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2887B1 - 유동성 매체용 방출장치 - Google Patents

유동성 매체용 방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2887B1
KR100312887B1 KR1019970705482A KR19970705482A KR100312887B1 KR 100312887 B1 KR100312887 B1 KR 100312887B1 KR 1019970705482 A KR1019970705482 A KR 1019970705482A KR 19970705482 A KR19970705482 A KR 19970705482A KR 100312887 B1 KR100312887 B1 KR 100312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discharge device
pump cylinder
interfering
b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2087A (ko
Inventor
칼-하인쯔 푹스
스테판 리체
Original Assignee
슈쯔 한스-요세프ㅔ
잉크 에리히 파이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EP1995/000457 external-priority patent/WO1995027568A1/de
Application filed by 슈쯔 한스-요세프ㅔ, 잉크 에리히 파이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슈쯔 한스-요세프ㅔ
Publication of KR19980702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05B15/652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whereby the jet can be oriented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량된 양의 액체를 일회의 행정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장치, 예컨대 일행정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본 장치는 파단부위가 되는 머티리얼 브리지 (19) 에 의해 컨테이너 케이싱의 부분 (13) 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조작 슬리브 (17) 를 포함하는 시일을 갖는다. 이 조작 슬리브 (17) 에 충분한 힘을 가해 브리지를 끊으면, 조작 슬리브 (17) 안에 수용되고 액체 (29) 를 담고 있는 펌프 실린더 (27) 의 피스톤 (31) 에 바늘 (42) 이 관통하게 된다. 시일 브리지는 U형 고리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고리는 하우징의 외측 돌기부를 덮게 된다. 제 2 부분 행정을 위한 제 2 시일이 고리 모양으로 조작 슬리브 (17) 에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동성 매체용 방출장치{DISCHARGE APPARATUS FOR FLOWABLE MEDIA}
WO 91/13689 호에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 1, 12 및 14 항에 따른 부분 행정으로 조작되는 일회용 방출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위와 같은 방출장치는 본 출원인의 유럽특허 311 863 (=미국특허 4 964 069)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의 명세서에서 보면, 부분 행정에 따른 방출이 일어나기 전에 소정의 조작 압력이 사용자에 의해 가해져야 하며, 따라서 이 조작 압력을 극복한 뒤에 액체의 방출이 어떤 최소한의 힘과 속도로 일어나도록 상호 작용하는 펌프 실린더 및 스냅-락킹 (snap-locking) 수단으로 된 탄성 스탑 (stop) 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에 대한 보호를 하고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매체를 분무시킬 때 처음 발생된 압력은 분무 목적상 충분하며 펌프는 그의 최종 위치까지 움직여 완전한 행정을 수행하게 되고 또한 동시에 펌프 실린더를 형성하는 매체 용기내의 매체가 일회의 행정 또는 2회의 행정으로 모두 방출되게 된다. 이처럼 한 번 또는 두 번에 걸쳐 일정량식 매체를 방출하는 장치는 약제 투여에 유용한 것으로, 일정량 투여, 오염, 보존 또는 다른 요건 면에서 특히 중요하다.
본 출원인의 WO 92/00812 호에서도 일회 방출행정을 위한 매체용기를 사용하는데, 이 매체용기는 피스톤으로서의 역할도 동시에 하는 플러그로 시일링되며 조작 목적상 바늘이 상기 플러그를 관통하게 된다. 매체용기는 슬리브안에 수용되는데, 이 슬리브에는 외부 돌기부가 있으며 이 돌기부는 케이싱 기본 몸체의 내부에 있는 대응 돌기부와 스냅고정 (snap fastening) 식으로 상호작용하게 된다. 사용하고자 할 때는 먼저 비드가 그들의 결합면 상에서 미끄럼운동을 하기 전에 정지마찰력을 극복해야 하므로, 소정의 압력을 극복해야 한다.
본 발명은 매체 용기와 추력 피스톤을 수용하기 위한 기본 몸체를 갖는 유동성 매체용 방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스톤 펌프는 출발 위치와 펌프행정 종료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펌프 피스톤과, 매체 용기를 이룸과 동시에 상기 펌프 피스톤을 내장하는 펌프 실린더로 이루어져 배출채널을 통해 방출장치의 배출공으로 연결되는 펌프 챔버를 구비한다.
도 1∼5 는 본 발명의 몇몇 기본적인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종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 은 간섭 가능한 폐쇄체를 갖춘 방출장치의 종방향 단면도.
도 2 는 도 1 에서 화살표 Ⅱ 에서 본 도면.
도 3 은 도 2 의 부분 상세도.
도 4 는 도 2 에서 선 Ⅳ 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 는 간섭 가능한 폐쇄체 고리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종방향 부분 단면도.
도 6, 7 은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종방향 단면도.
