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2533B1 -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프린터 스풀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프린터 스풀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2533B1
KR100312533B1 KR1019990036443A KR19990036443A KR100312533B1 KR 100312533 B1 KR100312533 B1 KR 100312533B1 KR 1019990036443 A KR1019990036443 A KR 1019990036443A KR 19990036443 A KR19990036443 A KR 19990036443A KR 100312533 B1 KR100312533 B1 KR 100312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queue
disk
printer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9816A (ko
Inventor
김재관
Original Assignee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filed Critical 김진찬
Priority to KR1019990036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533B1/ko
Publication of KR20010019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5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4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프린터 스풀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디스크 파일, 디스크 큐, 메모리 큐를 구비하는 전송회로 및 메모리 버퍼를 이용하여 전전자 교환기의 데이터를 프린터로 제공하는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프린터 스풀링 방법으로서, 디스크 큐의 메시지 저장 상태를 확인하여, 디스크 큐가 풀 상태이면 해당 디스크 파일 및 디스크 큐를 클리어하여 초기 상태로 만들며, 디스크 큐가 풀 상태가 아니면 디스크 파일에 메시지를 저장하고 디스크 큐에 메시지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단계와; 디스크 큐의 메시지 저장 상태를 확인하여, 디스크 큐가 비어있지 않고 교환기 시스템에서 발생한 메시지가 존재하면, 메모리 버퍼 또는 메모리 큐가 풀 상태인지를 체크하는 제 2 단계와; 메모리 버퍼 또는 메모리 큐가 풀 상태가 아니면, 메모리 버퍼에 메시지를 저장하고 메모리 큐에 메시지 관리 정보를 저장하며, 메모리 버퍼로 전송된 메시지를 디스크 파일 및 디스크 큐에서 클리어하는 제 3 단계와; 메모리 큐의 메시지 저장 상태를 확인하여, 메모리 큐내 관리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 정보를 독출하여 프린터로 송출하며, 프린터로 전송된 메시지를 메모리 버퍼 및 메모리 큐에서 클리어하는 제 4 단계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량면에서 거의 제약을 받지 않고 버퍼를 운용할 수 있으므로 메시지의 유실이 없이 프린터를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프린터 스풀링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MESSAGE IN A PRINTER DISK SPOOL}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프린터 스풀(SPOOL ; Simultaneous Peripheral Operation On-Lin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에서 프린터로 출력되는 메시지들을 관리하는데 적합한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프린터 스풀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에서는 메모리 스풀 기능을 사용하여 프린터로 출력되는 메시지들을 관리하고 있다.
여기서, 메모리 스풀 기능이란, 작업의 스케줄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한 작업을 메모리상의 데이터 세트에 임시 저장하고, 그후 스케줄링하여 실행하는 것을 말한다. 마찬가지로, 출력 결과도 메모리상의 데이터 세트에 임시 저장하고, 그후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메모리 스풀 기능에서는, 하나의 공통 버퍼로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메시지들을 모두 저장하고, 각각의 프린터 포트마다 하나의 큐(queue)를 두어 해당 포트의 메시지들을 관리할 수 있다.
