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3874B1 -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 Google Patents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3874B1
KR100313874B1 KR1019980055747A KR19980055747A KR100313874B1 KR 100313874 B1 KR100313874 B1 KR 100313874B1 KR 1019980055747 A KR1019980055747 A KR 1019980055747A KR 19980055747 A KR19980055747 A KR 19980055747A KR 100313874 B1 KR100313874 B1 KR 100313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eeze roller
developing
developer
surface contac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0185A (ko
Inventor
신성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55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3874B1/ko
Priority to US09/441,067 priority patent/US6215973B1/en
Publication of KR20000040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8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1Removing excess liquid developer, e.g. by hea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를 개시한다. 개시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는 감광벨트의 정전잠상 영역에 현상을 기여한 후 회수되는 현상액을 포집하여 순환탱크로 배출하는 트레이 내에 마련되는 것으로 현상 모드 종료시 상기 감광벨트와 스퀴즈롤러 사이에 잔류하는 현상액을 제거하기 위한 현상액 제거수단을 구비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현상액 제거수단은, 상기 스퀴즈롤러의 축방향과 나란하게 마련되며, 상기 트레이의 길이방향 양측면부에 그 양단이 고정된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플레이트; 및 상기 스퀴즈롤러를 마주보는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부에 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스퀴즈롤러의 외주에 면접촉가능하도록 소정 반경의 면접촉부를 가진 면접촉 블레이드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인쇄기의 드립-라인 제거 모드시 스퀴즈롤러와 감광벨트의 사이에 잔류된 현상액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는 점에 그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본 발명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인쇄기의 드립-라인 제거 모드시 스퀴즈롤러와 감광벨트의 사이에 잔류된 현상액을 제거하기 위한 블레이드의 구조 및 형상이 개선된 습식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칼라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 등과 같은 습식 인쇄기는 소정의 색상을 가지는 고체상의 토너와 용매 역할을 하는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을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 영역에 부착하여 원하는 화상을 얻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인쇄기에는 감광매체의 정전잠상 영역에 현상액을 부착시켜, 그 정전잠상 영역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현상유니트가 마련된다.
도 1은 종래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에 있어서, 현상 모드시현상액 제거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현상유니트는 인쇄기 본체에 고정 설치되어 현상에 기여한 후의 현상액(D)을 최종적으로 회수하는 트레이(12)와, 복수의 롤러(11)들에 의해 지지되어 주행하는 감광벨트(10)에 대해 소정 현상갭(G)을 유지한 채로 대향되게 배치된 현상롤러(14)와, 상기 현상갭(G) 내에 토너와 캐리어를 포함하는 현상액(D)을 분사하는 매니폴더(14a)와, 현상롤러(14)에 분사된 현상액(D)을 회수하여 저장하는 현상조(13)와, 현상롤러(14)의 외주에 묻은 현상액을 제거하는 현상롤러 크리닝장치와, 현상 후, 감광벨트(10)에 잔류하는 현상액을 제거하기 위한 현상액 제거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현상롤러 크리닝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롤러(14)와 접촉 회전되며, 크리닝시 일부분이 현상액(D)에 잠기는 브러쉬롤러(18)와, 크리닝 후 브러쉬롤러(18)와 현상롤러(14) 사이에 잔류하다가 백플레이트(back plate)되어 현상롤러(14) 표면에 묻은 이물을 제거하는 블레이드(1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현상액 제거수단은 현상롤러(14)에 근접 설치되어 감광벨트(10)에 부착된 현상액을 압착하여 제거하는 스퀴즈롤러(15)와, 스퀴즈롤러(15)와 감광벨트(10)의 사이에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 노즐(16)과, 현상 모드 종료 후의 드립-라인 제거 모드시 스퀴즈롤러(15)의 표면에 접촉되어 현상액을 긁어내는 판재형의 스퀴지용 블레이드(17)를 구비한다.
상기 현상롤러(14)는 별도의 현상프레임(미도시)에 지지되어 소정의 승강수단에 의해 트레이(12) 내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매니폴더(14a)의 몸체는 현상롤러(14)에 지지되고, 현상조(13)는 현상롤러(14)에 의한 현상과정에서 현상롤러(14) 주위의 사용되고 남은 현상액을 수용하도록 매니폴더(14a)에 지지된다.