도 7 은 도 12 의 실시예의 상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우연적인 이중 사용 또는 불완전한 조작을 방지할 수 있고 오염 및 일정량 방출에 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개선된 방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섭 가능한(tamper-evident) 폐쇄체는 펌프 실린더와 함께 움직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펌프부와 기본 몸체에 연결된 케이싱부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머티리얼 브리지(material bridge)로 이루어진다. 이 머티리얼 브리지는 상기 케이싱부 및 펌프부와 결합되어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방출장치의 상대운동이 가능한 부분 사이에 소정의 파단점이 생기게 되며, 이 파단점이 온전하다는 것은 매체용기가 개방되어 사용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이것을 육안으로 또는 조작부를 약간 돌려서 확인할 수 있다. 검사를 쉽게 하기 위해 창문 모양의 절개부를 마련할 수 있으며, 또는 펌프의 구성요소들을 투명재료로 만들 수도 있다. 그리고, 파단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 변색이 되는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가동부와 케이싱에 마크 (mark) 를 둘 수도 있다. 상기 머티리얼 브리지는, 매체용기로서 역할하는 펌프 실린더를 보유하면서 이를 선택적으로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조작 슬리브와 조작 어께부가 마련되어 있는 기본 케이싱부의 내측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 어께부는 두 개의 손가락을 위한 지지대로서 역할하며 엄지는 조작 슬리브를 누르게 된다. 적절한 힘이 가해지면 머티리얼 브리지가 절단될 수 있다. 동시에 가해진 힘의 결과로, 신뢰성 있는 펌프 작동을 위한 적절한 조작력이 생기게 된다.
상기 머티리얼 브리지는 예컨데 조작 슬리브의 외주면상이나 또는 이 조작 슬리브와 이를 감싸는 고리 사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고리는 스냅인 (snap- in) 작용으로 페이싱부, 즉 케이싱에 고정된다. 이렇게 해서, 조작 슬리브를 케이싱과는 별개로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머티리얼 브리지는 케이싱상에 만들 수 있으며 또한 원형의 고정요소는 결합 또는 다른 방법으로 가동 페이싱부, 펌프 실린더 또는 조작 슬리브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머티리얼 브리지에 의해 펌프부상에 형성되는 요소는 외측에서 하우징의 돌기부를 감싸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요소는 펌프부와 하우징 사이의 연결 틈새를 완전히 덮게되며 펌프부와 하우징 사이에 시각적, 기능적 병합을 제공함은 물론, 간섭 가능한 폐쇄체에 대해 있을 수 있는 모든 부정조작도 방지할 수 있다. 스냅-인 접속이 빠짐방지가 되어 있지만, 사용자가 펌프 실린더를 하우징 밖으로 빼낼 때는 상기 접속이 풀어지게 된다. 이 경우, 머티리얼 브리지와 간섭 가능한 폐쇄체는 파단되게 된다.
상기 요소는, 옆으로 향한 바닥링부와 이에 인접한 재킷으로 이루어지며 L형 단면을 갖는 고리 모양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킷의 내측면에는 스냅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스냅부는 고리형 돌기부에 있는 대응 스냅부와 스냅결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사항 및 다른 특징은 청구범위,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 부터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단일 또는 조합 형식의 각 특징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다른 분야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독립적인 보호대상이 되는 구성을 제시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본 방출장치 (11) 는 두 부분으로 된 기본 몸체 (12) 를 가지고 있다. 이 몸체는 베이스 케이싱부 (13) 를 포함하며, 견장 모양으로 된 이 케이싱부는 두 개의 조작 어께부 (14) 와 그에 연결된 재킷 (15) 를 갖추고 있다 이 베이스 케이싱부는 편평하거나 납작한 타원형이며 도면에서 최대로 신장되어 있고, 반면 이에 횡방향으로의 치수는 더 작게 되어 있다. 상기 재킷 (15) 은 도 1 의 우측 및 좌측에서는 길게 되어 있으며, 도면과 대략 평행한 그의 두 측부에서는 절개부 (cutout: 16) 를 가지고 있으며, 이 절개부는 바닥쪽으로 열려 있다.
