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018B1 -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1018B1
KR100311018B1 KR1019980031167A KR19980031167A KR100311018B1 KR 100311018 B1 KR100311018 B1 KR 100311018B1 KR 1019980031167 A KR1019980031167 A KR 1019980031167A KR 19980031167 A KR19980031167 A KR 19980031167A KR 100311018 B1 KR100311018 B1 KR 100311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roller
lever
roller
wire
lev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296A (ko
Inventor
박우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1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1018B1/ko
Priority to US09/362,677 priority patent/US6058286A/en
Publication of KR20000010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0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76Simultaneous toner image transfer and fixing
    • G03G2215/1695Simultaneous toner image transfer and fixing at the second or higher order transfer poi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장치는, 감광벨트로부터 화상을 전사받아 용지에 인쇄하는 전사롤러와, 전사롤러와 밀착 회전되면서 용지를 그 전사롤러 측으로 압착시킴으로써 화상을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롤러와, 전사롤러를 지지하며 그 전사롤러가 감광벨트에 착탈되도록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레버와, 정착롤러를 지지하며 그 정착롤러가 전사롤러에 착탈되도록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레버와, 제1,2레버를 상호 탄력적으로 이격시키도록 설치된 제1탄성부재와; 전사롤러 및 정착롤러를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제1,2레버에 연결된 와이어와; 와이어를 권취함으로써 제1,2레버가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접근되도록 하여 전사롤러와 정착롤러를 밀착시키는 권취기어; 및, 제1레버에 탄력적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권취기어가 와이어를 풀어낼 때 상승하면서 전사롤러가 감광벨트로부터 이격되도록 제1레버를 들어올리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감광벨트와 전사롤러 및 정착롤러의 착탈동작에 도르래 원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적은 동력으로도 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장치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 인쇄를 위해 용지가 통과되는 전사롤러와 정착롤러의 밀착 및 분리구조가 개선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칼라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한궤도를 주행하는 감광벨트(10)와, 상기 감광벨트(10)에 원하는 화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20)와, 이 현상장치(20)에 의해 감광벨트(10)에 현상된 화상을 용지(1)에 인쇄하기 위한 전사장치(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사장치(30)는 상기 감광벨트(10)에 현상된 화상을 전사받아 용지(1)의 일면에 인쇄하는 전사롤러(31)와, 그 전사롤러(31)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용지(1)를 전사롤러(31) 측으로 압착시키는 정착롤러(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전사롤러(31) 및 정착롤러(32)는 베이스 프레임(3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2레버(34)(35)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2레버(34)(35)는 베이스 프레임(33)에 마련된 힌지축(33a)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그에 지지된 전사롤러(31) 및 정착롤러(32)를 승강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1,2레버(34)(35)의 회동에 의해 상기 감광벨트(10)와 전사롤러(31) 및 정착롤러(32)가 서로 밀착 또는 분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1,2레버(34)(35)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수단으로서는, 상기 제1레버(34)를 관통하여 베이스 프레임(33)에 고정되는 제1스크류(38)와, 그 제1스크류(38) 외주에 권회되어 상기 제1레버(34)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제1압축스프링(38a)과, 상기 제2레버(35)를 관통하여 제1레버(34)에 고정되는 제2스크류(39)와, 그 제2스크류(39) 외주에 권회되어 상기 제2레버(35)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제2압축스프링(39a)과, 상기 제1,2레버(34)(35)를 각각 하측에서 지지하는 제1,2캠부재(36)(37)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2레버(34)(35)는 상기 제1,2압축스프링(38a)(39a)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33a)을 중심으로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을 받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감광벨트(10)와 전사롤러(31) 및 정착롤러(32)는 서로 밀착되는 쪽으로 이동되려 하며, 이때 상기 제1,2레버(34)(35)를 받치고 있는 제1,2캠부재(36)(37)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한 감광벨트(10)와 전사롤러(31) 및 정착롤러(32)가 밀착되거나 분리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2캠부재(36)(37)가 제1,2레버(34)(35)를 들어올리는 쪽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2압축스프링(38a)(39a)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제1,2레버(34)(35)가 들어올려지게 되며, 제1,2캠부재(36)(37)가 반대로 회전하면 상기 제1,2압축스프링(38a)(39a)의 탄성력에 의해 제1,2레버(34)(35)가 눌려져서 결국 상기한 감광벨트(10)와 전사롤러(31) 및 정착롤러(32)가 밀착되는 것이다. 도면의 참조부호 40은 상기 감광벨트(10)에 현상된 현상액 중 액상의 캐리어를 증발 건조시키는 드라이어를 나타낸다.
