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2217B1 - 사설교환기에서국선호응답방법 - Google Patents

사설교환기에서국선호응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2217B1
KR100312217B1 KR1019980060727A KR19980060727A KR100312217B1 KR 100312217 B1 KR100312217 B1 KR 100312217B1 KR 1019980060727 A KR1019980060727 A KR 1019980060727A KR 19980060727 A KR19980060727 A KR 19980060727A KR 100312217 B1 KR100312217 B1 KR 100312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overflow
group
call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0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4236A (ko
Inventor
김용상
김교원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60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217B1/ko
Publication of KR20000044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4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2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04M3/546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38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4Delay circuits; Ti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에서 국선을 통해 착신되는 국선 호에 응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착신된 국선 호에 응답하여 호가 연결되거나 포기될 때까지 등록된 착신 그룹에 대해 순차적으로 지정하여 링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정되었던 착신 그룹에 대해서는 다음 착신 그룹이 지정되더라도 링을 지속적으로 서비스하도록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국선 호 응답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설교환기에서 국선 호 응답방법{METHOD FOR ANSWERING INCOMMING CALL IN PABX}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의 착신 호 응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국선을 통해 착신되는 국선 호에 응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교환시스템이라 함은 동일 건물 내 또는 동일 회사 등에서 다수의 국선과 다수의 내선 가입자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스위칭 하는 소형 교환기를 의미하는데, 예를 들면 키폰시스템, 구내전화교환기(PBX; Private Branch Exchange), 사설자동 구내교환기(PABX; Private Branch Automatic Exchange) 등이 있다.
이러한 사설교환기에서는 다수의 내선과 국선을 가입자로서 가지고, 내선과 내선 또는 내선과 국선간의 통화를 연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상기 사설교환기는 그룹 기능을 서비스하고 있어 복수의 내선을 착신 그룹으로 지정하여 각 그룹에 대해 한 내선에 제공하는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서비스하게 된다. 이러한 착신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내선으로 구성되며, 사용의 편의를 위해 이해 관계가 있는 내선들을 하나의 착신 그룹으로 지정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예를 들면, 회사에서 사용되는 사설교환기의 경우 부서 등과 같이 동일한 이해 관계를 가지는 집단에서 사용되는 내선들을 하나의 착신 그룹으로 지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설교환기에서 서비스하는 내선은 복수개의 착신 그룹으로 지정이 가능하다.
종래 사설교환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착신 그룹을 설정한 경우 착신 호를 전환하는 기능에 대한 일 예로서 국선을 통한 착신 호를 내선으로 전환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사설교환기는 국선을 통해 호가 착신되면 등록된 첫 번째 착신 그룹 지정하여 상기 지정된 착신 그룹을 구성하는 내선들 중 통화 가능한 상태의 내선으로 링을 서비스한다. 이때 첫 번째 착신 그룹을 구성하는 전 내선이 비지(busy)일 경우 발신측으로 비지 톤(busy tone)을 제공하거나 설정된 시간을 대기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비지가 해제되는 내선이 없거나 상기 링 서비스에 응답하는 내선이 없는 경우에는 현재 지정된 착신 그룹에 대한 링 서비스를 중단한 후 다음 착신 그룹을 지정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한 서비스를 수행한다. 