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0804B1 - 전기적접속장소에사용하여통전성을얻기위한부재및도구 - Google Patents

전기적접속장소에사용하여통전성을얻기위한부재및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804B1
KR100310804B1 KR1019980701436A KR19980701436A KR100310804B1 KR 100310804 B1 KR100310804 B1 KR 100310804B1 KR 1019980701436 A KR1019980701436 A KR 1019980701436A KR 19980701436 A KR19980701436 A KR 19980701436A KR 100310804 B1 KR100310804 B1 KR 100310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grinding
screw member
blade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4200A (ko
Inventor
쯔요시 우노
Original Assignee
쯔요시 우노
나카수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요시 우노, 나카수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쯔요시 우노
Publication of KR19990044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8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4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4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improving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6Connection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parts has projections which bite into or engage the other connecting part in order to improve th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4Conductive members located under head of scre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1/00Expanded, threaded, driven, headed, tool-deformed, or locked-threaded fastener
    • Y10S411/909Fastener or fastener element composed of thermo-responsive memor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Milling, Broaching, Filing, Reaming, And Other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체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때 도체 표면의 도료, 녹 등통전성을 저해하는 절연물을 제거하여, 전기적 접속 장소에서 양호한 통전성을 얻기 위한 부재 및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원에서는, 「도체」 표면의 각종 절연물로 덮여 있는 접속 예정 장소를 연삭하여 제거하기 위한 칼날 부재를 소경으로 감아 붙이는 것이 가능한 가요성을 갖는 대략 띠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 금속판의 긴 쪽 방향 한 변이 연삭강도를 갖는 대략 톱날 형상의 날을 이루도록 하였다.
다음에, 「도체」표면의 각종 절연물로 덮여 있는 접속 예정 장소에 취부되는 부재인 개재물을 제안하고, 이 개재물을 통하여 「도체」와 「다른 도체」 사이의 통전성이 양호하게 되도록 하였다. 그 하나는 통전성을 갖는 나사 부재로서, 이 나사 부재의 피취부면에 면하는 줄 부분을 갖도록 하였다. 또한, 마찬가지로
줄 부분을 갖는 좌금 부재와, 이를 편입한 좌금 편입 나사 부재를 얻었다. 또는,도체에 계지된 연결재의 언결 접속 부분에 상기 나사 부재를 체부하여 다른 도체에
접속시켰다. 또는, 접속 장소를 연삭하는 연삭구에 상기와 마찬가지의 줄 부분을구비시켰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부재 및 도구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도체와 도체를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때 도체 표면의 도료, 녹, 오염등 통전성을 저해하는 절연물을 제거하여, 접속 장소에서 양호한 통전성을 얻기 위한 부재 및 도구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도체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예로서, 접지의 코드 단자를 배전반등의 하우징 측에 접합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접지에 한정되지 않으면, 도체와 도체의 전기적 접속에는 전기 코드를
분전기의 단자대 또는 전기기구의 단자구에 접속하는 경우라든가, 전기 코드끼리 접속하는 경우라든가, 변압기와 같은 큰 전류를 취급하는 장소에서 동(銅) 막대와
동 막대를 접속시키는 경우라든가, 또는 자동차의 배터리 단자에 코드 단자를 접속시키는 경우 등이 있다.
그런데, 이들 접속 장소는 각종의 절연물에 의해 통전성이 저해되는 일이 종종 있다.
먼저, 접지의 코드 단자를 접속시키는 경우, 접속 상대로 되는 각종 기구의
하우징이라든가 중간판 등은 본래 전기가 흐르지 않는 부재이고, 녹방지 및 미관을
배려하여 도료가 도장되어 있는데 이 도료가 절연물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 위로부터 코드 단자를 나사 체결하여 접속하여도 도료로 인해 전기적 접속이 저해되어 버려, 누전 대책으로서 접지가 필요한 때 접지로서의 기능이 충분히 얻어지지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줄 등으로 도료를 제거하여 접속시키고 있다. 단, 큰설비라면 배전반 등도 다수에 이르고 배전반의 하나의 하우징으로부터라도 다수의접지를 끌어내는데, 모두를 줄질하는 것은 큰 부담이 된다.
