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194B1 - 자동차 시트용 쿠션프레임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용 쿠션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194B1
KR100315194B1 KR1019990056822A KR19990056822A KR100315194B1 KR 100315194 B1 KR100315194 B1 KR 100315194B1 KR 1019990056822 A KR1019990056822 A KR 1019990056822A KR 19990056822 A KR19990056822 A KR 19990056822A KR 100315194 B1 KR100315194 B1 KR 100315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late
housing
submarin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580A (ko
Inventor
김준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90056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5194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1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3Safety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용 쿠션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함체(10)의 상부가 개구되어 쿠션시트(30)의 하부가 수납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수납부(11)가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를 형성하는 함체(10)의 바닥판(12) 전면부와 후면부에 제1개구부(12a)와 제2개구부(12b)가 횡방향으로 관통되게 각기 형성되고, 상기 제2개구부(12b)와 제1개구부(12a)가 형성된 바닥판(12) 저면에는 힌지축(40)이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40)에는 선단부에 서브머린방지판(21)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가압판(22)이 형성된 연결부(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충돌사고시에만 서브머린형상에 의해 쿠션시트(30)에 착좌한 승원의 무릅등이 인스트루먼트판넬과 플로어판넬 사이에 끼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서브머린방지판(21)이 함체(10)의 수납부(11) 내부로 제1개구부를 통해 삽입됨으로서, 쿠션시트(30)에 착좌한 승원의 신체가 상기 서브머린방지판(21)에 의해 이물감을 느끼는 것이 방지되어, 착좌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용 쿠션프레임 {Cushion frame for automobile seats}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용 쿠션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충돌사고시에만 서브머린형상에 의해 쿠션시트에 착좌한 승원의 무릅등이 인스트루먼트판넬과 플로어판넬 사이에 끼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서브머린방지판이 작동되어 쿠션시트에 착좌한 승원의 착좌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자동차 시트용 쿠션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실 내부에는 쿠션프레임에 시트쿠션이 결합되고, 상기 시트쿠션의 상측 후부에는 등받이쿠션이 틸팅가능하게 결합된 시트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종래 자동차 시트용 쿠션프레임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함체(10')의 상부가 개구되어 쿠션시트(30')의 하부가 수납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수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1')를 형성하는 바닥판(12')의 전면부에는 서브머린방지브라켓(20')이 횡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자동차 시트용 쿠션프레임은, 바닥판(12') 전면부에 서브머린방지브라켓(20')이 횡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된 함체(10')의 수납부(11')에 쿠션시트(30')의 하부가 삽입되며 결합되는 관계로, 차량을 운행중 출돌사고가 발생하여 차실의 내부로 충격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쿠션시트(30')에 착좌하고 있는 승원의 무릅등이 계기판등이 설치된 인스트루먼트판넬의 저면과 차량의 저면을 형성하고 있는 플로어판넬과의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 시트용 쿠션프레임은 차량을 운행중 출돌사고가 발생하여 차실의 내부로 충격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쿠션시트에 착좌하고 있는 승원의 무릅등이 계기판등이 설치된 인스트루먼트판넬의 저면과 차량의 저면을 형성하고 있는 플로어판넬과의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서브머린방지브라켓이 수납부를 형성하는 함체의 바닥판 전면부에 횡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관계로, 상기 쿠션시트에 착좌한 승원의 허벅지등에 이물감을 주게되어 착좌감을 저감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돌사고시에만 서브머린형상에 의해 쿠션시트에 착좌한 승원의 무릅등이 인스트루먼트판넬과 플로어판넬 사이에 끼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서브머린방지판이 작동되도록 함으로서, 쿠션시트에 착좌한 승원의 착좌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자동차 시트용 쿠션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시트용 쿠션프레임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시트용 쿠션프레임에 쿠션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트용 쿠션프레임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트용 쿠션프레임에 쿠션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서브머린이 작동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가이드판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함체 11 : 수납부
