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4322B1 - 유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광고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광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4322B1
KR100314322B1 KR1020007012818A KR20007012818A KR100314322B1 KR 100314322 B1 KR100314322 B1 KR 100314322B1 KR 1020007012818 A KR1020007012818 A KR 1020007012818A KR 20007012818 A KR20007012818 A KR 20007012818A KR 100314322 B1 KR100314322 B1 KR 100314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communication terminal
wired
wireless commun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3998A (ko
Inventor
박원섭
Original Assignee
박원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1973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75231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2080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0001530A/ko
Application filed by 박원섭 filed Critical 박원섭
Publication of KR20010073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3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872Non-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 H04M3/4878Advertisement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 단말기와 그것을 이용한 광고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의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통신 이용자의 음성을 처리하는 통화 처리부(10)와, 소정의 신호 및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신호 처리부(30)와,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송 모드 또는 메모리 모드로 전환되는 스위칭 회로(50)와, 상기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 내장되는 메모리에 소정의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 등이 미리 저장되는 메모리부(70)와, 스피커, 마이크로폰 및 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출력부(90)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처리부(10)는, 이용자의 음성을 통화 라인이나 통화 채널에서 처리하고, 상기 출력부(90)는, 상기 전송모드에서는 상기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가입자선 또는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소정의 신호 및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상기 정보신호 처리부(30)의 신호 라인이나 페이징 채널에서 처리하여 스피커나 표시장치를 통해 발신측으로의 호출음(발신음) 또는 착신측으로의 호출신호(벨소리)로서 재생하거나 표시하고, 상기 메모리 모드에서는 상기 메모리부(70)에 저장된 소정의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스피커나 표시장치를 통해 발신측으로의 호출음 또는 착신측으로의 호출신호로서 재생하거나 표시하므로, 통신 이용자에게 청각 및 시각적으로 광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광고방법{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dvertising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멀리 떨어진 상대방과의 정보교환 방식에는 음성 등과 같은 아날로그 정보를 교환하는 아날로그 통신과 문자나 숫자 등과 같은 디지털 정보를 교환하는 디지털 통신이 있다. 또, 통화는, 발신측 이용자가 유무선 통신 단말기상에서 전화번호를 다이얼 하여 호출음을 확인한 후, 착신측 이용자가 유무선 통신 단말기의 부저에서 울리는 벨소리(호출신호)를 확인하여 응답하는 것에 의해 통화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통화시 발신 및 착신이 가능한 유무선 유무선 통신 단말기와 교환기로 구성되고, 유무선 통신 단말기와 교환기는 가입자선에 의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교환기간은 중계회선에 의해 연결되는 통신 시스템이 필요하다.
한편, 각종 기술의 발달에 따라 통신 시스템도 비약적으로 발전되었다.
도 1에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냈다.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유무선 유무선 통신 단말기(A,B)는 가입자선 또는 무선 채널에 의해 교환기에 연결되어 발신 및 착신을 행하고, 교환기 또는 기지국간은 유선 또는 무선방식의 중계회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교환기는 발신 이용자 및 착신 이용자 상호간에 대한 통화로를 제공하는 통화로부와 통화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고, 제어부에는 각종 프로그램과, 발신 및 착신, 숫자 수신, 번호 번역, 통화중 및 절단을 처리하는 호 처리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다. 또, 교환기는 공통선 신호방식(No.7)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화중의 신호전송, 데이터의 고속 전송 및 이기종 유무선 통신 단말기간의 접속 등이 가능하다.
도 2에는 이러한 유무선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을 나타냈다.
유무선 통신 단말기는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이용자의 음성을 통화 라인에서 처리하는 통화처리부(1)와,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신호 라인에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3)와, 소정의 음악이나 멜로디 등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5)와, 상기 통화처리부(1)의 음성 및 상기 메모리부(5)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음악이나 멜로디 등을 출력하는 출력부(7)로 구성되어 있다.그리고,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가입자선 또는 무선 채널을 통해 착신측 유무선 통신 단말기로 신호가 입력되면, 이용자가 메모리부(5)에 미리 저장해 놓은 소정의 음악이나 멜로디 등이 출력부(7)를 통해서 출력되어 호출신호(벨소리)로서 재생된다.
도 3에는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망(Intelligent Network)을 개략적으로 나타냈다.
일반적인 지능망은, 도 1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에 대형 컴퓨터와 데이터 베이스를 설치한 것으로서, 음성 및 데이터 등의 정보를 교환, 전송하는 전달망과, 전달망 각 요소 사이의 제어신호를 공통선 신호방식(No.7)으로 전달하는 신호망과, 이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보유하면서 지능망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비스망으로 구성된다.