반대로, 도료를 제거한다든가 하여 충분한 통전성을 얻어도 하우징의 중간은각종 기구를 취부하기 때문에 중판 또는 각종 용도의 앵글재 등이 많이 취부되어있어 이들 전부에 접지접속을 시행할 수는 없다. 이에 대해서는, 접지되지 않은 부재가 접지되어 있는 하우징 등의 부재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간접적으로 접지가 되는 일이 있다. 단, 이와 같은 접촉은 전기적 접속을 의도한 것은 아니어서 충분하게 통전성이 얻어지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문제는 내부에 다수의 전선을 통하는 전선관에도 언급될 수 있다. 전선관은 배전반으로부터 끌어내거나 또는 중계 분전반 등으로 끌어 보내고 끌어내고 있다. 이 전선관은 다수가 금속제이기 때문에 접지되어 있는 배전반, 분전반의 하우징을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지를 얻고 있다. 그러나, 하우징과 전선관의 접속부분 역시 원래 전기를 통하도록 예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것도 충분하게 통전성이 얻어지지는 않는다.
이 밖에도, 접지를 취하는 방법은 여러 종류에 걸쳐 있는데, 예를 들어 하우징 내의 원하는 장소에 접지 단자용의 나사 구멍이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하우징 내의 핸드 가까이에 있는 L자강, U형강 등의 앵글재에 걸려 있는 관통 구멍도 이용하여, 여기에서 접지를 취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접지 이외의 경우로, 전기 코드를 분전반의 단자대 또는 전기 기구의 단자구에 접속하는 경우라든가, 전기 코드 끼리 접속하는 경우라든가, 변압기와 같이 큰 전류를 보급하는 장소에서 동 막대와 동 막대를 접속하는 경우라든가, 또는 자동차의 배터리 단자에 코드 단자를 접속하는 경우 등, 어느 것이나 당초부터 전기적 접속을 하기 위한 것이다. 그 밖에, 코드 단자이면 동 계열의 금속에 알루미늄 도금을 시행하는 등, 통전성 확보를 위한 배려가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서 전체가 그렇다고는 말할 수 없다. 예를 들면, 단자대에 아무 것도 접속하지 않고 노출한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부유 먼지가, 나오는 공장에서는 단자대에 먼지가 고착되어 버린다. 또, 약품을 가까이에서 사용하면 단자대의 표면에 화학 변화에 의한 피막이 생겨버린다. 또한, 습기가 많은 장소라면 녹이 생기는 등, 요는 절연성의 피막이 생겨버리는 일이 일어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자대에는 코드 단자를 접속하여도 예정된 통전성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 또, 큰 전류가 흐르는 동 막대 등과 같이 원래 표면의 오염 제거 처리가 되지 않은 부재라면 처음부터 오염되어 있는 것이다. 게다가, 자동차 몸체의 단자라면 어느정도의 기름 오염이 처음부터 부착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여기에 단자 등 다른 부재를 접속하여 전기적 접속을 얻으려면 이들
절연물을 무엇인가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문제에 대하여, 본발명의 과제는 도체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때 도체 표면의 도료, 녹, 오염 등 통전성을 저해하는 절연물을 제거하여 전기적 접속 장소에서 양호한 통전성을 얻기 위한 부재 및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이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에서 제안하는 수단을 우선 설명한다.
본원에서는,「도체」의 표면에 「다른 도체」를 접속시켜 통전성을 얻는 경우 「도체」표면의 각종 절연물로 덮여 있는 접속 예정 장소를 연삭하여 제거하기 위한 칼날 부재(刃材)를 제안하였다.
다음에, 「도체」 표면의 각종 절연물로 덮여 있는 접속 예정 장소에 취부되는 부재인 개재물을 제안하고, 이 개재물을 개재하여 「도체」 와 「다른 도체」 사이의 통전성을 양호하게 하도록 하였다.