12 : 바닥판 12a: 제1개구부
12b: 제2개구부 20 : 연결부
21 : 서브머린방지판 22 : 가압판
30 : 쿠션시트 40 : 힌지축
50 : 가이드판 60 : 스톱퍼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용 쿠션프레임은 함체의 상부가 개구되어 쿠션시트의 하부가 수납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수납부가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를 형성하는 함체의 바닥판 전면부와 후면부에 제1개구부와 제2개구부가 횡방향으로 관통되게 각기 형성되고, 상기 제2개구부와 제1개구부가 형성된 바닥판 저면에는 힌지축이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에는 선단부에 서브머린방지판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가압판이 형성된 연결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을 운행시 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차실에 탑승한 승원의 신체가 일측으로 쏠리는 것에 의해 가압판에 일정치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가압판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연결부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서브머린방지판이 제1개구부를 통해 함체의 수납부 내부로 삽입되면서 차실에 탑승한 승원의 무릅등이 인스트루먼트판넬과 플로어판넬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평상시에는 서브머린방지판이 함체의 바닥판 저면 하부에 위치됨으로서, 상기 서브머린방지판에 쿠션시트에 착좌한 승원의 신체가 접하지 않게 되어 착좌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용 쿠션프레임도 도 3과 도 4 및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함체(10)의 상부가 개구되어 쿠션시트(30)의 하부가 수납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수납부(11)가 형성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단 본 고안은 상기수납부(11)를 형성하는 함체(10)의 바닥판(12) 전면부와 후면부에 제1개구부(12a)와 제2개구부(12b)가 횡방향으로 관통되게 각기 형성되고, 상기 제2개구부(12b)와 제1개구부(12a)가 형성된 바닥판(12) 저면에는 힌지축(40)이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40)에는 선단부에 서브머린방지판(21)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가압판(22)이 형성된 연결부(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함체(10)의 바닥판(12)에 형성된 제1개구부(12a)의 하부에는 서브머린방지판(21)이 위치되고, 상기 바닥판(12)의 제2개구부(12b)에는 가압판(22)이 위치되도록 연결부(20)가 힌지축(40)에 결합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힌지축(40)에는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가압판(22)에 일정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상기 가압판(22)이 하부로 이동되어 연결부(20)의 선단부에 형성된 서브머린방지판(21)이 제1개구부(12a)를 통하여 함체(10)의 수납부(11)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스톱퍼(60)가 설치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제1개구부(12a)가 형성된 함체(10)의 바닥판(12) 저면에는 도 7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서브머린방지판(21)이 제1개구부(12a)로 정확히 안내되어 삽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개구부로 삽입된 서브머린방지판(21)이 제1개구부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판(50)을 설치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차량을 운행시 충돌사고가 발생하여, 차실에 탑승한 승원의 신체가 일측으로 쏠리는 것에 의해 가압판(22)에 일정치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가압판(22)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연결부(20)가 힌지축(40)를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서브머린방지판(21)이 제1개구부(12a)를 통해 함체(10)의 수납부(11)로 내부로 삽입되면서 차실에 탑승한 승원의 무릅등이 인스트루먼트판넬과 플로어판넬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평상시에는 서브머린방지판(21)이 함체(10)의 바닥판(12) 저면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서브머린방지판(21)에 쿠션시트(30)에 착좌한 승원의 신체가 접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충돌 사고시에만 서브머린형상에 의해 쿠션시트(30)에 착좌한 승원의 무릅등이 인스트루먼트판넬과 플로어판넬 사이에 끼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서브머린방지판(21)이 함체(10)의 수납부(11) 내부로 제1개구부를 통해 삽입됨으로서, 쿠션시트(30)에 착좌한 승원의 신체가 상기 서브머린방지판(21)에 의해 이물감을 느끼는 것이 방지되어, 착좌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납부를 형성하는 함체의 바닥판 전면부와 후면부에 제1개구부와 제2개구부가 횡방향으로 관통되게 각기 형성되고, 상기 제2개구부와 제1개구부가 형성된 바닥판 저면에는 힌지축이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에는 