상기의 현상조(13) 내에는 현상롤러(14)의 일면에 접촉회전되는 브러쉬롤러(18)가 현상조(13)의 몸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14b)는 그 일단이 현상롤러(14)의 외주에 접촉되고, 타단은 매니폴더(14a)의 몸체에 조립되도록 설치된다.
도면의 참조부호 13a는 현상롤러(14)의 승강에 의해 현상조(13) 내의 현상액을 트레이(12) 내로 배출가능하게 개폐되는 패킹부재이며, 참조부호 12a는 상기 패킹부재(13a)를 개폐하기 위한 스토퍼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니트의 현상 모드시, 현상롤러(14)는 승강수단(미도시)에 의해 감광벨트(10)와의 현상갭(G)을 유지하도록 트레이(12) 내부에서 감광벨트(10) 하방으로 상승된다. 즉, 상기 현상롤러(14)가 이동됨에 따라, 현상조(13) 및 매니폴더(14a)도 함께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상승된 현상롤러(14)는 매니폴더(14a)를 통해 감광벨트(10)의 정전잠상 영역에 현상액(D)을 분사함으로써 상기 정전잠상 영역을 현상한다. 그리고, 상기 감광벨트(10)의 정전잠상 영역에 부착된 현상액은 상기 현상액 제거수단에 의해 제거된다. 즉, 상기 스퀴즈롤러(15)는 감광벨트(10)에 접촉되어 그 감광벨트(10)의 주행방향으로 피동 회전되면서, 상기 정전잠상 영역에 부착된 현상액을 압착하여 토너는 필름화하고 필름화된 토너 이외의 대부분의 캐리어를 제거시킨다. 이 때에, 상기 에어분사 노즐(16)은 스퀴즈롤러(15)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스퀴즈롤러(15)에 의해 짜여져 나온 캐리어를 하방으로 떨어뜨린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스퀴즈롤러(15)에 의해 짜여져 나온 액상의 캐리어가 그 스퀴즈롤러(15)와 감광벨트(10)의 접촉라인을 타고 바깥 쪽으로 흘러나오다가 상기 에어분사노즐(16)에서 분사된 에어에 부딪혀서 하방으로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의 스퀴지용 블레이드(17)는 스퀴즈롤러(15)의 외주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현상유니트에 있어서, 현상 모드 종료 후의 현상액 제거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현상 모드 종료 후에는 상기 현상롤러(14)가 트레이(12) 내부로 하강되고, 하강되면서 현상조(13)는 트레이(12)의 스토퍼(12b)에 걸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패킹부재(13a)가 개방되면서 현상조(13) 내의 현상액(D)은 트레이(12) 내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감광벨트(10)와 스퀴즈롤러(15) 사이에는 현상액이 계속 잔류하여 형성된 소위 드립-라인이 발생하게 된다. 이 드립-라인은, 현상 모드시에 스퀴즈롤러(15)와 감광벨트(10)가 밀착되는 부위에 현상액이 고임으로써 나타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감광벨트(10)와 스퀴즈롤러(15) 사이에 잔류하는 현상액을 제거하기 위해, 감광벨트(10)의 주행속도를 줄인 상태에서 감광벨트(10)를 압착하던 스퀴즈롤러(15)의 압착력을 약간 완화시킨 후, 스퀴즈롤러(15)를 감광벨트(10) 주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면 스퀴즈롤러(15)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잔류현상액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제거된 잔류현상액은 스퀴즈롤러(15)를 타고 흘러내리다가 블레이드(17)에 의해 긁혀 트레이(12) 내로 떨어지게 된다. 트레이(12) 내로 떨어진 현상액은 트레이(12)의 저면에서 포집되어 순환탱크(미도시)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현상유니트의 상기 현상액 제거수단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첫째, 블레이드의 선단과 스퀴즈롤러의 접촉점 사이에 현상액의 고임(holding volumn)이 없이 하방으로 떨어져 블레이드의 날 표면에 현상액이 고착되지 않아야 하고,
둘째, 스퀴즈롤러의 표면에 현상액이 잔류하지 않도록 완전히 제거되어야 하며,
셋째, 스퀴즈롤러의 회전구동에 의한 회전모멘트에 의해 블레이드가 뒤집히는 식입현상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즉, 스퀴즈롤러와의 마찰에 의해 블레이드가 변형되면서 블레이드의 선단부가 스퀴즈롤러의 표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들뜨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감광벨트와 스퀴즈롤러 사이에 잔류하는 현상액의 제거 효율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스퀴즈롤러의 외주에 부착된 현상액을 깨끗이 제거할 수 있는 블레이드의 구조 및 형상이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를 제공하는 점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에 있어서, 현상 모드시현상액 제거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현상유니트에 있어서, 현상 모드 종료시 현상액 제거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에 있어서, 현상 모드시의 현상액 제거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현상유니트에 있어서, 현상 모드 종료시 현상액 제거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그리고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0,100...감광벨트 11,110...롤러