그런데, 프린터로 메시지가 출력되는 속도가 메시지 발생 속도에 비해 느리기 때문에 메모리 버퍼의 용량이 부족하여 효율적인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여러개의 프린터를 운용하는 경우, 특정 프린터 포트의 큐가 풀(full) 상태가 되면, 그 프린터에 해당하는 메시지들을 클리어(clear)하면 되지만, 공통으로 사용하는 버퍼가 풀 상태가 되면 그 이후에 발생하는 메시지들은 처리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유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에서 프린터로 출력되는 메시지들의 유실(遺失)을 방지하도록 한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프린터 스풀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전자 교환기로부터의 데이터가 메모리 버퍼를 통하여 다수의 프린터들 중 해당 프린터로 전송되는 프린터 스풀링 장치에 있어서, 프린터들 중 하나에 대응되며, 프린터들 중 기설정된 프린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들을 입력 저장하고 메모리 버퍼의 데이터 저장 상태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메모리 버퍼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프린터와 동일 개수의 전송회로와; 전전자 교환기의 데이터들을 전송할 프린터별로 분류하고, 대응 전송회로의 데이터 저장 상태에 따라 전전자 교환기의 데이터들을 대응 전송회로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메인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프린터 스풀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크 파일, 디스크 큐, 메모리 큐를 구비하는 전송회로 및 메모리 버퍼를 이용하여 전전자 교환기의 데이터를 프린터로 제공하는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프린터 스풀링 방법으로서, 디스크 큐의 메시지 저장 상태를 확인하여, 디스크 큐가 풀 상태이면 해당 디스크 파일 및 디스크 큐를 클리어하여 초기 상태로 만들며, 디스크 큐가 풀 상태가 아니면 디스크 파일에 메시지를 저장하고 디스크 큐에 메시지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단계와; 디스크 큐의 메시지 저장 상태를 확인하여, 디스크 큐가 비어있지 않고 교환기 시스템에서 발생한 메시지가 존재하면, 메모리 버퍼 또는 메모리 큐가 풀 상태인지를 체크하는 제 2 단계와; 메모리 버퍼 또는 메모리 큐가 풀 상태가 아니면, 메모리 버퍼에 메시지를 저장하고 메모리 큐에 메시지 관리 정보를 저장하며, 메모리 버퍼로 전송된 메시지를 디스크 파일 및 디스크 큐에서 클리어하는 제 3 단계와; 메모리 큐의 메시지 저장 상태를 확인하여, 메모리 큐내 관리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 정보를 독출하여 프린터로 송출하며, 프린터로 전송된 메시지를 메모리 버퍼 및 메모리 큐에서 클리어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프린터 스풀링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스풀링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저장 프로세서에서 행하여지는 프린터 디스크 스풀의 메시지 처리 과정의 흐름도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프로세서에서 행하여지는 프린터 디스크 스풀의 메시지 처리 과정의 흐름도
도 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출력 프로세서에서 행하여지는 프린터 디스크 스풀의 메시지 처리 과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시지 저장 프로세서
110 : 제 1 전송회로
111 : 디스크 파일
112 : 디스크 큐
113 : 메모리 큐
114 : 메시지 전송 프로세서
115 : 메시지 출력 프로세서
120 : 제 2 전송회로
130 : 제 3 전송회로
140 : 메모리 버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 스풀링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로서, 메시지 저장 프로세서(100), 제 1 전송회로(110), 제 2 전송회로(120), 제 3전송회로(130) 및 메모리 버퍼(140)를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각 전송회로(110),(120),(130)들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로 구성되어 있지만, 교환기 시스템의 용량에 따라 더 추가/감소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먼저, 각 전송회로(110),(120),(130)들 내에는 디스크 파일(111), 디스크 큐(112), 메모리 큐(113), 메시지 전송 프로세서(114), 메시지 출력 프로세서(115)가 각각 포함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전송회로, 즉, 제 1 전송회로(110)만 예를 들어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디스크 파일(111)은 기 설정 프린터, 즉, 제 1 프린터(도시생략)에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만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파일(111)에 저장되는 메시지들에 대한 관리 정보는 디스크 큐(112)에 저장된다.
따라서, 메시지 저장 프로세서(100)는 디스크 큐(112)내의 관리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크 파일(111)내에 메시지의 저장 여부 및 그 저장량 등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메시지 저장 프로세서(100)는 디스크 큐(112)내의 관리 정보를 계속해서 체크하며, 예컨대, 제 1 프린터에 제공할 메시지가 존재되면, 이 메시지를 저장할 공간이 디스크 파일(111)내에 있는가를 디스크 큐(112)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하고, 저장할 공간이 있을 때에 이 메시지를 디스크 파일(111)내에 저장한다.
한편, 메모리 버퍼(140)에는 다수개의 프린터들이 연결되며, 디스크 파일(111)내에 저장된 프린터 메시지는 메시지 저장 프로세서(100)의 제어에 따라메모리 버퍼(140)에 저장된다. 즉, 메시지 저장 프로세서(100)는 메모리 버퍼(140)내에 디스크 파일(111)의 메시지를 저장할 여유 공간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하여 여유 공간이 있을 때에 디스크 파일(111)내의 메시지를 메모리 버퍼(140)에 저장하는 것이다.
메모리 버퍼(140)내에 저장되는 메시지에 대한 관리 정보들은 프린터별로 메모리 큐(113)내에 저장되며, 메시지 출력 프로세서(115)는 메모리 큐(113)내의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프린터에 제공될 메시지가 메모리 버퍼(140)내에 저장되어 있는가를 판단하여 저장되어 있으면, 이를 독출하여 해당 프린터, 예컨대, 제 1 프린터에 제공한다.