즉, 다음 착신 그룹을 지정하여 서비스를 행하기 위해서는 이전 착신 그룹에 대한 링 서비스를 중단하고, 다음 지정된 착신 그룹에 대해 링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첫 번째 착신 그룹이 통화가 많을 때는 두 번째 이후의 착신 그룹이 통화가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발신자는 똑 같은 시간을 대기하여야 함에 따라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국선을 통해 착신되는 호에 대한 응답을 신속하게 달성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국선 호에 대응하여 착신 그룹을 순차적으로 지정하여 호출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국선 호에 대응하여 첫 번째 착신 그룹에 링 서비스를 제공하여 정해진 시간동안 응답이 없으면 첫 번째 착신 그룹의 링 서비스를 유지한 상태에서 다음 그룹에 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착신된 국선 호에 응답하여 호가 연결되거나 포기될 때까지 등록된 착신 그룹에 대해 순차적으로 지정하여 링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정되었던 착신 그룹에 대해서는 다음 착신 그룹이 지정되더라도 링을 지속적으로 서비스하도록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국선 호 응답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설교환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국선 호에 응답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국선 호 응답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설교환기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설교환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중앙처리장치(102)는 사설교환기에서 제공되는 각종 기능을 서비스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 각 구성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내선번호를 착신 그룹으로 묶어 국선을 통한 착신 호를 전환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스위칭부(101)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02)의 제어를 받아 사설교환기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간을 스위칭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02)의 제어를 받아 국선을 통한 착신 호에 대응하여 응답하는 내선번호에 해당하는 내산 가입자가 상기 착신이 이루어진 국선과 통화를 수행하도록 통화 경로를 형성한다. 롬(103)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10)가 제어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국선을 통한 착신 호를 보다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램(104)은 사설교환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 또는 기능을 서비스하기 위해 요구되는 각종 정보를 기록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착신 그룹 등록 테이블을 구비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102)의 제어를 받아 내선번호의 사용 여부 또는 착신 그룹의 착신 등록 여부를 관리한다. 시계회로(105)는 내부에 오실레이터를구비하여 소정 주파수를 발생하여 타이머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02)의 제어를 받아 링 서비스에 대응한 내선번호의 응답과 사용이 가능한 내선번호를 검사하기 위해 요구되는 오버플로 타이머로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링발생부(107)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02)의 제어를 받아 착신 호에 대응하는 링 신호를 발생하며, 이는 상기 스위칭부(101)를 거쳐 원하는 내선가입자, 키폰전화기, 디지털 키폰전화기 등의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DTMF 수신기(108)는 상기 스위칭부(101)를 통해 인가되는 듀얼톤 다주파신호(Dual Tone Multi Frequency, 이하 "DTMF신호"라 칭함)를 분석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102)에 제공한다. DTMF 송신기(109)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02)의 제어를 받아 원하는 DTMF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위칭부(101)로 출력한다. 일반가입자회로(110)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02)의 제어를 받아 상기 스위칭부(101)와 내선 가입자 중 일반가입자를 인터페이스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국선회로(111)는 일반 국선회로와 DID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102)의 제어를 받아 일반 국선 및 DID 국선과 상기 스위칭부(101)를 인터페이스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폰가입자회로(112)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02)의 제어를 받아 상기 스위칭부(101)와 내선 가입자 중 키폰가입자를 인터페이스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키폰가입자는 1회선의 음성라인과 1회선의 제어라인을 통해 상기 키폰가입자회로(112)에 연결되며, 신호 처리 방식에 따라 아날로그 키폰전화기와 디지털 키폰전화기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설교환기에서 신속하게 국선 호를 서비스하기 위해 중앙처리장치(110)에서 수행하는 제어 흐름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국선 호에 대응한 착신 그룹 호출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착신된 국선 호에 응답하여 호가 연결되거나 포기될 때까지 등록된 착신 그룹에 대해 순차적으로 지정하여 링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정되었던 착신 그룹에 대해서는 다음 착신 그룹이 지정되더라도 링을 지속적으로 서비스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은 사설교환기에 미리 착신 그룹이 지정되어 있다고 가정 하에 설명되는 것이며, 상기 착신 그룹의 지정은 적용되는 경우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그 대표적인 일 예만을 들어 설명할 것임을 미리 밝혀둔다.