12,120...트레이 13,130...현상조
14,140...현상롤러 15,150...스퀴즈롤러
16,160...에어분사노즐 14b,140b,17...블레이드
120a...패킹부재 120b...트레이 양측면부
120c...지지 돌기부 130a...스토퍼
170...현상액 제거수단 18,180...브러쉬롤러
171...플레이트 173...힌지점
175...면접촉 블레이드부재 175a...몸체부
175b...면접촉부 177...탄성스프링
179...캠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는, 감광벨트의 정전잠상 영역에 현상을 기여한 후 회수되는 현상액을 포집하여 순환탱크로 배출하는 트레이 내에 마련되는 것으로 현상 모드 종료시 상기 감광벨트와 스퀴즈롤러 사이에 잔류하는 현상액을 제거하기 위한 현상액 제거수단을 구비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현상액 제거수단은, 상기 스퀴즈롤러의 축방향과 나란하게 마련되며, 상기 트레이의 길이방향 양측면부에 그 양단이 고정된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플레이트; 및 상기 스퀴즈롤러를 마주보는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부에 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스퀴즈롤러의 외주에 면접촉가능하도록 소정 반경의 면접촉부를 가진 면접촉 블레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퀴즈롤러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면 양단하부에는 상기 트레이의 양측면부와 연결된 탄성스프링이 각각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부 양단하부에는 현상 모드시 상기 면접촉 블레이드부재를 상기 스퀴즈롤러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회동시키기 위한 캠부재가 각각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면접촉 블레이드부재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에스테렌, 우레탄, 바이톤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면접촉부의 반경은 상기 스퀴즈롤러의 반경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드립-라인 제거 모드시 스퀴즈롤러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면접촉된 블레이드를 구비함으로써, 블레이드와 스퀴즈롤러의 접촉점 사이에 현상액의 고임(holding volumn)을 억제하여 그 사이에서 현상액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스퀴즈롤러의 표면에 현상액이 잔류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크리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과, 스퀴즈롤러의 회전구동에 의한 회전모멘트에 의해 블레이드가 뒤집히는 식입현상 즉, 들뜸현상을 억제하여 현상액이 불충분하게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감광벨트와 스퀴즈롤러 사이에 잔류하는 현상액의 제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에 있어서, 현상 모드시의 현상액 제거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현상유니트에 있어서, 현상 모드 종료시 현상액 제거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는 그 기본적인 구성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와 구조적으로는 크게 다르지 않다. 즉, 감광벨트(100)와, 트레이(120)와, 현상롤러(140) 및 현상액 제거수단을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그러나, 인쇄기의 드립-라인 제거 모드시 스퀴즈롤러(150)의 외주에 접촉되어 스퀴즈롤러(150)의 외주를 따라 흘러 내리는 현상액을 긁어내기 위한 블레이드의 구조 및 형상이 개선된 현상액 제거수단(170)이 특징적으로 다르다.
상기 현상액 제거수단(170)은 트레이(120) 및 스퀴즈롤러(150)와, 트레이(120) 내에 구비된 플레이트(171)와, 상기 플레이트(171)에 지지된 면접촉 블레이드부재(175)를 구비한다.