그 개시는 줄 부분을 갖는 나사 부재로, 절연물로 덮인 접속 장소에 나사 부재를 조이는 것에 의해 「도체」 의 표면을 연삭하여 절연물을 제거하여, 「도체」와 나사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수단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 나사 부재에 「다른 도체」 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전기적으로 「도체」 와 「다른 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또 이와는 별도로, 줄 부분을 갖는 좌금(座金) 부재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나
사를 조이는 것에 의해 역시 「도체」의 표면을 연삭하여 절언물을 제거하는 것으로, 이 좌금 부재를 개재하여 도체와 나사 부재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수단을 이용하였다. 이에 의해 상기와 마찬가지로 「도체」 와 「다른 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또 이와는 별도로, 나사에 줄 부분을 갖는 좌금 부재를 편입시킨 좌금 편입 나사 부재를 조이는 것에 의해, 좌금 부재를 개재하여 도체와 나사 부재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수단을 이용하였다. 이에 의해 상기와 마찬가지로 「도체」와 「다
를 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또 이와는 별도로, 접속 장소에 연결재를 걸어 쌍방의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수단을 사용하였다.
끝으로, 개재물로서의 부재는 아니지만 접속 표면의 절연물을 직접 제거하는
연삭구를 사용하여, 이에 의해 도체와 다른 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였다.
이하, 상기의 각 수단을 상세히 설명한다.
(칼날 부재(刃材) 수단)
청구항 1에서는,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해 도체의 표면을 연삭하는 칼날 부재로서, 소경(小徑)으로 감길 수 있는 가요성(可橈性)을
갖는 금속판으로, 이 금속판을 상기 소경으로 감아 붙여 대략 원통 형상을 형성할
경우, 이 대략 원통 형상의 일단측에 대응하는 상기 금속판의 한쪽 변이 연삭 강도를 갖는 대략 톱날 형상의 날을 이루는 것을 요지로 한다. 금속판으로는 동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대략 톱날 형상도 연삭의 대상물에 맞춰지는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형 날이 권장된다. 이 칼날 부재는 소경으로 감겨져 통상 또는 원환상을 이루어, 그 칼날 끝이 자르게 되는 연삭재로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체 등의 표면에 누르면서 회전/회동(이하, 통합하여 「회전」이라 한다)시키는 것에 의해 연삭재가 도체 표면을 연삭하는 동시에, 연삭재 의 칼날이 꺾여서 틈새 없이 변형되어 가므로 도체 표면이 고르게 연삭된다. 칼날부재를 감을 때 그 칼날 끝을 내측으로 약간 좁혀두면 칼날이 전부 내측으로 눕게되므로 양호한 연삭이 얻어져 바람직하다. 또, 이와 같은 연삭재라면 도체 표면이다소 곡면이어도 이 곡면 형상에 따라 연삭하는 일이 가능하다. 따라서, 후술하는각종 부재의 일부로서 감기는 것에 의해 우수한 연삭 작용이 얻어질 수 있다.
청구항 2에서는, 이 칼날 부재를 형상 기억 합금으로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이 칼날 부재를 감아서 되는 연삭재에 꺾이기 전의 형상을 기억시켜 두면, 연삭에 사용하여 연삭재의 칼날이 꺾여도 가열을 함으로써 형상 기억 효과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므로 반복 사용할 수 있다.