선단부에 서브머린방지판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가압판이 형성된 연결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충돌사고시에만 서브머린형상에 의해 쿠션시트에 착좌한 승원의 무릅등이 인스트루먼트판넬과 플로어판넬 사이에 끼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서브머린방지판이 함체의 수납부 내부로 제1개구부를 통해 삽입됨으로서, 쿠션시트에 착좌한 승원의 신체가 상기 서브머린방지판에 의해 이물감을 느끼는 것이 방지되어, 착좌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함체(10)의 상부가 개구되어 쿠션시트(30)의 하부가 수납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수납부(11)가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를 형성하는 함체(10)의 바닥판(12) 전면부와 후면부에 제1개구부(12a)와 제2개구부(12b)가 횡방향으로 관통되게 각기 형성되고, 상기 제2개구부(12b)와 제1개구부(12a)가 형성된 바닥판(12) 저면에는 힌지축(40)이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40)에는 선단부에 서브머린방지판(21)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가압판(22)이 형성된 연결부(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쿠션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체(10)의 바닥판(12)에 형성된 제1개구부(12a)의 하부에는 서브머린방지판(21)이 위치되고, 상기 바닥판(12)의 제2개구부(12b)에는 가압판(22)이 위치되도록 연결부(20)가 힌지축(40)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쿠션프레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40)에는 가압판(22)에 일정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상기 가압판(22)이 하부로 이동되어 연결부(20)의 선단부에 형성된 서브머린방지판(21)이 제1개구부(12a)를 통하여 함체(10)의 수납부(11)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스톱퍼(6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쿠션프레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12a)가 형성된 함체(10)의 바닥판(12) 저면에는 서브머린방지판(21)이 제1개구부(12a)로 정확히 안내되어 삽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개구부(12a)로 삽입된 서브머린방지판(21)이 제1개구부(12a)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판(5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쿠션프레임.
KR1019990056822A 1999-12-11 1999-12-11 자동차 시트용 쿠션프레임 KR100315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822A KR100315194B1 (ko) 1999-12-11 1999-12-11 자동차 시트용 쿠션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822A KR100315194B1 (ko) 1999-12-11 1999-12-11 자동차 시트용 쿠션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580A KR20010055580A (ko) 2001-07-04
KR100315194B1 true KR100315194B1 (ko) 2001-11-26

Family

ID=1962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822A KR100315194B1 (ko) 1999-12-11 1999-12-11 자동차 시트용 쿠션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51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9519B (zh) * 2020-04-13 2021-11-16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防下潜结构、座椅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580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8575B2 (ja) 車両用シート
JP3619855B2 (ja) 自動車のサブマリン防止用パネル構造
JP2008265464A (ja) 車両用ペダル構造
KR100315194B1 (ko) 자동차 시트용 쿠션프레임
US5758919A (en) Motor vehicle
JP4011223B2 (ja) 車両用シート
JPH04353037A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JP4050156B2 (ja) エアバッグ取付構造
KR100716516B1 (ko) 차량의 폴딩 시트쿠션용 세트브래킷장치
KR100267688B1 (ko)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 리프팅장치
KR100341904B1 (ko) 시트용 아암레스트
KR0130281Y1 (ko) 자동차의 시트구조
JPH10217856A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0461148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KR200144957Y1 (ko) 시트벨트 보조장치
KR100288297B1 (ko) 자동차 시트의 가이드 레일 록장치
KR0166546B1 (ko) 자동차의 후방시트에 설치된 동전박스
JP2001030817A (ja) 自動車用シート装置における隙間閉止構造
KR100288300B1 (ko) 자동차용 회전시트의 변형 방지구조
EP0043115A1 (en) Seat belt device for an automotive vehicle
KR19980029248A (ko) 차량용 아암레스트구조
KR20030083147A (ko)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벨트의 버클
KR19980062327A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수납구조
JPS5925710B2 (ja) キヤブオ−バ型自動車のエンジンサ−ビスカバ−取付構造
KR19980029463U (ko) 자동차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