전달망은 호의 접속과 신호의 게이트웨이를 하는 서비스 교환기(SSP)와 단국(LE)으로 구성되고, 신호망은 공통선 신호방식(No.7)으로 서비스 신호를 중계하는 신호 중계 교환기(STP)로 구성되며, 서비스망은 각 서비스를 변경하고, 추가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서비스 제어시스템(SCP)으로 구성된다. 또, 서비스 제어시스템(SCP)는 서비스 데이터 관리시스템(SMS)과 X.25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신호 중계교환기(STP)는 신호 중계 관리시스템(SEAS)과 X.25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이 지능망(IN)에 의해, 착신과금 서비스(FP), 신용통화 서비스(CC), 개인번호 서비스(PN), 광역내부 통화장치 서비스(WAC), 가상사설망 서비스(VPN), 비상응답 서비스(ERS), 전화투표 서비스, 대중안내 서비스 및 공중회의 서비스 등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도 4에는 일반적으로 통화가 이루어지는 신호 흐름을 도식적으로 나타냈다.
현재, 통신 단말기에서는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의 교환기에서 착신측 유무선 통신 단말기로 신호를 전송하면, 착신측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멜로디를 호출신호(벨소리)로서 재생하는 방법 및 통신 단말기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통신 단말기는 내장된 메모리에 미리 소정의 음악이나 멜로디 등을 저장하여 호출신호로서 재생할 수 있지만,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착신측 유무선 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재생하거나 표시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광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선이나 무선통신망의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유무선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재생 및 표시하거나 또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 내장되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호출음 또는 호출신호로서 재생 및 표시하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광고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통신망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유무선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망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 의해 통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개략적인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가입자선이나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 또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호출음(발신음) 또는 호출신호(벨소리)로서 재생하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와 그것을 이용한 광고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가입자선이나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 또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표시장치를 통해 호출음(발신음) 또는 호출신호(벨소리)로서 문자나 화상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와 그것을 이용한 광고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가입자선이나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 또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스피커나 표시장치를 통해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재생 및 표시하여 광고하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와 그것을 이용한 광고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개략적인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의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통신 이용자의 음성을 처리하는 통화 처리부(10)와, 소정의 신호 및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신호 처리부(30)와,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송 모드 또는 메모리 모드로 전환되는 스위칭 회로(50)와, 상기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 내장되는 메모리에 소정의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 등이 미리 저장되는 메모리부(70)와, 스피커, 마이크로폰 및 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출력부(90)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처리부(10)는, 이용자의 음성을 통화 라인이나 통화 채널에서 처리하고, 상기 출력부(90)는, 상기 전송모드에서는 상기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가입자선 또는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소정의 신호 및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상기 정보신호 처리부(30)의 신호 라인이나 페이징 채널에서 처리하여 스피커나 표시장치를 통해 발신측으로의 호출음(발신음) 또는 착신측으로의 호출신호(벨소리)로서 재생하거나 표시하고, 상기 메모리 모드에서는 상기 메모리부(70)에 저장된 소정의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스피커나 표시장치를 통해 발신측으로의 호출음 또는 착신측으로의 호출신호로서 재생하거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90)는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소정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를 통해 문자 및 그래픽 등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장치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신호 처리부(30)는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가입자선 또는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소정의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신호 라인이나 페이징 채널을 통해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출력부(90)는 스피커를 통해 음성이나 음악 등을 재생하고, 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를 통해 문자 또는 그래픽과 같은 데이터를 표시하며, 이들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재생 및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정보신호 처리부(30)는,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가입자선 또는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 및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정한다.