그런데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제1,2레버(34)(35)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이 매우 커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서 상기 감광벨트(10)와 전사롤러(31) 사이, 및 전사롤러(31)와 정착롤러(32) 사이의 밀착력이 각각 80kgf 라면, 상기 제1,2압축스프링(38a)(39a)으로서 40kgf의 힘을 낼 수 있는 스프링을 앞쪽과 뒤쪽, 즉 도면에서 보이는 곳과 그 안쪽에 겹쳐져서 보이지 않는 곳에 각각 한쌍씩 설치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캠부재(37)는 상기 제2압축스프링(39a)에 의한 80kgf의 힘을 극복하면서 제2레버(35)를 회동시켜야 하며, 더욱이 상기 제1캠부재(36)는 상기 제1,2압축스프링(38a)(39a)의 합력에 의한 160kgf의 힘을 극복하면서 제1레버(34)를 회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감광벨트(10)와 전사롤러(31) 및 정착롤러(32)를 밀착 및 분리시키는데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되어, 동력의 소모가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적은 힘으로 감광벨트와 전사롤러 및 정착롤러를 착탈시킬 수 있도록 구조 개선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사장치가 채용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장치를 감광벨트와의 분리시 및 밀착시 각각의 경우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감광벨트 200...베이스 프레임
210...제1레버 211...전사롤러
220...제2레버 221...정착롤러
230...권취기어 241...브라켓
242...풀리 243...제2탄성부재
244...케이스 250...제1탄성부재
260...와이어 271...제1도르래
272...제2도르래 280...모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감광벨트로부터 화상을 전사받아 용지에 인쇄하는 전사롤러와, 상기 전사롤러와 밀착 회전되면서 용지를 그 전사롤러 측으로 압착시킴으로써 화상을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롤러와, 상기 전사롤러를 지지하며 그 전사롤러가 상기 감광벨트에 착탈되도록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레버와, 상기 정착롤러를 지지하며 그 정착롤러가 상기 전사롤러에 착탈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레버와, 상기 제1,2레버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제1,2레버를 상호 탄력적으로 이격시키도록 설치된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전사롤러 및 정착롤러를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상기 제1,2레버에 연결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권취함으로써 상기 제1,2레버가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접근되도록 하여 상기 전사롤러와 정착롤러를 밀착시키는 권취기어; 및, 상기 제1레버에 탄력적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권취기어가 상기 와이어를 풀어낼 때 상승하면서 상기 전사롤러가 상기 감광벨트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1레버를 들어올리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장치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200)에 마련된 힌지축(201)을 중심으로 제1,2레버(210)(220)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제1,2레버(210)(220)에 전사롤러(211)와 정착롤러(221)가 각각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1,2레버(210)(220)의 회동에 의해 감광벨트(100)와 전사롤러(211) 및 정착롤러(221)가 밀착되거나 또는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제1,2레버(210)(220) 사이에는 압축스프링(250; 이하 제1탄성부재라 함)이 설치되어 있어서 서로 벌어지는 쪽으로 탄성력을 받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레버(210)(220)에는 제1,2도르래(271)(272)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제1,2도르래(271)(272)에는 와이어(260)가 권회되어서 연결되어 있다. 이 와이어(26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에 설치된 권취기어(230)에 일단이 고정되어서 감겨지게 되며, 타단은 상기 제1도르래(271) 및 상기 제1레버(210)의 관통공(210a)를 통해 제2도르래(272)를 경유한 후 다시 제1레버(210)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권취기어(230)는 모터(280)에 의해 구동되어 정,역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권취기어(230)와 제1도르래(271) 사이에는 풀리(242)가 설치되어서 상기 와이어(260)가 걸쳐지게 되는데, 이 풀리(242)는 상기 제1레버(210)를 관통하여 설치된 브라켓(241)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브라켓(241)은 압축스프링(243; 이하 제2탄성부재라 함)에 의해 상승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게 된다. 