(나사 부재 수단)
청구항 4에서는,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나사 부재를 사용하는 수단으로서, 통전성을 갖는 나사 부재에 있어서 이 나사 부재를 체결하는 피취부면에 면하는 줄 부분을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 나사 부재를 표면이 절연물로 덮여 있는 도체에 나사 체결하면, 줄 부분이 나사 부재의 피취부면에 회전 가압되어 연삭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 연삭에 의해 도체 표면의 절연물이 연삭되어 제거될 수 있고, 따라서 도체의 지금이 노출되어 여기에 나사 부재의 좌면이 가압된다. 이 때문에 도체와 나사 부재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나사 부재에 어떠한 방법으로든지 다른 도체를 취부하면 최종적으로 도체와 다른 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나사 부재는 수나사의 볼트 부재이어도, 암나사의 너트 부재이어도 좋다. 줄 부분은 상기 나사 부재가 나사 체결되는 경우 이 나사 체결 장소에서 회전 가압되는 것에 의해 줄 부분의 칼날이 꺾여서 대략 균일한 면의 좌면을 이루도록 하였다. 이에 의하면, 칼날이 꺾여 틈새 없이 변형되어 가므로 도체 표면이 고르게 연삭된다. 또한, 피취부면에 대략 균일한 면의 좌면이 가압되는 것에 의해 통전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5에서는, 이와 같은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줄 부분으로 적합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칼날 부재를 감아 붙여 줄 부분을 구성하였다. 이에 의하면 나사 부재의 줄 부분을, 확실히 연삭 가능하게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청구항 6에서는, 상기 각 나사 부재의 일 형태로서, 6각 볼트에 예시된 바와 같은 두부와 나사부를 이루는 축부를 갖는 볼트 형상의 나사 부재를 들어, 상기 두부가 상면에 나사 구멍을, 좌면측으로 되는 하부에 상기 줄 부분을 각각 갖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하면, 상면의 나사 구멍을 사용하여 접지 코드라든가 각종 전기코드의 단자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7에서는, 청구항 6 기재의 볼트 형상의 나사 부재에 있어서, 상기 두부가 외주면에 수나사를 갖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두부에 너트를 나사 결합시켜 상기 나사 부재의 피취부면에 조일 수 있어 나사 부재에 인장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8에서는, 청구항 7 기재의 볼트 형상의 나사 부재에 있어서, 상기 두부의 외주면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와, 이 너트재의 좌면과 상기 피취부면 사이를 밀착시키는 밀착 수단을 갖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나사 부재와 피취부면의 접속 장소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9는, 청구항 6∼8에 따른 나사 부재와는 줄 부분의 위치가 다른 것이다. 요컨대, 볼트 형상을 이루는 나사 부재에 있어서 그 줄 부분을 나사 체결에 따른 나사 부재의 진행 방향측으로 되는 상기 볼트 형상의 선단측에 설치하였다. 이의 사용 방법은, 나사 부재를 「다른 도체」의 일면측으로부터 나사 결합시켜 나사 부재의 선단측이 「다른 도체」의 표면에 돌출하도록 나사 체결하고, 이 돌출선단에 있는 「도체」에 회전 가압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나사 부재의 선단측의 줄 부분이 「도체」의 피취부면에 회전 가압되어 연삭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연삭에 의해 도체 표면의 절연물을 연삭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도체의 지금이 노출되고 여기에 나사부재의 좌면이 가압된다. 이에 의해 도체와 나사 부재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나사 부재는 「다른 도체」에 나사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 「도체」와 「다른 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청구항 10은, 볼트 형상의 나사 부재에 있어서 줄 부분의 설치 방법을 상기의 어느 것과도 다르게 한 것으로, 이 줄 부분은, 상기 나사 부재에 각인 설치된 간극에 수납하여 좌면으로부터 돌출시킨 연삭재와 이 연삭재를 상기 돌출 방향으로 붙이는 용수철을 갖고, 또한 나사 체결시 상기 나사 부재의 피취부면에 회전 가압되면서 상기 좌면의 안쪽 방향으로 눌러 돌려져 수납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의해 피취부면을 연삭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도체」 와 「다른도체」의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또, 줄 부분은 연삭재와 좌면을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줄 부분에 통전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되어 설치 방법의 자유도가 높게 된다. 또한, 좌면은 통전성 향상 만을 추구하여 넓은 접촉면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연삭재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피취부면에 회전가압되어 있는 경우 중에서 비교적 균일한 가압력을 계속하여 얻을 수 있다. 또, 나사 체결 도중 나사를 체결 방향/푸는 방향으로 회동 운동을 반복하면 푸는 방향으로 돌릴 때에도 눌러 돌리는 것에 의해 연삭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반복하여 연삭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11은, 청구항 4∼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나사 부재를 너트 형상으로 한 것이다. 이 너트 형상의 나사 부재는 「도체」의 원하는 장소에 나사 구멍이 아니라, 그 대신에 관통공을 이용하도록 한 사용예를 상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하우징 내에는 중판 이외에 L형강, U형강 등의 앵글재가 취부되어 있는데, 이들은 관통공을 갖는 것이 많아 이 관통공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관통공에 일반적인 볼트를 관통시키고, 도체의 반대측으로부터 본 청구항의 너트 형상의 나사재를 나사 체결하면, 나사체결에 의해 도체의 피취부민을 연삭하여 절연물을 제거하고 너트 형상의 나사부재와 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이 너트 형상의 나사 부재는 나사 체결한 볼트와도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이 볼트를 개재하여 코드 단자 등을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12에서는 나사 부재를 너트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줄 부분은, 상기 나사 부재에 각인 설치된 간극에 수납하여 좌면으로부터 돌출시킨 연삭재와 이 연삭재를 상기 돌출 방향으로 붙이는 용수철을 갖고, 또한 나사 체결시 상기 나사 부재의 피취부면에 회전 가압되면서 상기 좌면의 안쪽 방향으로 눌러 돌려져 수납되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10과 마찬가지로, 줄 부분의 설치 방법의 자유도가 높고 좌면은 접촉면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줄 부분은 비교적 균일한 가압력을 계속하여 얻을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반복하여 연삭할 수 있다.