그 결과, 신호나 정보가 입력되지 않았으면(NO), 통화처리부(10)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면서 다시 신호나 정보가 입력되었는가를 판정하고, 신호나 정보가 입력되었다면(YES), 스위칭 회로(50)가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송 모드와 메모리 모드중 어느 모드로 설정되었는가를 판정한다.
이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50)가 전송 모드로 설정되었다고 판정되면, 상기 정보신호 처리부(30)로 입력된 신호나 정보를 신호 라인이나 페이징 채널에서 처리, 예컨대 압축되어 전송된 신호나 정보를 해제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 후, 상기 출력부(90)로 출력하여 재생하거나 표시하고, 또 메모리 모드로 설정되었다고 판정되면, 상기 메모리부(7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상기 출력부(90)로 출력하여 재생하거나 표시한다.
이후, 상기 출력부(90)는 이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스위칭 회로(50)의 전송 모드 또는 메모리 모드에 따라 스피커 또는 표시장치를 통해 상기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재생하거나 표시한다.
그리고, 착신측 이용자가 통화를 위해 응답신호를 가입자선 또는 무선 채널을 통해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으로 전송하면, 상기 통화처리부(10)가 활성화 상태로 되어 음성 통화가 이루어진다. 또, 상기 정보신호 처리부(30)로는 문자나 숫자 및 화상 등의 데이터가 입력되어 상기 출력부(90)의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즉, 음성이나 데이터 통신이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행해진다.
(실시예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실시예 2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에 설치된 컴퓨터상에 발신측으로의 호출음(발신음) 또는 착신측으로의 호출신호(벨소리)로서,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스텝(100)과, 발신측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의 교환기로 다이얼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정하는 스텝(200)과, 상기 다이얼 신호에 따라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내의 통화인가 또는 타국 교환망내의 통화인가를 선택하는 스텝(300)과, 상기 컴퓨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상기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에서의 호출음 또는 호출신호로서 상기 발신측 또는 착신측 유무선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텝(400)과, 상기 발신측 또는 착신측 유무선 통신 단말기상의 스피커나 표시장치를 통해 호출음이나 호출신호로서 상기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재생하는 스텝(500)과, 상기 발신측 또는 착신측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의 교환기로 전송되는 응답신호에 따라 상기 스텝(500)을 반복적으로 실행하던가 또는 종료시키는 스텝(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에는 교환기와 컴퓨터 등이 포함되어 있고, 컴퓨터에는 각종 응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 베이스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과 타국 교환망은 공통선 신호방식(No.7)에 의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에 설치된 컴퓨터상에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호출신호로서 저장하고(스텝100), 스텝(200)으로 진행한다.
이어서, 스텝(200)에서는 발신측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의 교환기로 다이얼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정하여,「NO」로 판정되면 다시 스텝(200)을 다시 실행하고,「YES」로 판정되면 스텝(300)으로 진행한다.
다음에, 스텝(300)에서는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내의 통화인가 타국 교환망과의 통화인가를 판정하여,「NO」로 판정되면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과 타국 전화망을 공동선 신호방식(No.7)에 의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한 후, 스텝(400)으로 진행하고, 「YES」를 선택하면 스텝(400)으로 진행한다.
계속해서, 스텝(400)에서는 상기 컴퓨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상기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의 교환기에서 호출음이나 호출신호로서 발신측 또는 착신측 유무선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 후, 스텝(500)으로 진행한다.
이어서, 스텝(500)에서는 발신측 또는 착신측 유무선 통신 단말기의 신호 라인에서 소정의 처리를 행한 후 스피커나 표시장치를 통해 호출음이나 호출신호로서 상기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재생 및 표시한 후, 스텝(600)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600)에서는 착신측 유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의 교환기로 응답신호가 전송되었는가를 판정하여,「NO」로 판정되면 상기 스텝(500)을 다시 실행하고,「YES」로 판정되면 상기 스텝(500)의 실행을 중지하면서, 통화의 과금을 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가입자선 또는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 및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 또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신호 라인이나 페이징 채널에서 처리하여 출력부를 통해 재생 및 표시할 수 있으므로,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와 문자나 숫자 등의 정보를 통해 통신 이용자에게 청각 및 시각적으로 광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에 설치된 컴퓨터상에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호출음이나 호출신호로서 저장하고, 착신측 또는 착신측 유무선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신호 라인이나 페이징 채널을 통해 처리한 후, 발신측 또는 착신측 유무선 통신 단말기의 스피커 및 표시장치를 통해 재생 및 표시하므로, 유무선 통신 단말기의 발신 및 착신 이용자에게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등의 정보를 전달하여 광고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Claims (19)