참조부호 244는 상기 제2탄성부재(243)의 하단을 받치면서 상기 브라켓(241)의 상부와 상기 제2탄성부재(243)를 수납하는 케이스로서, 도면에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241)은 상기 제2탄성부재(243)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제1레버(210)를 들어올리는 쪽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인쇄작업을 위하여 상기 감광벨트(100)와 전사롤러(211) 및 정착롤러(221)를 밀착시킬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280)를 구동하여 권취기어(230)를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260)가 권취기어(230)에 감겨 들어오게 되며, 그 와이어(260)에 의해 연결된 제1,2레버(210)(220)가 상기 감광벨트(100) 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풀리(242)가 지지된 브라켓(241)도 상기 와이어(260)가 감겨짐에 따라 텐션에 의한 하방으로의 힘을 받게 되어 상기 제2탄성부재(243)의 탄력을 극복하면서 하강한다. 이로써 상기 브라켓(241)이 제1레버(210)를 떠받치던 힘도 해제된다. 따라서 와이어(260)를 감아들이면, 상기 제1,2레버(210)(220)가 모두 상기 힌지축(20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상기 감광벨트(100)와 전사롤러(211) 및 정착롤러(221)가 모두 밀착되는 것이다.
반대로 인쇄가 종료되어 상기 감광벨트(100)와 전사롤러(211) 및 정착롤러(221)를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모터(280)를 반대로 구동하여 상기 권취기어(2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권취기어(230)에 감겨져 있던 와이어(260)가 풀려나가게 되면서 팽팽하게 당겨져 있던 텐션이 해제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탄성부재(250)의 탄력에 의해 제1,2레버(210)(220)가 벌어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풀리(242)를 내리누르고 있던 와이어(260)의 텐션도 느슨해지게 되어, 상기 브라켓(241)이 제2탄성부재(243)의 탄성력을 받아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이 브라켓(241)이 상승하면서 상기 제1레버(210)를 밀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260)를 권취기어(230)에서 풀어냄에 따라 상기 감광벨트(100)와 전사롤러(211) 및 정착롤러(221)가 분리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사장치에 있어서는, 전사롤러(211)와 정착롤러(221)를 착탈 구동시킬 때의 동력이 전술한 종래의 구조에 비해 크게 감소된 값을 나타낸다. 즉, 상기 와이어(260)가 상기 풀리(242)와 제1,2도르래(271)(272)를 기준으로 양쪽에서 당기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도르래의 원리에 의해 절반의 동력으로도 동일한 힘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사롤러(211)와 정착롤러(221) 사이에 80kgf의 밀착력을 가하기 위해서는, 상기 와이어(260)에 40kgf의 힘만 걸려도 제2도르래(272)의 양쪽에서 당기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80kgf가 얻어지는 것이다. 더욱이 이와 같은 와이어를 채용한 구조를 도면에 보이는 앞쪽과, 보이지 않는 뒤쪽의 2군데에 설치하게 되면, 각각 20kgf의 힘에 해당되는 동력만 있으면 전체적으로 80kgf가 얻어진다.
따라서 적은 동력으로 감광벨트(100)와 전사롤러(211) 및 정착롤러(221)의 착탈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장치는, 기존에 비해 적은 동력으로 감광벨트와 전사롤러 및 정착롤러의 착탈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3)

  1. 감광벨트로부터 화상을 전사받아 용지에 인쇄하는 전사롤러와, 상기 전사롤러와 밀착 회전되면서 용지를 그 전사롤러 측으로 압착시킴으로써 화상을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롤러와, 상기 전사롤러를 지지하며 그 전사롤러가 상기 감광벨트에 착탈되도록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레버와, 상기 정착롤러를 지지하며 그 정착롤러가 상기 전사롤러에 착탈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레버와, 상기 제1,2레버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제1,2레버를 상호 탄력적으로 이격시키도록 설치된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전사롤러 및 정착롤러를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상기 제1,2레버에 연결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권취함으로써 상기 제1,2레버가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접근되도록 하여 상기 전사롤러와 정착롤러를 밀착시키는 권취기어; 및,
    상기 제1레버에 탄력적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권취기어가 상기 와이어를 풀어낼 때 상승하면서 상기 전사롤러가 상기 감광벨트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1레버를 들어올리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제1레버를 관통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브라켓과,
    상기 와이어가 걸쳐지도록 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권취기어가 와이어를 감아들임에 따라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1레버를 내리누르면서 하강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된 풀리와,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1레버를 들어올리도록 상승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권취기어에 고정되어 감겨지고,
    타단은 상기 풀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제1도르래에 권회된 후, 상기 제1레버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2레버에 설치된 제2도르래에 걸쳐지고, 다시 상기 제1레버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장치.