상기 스퀴즈롤러(150)는 현상 모드시에는 감광벨트(100)의 주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피동회전하며, 현상 모드 종료 후의 드립-라인 제거 모드시에는 감광벨트(100)의 주행방향과 역방향으로 구동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120)는 현상에 기여한 후의 현상액(D)을 회수하여 미도시된 순환탱크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인쇄기 본체에 고정 배치된다.
상기 플레이트(171)는 상기 스퀴즈롤러(150) 회전축(도 5의 150b)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120)의 길이방향 양측면부(도 5의 120b)에 그 양단이 고정된 힌지축(17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면접촉 블레이드부재(175)는 상기 스퀴즈롤러(150)를 마주보는 상기 플레이트(171)의 일측면부(도 5의 171a)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스퀴즈롤러(150)의 외주에 대응하여 면접촉가능하도록 소정 반경의 면접촉부(175b)를 가진다. 여기서, 면접촉 블레이드부재(175)의 몸체부(175a)는 스퀴즈롤러(150)의 외주 쪽으로 라운딩된 라운딩부(도 5의 R)를 구비하며, 상기 라운딩부(R)의 선단에 상기 면접촉부(175b)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면접촉부(175b)는 그 단부가 스퀴즈롤러(150)의 외주에 접촉되도록 제1 및 제2접점(a)(b)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면접촉부(175b)의 반경(r2)은 상기 스퀴즈롤러(150)의 반경(r1)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면접촉 블레이드부재(175)의 재질은 에스테렌, 우레탄, 바이톤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의 것으로 구비된 것이다.
또한, 상기 스퀴즈롤러(150)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플레이트(171)의 일측면 즉, 스퀴즈롤러(150)를 마주보는 일측면부(도 5의 171a)의 양단하부에는 상기 트레이(120)의 양측면부(도 5의 120b)에 형성된 지지 돌기부(120c)와 연결되어 있는 탄성스프링(177) 예컨데, 인장스프링이 설치된다. 상기 탄성스프링(177)은 스퀴즈롤러(150)와 감광벨트(100)의 사이에 잔류하는 현상액을 제거하기 위해 즉, 드립-라인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면접촉 블레이드부재(175)가 스퀴즈롤러(150)의 외주에 가압되도록 하기 위한 탄성바이어스의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스프링(177)은 상기 플레이트(171)의 타측면에서 압축스프링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플레이트(171)의 일측면부(도 5의 171a) 양단하부에는 현상 모드시 상기 면접촉 블레이드부재(175)를 상기 스퀴즈롤러(150)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회동시키기 위한 캠부재(17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캠부재(179)는 그 몸체에 캠 돌기부(179a)가 구비되며, 구동모터(도 5의 179b)에 의해 구동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특징지우는 현상액 제거수단이 채용된 현상유니트의 현상 모드시 동작을 앞서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현상 모드시, 현상롤러(140)는 트레이(120) 내부에서 승강수단(미도시)에 의해 감광벨트(100) 하방의 현상갭(G)에 근접하도록 상승된다. 상기 현상롤러(140)가 현상갭(G)에 도달하게 되면, 매니폴더(140a)는 현상갭(G)으로 현상액(D)을 분사하여 감광벨트(100)의 정전잠상 영역에 현상액을 부착시킨다. 이 때에, 현상롤러(140)가 이동됨에 따라 상승된 현상조(130) 내의 브러쉬롤러(180)는 감광벨트(100)에 부착되고 현상롤러(140)의 외주에 잔류하는 현상액을 현상롤러(14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크리닝한다. 크리닝 후 브러쉬롤러(180)와 현상롤러(140) 사이에 잔류하다가 백플레이트(back plate)되어 현상롤러의(140) 표면에 묻은 현상액은 블레이드(140b)에 의해 긁혀 제거된다. 이렇게 제거된 현상액(D)은 현상조(130) 내에 회수되어 임시저장된다.