상기 베이스 케이싱부 (13) 으로 부터 위로 나온 커넥터 (18) 의 내측에서 조작 슬리브 (17) 가 상기 케이싱부 (13) 에 일체로 사출성형된다. 베이스 케이싱부 (13) 와 조작 슬리브 (17) 간의 일체적인 연결은, 도 2 내지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머티리얼 브리지 (19) 로 이루어진다. 조작 슬리브 (17) 의 상부 플랜
지 (21) 의 외측 가장자리 및 상기 커넥터 (18) 의 내부에 있는 내측 플랜지 돌출부 (22) 사이의 틈새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세 개의 얇은 연결 웨브로 연결되어 있다. 이들 연결 웨브는 삼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의 선단은 내측 플랜지 돌출부 (22) 에 형성되어 있어, 소정의 파단점 (breaking point) 이 되게 된다. 제조상의 관점에서 볼 때, 노말 플래시 (normal flash) 의 크기를 초과하지 않는 작은 리세스 때문에 상기 연결 웨브들은 두 개의 플라스틱 사출성형 부품 사이의 분리면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사출성형 부품은 재킷 (15) 의 내부 공간 (23) 을 형성하며 또한 커넥터 (18) 의 내부 공간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 어께부 (14) 의 내측 바닥면과 플랜지 (21) 의 윗 가장자리로 이루어지는 면에서 상기 머티리얼 브리지 (19) 가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조작 슬리브 (17) 는 그의 바닥 (25) 에서 부터 형성된 내측 리브 (24) 를 가지고 있으며, 이 내측 리브의 길이는 상기 슬리브 길이의 대략 3/4 이다. 펌프 실린더 (27) 의 바닥 (26) 은 상기 내측 리브상에 지지된다. 유리로 만들어지는 상기 펌프 실린더는 밑이 폐쇄된 대략적인 실린더형 슬리브로 되어 있으며 상부 사이드 플랜지 (28) 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펌프 실린더는 배출될 매체 (29) 를 위한 용기를 이루게 된다. 이 펌프 실린더의 내측면은 피스톤 (31) 을 위한 피스톤 안내면 (30) 이 되며, 상기 피스톤은 고무등과 같은 탄성재의 피스톤 플러그로 만들어진다. 상기 피스톤은 길이방향 단면에서 보면 H 모양을 취하는 두꺼운 벽의 튜브 - 중앙에는 폐쇄 웨브 (32) 가 형성되어 이 튜브의 내부를 막고 있으며 튜브의 외측 재킷은 피스톤 안내면을 이루게 된다 - 로 되어 있어, 상기 피스톤의 위와 아래에는 상기 폐쇄 웨브 (32) 와 연결되는 원추형에 가까운 오목부 (33)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 플러그 (31) 는 시일링된 매체 (29) 위에 놓인다. 충전은 공기가 있는 상태나 또는 없는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 실린더는 약간의 압력으로 조작 슬리브의 상부에 삽입되고 그의 대부분의 길이에 걸쳐 조작 어께부 (14) 의 윗쪽에 있으며 커넥터 (18) 를 통과하여 커넥터부 (34) 내부에 있게 된다. 이 커넥터부는 또한 아답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부는 손가락 모양으로 되어 있는데, 실질적으로는 실린더형 또는 다소 원추형의 샤프트로 되어 있으며 윗부분은 펌프의 축선 (35) 방향으로 구형으로 라운딩되어 있다. 이렇게 라운딩되어 있는 부분의 중심에는 일반적인 분사노즐 형태의 배출공 (36) 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배출공은 예컨데 액체 또는 페이스트 매체를 일정량식 전달하는데 적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어, 어떠한 형태의 몸체 개구에 대해서도 양호한 매체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커넥터부 (34) 를 베이스 케이싱부와 별개로 만들고, 가시모양 두부를 가지고 있어 구멍들과 결합하게 되는 예컨데 세 개의 탭을 갖는 스냅 고정구 (snap fastening: 37) 를 사용하여 상기 베이스 케이싱부에 고정시키고 커넥터부를 커넥터 (18) 와 중심맞추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부 (34) 가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스냅 고정구는 셀프락킹 (self-locking)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보호 슬리브 (38) 는 커넥터부를 오염으로 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넥터부의 내부에는 피스톤 로드 (39) 가 있는데, 이 로드는 내부 배출채널 (40) 을 갖고 있으며 또한 커넥터부 (34) 의 상단부에서 안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 (41) 안에 삽입된다. 밑으로 경사지게 잘려나간 중공의 강재(steel) 바늘로 이루어진 램 (42) 은 대응 리테이닝 리브가 마련된 구멍 안으로 압입됨으로써 상기 피스톤 로드 (39) 에 삽입된다.
상기 강재 바늘 (42) 과 고무로 된 피스톤 플러그 (31) 및 유리 펌프 실린더/매체 용기 이외의 모든 펌프의 구성요소들은 플라스틱 사출성형품이다.
상기 베이스 케이싱부 (13) 와 조작 슬리브 (17) 주위의 구성요소를 조립할 때, 펌프 실린더 (27) 는 조작 슬리브 (17) 의 내부로 이루어진 리셉타클 (receptacle: 43) 안으로 위에서 부터 삽입된다. 상기 실린더 (27) 는 피스톤 플러그 (31) 로 확실하게 시일링되는 매체 (29) 를 저장한다.