먼저, 사설교환기에서 제공되는 기능의 전반적인 처리를 관장하는 중앙처리장치(102)는 210단계에서 국선을 통한 국선 호 착신이 있는 가를 감시한다. 상기 국선 호 착신의 감지는 국선회로(111)를 통해 수신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110)로 호 착신이 있음을 알림으로서 가능하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국선 호의 착신을 감지하게 되면 2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2단계로 진행한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롬(103)에 지정된 착신 그룹 등록 테이블에 등록된 첫 번째 착신 지정된 착신 그룹의 링 큐(ring queue)에 국선 호 착신이 있음에 따른 링 서비스 개시를 설정함으로서 링 서비스를 등록한다. 예를 들어, 국선 호 착신이 없어 링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링 큐에 "0"을 설정하고, 국선 호 착신에 의해 링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할 경우에는 링 큐에 "1"을 설정한다.
또한, 상기 링 큐에 링 서비스의 등록과 함께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오버플로 타이머(overflow timer)를 구동한다. 상기 사설교환기는 앞에서도 개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착신 그룹에 제공한 링에 따른 응답만을 기다릴 수 없으므로 링에 대응한 응답을 기다리는 시간을 한정할 필요가 있는데, 상기와 같은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상기 오버플로 타이머를 구동하는 것이다. 즉, 상기 오보플로 타이머의 구동에 의해 감시되는 오버플로 타임(overflow time)은 상기한 한정 시간을 체크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오버플로 타이머는 도 1에 도시한 구성 중 시계회로(105)를 상기 중앙처리장치(102)가 제어함으로서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212단계에서 링 큐의 등록과 오버플로 타이머를 구동한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21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첫 번째 착신 지정된 착신 그룹을 구성하는 내선들 중 착신 호에 응답 가능한 내선이 존재하는 가를 검사한다. 상기 응답 가능한 내선의 존재를 검사하는 것은 상기 착신 그룹 등록 테이블의 사용 여부 영역에 등록된 값에 의해 검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착신 지정된 착신 그룹을 구성하는 내선들에 대응한 상기 착신 그룹 등록 테이블의 사용 여부 영역에 등록된 값이 "0"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사용이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하며, 등록된 값이 "1"로 설정된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함 상태라고 판단한다.
만약, 상기 214단계에서 응답이 가능한 내선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감지되면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216단계와 214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오버플로 타이머에 따른 오보플로 타임이 종료하기 전에 응답 가능한 내선이 발생하는 가를 검사한다.
하지만, 상기 214단계에서 응답 가능한 내선이 존재하거나 상기 216단계에 의해 오보플로 타임이 종료되기 전에 응답 가능한 내선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21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8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상기 검사된 응답 가능한 내선 또는 내선들로 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링 서비스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02)가 스위칭회로(101)를 제어하여 지속적으로 링 신호를 발생하는 링발생부(107)를 상기 검사된 내선 또는 내선들로 연결함을 말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링발생부(107)를 상기 검사된 내선 또는 내선들로 연결하게 되면 상기 검사된 내선 또는 내선들이 링음을 송출하여 호 착신이 있음을 알리게 된다.
상기한 링 서비스가 앞에서 지정된 착신 그룹에 대해 제공되는 동안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220단계와 222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220단계 및 상기 222단계는 상기 오버플로 타이머에 의한 오버플로 타임이 종료하기 전에 링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내선의 응답이 있는 가를 감시하는 단계이다. 상기 응답은 내선 가입자가 링 서비스에 따른 링음에 응답하여 송수화기를 들거나 스피커폰 통화를 요구하는 등과 같이 통화를 요구하는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222단계에서 오버플로 타이머에 의한 오보플로 타임의 종료가 감지될 때까지 링 서비스를 받고 있는 내선의 응답이 없을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224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상기 224단계로 진행하는 것은 상기 220단계 및 222단계의 경우 외에 앞에서 개시한 상기 214단계 및 216단계에 의해 오버플로 타임이 종료된 경우도 포함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224단계로 진행하면 현재 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착신 그룹의 다음 착신 그룹의 링 큐를 등록한다. 즉, 롬(103)에 지정된 착신 그룹 등록 테이블에 다음 착신 지정된 착신 그룹의 링 큐(ring queue)에 "1"을 설정함으로서 국선 호 착신이 있음에 따른 링 서비스 개시를 설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222단계에서 진행된 경우에는 현재까지 링 서비스를 제공한 착신 그룹의 내선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에서도 개시한 바와 같이 착신된 국선 호를 보다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함이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상기 224단계에서 링 큐를 등록함과 더불어 상기 오버플로 타이머를 재 구동하게 된다.