한편, 감광벨트(100)의 정전잠상 영역에 부착된 현상액은 감광벨트(100)의 주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퀴즈롤러(150)의 압착에 의해 짜내어져 토너는 필름화 되고, 필름화된 토너 이외의 대부분의 캐리어는 트레이(120) 내부로 떨어진다. 이 때에, 상기 스퀴즈롤러(150)에 의해 짜여져 나온 액상의 캐리어는 그 스퀴즈롤러(150)와 감광벨트(100)의 접촉라인을 타고 바깥 쪽으로 흘러나오다가 에어분사노즐(160)에서 분사된 에어에 부딪혀서 하방으로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부인 현상액 제거수단(170) 즉, 플레이트(171)에 지지된 면접촉 블레이드부재(175)는 캠부재(179)의 구동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71)의 양단하부가 가압됨으로써 탄성스프링(177)에 지지된 상태로 스퀴즈롤러(150)의 외주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캠부재(179)는 플레이트(171)를 힌지축(173)을 중심으로 감광벨트(100)의 주행방향 쪽으로 회동시켜 면접촉 블레이드부재(175)를 스퀴즈롤러(150)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이 때, 캠부재(179)는 도면과 같이 위치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캠 돌기부(179a)가 플레이트(171)의 양단하부를 가압하게 된다. 이렇게 면접촉 블레이드부재(175)를 스퀴즈롤러(150)와 이격시키는 이유는, 면접촉 블레이드부재(175)가 스퀴즈롤러(150)에 접촉되어 있을 경우 현상 모드시의 상기 스퀴즈롤러(150)는 감광벨트(100)의 주행에 대해 피동 회전하기 때문에, 면접촉 블레이드부재(175)의 가압에 의해 피동 회전되는 스퀴즈롤러(150)의 선속도가 감소하게 되어 이에 대응하는 감광벨트(100)의 화상이 뜯기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는 반대로, 본 발명을 특징지우는 현상액 제거수단(170)이 채용된 현상유니트의 현상 모드 종료 후의 동작을 앞서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상 모드 종료 후의, 상기 현상롤러(140)는 현상갭(G)을 유지한 상태의 감광벨트(100) 하방에서 트레이(120)의 저면 쪽으로 미도시된 승강수단에 의해 하강된다. 이 때에, 브러쉬롤러(180) 및 블레이드(140b)에 의해 크리닝 된 현상액(D)을 저장한 현상조(130)는 현상롤러(140)의 하강에 의해 트레이(120) 저면의 스토퍼(120a)에 걸리게 된다. 이후, 상기 스토퍼(120a)에 의해 패킹부재(130a)가 개방되고, 현상조(130) 내의 현상액(D)은 유출구를 통해 트레이(120) 저면으로 흘러 나온다. 상기 트레이(120)의 저면은 감광벨트(100)의 폭방향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현상액(D)은 그 경사의 최하단부로 몰리면서 포집되어 최종적으로 순환탱크(미도시) 내로 공급된다.
한편, 현상 모드 종료 후에는 상기 감광벨트(100)와 스퀴즈롤러(150) 사이의 접촉점(A)에 고인 현상액이 계속 잔류하여 형성된 소위 드립-라인이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스퀴즈롤러(150)에 의해 짜내진 현상액 중 일부가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고, 스퀴즈롤러(150)의 입측과 감광벨트(100) 사이의 접촉점(A)에 정체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드립-라인은 주기적으로 제거되어야만 선명한 화질의 이미지를 계속 현상할 수 있다.