다음에는, 피스톤 로드와 램 (42) 이 이미 결합되어 있는 커넥터부를 장착하고, 상기 스냅 고정구 (37) 를 이용하여 베이스 케이싱부에 결합 및 고정시킨다. 이렇게 해서 보호 슬리브 (38) 를 끼우면 방출장치의 조립이 끝나게 된다. 이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보호 슬리브 (38) 를 제거한 다음에 세 개의 손가락으로 방출장치는 들어 올리는데, 이때 두 개의 손가락은 어께부 (14) 상에 두고 엄지는 조작 슬리브 (17) 의 바닥 (25) 에 둔다. 엄지는 창문 모양의 절개부 (cutout: 16) 안에 있게 됨으로써 적절한 조작을 위한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배출공 (36) 을 대응 위치로 향하게 한 다음 조작 슬리브를 힘있게 누르면 조작압력이 발생되고, 머티리얼 브리지 (19) 의 파단점이 절단되어 조작 슬리브는 펌프 실린더와 함께 위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사전에 큰 압력 발생의 결과로 상기 조작 슬리브의 운동은 고속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방출행정이 빠르게 이루어지게 된다. 펌프 실린더는 상기 램 (42) 에 대해 위로 이동하며, 이 램은 피스톤 플러그의 중앙 웨브 (32) 와 결합하게 되는데, 하지만 피스톤 플러그 재료의 탄성 때문에 외측면에서 즉시 재시일링이 이루어진다. 중공의 바늘로서 구성된 램의 내부 채널을 통해서만 매체는 배출 채널 (40) 과 배출공 (36) 을 통해 위로 빠져나가며 거기서 스프레이 형태로 또는 일정량식 배출된다. 피스톤 로드 (39) 의 하부 끝면은 피스톤 플러그 (31) 의 윗면과 결합할 수 있어 이 피스톤 플러그와 직접적인 압력 연결이 이루어지며, 이 피스톤 플러그가 피스톤 안내면 (30) 을 따라 밑으로 내려감으로써 매체가 배출공에 전달된다. 상기 바늘의 길이는 이 바늘이 피스톤 플러그 (31) 의 하부 끝면을 초과하지 않도록 되어 있어, 어떤 상황에서도 매우 비싼 매체의 완전한 방출이 보장된다.
따라서, 본 방출장치로 민감하고 비싼 매체를 의도적이고 정확하게 일정량식 배출시킬 수 있다. 재료 파단과 협동하는 간섭 가능한 폐쇄체를 통해 언제든지 보존성 (intactness) 을 체크할 수 있으며 또한 적절한 조작압력으로 매체를 완전하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방출장치는 제조와 끼워맞춤이 간단하고, 다른 형태의 아답터를 써서 다른 상황에도 용이하게 적응할 수 있다. 조작이 이루어진 후 펌프 실린더 (27) 와 조작 슬리브로 이루어진 유닛(unit)은 느슨해지고 아랫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끄집어낼 수 있다. 펌프 실린더 (27) 를 피스톤 플러그 (31) 와 함께 분리할 수 있으며, 작은 바늘 이외의 나머지 구성요소는 플라스틱과 같이 한 종류의 재료로 만들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재활용이 가능하다.
도 5 는, 케이싱 (13) 과 커넥터부 (34) 가 일체로 되어 있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종방향 단면도이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번호가 부여되었고, 이들 구성요소 및 그의 작용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를 참고하면 된다.
컨테이너 (27) 가 안에 들어있는 조작 슬리브 (17) 의 외측에는 고정 요소 (60) 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 요소는 L형 단면을 갖는 고리 모양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 요소는 몇 개의 머티리얼 브리지 (19) 에 의해 조작 슬리브 (17) 에 연결되며, 상기 머티리얼 브리지는 조작 압력을 받으면 절단되어 상기 고리형 고정 요소를 조작 슬리브로 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정 요소 (60) 와 조작 슬리브 (17) 및 머티리얼 브리지 (19) 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으로 일체로 만들어진다.
상기 고정 요소 (60) 는 스냅 연결부 (61) 에 의해 케이싱 (13) 에 고정된다. 이 고정 요소는 그의 축선방향 다리로 커넥터부 (34) 의 내부와 중심이 맞춰지며, 외측으로 향한 고정 요소의 다리는 조작 어께부 (14) 와 커넥터부 (34) 사이에 있는 오목부와 결합한다.
조립시 조작 슬리브는 펌프 실린더를 형성하는 컨테이너 (27) 와 함께 도입된다. 조립 공구를 사용하여 도 5 에 도시된 고정 요소 (60) 의 하부 결합면 (63) 을 누르면, 머티리얼 브리지 (19) 로 이루어진 간섭 가능한 폐쇄체에 아무런 손상을 주지않고 랫칭 (latching) 연결부 (61) 와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조작 슬리브를 위로 움직이면, 머티리얼 브리지 (19) 가 절단되어 조작 슬리브는 펌프 실린더/컨테이너 (27) 와 함께 전술한 방식대로 펌프행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조작 슬리브 (17) 는 (잘려진 머티리얼 브리지 사이에서) 고리형 고정 요소 (60) 안에서 안내되고, 또한 커넥터부 (34) 의 내측 웨브 (62) 상에서도 안내된다. 컨테이너/펌프 실린더 (27) 의 외측 플랜지도 이러한 방식으로 안내되는데, 이렇게 해서 조작 슬리브의 기울어짐이 방지된다. 머티리얼 브리지 (19) 는 분할된 필름 또는 연속적인 필름 형태의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요소 (60) 는 랫칭 연결부 (61) 에서 다소의 축선방향 및 반경방향 여유 틈새를 갖는데, 이로써 간섭 가능한 폐쇄체를 손상시키지 않고 조작 슬리브 (17) 를 의도적으로 또는 비의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조작 슬리브 (17) 를 밑으로 끄집어 낼 때 상기 간섭 가능한 폐쇄체가 절단될 수 있도록, 상기 랫칭 연결부는 충분히 강해야 한다. 이렇게 해서 방출장치의 내용물이 원하지 않게 조작되는 일이 전혀 없게 된다.