KR1019980031167A 1998-07-31 1998-07-31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장치 KR100311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167A KR100311018B1 (ko) 1998-07-31 1998-07-31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장치
US09/362,677 US6058286A (en) 1998-07-31 1999-07-29 Transfer unit of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167A KR100311018B1 (ko) 1998-07-31 1998-07-31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296A KR20000010296A (ko) 2000-02-15
KR100311018B1 true KR100311018B1 (ko) 2001-11-17

Family

ID=19545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167A KR100311018B1 (ko) 1998-07-31 1998-07-31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058286A (ko)
KR (1) KR1003110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2764A (ja) * 2002-01-07 2003-07-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KR100495009B1 (ko) * 2003-07-02 2005-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 장치의 전사벨트 텐션 자동 인가 장치
KR100707272B1 (ko) * 2004-09-24 2007-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벨트전사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E102006044610B4 (de) * 2006-09-19 2008-11-20 WINKLER+DüNNEBIER AG Vorrichtung zum Schneiden und/oder Prägen eines Zuschnittes oder einer Materialbahn
JP6498039B2 (ja) * 2015-05-28 2019-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JP6900718B2 (ja) * 2017-03-15 2021-07-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定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5268A (ja) * 1981-12-18 1983-06-23 Fuji Xerox Co Ltd 電子写真複写機の転写装置
NL8300415A (nl) * 1983-02-04 1984-09-03 Oce Nederland Bv Transferinrichting.
US5150161A (en) * 1991-04-09 1992-09-22 Olin Corporation Color printing apparatus and process using first and second transfer surfaces
US5374982A (en) * 1994-01-12 1994-12-20 Hewlett-Packard Company Mechanism for controlling roller contact in a liquid electrophotography system
KR100234328B1 (ko) * 1997-08-28 1999-12-15 윤종용 레이저프린터용 롤러이격장치
KR100255647B1 (ko) * 1997-08-30 2000-06-01 윤종용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296A (ko) 2000-02-15
US6058286A (en) 2000-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5396A (en) Laser printer having a distance and tension controller
US4522520A (en) Device for adjusting printing paper tension in a printer
KR100311018B1 (ko)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장치
KR100260423B1 (ko) 정착기의 가압롤러 분리장치
JPH03128254A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S6315639Y2 (ko)
US5695291A (en) Thermal-transcription printer
EP1053886B1 (en) Stencil printer having carriage for guiding leading end of stencil sheet
JP2830528B2 (ja) シート状物保持装置
JP2970099B2 (ja) 円筒状胴表面のシート状物保持装置
US4982229A (en) Vacuum contact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having a friction-reducing sheet
KR20010004136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 유닛
JP2000029323A (ja) 湿式電子写真方式プリンタのスキ―ズロ―ラ―昇降装置
CN209784736U (zh) 分离爪组件结构及纸张分离系统
JPH031259Y2 (ko)
KR100225228B1 (ko) 소형 프린터의 리본 색상 변환 장치
KR20110005354A (ko) 롤프린팅 장치
JP2000147854A (ja) 画像形成装置
JP3242768B2 (ja) 原稿読取装置
KR100382643B1 (ko) 프린터의 전사 롤러 클리닝장치
KR100224911B1 (ko) 프린팅장치
JP2836306B2 (ja) しごきローラー付き画像転写装置
JP3473804B2 (ja) 孔版式製版印刷装置の版胴
JPH0343989B2 (ko)
JPH042534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