상기 224단계에 따른 제어를 완료한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상기 214단계로 진행하여 그 이후의 단계를 재 수행하게 되며, 상기 재 수행에 의해서도 통화가 연결되지 않으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그 다음 착신 그룹에 대해서도 동일한 처리를 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화가 연결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장치(102)가 반복 처리하게 되는 동작은 동일한 동작을 반복하는 것임에 따라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220단계 및 222단계에서 오버플로 타임이 종료하기 전에 특정 내선으로부터 응답이 발생한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정상적인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어는 도 2에 도시한 226단계 내지 230단계에 의해 수행된다.
즉, 오버플로 타임이 종료하기 전에 특정 내선으로부터 응답이 발생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226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 226단계로 진행한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상기 210단계에서 착신된 국선 호에 의해 링 서비스가 제공된 착신 그룹 또는 착신 그룹들의 링 큐에 등록된 값을 해제한다. 즉, 더 이상의 링 서비스가 필요 없으므로 링 서비스를 차단하기 위함이다.
상기 링 큐를 해제한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22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220단계에서 응답한 내선과 상기 210단계에서 착신된 국선 호를 연결함으로서 정상적인 통화를 형성한다. 상기 응답한 내선과 국선 호를 연결하는 동작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02)가 상기 스위칭회로(101)의 스위칭을 제어함으로서 가능하다.
상기 228단계에 의해 통화가 정상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230단계에서 상기 212단계 또는 상기 224단계에서 구동한 오버플로 타이머의 구동을 해제한다. 이는 정상적으로 통화가 연결되었으므로 더 이상의 오버플로 타임을 체크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도 2의 제어 흐름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국선 호가 착신하여 특정 내선의 응답에 의한 통화가 연결되기 전까지의 수행 과정 중에 발신자가 호를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든 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상기 종료는 국선 호에 의해 지정된 각 착신 그룹의 링 큐에 등록된 값을 해제함과, 상기 오버플로 타이머의 구동을 해제하는 등의 동작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옵션에 따라 착신 그룹 당 가능한 내선 하나만 링을 울리도록 하거나 착신 그룹 내의 모든 응답 가능한 내선에 링을 울리도록 할 수 있다. 모든 내선에 링을 울리도록 하는 경우에는 극단적인 경우 사설교환기 내의 모든 내선에 링이 울리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착신 그룹을 여러 그룹으로 지정하고 오버플로를 지정하게 되면 정해진 시간마다 단계적으로 링이 울리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동작에서 요구되는 착신 그룹 등록 테이블의 일 예는 아래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착신 그룹 번호 내선 번호 사용 여부 링 큐
1 101 1 1
102 0
103 0
ㆍㆍㆍ ㆍㆍㆍ
2 201 1 1
202 1
203 1
ㆍㆍㆍ ㆍㆍㆍ
3 301 0 0
302 1
303 1
ㆍㆍㆍ ㆍㆍㆍ
ㆍㆍㆍ ㆍㆍㆍ ㆍㆍㆍ ㆍㆍㆍ
상기 <표 1>에 도시한 착신 그룹 등록 테이블에 등록된 값에 의해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중앙처리장치(102)는 국선 호의 착신을 감지하면 상기 <표 1>의 구성을 가지는 착신 그룹 등록 테이블에 등록된 첫 번째 착신 그룹(1)에 대응한 링 큐에 "1"을 등록한 후 오버플로 타이머를 구동한다.
그 후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사용 여부 영역을 검사하여 "102"와 "103"을 내선번호로 하는 내선이 사용 가능함에 따라 상기 "102"와 "103"의 내선으로 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102"와 "103"의 내선이 오버플로 타임이 종료할 때까지 응답이 없으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상기 <표 1>의 구성을 가지는 착신 그룹 등록 테이블에 등록된 두 번째 착신 그룹(2)에 대응한 링 큐에 "1"을 등록한 후 오버플로 타이머를 재 구동한다.