이렇게 해서, 매체 용기 (27) 의 시일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바늘의 경우에서 보다도 더 강한 브리지 절단 조작력을 필요로 하는 간섭 가능한 폐쇄체 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것은 안내 플랜지 (47) 와 리테이닝 클립 (44) 들 사이의 마찰력의 도움을 받게 되며, 상기 클립은 정지 마찰력을 극복한 다음 미끄름 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조작과 다른 저항을 극복하기 위한 증대된 조작력의 대부분을 발생시키게 된다.
도 6, 7 은 도 5 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 특징을 갖는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번호가 부여되었고, 이들 구성요소 및 그의 작용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를 참고하면 된다.
머티리얼 브리지 (19) 로 조작 슬리브 (17) 에 연결되는 상기 요소 (60) 는 L형 단면을 갖는 고리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요소는 바닥 고리 (70) 를 갖게 되며, 이 바닥 고리의 내측에는 머티리얼 브리지 (19) 들이 배치되어 있어 상기 바닥 고리 (70) 를 조작 슬리브 (17) 에 일체로 결합시키게 된다. 재킷 (71) 은 조작 슬리브 (17) 와 평행하며 동심적이다. 재킷 (71) 의 내측면에는 예컨데 가시 모양의 고리형 돌기부로 되어 있는 스냅부 (72) 가 형성되어 있다 (일점쇄선의 원으로 확대되어 있는 도 7 을 참조).
상기 요소 (60) 는 하우징 돌기부 (61) 를 덮게 되며, 이 돌기부는 고리 모양으로 되어 있고 중간 하우징 구멍 (74) 을 둘러싼다. 이 하우징 구멍안에는 펌프 실린더 (27) 와 그의 조작 슬리브 (17) 가 있다. 상기 돌기부 (61) 는 하우징 (13) 으로 부터 밑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돌기부 (61) 는 고리 또는 튜브형으로 될 수 있으며 또는 몇 개의 단편들이 고리 모양으로 배열된 것일 수도 있다. 돌기부는 그의 외측에서 재킷의 스냅부 (72) 와 결합하는 대응부 (73) 를 갖는다.
조작 슬리브 (17) 와 펌프 실린더 (27) 를 하우징 구멍 (74) 에 장착할 때 상기 요소 (60) 는 하우징 돌기부 (61) 와 스냅결합을 하여 이 돌기부를 덮개된다. 스냅핑-온 (snaping-on) 이 이루어질 때 머티리얼 브리지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발생하지 않도록, 스냅핑-온시 알맞은 힘이 가해져야 한다. 그러나, 조작 슬리브 (17) 를 밑으로 빠지게 할 수도 있는 역방향 힘이 가해지면, 스냅 수단 (72, 73)이 가시 모양으로 되어 있으므로 머티리얼 브리지 (19) 는 절단되며, 이로써 간섭이 명백히 이루어지게 된다.
도 5 에서의 하우징은 밑으로 돌출하는 하우징 재킷 (15) 을 갖고 있는데 반해, 도 6, 7 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의 주요부 (34) 로 부터 양 방향으로 옆으로 뻗는 납작한 하우징 돌출부 (도 7) 형태의 조작 어께부 (14) 가 제공된다. 이 조작 어께부는 일반적으로 타원형이다. 조작 슬리브의 하부 바닥 (25) 을 엄지로 누를 때, 상기 조작 어께부는 방출장치를 두 손가락으로 안전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해준다. 도 7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브 (75) 와 특히 위로 돌출한 가장자리 리브 (77) 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잡기가 더욱 용이하고 안전하며 강성 (stiffening) 도 향상된다.
이렇게 해서, 일회용 제품에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안정성을 해치지 않고 머티리얼 브리지를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어께부 (14) 의 아랫 면은 예컨데 뱃치 번호 등과 같은 표시를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 슬리브 (17) 는 라벨이나 다른 표시 마크를 붙일 때 사용할 수 있다.