이에, 우선, 상기 스퀴즈롤러(150)를 하강시켜서 그 압착력을 감소시킨다. 이는 스퀴즈롤러(15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전에, 감광벨트(100)와의 압착에 따른 회전부하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압착력이 감소된 후에는 스퀴즈롤러용 구동모터(미도시)를 가동하여, 스퀴즈롤러(150)를 소정 선속도로 역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을 특징지우는 현상액 제거수단(170) 즉, 플레이트(171)에 지지되어 설치된 면접촉 블레이드부재(175)는 캠부재(179)의 회전에 의해 스퀴즈롤러(150)의 외주에 접촉되는데, 현상 모드시의 캠부재(179)를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켜서 캠부재(179)의 캠 돌기부(179a)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래 상태로 원위치시킨다. 그러면, 상기 플레이트(171)는 탄성스프링(177)의 탄성바이어스에 의해 스퀴즈롤러(150)의 외주 쪽으로 회동된다. 이에, 플레이트(171)에 지지된 면접촉 블레이드부재(175) 또한 상기 탄성스프링(177)에 의해 스퀴즈롤러(150)의 외주에 접촉되도록 회동된다. 이로써 상기 면접촉부(175b)의 반경(r2)이 상기 스퀴즈롤러(150)의 반경(r1) 보다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면접촉부(175b)의 제1 및 제2접점(a)(b)은 스퀴즈롤러(150)의 외주에 밀착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스퀴즈롤러(150)의 외주와 면접촉부(175b) 사이의 공간(c)은 면접촉 블레이드부재(175)의 재질이 유연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스프링(177)의 탄성바이어스에 따른 가압에 의해 스퀴즈롤러(150)의 외주에 밀착되면서 없어지게 되고, 상기 면접촉부(175b)는 스퀴즈롤러(150)의 외주에 면접촉하게 된다.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은 스퀴즈롤러(150)의 역회전 구동으로 인해 스퀴즈롤러(150)의 입측에 정체되어 있던 현상액은 도면에 점선으로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스퀴즈롤러(150)의 외주를 따라 흘러 내린다. 그리고, 스퀴즈롤러(150)를 타고 흘러 내리는 현상액은 상기 면접촉 블레이드부재(175)에 의해 긁혀져 현상액이 상기와 같이 역회전하는 스퀴즈롤러(150)의 외주면을 타고 다시 넘어가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 때에, 면접촉 블레이드부재(175)의 몸체부(175a)가 면접촉부(175b) 쪽으로 라운딩되어 있기 때문에 제1접점(a)에서 긁혀진 현상액은 상기 몸체부(175a)의 라운딩부(R)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몸체부(175a)를 타고 하방으로 흘러 내린다. 상기와 같이, 면접촉부(175b)에 의해 긁혀진 현상액이 라운딩부(R)를 따라 하방으로 흘러내리게 함으로써, 종래와는 달리, 제1접점(a)의 선단과 스퀴즈롤러(150)의 접촉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현상액의 고임(holding volumn)을 억제하여 상기 접촉점에 고인 현상액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71)의 힌지축(173)이 스퀴즈롤러(150)의 중심축(도 5의 150a) 방향과 나란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면접촉부(175b)가 스퀴즈롤러(150)의 외주에 면접촉되어 밀착되기 때문에 스퀴즈롤러(150)의 회전구동에 의한 회전모멘트에 의해 면접촉 블레이드부재(175)가 뒤집히는 식입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스퀴즈롤러(150)와의 마찰에 의해 면접촉 블레이드부재(175)가 변형되면서 면접촉부(175b)의 선단부가 스퀴즈롤러(150)의 표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들뜨지 않게 된다.
한편, 면접촉 블레이드부재(175)에 의해 차단되어 하방으로 떨어지는 현상액은 트레이(120) 내에서 포집되어 순환탱크(미도시)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드립-라인 제거 모드시 면접촉 블레이드부재(175)의 면접촉부(175b)를 스퀴즈롤러(150)의 외주에 면접촉되도록 밀착시킴으로써, 스퀴즈롤러(150)와 감광벨트(100) 사이의 접촉점(A)에 정체되는 현상액을 깨끗이 제거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스퀴즈롤러(150)의 표면에 현상액이 잔류하지 않도록 완전히 제거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는 스퀴즈롤러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면접촉된 블레이드를 구비함으로써, 블레이드와 스퀴즈롤러의 접촉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현상액의 고임 즉, 홀딩 볼륨(holding volumn)을 억제하여 그 사이에서 현상액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점에 그 첫째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첫째 장점에 의해 스퀴즈롤러의 표면에 현상액이 잔류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크리닝 효율이 향상된 점에 그 둘째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스퀴즈롤러의 회전구동에 의한 회전모멘트에 의해 블레이드가 뒤집히는 식입현상 즉, 들뜸현상을 억제하여 현상액이 불충분하게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점에 그 셋째 장점이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감광벨트와 스퀴즈롤러 사이에 잔류하는 현상액의 제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5)

  1. 감광벨트의 정전잠상 영역에 현상을 기여한 후 회수되는 현상액을 포집하여 순환탱크로 배출하는 트레이 내에 마련되는 것으로 현상 모드 종료시 상기 감광벨트와 스퀴즈롤러 사이에 잔류하는 현상액을 제거하기 위한 현상액 제거수단을 구비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현상액 제거수단은,
    상기 스퀴즈롤러의 축방향과 나란하게 마련되며, 상기 트레이의 길이방향 양측면부에 그 양단이 고정된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플레이트; 및