하지만, 상기 두 번째 착신 그룹(2)에 대응하는 내선 "201", "202" 및 "203"이 모두 응답이 불가능한 상태에 있음에 따라 링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그리고, 오버플로 타임이 종료하기 전에 상기 내선 "201", "202" 및 "203" 중 통화 종료로 인하여 응답이 가능한 상태가 전환되는 내선이 발생하면 해당 내선으로 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지만, 오버플로 타임이 종료할 때까지 통화 종료 내선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상기 <표 1>의 구성을 가지는 착신 그룹 등록 테이블에 등록된 세 번째 착신 그룹(3)에 대응한 링 큐에 "1"을 등록한 후 오버플로 타이머를 재 구동한다.
그 후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사용 여부 영역을 검사하여 "301"을 내선번호로 하는 내선이 사용 가능함에 따라 상기 "301"의 내선으로 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장 먼저 링 서비스를 제공하였던 착신 그룹과 추가되는 착신 그룹에 대해서 모두 링 서비스를 함으로서 응답 가능한 내선에 모두 링을 울려줌으로서 신속한 착신 호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즉, 링이 울리는 모든 착신 그룹의 내선이 응답 가능하도록 하고, 어느 한 내선이 응답하면 다른 내선의 링 서비스를 중단함으로서 신속한 통화 연결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착신 그룹을 여러 그룹으로 지정하고 오버플로를 지정하게 되면 정해진 시간마다 단계적으로 링을 울리도록 하여 링이 착신되면 사원에게 링이 울린 후 10초 후에는 과장에게 링이 울리며, 20초 후에는 부장에게 링이 울리도록 함으로서 신속한 응답뿐 아니라 가입자마다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가 있을 수 있다.

Claims (3)

  1. 다수의 내선번호를 하나의 착신 그룹으로 지정하고 있는 사설교환기에서 국선을 통해 착신되는 국선 호에 응답하는 방법에 있어서,
    국선을 통한 착신을 감지하면 착신 지정된 제1착신 그룹의 링큐에 착신을 등록한 후 오버플로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과정과,
    상기 착신 등록된 링큐에 대응하는 제1착신 그룹에 지정된 내선번호 중 응답 가능한 내선번호로 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오버플로 타이머에 의한 오버플로 타임이 종료할 때까지 상기 링 서비스에 대응한 응답을 감지하지 못하면 다음 착신 그룹의 링큐에 착신을 등록한 후 상기 오버플로 타이머를 재 구동시키고 상기 제1착신 그룹에 지정된 내선번호로 제공되는 링 서비스를 중단하지 않고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링 서비스에 대응한 응답을 감지하면 상기 링큐의 착신 등록과 상기 재구동된 오버플로 타이머를 해제한 후 상기 응답한 내선번호로 상기 국선을 통한 착신을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링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응답 가능한 내선번호가 상기 오버플로 타임이 종료할 때까지 발생하지 않으면 다음 착신 그룹의 링큐에 착신을 등록한 후 상기 오버플로 타이머를 재 구동시키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국선 호 응답방법.