  1. 소정의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통신 이용자의 음성을 처리하는 통화 처리부(10)와,
    소정의 신호 및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신호 처리부(30)와,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송 모드 또는 메모리 모드로 전환되는 스위칭 회로(50)와,
    상기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 내장되는 메모리에 소정의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 등이 미리 저장되는 메모리부(70)와,
    스피커, 마이크로폰 및 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출력부(90)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처리부(10)는, 이용자의 음성을 통화 라인이나 통화 채널에서 처리하고, 상기 출력부(90)는, 상기 전송모드에서는 상기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가입자선 또는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소정의 신호 및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상기 정보신호 처리부(30)의 신호 라인이나 페이징 채널에서 처리하여 스피커나 표시장치를 통해 발신측으로의 호출음(발신음) 또는 착신측으로의 호출신호(벨소리)로서 재생하거나 표시하고, 상기 메모리 모드에서는 상기 메모리부(70)에 저장된 소정의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스피커나 표시장치를 통해 발신측으로의 호출음 또는 착신측으로의 호출신호로서 재생하거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통신 단말기는, 화상 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에 설치된 컴퓨터상에 발신측으로의 호출음(발신음) 또는 착신측으로의 호출신호(벨소리)로서,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스텝(100)과,
    발신측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의 교환기로 다이얼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정하는 스텝(200)과,
    상기 다이얼 신호에 따라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내의 통화인가 또는 타국 교환망내의 통화인가를 선택하는 스텝(300)과,
    상기 컴퓨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상기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에서의 호출음 또는 호출신호로서 상기 발신측 또는 착신측 유무선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텝(400)과,
    상기 발신측 또는 착신측 유무선 통신 단말기상의 스피커나 표시장치를 통해 호출음이나 호출신호로서 상기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 등의 정보를 재생하는 스텝(500)과,
    상기 발신측 또는 착신측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자국 교환망 또는 기지국의 교환기로 전송되는 응답신호에 따라 상기 스텝(500)을 반복적으로 실행하던가 또는 종료시키는 스텝(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15. 삭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통신 단말기는 화상 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500)은, 발신측 또는 착신측 유무선 통신 단말기상의 스피커를 통해 호출음이나 호출신호로서, 상기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등의 정보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18. 제 14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500)은, 발신측 또는 착신측 유무선 통신 단말기상의 표시장치를 통해 상기 광고용 화상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19. 제 14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500)은, 발신측 또는 착신측 유무선 통신 단말기상의 스피커 또는 표시장치를 통해 호출음이나 호출신호로서, 상기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 또는 화상등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재생 및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KR1020007012818A 1999-05-31 2000-11-15 유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광고방법 KR100314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733A KR20000075231A (ko) 1999-05-31 1999-05-31 통신 단말기의 호출신호를 이용한 광고방법
KR1019990019733 1999-05-31
KR1019990020803A KR20010001530A (ko) 1999-06-05 1999-06-05 통신 단말기
KR1019990020803 1999-06-05
PCT/KR2000/000549 WO2000074253A1 (en) 1999-05-31 2000-05-29 Communication terminal and advertising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998A KR20010073998A (ko) 2001-08-04
KR100314322B1 true KR100314322B1 (ko) 2001-11-15