조작 슬리브 (17) 의 외주에는, 요소 (70) 의 아랫 면 (63) 으로 부터 거리a만큼 떨어져 위치하는 제 2 고리형 요소 (76) 가 있다. 요소 (70) 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요소 (76) 도 도 2 ∼ 4 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류일 수도 있는 머티리얼 브리지 (19b) 에 의해 조작 슬리브와 일체로 만들어진다. 하지만, 이 브리지는 요소 (60) 의 브리지 보다 다소 강하게 만들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방출장치는 이중 행정을 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두 번의각 시기 마다 정확하게 일정한 양만큼 매체를 방출할 수 있는 방출 또는 스프레이 장치인 것이다. 거리a에 해당하는 제 1 부분 행정이 이루어지면 상기 고리형 요소 (76) 에 의해 조작이 중지된다. 이 제 1 부분 행정 끝에서는 작용력 (예컨데 액체의 역압력) 과 머티리얼 브리지 (19) 의 절단에 필요한 힘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우연히라도 제 2 고리형 요소를 초과 이동시킬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보통 전체 행정의 중간이 되는 위와 같은 멈춤 후에 사용자는 펌프에 압력을 증가시켜 머티리얼 브리지 (19b) 를 끊을 수 있다. 이 머티리얼 브리지 (19b) 가 끊어질 때 고리형 요소 (76) 는 요소 (60) 의 접촉면 (63) 을 밀게 된다.
상기 이중행정 방출장치의 행정중 제 1 부분 행정이 이루어진 후 용기 또는 펌프 실린더 (27) 는 중공의 바늘 (36) 에 의해 열리게 된다. 비용 스프레이 (nasal spray) 를 사용할 때 이 실시예에는 약물을 콧구멍 안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일정량식 주입하는데 적합하다. 이렇게 해서 제 2 부분 행정도 부정조작 방지가 가능하다.
도 6 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과 포장이 용이하며 구조가 복잡하지 않는 밀폐형 방출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4)

  1. 펌프 유닛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기본 몸체 (12) 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 유닛은 배출 채널 (40) 을 통해 배출공 (36) 에 연결될 수 있는 펌프 챔버를 가지며, 이 펌프 챔버는 펌프 실린더 (27) 와 펌프 피스톤 (31) 으로 한정되고, 상기 펌프 실린더 (27) 는 매체 용기를 이루게 되며 펌프 피스톤 (31) 은 펌프 실린더 (27) 안에서 변위가능하게 안내되고, 이 펌프 실린더 (27) 는 조작 슬리브 (17) 안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유동성 매체용 방출장치에 있어서,
    조작력을 받으면 파단될 수 있는 간섭 가능한 폐쇄체와,
    돌기부 (61) 의 외측면과 고리형 고정 요소 (60) 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상호 작용하는 스냅 수단 (72, 73) 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간섭가능한 폐쇄체는 상기 고정 요소 (60) 와 펌프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절단가능한 머티리얼 브리지 (19) 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고정 요소 (60) 는 하나 이상의 머티리얼 브리지 (19) 에 의해 상기 펌프 유닛에 결합되며, 또한 이 고정요소는 상기 기본 몸체 (12) 의 외측 돌기부 (61) 를 둘러싸면서 이 기본 몸체 (12) 에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매체용 방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 (60) 는 L 형 단면을 갖는 고리로서, 바닥 고리부 (70) 와 실질적으로 실린더형인 재킷부 (71)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61) 의 외측면에 마련된 대응 스냅부 (73) 와 상호작용하는 스냅부 (72) 를 상기 재킷부 (71) 의 내측면에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스냅핑-인(snaping-in) 방향의 반대방향, 즉 홀딩력이 상기 하나 이상의 머티리얼 브리지 (19) 를 끊을 때 필요한 힘보다 더 크게 되는 방향 보다 상기 스냅핑-인 방향으로 더 작은 홀딩력을 작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냅 수단 (72, 73) 이 가시 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장치.
  5. 제 1 항 내지 4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를 위한 안내가 기본 몸체 (12) 의 내측 웨브 (62)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장치.
  6. 제 1 항 내지 4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요소 (60) 는 상기 스냅 수단 (72, 73) 을 결합시키기 위해 힘을 가하는 조립 공구를 위한 결합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장치.
  7. 제 1 항 내지 4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머티리얼 브리지 (19) 는 조작 슬리브 (17) 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장치.
  8. 제 1 항 내지 4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한 평면상에 배치되는 여러 개의 머티리얼 브리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장치.
  9. 제 1 항 내지 4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머티리얼 브리지 (19) 는 벽에 연결되는 팁 (tip)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장치.
  10. 제 1 항 내지 4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몸체 (12) 에 있는 마킹(marking)과 상호작용하는 마킹이 상기 펌프 유닛에 제공되며, 이들 마킹은 펌프 작동시 서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장치.
  11. 제 1 항 내지 4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을 위해 상대운동을 할 수 있는 부품들이 간섭 가능한 폐쇄체에 의해 고정되는 간섭 가능한 폐쇄체 위치 및 매체의 방출개시로 결정되는 방출개시 위치 사이에 아이들(idle) 경로를 한정하는 공간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장치.