이러한 메모리 버퍼(140)를 이용하는 이유는 메시지 저장 프로세서(100)가 디스크 파일(111)을 액세스하다가 파일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디스크를 거치지 않고 직접 메모리에서만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디스크 파일(111)내에 메시지가 가득 차있으면, 즉, 디스크 파일(111)이 풀(full) 상태이면, 메시지 전송 프로세서(114)는 디스크 파일(111) 및 디스크 큐(112)를 클리어시키나, 디스크 파일(111)이 풀 상태가 아니라면 디스크 파일(111)내의 데이터를 메모리 버퍼(140)에 제공한다.
즉, 디스크 파일(111)이 풀 상태라 함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모리 버퍼(140)가 풀 상태이므로 디스크 파일(111)내에 저장되어 있는 제 1 프린터의 메시지가 메모리 버퍼(140)에 제공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제 1 프린터에 제공되어야 하는 메시지를 디스크 버퍼(111)에 저장할 수 없는 상태, 즉, 제1 프린터에 메시지를 제공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메시지 전송 프로세서(114)는 디스크 파일(111) 및 디스크 큐(112)내의 데이터들을 클리어한다. 따라서, 제 1 프린터에는 메시지들이 제공되지 않으나 나머지 프린터들, 예컨대, 제 2 프린터 또는 제 3 프린터에는 해당 메시지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메시지 출력 프로세서(115)는 메모리 큐(113)내의 데이터 정보를 탐색하고, 탐색 결과 메모리 버퍼(140)내에 제 1 프린터에 제공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음이 검출되면, 해당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 1 프린터에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2a, 도 2b 및 도 2c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디스크 스풀의 메시지 처리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메시지 저장 프로세서(100)에서 행하여지는 프린터 디스크 스풀의 메시지 처리 과정을 도 2a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교환기 시스템에서, 예컨대, 제 1 프린터에 제공할 메시지가 발생하면 메시지 저장 프로세서(100)는 단계(S200)로 진행하여 디스크 큐(112)내의 메시지 정보 저장 상태를 체크한다. 단계(S200)의 판단 결과, 디스크 큐(112)가 메시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상태, 즉, 디스크 큐(112)가 풀(full) 상태가 아니면, 메시지 저장 프로세서(100)는 단계(S202)로 진행하여 해당 프린터(110)의 디스크 파일(111)에 메시지를 저장하고, 디스크 큐(112)에 메시지 정보를 저장한다.
그러나, 단계(S200)의 판단 결과, 디스크 큐(112)가 메시지 정보로 가득 찬 상태, 즉, 풀 상태라면 메시지 저장 프로세서(100)는 단계(S204)로 진행하여 디스크 파일(111) 및 디스크 큐(112)를 클리어시킨다.
다음으로, 제 1 프린터내의 메시지 전송 프로세서(114)에서 행하여지는 프린터 디스크 스풀의 메시지 처리 과정을 도 2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메시지 전송 프로세서(114)는 단계(S300)에서, 디스크 큐(112)의 메시지 정보 저장 상태를 체크한다. 단계(S300)의 판단 결과, 디스크 큐(112)가 비어있지 않은 상태이고 교환기 시스템에서 발생한 메시지가 존재하면, 메시지 전송 프로세서(114)는 단계(S302)로 진행하여 메모리 큐(113)를 체크하고 메모리 버퍼(140) 또는 메모리 큐(113)내에 메시지 또는 메시지 정보를 저장할 공간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S302)의 판단 결과, 메모리 버퍼(140) 및 메모리 큐(113)가 풀 상태가 아니면, 즉, 메모리 버퍼(140)와 메모리 큐(113)내에 메시지 및 메시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이 존재하면, 메시지 전송 프로세서(114)는 단계(S304)로 진행한다.
단계(S304)에서 메시지 전송 프로세서(114)는 디스크 파일(111)내의 메시지를 메모리 버퍼(140)에 저장하고 메모리 큐(113)에는 메시지 정보를 저장한 다음, 단계(S306)로 진행하여 디스크 파일(111)과 디스크 큐(112)내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메시지 및 메시지 정보를 클리어시킨다.