    상기 스퀴즈롤러를 마주보는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부에 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스퀴즈롤러의 외주에 면접촉가능하도록 소정 반경의 면접촉부를 가진 면접촉 블레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즈롤러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면 양단하부에는 상기 트레이의 양측면부와 연결된 탄성스프링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부 양단하부에는 현상 모드시 상기 면접촉 블레이드부재를 상기 스퀴즈롤러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회동시키기 위한 캠부재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접촉 블레이드부재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에스테렌, 우레탄, 바이톤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접촉부의 반경은 상기 스퀴즈롤러의 반경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KR1019980055747A 1998-12-17 1998-12-17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KR100313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747A KR100313874B1 (ko) 1998-12-17 1998-12-17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US09/441,067 US6215973B1 (en) 1998-12-17 1999-11-16 Squeegee roller cleaning apparatus for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747A KR100313874B1 (ko) 1998-12-17 1998-12-17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185A KR20000040185A (ko) 2000-07-05
KR100313874B1 true KR100313874B1 (ko) 2002-04-17

Family

ID=19563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747A KR100313874B1 (ko) 1998-12-17 1998-12-17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215973B1 (ko)
KR (1) KR1003138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816B1 (ko) * 1999-12-08 2002-04-26 윤종용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기 모드 제어방법 및이를 위한 현상롤 구동장치
KR100433537B1 (ko) * 2002-02-06 2004-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
JP4120278B2 (ja) * 2002-06-04 2008-07-16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4559924B2 (ja) * 2005-06-30 2010-10-13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ユニット
JP4682846B2 (ja) * 2005-12-27 2011-05-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43694B2 (ja) * 2009-05-08 2011-12-21 株式会社ミヤコシ 湿式電子写真印刷機
CN106206092B (zh) * 2016-08-31 2018-12-04 仰伟锋 一种推块式隔离开关静触头清洗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3887A (ja) * 1989-06-30 1991-02-14 Ricoh Co Ltd 電子写真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H07301997A (ja) * 1994-05-09 1995-11-14 Ricoh Co Ltd 液体現像電子写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9684A (en) * 1998-02-17 2000-04-11 Nec Corporation Image forma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3887A (ja) * 1989-06-30 1991-02-14 Ricoh Co Ltd 電子写真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H07301997A (ja) * 1994-05-09 1995-11-14 Ricoh Co Ltd 液体現像電子写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185A (ko) 2000-07-05
US6215973B1 (en) 2001-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512840A (ja) 湿式電子写真画像形成システム用現像装置
JP4972935B2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KR100313874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JPH07334062A (ja) クリーナ用トナー汚染防止シール装置および方法
US6463254B1 (en) Toner cleaner system vibrator and method
JPH0131629B2 (ko)
KR100377876B1 (ko) 습식 화상 형성 장치 및 전자 사진 장치
EP0025678B1 (en) Cleaning device for a transferring system of a wet-type copying machine
KR100582997B1 (ko) 크리닝장치, 크리닝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0234282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JPH10111629A (ja) 画像形成装置
KR100453064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331311B1 (ko) 습식인쇄기용현상액제거장치
KR100297777B1 (ko) 습식 인쇄기용 스퀴지 롤러 크리닝장치
KR100343169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현상롤러크리닝장치
KR100561455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트레이의 잉크누설 방지시스템
KR20000038476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액 제거장치
JPH0950215A (ja) 像保持体からの像形成物質除去装置
US63210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squeegee rollers
KR10037019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KR100561456B1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크리닝방법
JPH04177384A (ja) 湿式画像形成装置
JPH08179632A (ja) 湿式画像形成装置
KR100359094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현상유니트
JP2023128314A (ja) ワイパ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