Family

ID=2663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818A KR100314322B1 (ko) 1999-05-31 2000-11-15 유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광고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188245A4 (ko)
JP (1) JP2003501861A (ko)
KR (1) KR100314322B1 (ko)
CN (1) CN100372240C (ko)
AU (1) AU766925B2 (ko)
BR (1) BR0011084A (ko)
CA (1) CA2376934A1 (ko)
WO (1) WO20000742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11747D0 (en) 2000-05-17 2000-07-05 Butterworth Martyn Improvements related to telecoms
KR100408127B1 (ko) * 2001-10-29 2003-12-01 황우원 광고 기능을 갖는 음성 기반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100637593B1 (ko) * 2004-02-09 2006-10-23 주식회사 이루온 멀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6067266A (ja) * 2004-08-27 2006-03-09 Sony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100837300B1 (ko) 2007-05-09 2008-06-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패킷 망 기반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7244A (ko) * 1996-12-14 1998-09-15 구자홍 디지탈 셀룰러 전화 시스템에서 광고 방송을 송출하고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0007A (en) * 1987-06-25 1989-07-18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Telephone toll service with advertising
US5739759A (en) * 1993-02-04 1998-04-14 Toshiba Corporation Melody paging apparatus
US5559868A (en) * 1993-08-30 1996-09-24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sending and receiving video images
ATE250308T1 (de) * 1996-07-29 2003-10-15 Yozmot 33 Ltd Verfahren und telefongerät zur identifizierung des anrufers
US5852775A (en) * 1996-09-12 1998-12-22 Earthweb, Inc. Cellular telephone advertising system
US5907604A (en) * 1997-03-25 1999-05-25 Sony Corporation Image icon associated with caller ID
KR100277159B1 (ko) * 1998-09-15 2001-01-15 서주철 전화기의다양한벨소리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7244A (ko) * 1996-12-14 1998-09-15 구자홍 디지탈 셀룰러 전화 시스템에서 광고 방송을 송출하고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01861A (ja) 2003-01-14
BR0011084A (pt) 2002-03-19
KR20010073998A (ko) 2001-08-04
CN100372240C (zh) 2008-02-27
WO2000074253A1 (en) 2000-12-07
AU766925B2 (en) 2003-10-23
EP1188245A4 (en) 2004-08-11
CA2376934A1 (en) 2000-12-07
EP1188245A1 (en) 2002-03-20
AU5110300A (en) 2000-12-18
CN1364344A (zh) 200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8789B1 (en) Method and system for call answering
JPH07303146A (ja) 発信者情報通知システム
JPH10210118A (ja) 通信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ボイスメッセージング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0314322B1 (ko) 유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광고방법
JPS58146170A (ja) デイジタル電話機の信号方式
JP3777579B2 (ja) ディジタルavシステム
EP1398943A1 (en)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0683169B1 (ko) 휴대폰 벨소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67707B1 (ko)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광고방법
JP2001127845A (ja) 電話機
JP2004056225A (ja) 音声メッセージ提供システム及び音声メッセージの提供方法
KR20000075231A (ko) 통신 단말기의 호출신호를 이용한 광고방법
KR20030025103A (ko) 휴대폰 전원 차단시 안내 메시지 등록 방법
KR20010001530A (ko) 통신 단말기
KR100606022B1 (ko) 사설교환기에서 착신호에 대하여 타 내선에서의 응답완료 톤 제공방법
JP3153194B2 (ja) 通信装置
JP2837629B2 (ja) 情報通知装置
JPS63260255A (ja) デイジタル電話機
JPH11187113A (ja) 音声蓄積装置、情報通信装置及び発信番号再生方法
JPS58146165A (ja) デイジタル電話機の呼出方式
JP2001285494A (ja) 携帯電話システム
KR20060054261A (ko) 휴대폰 벨소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9233196A (ja) 音声蓄積装置
KR19990012343A (ko) 비상연락망 기능을 갖는 전화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S62185443A (ja) デイジタル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311

Effective date: 200404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228

Effective date: 200404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331

Effective date: 20040430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40713

Effective date: 20050517

EXTG Ip right invalidated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602

Effective date: 2005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