끝으로, 제 1 프린터내의 메시지 출력 프로세서(115)에서 행하여지는 프린터 디스크 스풀의 메시지 처리 과정을 도 2c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지 출력 프로세서(115)는 단계(S400)로 진행하여 메모리 큐(113)의 메시지 정보 저장 상태를 체크한다. 단계(S400)의 판단 결과, 메모리 큐(113)가 비어있지 않은 상태, 즉, 최소한의 메시지 및 메시지 정보가 메모리 큐(113)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라면, 메시지 출력 프로세서(115)는 단계(S402)로 진행하여 메모리 버퍼(140)내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들 중 소정 메시지(예컨대, 제 1 프린터에 전송되어야 하는)를 제 1 프린터에 제공한다.
즉, 단계(S402)에서 메시지 출력 프로세서(115)는 메모리 큐(113)를 지속적으로 체크하고 있다가 소정의 메시지가 들어오면 그 메시지의 정보를 보고 메모리 버퍼(140)에서 해당 메시지를 꺼내어 제 1 프린터의 프린터 포트(도시생략)로 출력한다.
그리고, 메시지 출력 프로세서(115)는 단계(S404)로 진행하여 메모리 버퍼(140)와 메모리 큐(113)에서 해당 메시지를 클리어한다.
즉, 본 발명은, 프린터의 운용 중에 소정 프린터에 대한 다량의 메시지가 발생하여 해당 디스크 버퍼(111)가 풀 상태가 되면, 해당되는 프린터의 디스크 버퍼와 디스크 큐를 클리어하고, 메모리 버퍼(140)에서 그 프린터에 해당하는 메시지들을 클리어하므로써 다른 프린터들에 해당하는 다른 메시지들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량 면에서 거의 제약을 받지 않고 버퍼를 운용할 수 있으므로 메시지의 유실이 없이 프린터를 운용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버퍼의 용량을 늘일 때 디스크 버퍼만 늘이면 되므로 시스템 변환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프린터마다 따로 디스크 버퍼를 둠으로써 하나의 디스크 버퍼가 풀 상태가 되어도 해당 프린터의 메시지들만 클리어하기 때문에 다른 프린터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각각의 프린터의 독립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전전자 교환기로부터의 메시지가 메모리 버퍼를 통하여 다수의 프린터들 중 해당 프린터로 전송되는 프린터 스풀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들 중 하나에 대응되며, 상기 프린터들 중 기설정된 프린터에 대응하는 메시지들을 입력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 버퍼의 메시지 저장 상태에 따라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상기 메모리 버퍼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상기 프린터와 동일 개수의 전송회로와;
    상기 전전자 교환기의 메시지들을 전송할 프린터별로 분류하고, 대응 전송회로의 메시지 저장 상태에 따라 상기 전전자 교환기의 메시지들을 상기 대응 전송회로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메시지 저장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프린터 스풀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회로는,
    상기 메시지 저장 프로세서로부터의 메시지 저장이 가능한 디스크 파일과;
    상기 디스크 파일내 저장되는 메시지에 관한 정보의 저장이 가능한 디스크 큐와;
    상기 메모리 버퍼에 저장되는 메시지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큐와;
    상기 디스크 큐내 저장된 메시지에 관한 정보의 저장 상태에 따라 상기 디스크 파일내 메시지를 상기 메모리 버퍼에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 버퍼에 저장되는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 큐에 저장하는 메시지 전송 프로세서와;
    상기 메모리 큐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상기 메모리 버퍼에 저장된 메시지들 중 대응 프린터에 해당하는 메시지들만을 상기 대응 프린터에 전송하는 메시지 출력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프린터 스풀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저장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크 큐내 저장된 메시지에 관한 정보의 저장 상태가 풀(full) 상태이면, 상기 디스크 파일 및 디스크 큐를 클리어하는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프린터 스풀링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버퍼에 저장되는 메시지의 정보를 상기 메모리 큐에 저장하고 난 후, 상기 디스크 파일 및 디스크 큐를 클리어하는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프린터 스풀링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출력 프로세서는, 상기 대응 프린터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상기 대응 프린터에 전송한 후, 상기 메모리 버퍼 및 메모리 큐를 클리어하는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프린터 스풀링 장치.