(좌금(座金) 부재 수단)
청구항 13에서는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좌금 부재의 편면(片面)에 줄 부분을 설치하였다. 이에 따라 이 좌금 부재를 사용하여 나사를 체결하여 나사의 피취부면을 연삭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때 줄 부분이 연삭시 꺾이게 되어 연삭이 종료될 때에는 대략 균일한 면으로 되는 좌면으로 작용하도록 하였다. 또는, 이 좌금 부재를 일반적인 줄로 사용하여 나사의 피취부면의 연삭을 사전에 행한 후 이 좌금 부재에 나사를 통과시켜 본래의 좌금으로 사용하여도 좋다. 이 때, 코드 단자 등의 「다른 도체」를 좌금과 함께 체결하여도 좋다.
청구항 14는, 청구항 13 기재의 좌금 부재가 계지(係止) 수단에 의해 나사와 운동하여 회전되도록 한 것으로, 나사 체결의 과정으로 나사의 피취부면이 좌금 부재로 연삭되도록 되어 있다.
청구항 15에서는, 청구항 13 기재의 좌금 부재를 드라이버, 렌치 등의 도구등을 보조 도구로 사용하여, 이 보조 도구에 계지되어 피취부면에 가압 회전되어 간단한 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좌금 부재에 십자 또는 일자 형상의 드라이버 홈을 설치하고, 이 홈에 십자 드라이버 또는 일자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가압 회전시키는 것이다.
청구항 17에서는, 이와 같은 전기적 접속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줄 부분을 구성하는 바람직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1 또는 2의 칼날 부재를 감아 붙여 줄 부분을 구성하였다. 이에 의하면 좌금 부재의 줄 부분을, 확실히 연삭가능하게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청구항 18은 줄 부분의 구성을 청구항 17과는 별도로 설치한 것으로, 좌금부재의 재료판을 두드려 빼서 손톱 형상으로 날을 세운 것이다. 이에 의하면, 역시 확실히 연삭가능한 줄 부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19에서는, 청구항 13∼15, 17, 18에 기재된 좌금 부재를 대략 원주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대략 원주 형상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동시에 상기 좌금 부재를 사용한 나사가, 나사 결합 가능한 암나사와, 외주면에 수나사를 갖고 또한 이 수나사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재와, 이 너트재의 좌면과 상기 피취부면의 사이를 밀착시키는 밀착 수단을 갖도록 하였다. 이에 의하면, 좌금 부재의 암나사에 나사를 나사 결합시켜 나사의 두부에 당접하도록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나사와 운동하여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피취부면을 연삭할 수 있다. 또한, 좌금 부재와 피취부면의 접속 장소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20에서는, 통전성을 갖는 대략 원주체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대략 원주체의 외주면에 수나사를 갖는 좌금부와, 상기 수나사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재와, 이 너트재의 좌면과 상기 좌금부를 사용하는 나사체결의 피취부면 사이를 밀착시키는 밀착 수단을 갖도록 하였다. 이것은, 피취부면의 절연물이 사전에 연삭되어 있거나, 또는 절연물의 부착이 당초부터 없는 등 전기적 접속 자체는 문제가 없는 경우 그 후의 접속 부분의 녹방지를 상정한 것으로, 좌금부와 피취부면의 접속 장소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좌금 편입 나사 부재 수단)
청구항 21에서는, 나사에 청구항 13∼15, 17∼20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좌금부재를 편입하여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는 통전성을 얻기 위한 좌금 편입 나사부재로 하고 있다. 나사는 볼트라도 너트라도 좋다. 이에 따라, 청구항 13∼20에 따른 작용 외에도 당초부터 좌금 부재를 편입시키기 위한 취급이 간단하게 된다. 또한, 좌금 부재를 나사의 회전에 운동시키기 쉽게 된다.