  12. 펌프 유닛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기본 몸체 (12) 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 유닛은 배출 채널 (40) 을 통해 배출공 (36) 에 연결될 수 있는 펌프 챔버를 가지며, 이 펌프 챔버는 펌프 실린더 (27) 와 펌프 피스톤 (31) 으로 한정되고, 상기 펌프 실린더 (27) 는 매체 용기를 이루게 되며 펌프 피스톤 (31) 은 펌프 실린더 (27) 안에서 변위가능하게 안내되는 유동성 매체용 방출장치에 있어서,
    제 1, 2 요소 (60, 76) 를 포함하며 조작력을 받으면 파단될 수 있는 제 1, 2 간섭 가능한 폐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 요소는 하나 이상의 절단가능한 머티리얼 브리지 (19, 19b) 를 가지며, 상기 제 1 요소 (60) 의 머티리얼 브리지 (19) 가 절단된 후에 이 요소가 펌프 피스톤 (31) 의 제 1 부분 행정을 허용케하도록 제 1, 2 요소가 서로 떨어져 위치하며, 상기 제 1 부분 행정은 제 2 요소 (76) 에 의해 제한되고, 조작력이 증대되어 제 2 요소 (76) 의 머티리얼 브리지 (19b) 가 절단된 후에는 펌프 피스톤 (31) 이 자유롭게 제 2 부분 행정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소 (60) 는, 제 2 요소 (76) 가 제 1 부분 행정의 끝에서 부딪히게 되는 접촉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장치.
  14. 펌프 유닛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기본 몸체 (12) 와,
    상기 펌프 유닛은 배출 채널 (40) 을 통해 배출공 (36) 에 연결될 수 있는 펌프 챔버를 가지며, 이 펌프 챔버는 펌프 실린더 (27) 와 펌프 피스톤 (31) 으로 한정되고, 매체 용기를 이루게 되는 상기 펌프 실린더 (27) 는 플라스틱 조작 슬리브 (17) 안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며, 펌프 피스톤 (31) 은 펌프 실린더 (27) 안에서변위가능하게 안내되고,
    상기 기본 몸체 (12) 는 중앙에서 실질적인 실린더형부 (34) 를 구비하며, 이 실린더형부의 상단부에는 스프레이 노즐 (36) 이 있고 하단부에는 조작과 파지를 위한 어께부 (14) 가 있으며, 이 어께부는 양 옆방향으로 납작하게 돌출해 있고 양 옆방향으로의 길이가 이에 수직인 방향보다 크게 되어 있는 유동성 매체용 방출장치에 있어서,
    조작력을 받으면 파단될 수 있는 간섭 가능한 폐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간섭 가능한 폐쇄체는 고정요소 (60) 및 조작 슬리브 (17) 와 결합되어 있는 파단가능한 머티리얼 브리지 (19) 를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고정요소 (60) 는, 상기 파지용 어께부 (14) 의 저면으로 부터 밑으로 돌출한 외측 하우징 돌기부 (61) 및 중심축선을 따라 상기 고정요소 (60) 를 통과하여 뻗은 상기 조작 슬리브 (17) 를 감싸게 되는 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장치.
KR1019970705482A 1995-02-09 1996-02-03 유동성 매체용 방출장치 KR100312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1995/000457 WO1995027568A1 (de) 1994-04-08 1995-02-09 Austragvorrichtung für fliessfähige medien, insbesondere für den austrag in nur einem hub
EP9500457 1995-02-09
DE29601047.2 1996-01-23
DE29601047U DE29601047U1 (de) 1995-02-09 1996-01-23 Austragvorrichtung für fließfähige Medien, insbesondere für den Austrag in nur einem Hu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087A KR19980702087A (ko) 1998-07-15
KR100312887B1 true KR100312887B1 (ko) 2002-02-19

Family

ID=8018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482A KR100312887B1 (ko) 1995-02-09 1996-02-03 유동성 매체용 방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312887B1 (ko)
CN (1) CN1065454C (ko)
AT (1) ATE183412T1 (ko)
DE (3) DE29601047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01047U1 (de) * 1995-02-09 1996-06-13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ür fließfähige Medien, insbesondere für den Austrag in nur einem Hub
DE19723133A1 (de) 1997-06-03 1998-12-10 Caideil M P Teoranta Tourmakea Austragvorrichtung für Medien
DE19749514A1 (de) 1997-11-08 1999-05-12 Pfeiffer Erich Gmbh & Co Kg Verfahren zum Ausbringen von wenigstens zwei verschiedenen Medien und Spender dafür
DE19813078A1 (de) * 1998-03-25 1999-09-30 Pfeiffer Erich Gmbh & Co Kg Spender für Medi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penders
DE19819748A1 (de) * 1998-05-02 1999-11-04 Pfeiffer Erich Gmbh & Co Kg Spender für Medien
DE19831526A1 (de) * 1998-07-14 2000-01-20 Pfeiffer Erich Gmbh & Co Kg Spender für Medi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penders
EP1071517B1 (de) * 1999-02-14 2008-04-02 Ing. Erich Pfeiffer GmbH Spender für fliessfähige medien
US6732955B1 (en) 1999-07-08 2004-05-11 Ing. Erich Pfeiffer Gmbh Dispenser for media and method for producing a dispenser
DE19942791A1 (de) * 1999-09-08 2001-03-15 Pfeiffer Erich Gmbh & Co Kg Spender für Medien
DE19944209A1 (de) 1999-09-15 2001-03-22 Pfeiffer Erich Gmbh & Co Kg Spender zum ggf. zerstäubten Ausbringen eines insbesondere flüssigen Mediums aus einem Behältnis