  6. 디스크 파일, 디스크 큐, 메모리 큐를 구비하는 전송회로 및 메모리 버퍼를 이용하여 전전자 교환기의 메시지를 프린터로 제공하는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프린터 스풀링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크 큐의 메시지 저장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디스크 큐가 풀 상태이면 상기 디스크 파일 및 디스크 큐를 클리어하여 초기 상태로 만들며, 상기 디스크 큐가 풀 상태가 아니면 상기 디스크 파일에 메시지를 저장하고 상기 디스크 큐에 메시지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디스크 큐의 메시지 저장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디스크 큐가 비어있지 않고 상기 교환기 시스템에서 발생한 메시지가 존재하면, 상기 메모리 버퍼 또는 메모리 큐가 풀 상태인지를 체크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메모리 버퍼 또는 메모리 큐가 풀 상태가 아니면, 상기 메모리 버퍼에 메시지를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 큐에 메시지 관리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 버퍼로 전송된 메시지를 상기 디스크 파일 및 디스크 큐에서 클리어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메모리 큐의 메시지 저장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메모리 큐내 관리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프린터로 송출하며, 상기 프린터로 전송된 메시지를 상기 메모리 버퍼 및 메모리 큐에서 클리어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프린터 스풀링 방법.
KR1019990036443A 1999-08-31 1999-08-31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프린터 스풀링 장치 및 방법 KR100312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443A KR100312533B1 (ko) 1999-08-31 1999-08-31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프린터 스풀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443A KR100312533B1 (ko) 1999-08-31 1999-08-31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프린터 스풀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816A KR20010019816A (ko) 2001-03-15
KR100312533B1 true KR100312533B1 (ko) 2001-11-03

Family

ID=19609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443A KR100312533B1 (ko) 1999-08-31 1999-08-31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프린터 스풀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5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479A (ko) * 1993-12-21 1995-07-28 양승택 종합정보 통신망 교환기의 패킷 버퍼 구성 및 할당/해제방법
KR970056627A (ko) * 1995-12-08 1997-07-31 양승택 다중 메모리 버퍼를 이용한 적재 방법
KR19980022190A (ko) * 1996-09-20 1998-07-06 유기범 Atm 교환기의 메시지 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33936A (ko) * 1998-11-26 2000-06-15 이계철 비동기전송모드 교환기에서 비실시간 트래픽 서비스를 위한 버퍼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479A (ko) * 1993-12-21 1995-07-28 양승택 종합정보 통신망 교환기의 패킷 버퍼 구성 및 할당/해제방법
KR970056627A (ko) * 1995-12-08 1997-07-31 양승택 다중 메모리 버퍼를 이용한 적재 방법
KR19980022190A (ko) * 1996-09-20 1998-07-06 유기범 Atm 교환기의 메시지 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33936A (ko) * 1998-11-26 2000-06-15 이계철 비동기전송모드 교환기에서 비실시간 트래픽 서비스를 위한 버퍼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816A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97944A (ja) 複数マイクロプロセツサ間デ−タ転送方式
US6651116B1 (en) Output interface for a raster object memory in a method, system and program
JP200307645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状態の問合せに対する応答方法
KR100312533B1 (ko)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프린터 스풀링 장치 및 방법
US5343557A (en) Workstation controller with full screen write mode and partial screen write mode
JPH08106443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並列コンピュータ
US7251248B2 (en) Connection device
EP1139228A2 (en) An intelligent bus interconnect unit
JP3288158B2 (ja) チャネル制御方式
US6906823B1 (en) Input interface for a raster object memory in a method, system and program
US20030210684A1 (en) Packet transceiving method and device
JPH11345099A (ja) 印刷順序管理装置、及び印刷順序管理方法
JPH1049344A (ja) バッファのビジー制御方式
JP3505540B2 (ja) データ転送装置
JP2800280B2 (ja) プリンタサーバ
KR100413422B1 (ko) 멀티포트 제어기에서의 멀티포트 제어 방법
JP2002183073A (ja) バッファ制御装置、汎用ポート制御装置、入出力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
JPH05151136A (ja) データ転送装置
JPH07195802A (ja) 印刷装置の電源オンオフ制御装置
JPH02190960A (ja) キューイング制御方式
KR10080070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319431Y1 (ko) 사설자동구내교환기시스템의보드이중화장치
KR100192960B1 (ko) 컴퓨터시스템의 디엠에이인터페이스방법
JPH03224347A (ja) 印刷データ転送方式
JPH05224848A (ja) 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