청구항 22에서는, 볼트 형상의 나사에 좌금 부재를 편입하기 위한 일 수단으로서, 나사의 축부에 계합홈을 설치하고 이 계합홈에 계합하는 볼록부를 좌금 부재측에 설치하였다.
(연결재와 단자판 수단)
청구항 23에는, 전선관의 접지를 취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연결재를 기재하었다. 이것은 전선관을 배전반의 하우징 박스 등에 접속시킬 때, 접속 장소에 연결재를 계지시켜 전선관과 연결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였다. 한편, 이 연결재의 연결 설치 부분에는 나사를 나사 체결하기 위한 너트부를 설치하고, 이와 마찬가지로 나사 체결한 나사가 하우징박스 등에 전기적 접속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전선관과 하우징 박스 등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청구항 24에서는, 청구항 23과 유사하면서 상기의 너트부 대신 너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취부한 취부부를 갖는 단자판을 사용하였다. 이 단자판에 너트 부재를 취부시키면 상기의 연결재로 되는데, 전선관의 구경이 수cm 로부터 20 cm이상으로 다양하여, 본 청구항에서와 같이 단자판만 구경에 맞추어 다수 준비하면 이에 취부되는 너트 부재는 공통화할 수 있는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연삭구 수단)
청구항 25에서는, 전기적 접속 장소로 되는 「도체」의 표면을 연삭하여 도료, 녹, 오염 등 절연성의 피장물을 제거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연삭구를 제공하였다. 구체적 수단으로는 줄 부분과, 이 줄 부분의 줄 면을 상기 원하는 장소에 가압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롤 포함하도록 하였다. 또한 줄 부분을 회전 가압시키면서 줄 부분의 날이 꺾여 대략 균일한 면으로 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칼날이 꺾여 틈새 없이 변형되어 가는 것에 의해 도체 표면이 고르게 연삭된다. 「다른 도체」의 대다수는 코드 단자인데, 본 청구항의 연삭구에 의하면 원형으로 연삭할 수 있기 때문에 코드 단자의 접속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연삭이 가능하다.
청구항 26에서는, 「도체」 표면에 나사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제안하여, 줄 부분의 연삭을 하는 줄 면의 대략 중앙에 상기의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할수 있는 조임부를 돌출시켰다. 이에 의해 연삭을 할 경우, 연삭구의 위치 결정이가능한 동시에, 나사 체결에 의한 가압력이 얻어진다. 또한, 「도체」 의 대다수는, 일반적인 줄 등 각종 연삭 도구로 연삭하게 된 경우 이들 연삭 도구를 마찰시키기 위한 왕복 운동을 할 작업 공간이 접속 대상인 「도체」 표면 근방에는 없는 경우가 많다. 예로서, 배선이 길게 또는 배선반의 가운데에 일반적인 줄을 삽입하여 왕복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배선이라든가 각종 기구가 방해가 되어 대단히 곤란하다. 그러나, 본 청구항의 연삭구는 접속에 필요한 면적 상당의 작은 줄 면을구부리기만 하면 되고 회전 운동 조작에 의해 연삭하기 때문에, 연삭 장소의 주변에 왕복 운동 등을 위한 작업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27에서는, 「도체」 표면에 나사 구멍 또는 관통공 등의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제안하였는데, 이 구멍에 청구항 26의 나사부 대신 설치한 심부(芯部)를 삽입하여 회전 조작시 위치 결정하는 축부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청구항
26과 마찬가지로, 혼잡한 장소라도 연삭구를 구부릴 공간만 있으면 되고 그 이상의
작업 공간이 필요하게 되지는 않는다.
