가이면서 구입이 용이한 탄산칼슘을 사용하였으며, 골재는 쇄석 및 강모래를 6대 4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하 본 발명은 하기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은 하기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가로 10cm, 세로 100cm, 두께 50cm의 거푸집에 도 1과 같이 가로 5cm가 되는 지점에 상측으로 제거 가능한 격막을 설치한 다음, 일측에 무수측 그라우팅 시멘트와 물의 비를 8:1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무수측 그라우팅 몰탈을 타설하고, 다른 일측에는 불포화 폴리에스터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축저감제 10중량부, 경화제 1중량부, 충진제 110중량부 및 골재 78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폴리머 몰탈을 타설한 후 격막을 제거하면서 50Hz의 진동을 가해준 다음 7일간 기건 양생하여 시멘트 몰탈과 폴리머 몰탈을 부착시켜 판상의 복합체를 제조한 다음, 상기 제조된 판상의 복합체를 이용하여 KS F 4716의 시멘트계 바름재에 준한 접착강도 실험방법에 의하여 접착강도를 측정한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시멘트 몰탈을 초속경 시멘트와 물의 비를 8:1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초속경 시멘트 몰탈을 타설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시멘트 몰탈과 폴리머 몰탈을 부착시켜 판상의 복합체를 제조한 다음, 상기 제조된 판상의 복합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강도를 측정한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시멘트 몰탈을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와 물 및 규사의 비를 1:0.67:3로 혼합하여 제조한 포틀랜드 시멘트 몰탈을 타설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시멘트 몰탈과 폴리머 몰탈을 부착시켜 판상의 복합체를 제조한 다음, 상기 제조된 복합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강도를 측정한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무수측 그라우팅 시멘트와 물의 비를 8:1로 혼합하여 제조한 무수측 그라우팅 몰탈을 가로 50cm, 세로 100cm, 두께 5cm의 거푸집에 타설한 후 7일간 기건 양생하여 무수축 그라우팅 몰탈을 제조한 다음, 그라우팅 몰탈의 표면을 조면화한후, 그 위에 불포화 폴리에스터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축저감제 10중량부, 경화제 1중량부, 충진제 110중량부 및 골재 78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폴리머 몰탈을 두께 5cm로 타설하여 총 두께가 10cm가 되도록 한 후 3일간 기건 양생하여 시멘트 몰탈과 폴리머 몰탈을 부착시켜 판상의 복합체를 제조한 다음, 상기 제조된 복합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강도를 측정한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초속경 시멘트와 물의 비를 8:1로 혼합하여 제조한 초속경 시멘트 몰탈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시멘트 몰탈과 폴리머 몰탈을 부착시켜 판상의 복합체를 제조한 다음, 상기 제조된 복합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강도를 측정한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와 물 및 규사의 비를 1:0.67:3으로 혼합하여 제조한 포틀랜드 시멘트 몰탈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시멘트 몰탈과 폴리머 몰탈을 부착시켜 판상의 복합체를 제조한 다음, 상기 제조된 복합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강도를 측정한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접착강도(kgf/㎠) 10.02 4.32 3.82 8.44 3.38 3.02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격막이 설치된 거푸집의 일측으로 무수축 그라우팅 몰탈을 타설하고 다른 일측으로는 폴리머 몰탈을 타설하여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을 부착시킨 실시예 1의 경우 접착강도는 10.02kgf/㎠로 나타났으나, 무수축 그라우팅 몰탈을 완전 경화시킨 다음 상부에 폴리머 몰탈을 부착시킨 비교예 1의 경우 접착강도가 8.44kgf/㎠로 나타나 본 발명에 의한 경우의 접착강도가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것은 시멘트 몰탈과 폴리머 몰탈이 경화되기 전에 격막을 제거함으로써,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의 경계면에서 혼화가 일어나게 되고, 그에 따라 폴리머 몰탈이 시멘트 몰탈의 내부 깊숙히 침투하여 경화되어 단단히 부착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완전 경화된 초속경 시멘트 몰탈층 위에 폴리머 몰탈을 부착시킨 비교예 2의 경우 접착강도가 3.38kgf/㎠로 나타났으나,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초속경 시멘트 몰탈과 폴리머 몰탈을 부착시킨 실시예 2의 경우 접착강도가 4.32kgf/㎠로 나타나 완전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착시킨 본 발명의 접착강도가 우수한 것을 상기 표 1을 통해 알 수 있다.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이용하여 폴리머 몰탈을 부착시킨 실시예 3과 비교예 3의 경우에도 상기 무수축 그라우팅 몰탈과 초속경 시멘트 몰탈을 이용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시멘트 몰탈과 폴리머 몰탈을 경화되기 전에 부착한 실시예 3의 접착강도가 더 크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시멘트 몰탈과 폴리머 몰탈을 경화되기 전에 부착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이 완전 경화된 초속경 시멘트 몰탈층 위에 폴리머 몰탈을 부착시킨 비교예 1내지 3보다 그 접착강도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특히 무수축 그라우팅 몰탈을 이용하여 폴리머와 부착시킨 실시예 1이 가장 접착강도가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멘트 몰탈과 폴리머 몰탈이 경화되기 전에 부착시킴으로써 폴리머 몰탈이 시멘트 몰탈의 내부 깊숙히 침투하여 경화되어 종래의 완전 경화된 시멘트 몰탈층 위에 폴리머 몰탈을 부착하는 방법보다 부착강도가 훨씬 뛰어난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을 부착시킨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을 부착시킨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앙에 제거 가능한 격막이 설치되어 있는 거푸집의 일측에 시멘트 몰탈을 타설하고 다른 일측으로는 폴리머 몰탈을 타설하여 시멘트 몰탈과 폴리머 몰탈이 경화되기 전에 격막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을 부착시킨 복합체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시멘트 