TW483767B (en) * 2000-11-08 2002-04-21 Bi-Jang Luo Safe injector with needle seat of easy fastening
DE10110742A1 (de) * 2001-02-28 2002-09-05 Pfeiffer Erich Gmbh & Co Kg Spender für Medien
DE102009037164B3 (de) * 2009-08-03 2010-12-09 Ing. Erich Pfeiffer Gmbh Austragvorrichtung für flüssige Medien
CN103800973A (zh) * 2012-11-09 2014-05-21 段七梅 边置式喷嘴喷鼻器
DE102013202933B3 (de) * 2013-02-22 2013-11-14 Aptar Radolfzell Gmbh Kindergesicherte Austragvorrichtung
FR3050984B1 (fr) * 2016-05-04 2020-05-15 Aptar France Sas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CN110406810A (zh) * 2019-08-27 2019-11-05 赵文军 储物组件及气雾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3823A (en) * 1966-10-03 1968-10-01 Valve Corp Of America Tamper-proof actuator cap
US3845763A (en) * 1973-02-28 1974-11-05 Nasco Plastics Inc Syringe with puncturable stem
US4162746A (en) * 1977-06-22 1979-07-31 Diamond International Corporation Liquid dispenser locking means
US4234127A (en) * 1978-02-01 1980-11-18 Canyon Corporation Manually operated sprayer
DE3734306A1 (de) * 1987-10-10 1989-04-27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uer fliessfaehige medien
DE4008068A1 (de) * 1990-03-14 1991-09-19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uer medien
DE4021263C2 (de) * 1990-07-04 1996-04-11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ür Medien
US5158211A (en) * 1990-08-30 1992-10-27 Philip Meshberg Fluid dispensing unit retainer
DE4027672A1 (de) * 1990-08-31 1992-03-05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uer medien
GB9125699D0 (en) * 1991-12-03 1992-01-29 Glaxo Group Ltd Device
DE29601047U1 (de) * 1995-02-09 1996-06-13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ür fließfähige Medien, insbesondere für den Austrag in nur einem Hub
DE4412041A1 (de) * 1994-04-08 1995-10-12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ür fließfähige Medien, insbesondere für den Austrag in nur einem Hub
GB9408276D0 (en) * 1994-04-26 1994-06-15 Bespak Plc Dispensing pump
DE19509247C2 (de) * 1994-06-07 2001-05-17 Manfred E Wenner Geber zur kontinuierlichen, dosierten Abgabe einer Flüssigk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83412T1 (de) 1999-09-15
DE69603835D1 (de) 1999-09-23
KR19980702087A (ko) 1998-07-15
DE29601047U1 (de) 1996-06-13
CN1173834A (zh) 1998-02-18
CN1065454C (zh) 2001-05-09
DE69603835T2 (de) 1999-12-09
DE19700437A1 (de) 1997-07-24
DE19700437B4 (de) 200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2887B1 (ko) 유동성 매체용 방출장치
US5813570A (en) Apparatus for controllably discharging flowable media
US5944222A (en) Tamper evident discharge apparatus for flowable media
US8056762B2 (en) Dispenser
EP0636421B1 (en) Delivery system for measured quantities of liquids especially medications
EP2540276B1 (en) Method of assembling a reconstitution device
CA2161836C (en) Syringe tip cap
US5024355A (en) Device for dispensing a liquid or a cream in small-volume drops, and an associated dispensing assembly
KR100313322B1 (ko) 밀폐부와주사기조합
KR100492350B1 (ko) 추력 피스톤 펌프를 사용하는 유동성 매체 방출장치
US4045525A (en) Gas humidification apparatus
WO1995001285A1 (en) Multi-pharmaceutical storage, mixing and dispensing vial
KR20050044702A (ko) 약제 카트리지
US3367540A (en) Dispenser with one-piece tamperproof actuator
JPH10501784A (ja) 膜貫通キャップを備える膜密封管
JP3776125B2 (ja) 流動性媒体の吐出装置
MXPA04005274A (es) Mejoras en y relacionadas con un cartucho de medicamento.
EP3381492B1 (en) Syringe tip cap assembly, syringe comprising such a syringe tip cap and method of sealing a syringe barrel
EP0723921A2 (en) Bottle packaging for liquids to be drawn off in doses
AU6285496A (en) Container-closure assembly
GB1558546A (en) Dispensing cap for an aerosol bottle
JPH06134357A (ja) 噴霧装置
GB2426460A (en) Piercing tip for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