  2. 착신 그룹마다 다수의 내선번호를 지정하고, 상기 내선번호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사용 영역과 상기 착신 그룹의 착신 등록을 결정하는 링큐 영역으로 이루어진 착신 그룹 등록 테이블을 구비한 사설교환기에서 국선을 통해 착신되는 국선 호에 응답하는 방법에 있어서,
    국선을 통한 착신을 감시하는 제1과정과,
    상기 국선을 통한 착신을 감지하면 상기 착신 그룹 등록 테이블에 등록된 최초의 착신 그룹에 대응하는 링큐 영역에 착신 등록을 행하는 제2과정과,
    상기 착신 등록이 이루어질 시 오버플로 타이머를 구동하는 제3과정과,
    상기 링큐 영역에 착신 등록이 이루어진 착신 그룹에 지정된 내선번호의 응답 가능 여부를 상기 착신 그룹 등록 테이블의 사용 영역을 검사하여 판단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응답 가능한 내선번호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응답 가능한 내선번호로 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5과정과,
    상기 오버플로 타이머에 의한 오버플로 타임이 종료하기 전에 상기 링 서비스에 대한 응답을 감시하는 제6과정과,
    상기 제6과정에서 상기 오버플로 타임이 종료할 때까지 상기 링 서비스가 제공되는 내선번호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상기 착신 그룹 등록 테이블의 다음 착신 그룹에 대응하는 링큐 영역에 착신 등록을 행한 후 상기 제3과정으로 진행하는 제7과정과,
    상기 제6과정에서 오버플로 타임이 종료하기 전에 상기 링 서비스가 제공되는 내선번호로부터 응답이 있으면 상기 오버플로 타이머의 구동을 종료한 후 상기 링큐 영역에 등록된 착신 등록을 모두 해제한 후 링 서비스를 종료하는 제8과정과,
    상기 제8과정에서 응답한 내선번호를 상기 제1과정에서 착신이 감지된 국선으로 연결하는 제9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국선 호 응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에서 응답 가능한 내선번호가 상기 오버플로 타임이 종료할 때까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착신 그룹 등록 테이블의 다음 착신 그룹에 대응하는 링큐 영역에 착신 등록을 행한 후 상기 제3과정으로 진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국선 호 응답방법.
KR1019980060727A 1998-12-30 1998-12-30 사설교환기에서국선호응답방법 KR100312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727A KR100312217B1 (ko) 1998-12-30 1998-12-30 사설교환기에서국선호응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727A KR100312217B1 (ko) 1998-12-30 1998-12-30 사설교환기에서국선호응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236A KR20000044236A (ko) 2000-07-15
KR100312217B1 true KR100312217B1 (ko) 2001-12-12

Family

ID=1956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0727A KR100312217B1 (ko) 1998-12-30 1998-12-30 사설교환기에서국선호응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2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066A (ja) * 1992-07-30 1994-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構内自動交換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066A (ja) * 1992-07-30 1994-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構内自動交換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236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9512A (en) Call waiting deluxe feature
KR100206173B1 (ko) 키폰시스템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
US6882719B2 (en) Method for providing outgoing call reservation service in exchange system
KR100312217B1 (ko) 사설교환기에서국선호응답방법
US6111943A (en) Rapid call set-up for multiple leg telecommunications sessions
KR19990086215A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다중 호출음 서비스방법
JP3097114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制御方式ならびに電話機およびファクシミリ装置
KR0161129B1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비밀번호를 이용한 선택호 수용방법
JPS5830261A (ja) 待合せ接続方式
JP2000209344A (ja) 自動交換機
KR100214647B1 (ko) 가상 내선번호를 이용한 호출자 선별 통화 제어방법
KR100233462B1 (ko) 교환시스템의 착신거부상태 안내방송 방법
KR0174549B1 (ko) 키폰 시스템에 있어서 오버플로우 가입자 백업방법
JPH08242294A (ja) 着信加入者保護接続方法
JP3193932B2 (ja) 構内交換装置
JPH1032636A (ja) 通信サービス処理装置
KR100242698B1 (ko) 안내대를 이용한 착신 거부 방법
KR100194418B1 (ko) 사설교환시스템의 국선 착신 응답 방법
KR100454938B1 (ko) 교환기의다중착신서비스방법
KR19990056005A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 패어 지정된 내선 단말의 호 처리 방법
JPH0433451A (ja) 通話中キャンプオン通知制御方式
JPH0568095A (ja) 加入者識別番号受信方式
JPS6397051A (ja) 内線加入者識別方式
KR19990016005A (ko) 교환시스템의 국선호 착신 서비스방법
JPS63136754A (ja) 不在転送呼返し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