몰탈과 폴리머 몰탈이 경화되기 전에 격막을 제거하면서 40Hz 내지 60Hz의 진동을 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을 부착시킨 복합체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시멘트 몰탈로 무수축 그라우팅 몰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을 부착시킨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19990050880A 1999-11-16 1999-11-16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을 부착시킨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0315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880A KR100315659B1 (ko) 1999-11-16 1999-11-16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을 부착시킨 복합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880A KR100315659B1 (ko) 1999-11-16 1999-11-16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을 부착시킨 복합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911A KR20010046911A (ko) 2001-06-15
KR100315659B1 true KR100315659B1 (ko) 2001-11-30

Family

ID=1962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0880A KR100315659B1 (ko) 1999-11-16 1999-11-16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을 부착시킨 복합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56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955B1 (ko) * 2002-09-25 2005-03-10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폴리머 콘크리트와 시멘트 콘크리트의 동시 타설에 의한부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886B1 (ko) * 2022-04-19 2023-06-29 주식회사 주성종합건설 콘크리트 양생 전 전처리 공정 및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652A (ja) * 1993-07-12 1995-01-27 Kuraray Co Ltd 混和材、打継ぎ材および組成物
JPH0891900A (ja) * 1994-09-28 1996-04-09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セメント質基材用混和剤およ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組成物、ならびに該組成物を用いた打設工法および接着工法
KR960022363A (ko) * 1994-12-30 1996-07-18 우덕창 초고강도 발현 시멘트 폴리머 복합체 조성물
US5804175A (en) * 1993-04-30 1998-09-08 Ronin; Vladimir P. Method for producing cement
KR19980047004A (ko) * 1996-12-13 1998-09-15 황익현 폴리머 침투 시멘트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4175A (en) * 1993-04-30 1998-09-08 Ronin; Vladimir P. Method for producing cement
JPH0725652A (ja) * 1993-07-12 1995-01-27 Kuraray Co Ltd 混和材、打継ぎ材および組成物
JPH0891900A (ja) * 1994-09-28 1996-04-09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セメント質基材用混和剤およ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組成物、ならびに該組成物を用いた打設工法および接着工法
KR960022363A (ko) * 1994-12-30 1996-07-18 우덕창 초고강도 발현 시멘트 폴리머 복합체 조성물
KR19980047004A (ko) * 1996-12-13 1998-09-15 황익현 폴리머 침투 시멘트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955B1 (ko) * 2002-09-25 2005-03-10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폴리머 콘크리트와 시멘트 콘크리트의 동시 타설에 의한부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911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63731B2 (en) Composite panel based on cementitious mortar with properties of transparency
KR20140008910A (ko) 인공조형물의 제조방법
KR100315659B1 (ko) 폴리머 몰탈과 시멘트 몰탈을 부착시킨 복합체의 제조방법
JP3641326B2 (ja) グラウト組成物
JP3022720B2 (ja) コンクリート表層の強化方法
KR100472955B1 (ko) 폴리머 콘크리트와 시멘트 콘크리트의 동시 타설에 의한부착방법
KR100300489B1 (ko) 폴리머 콘크리트를 이용한 유도블럭의 제조방법
RU174634U1 (ru) Плита изоляционная облицовочная
JP2001163988A (ja) プレ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2250136A (ja) 補強パネル
KR100373858B1 (ko) 폴리머 코팅층이 형성된 시멘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JP2007092437A (ja) ポリマーセメント硬化材の施工方法および施工構造
JP3841472B2 (ja) 多孔性無機質成形品
CN108164203A (zh) 一种混凝土再生硬化水泥砂浆及其制备方法
JPH11350617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複合パネルの大型化粧板間の目地構造
KR100325398B1 (ko) 폴리머 코팅층이 형성된 시멘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JP2004231488A (ja) セメントコンクリート硬化体
Nutt An evaluation of a polymer cement composite
KR20030045527A (ko) 폴리머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용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개질 폴리에스터 결합제 조성물
JP2524403B2 (ja) コンクリ―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754926B2 (ja) タイル先付け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製造方法
JPH04108651A (ja) 積層複合材とその製造法
JPH10193314A (ja) プラスチック板表面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成形体の製造方法
EP0327957A2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marble-like products with combined cross section of synthetic resin and cement or gypsum based layers
JPH01280505A (ja) 耐酸ヒューム管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