청구항 28은 구멍 등이 없는 「도체」 평면을 연삭하기 위한 것으로, 이 표면에 흡착된 고정부에 암나사를 갖는 통부(筒部)를 가지므로 여기에 나사 결합부를 나사 체결하여 나사를 도입하면 이 선단의 줄 부분이 「도체」 표면을 연삭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구멍이 없어도 위치 결정이 가능하고 나사 체결에 의해 연삭을 위한 가압력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30에서는, 이와 같은 줄 부분의 바람직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칼날 부재를 권장하여 줄 부분을 구성하였다. 이에 의해 연삭구의 줄 부분을, 확실히 연삭 가능하게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청구항 31에서는, 줄부분올 예를 들어 나사 등으로 눌러 돌리는 것이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줄 부분을 피취부면에 회전 가압시키는 중에 비교적 균일한 가압력을 계속하여 얻을 수 있다.
청구항 32에서는, 줄 부분이 상기 연삭구의 상단 방향으로 부착되고, 동시에
눌러 돌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연삭재를 갖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청구항 10과 마찬가지로 줄 부분이 비교적 균일한 가압력을 계속하여 얻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반복하여 연삭할 수 있다.
청구항 33에서는, 연삭재를 교환 가능하게 하여 줄부분의 칼날이 꺾여도 줄부분의 갱신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청구항 1 가재의 칼날 부재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칼날 부재를 소경으로 다중 감아 붙이고 계지편을 꺾어 겹쳐서 감아 저지시켜 된 연삭재를, 감아 붙인 소경(小徑)을 생략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다른 칼날 부재를 소경으로 한겹 감아 붙이고 칼날의 양단을 소경으로 계지시켜 된 연삭재를, 감아 붙인 소경을 생략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다른 칼날 부재를 소경으로 한겹 감아 붙이고 칼날의 양단을 서로 계지시켜 된 연삭재를, 감아 붙인 소경을 생략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청구항 6 기재의 볼트 형상의 나사 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나사 부재의 줄 부분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5의 나사 부재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5의 나사 부재를 피취부면에 나사 체결한 모양의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다른 볼트 형상의 나사 부재의 설명도, 도 10은 다른 볼트 형상의 나사 부재의 설명도, 도 11은 다른 볼트 형상의 나사부재의 설명도, 도 12는 청구항 7 기재의 볼트 형상의 나사 부재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나사 부재의 부분 단면을, 연삭재를 생략하여 설명한 도면, 도 14는 도 12의 나사 부재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나사 체결한 나사 부재의 피취부면과의 접촉 부분을 녹방지를 위하여 밀폐한 스커트재의 사용예를, 도 12의 나사 부재를 사용하여 설명한 도면, 도 16은 청구항 8 기재의 나사 부재를 피취부면으로 되는 하우징의 나사 구멍에 드라이버로 나사 체결하고, 그 후 너트재가 실제로는 상면측이 나사 결합되고, 최후에 나사 부재 상면의 나사 구멍에 코드 단자를 접속하는 모양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나사 부재의 줄 부분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도 18은 도 16에 나타낸 나사 부재의 너트재를 나사 결합한 모양의 사시도, 도 19는 도 16의 나사 부재를 피취부면에 나사 체결한 전후 모양의 단면을 설명한 도면,도 20은 청구항 9 기재의 볼트 형상의 나사 부재의 사시도로, 연삭재는 펀치로 코킹한 것이고(도면중의 P), 도 21은 도 20에 나타낸 나사 부재의 줄 부분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견부에 코킹용의 오목부가 준비되어 있고, 도 22는 도 20의 나사 부재의 X-X 단면도, 도 23은 청구항 9 기재의 볼트 형상의 나사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도 20의 나사 부재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중판의 나사 구멍에 드라이버로 나사 체결된 나사 부재는 그 줄 부분으로 하우징의 표면을 연삭하는 동시에 균일한 면으로 꺾여 가압되고, 최후에 나사 부재 상면에 접지의 코드 단자를 접속하는 예이고, 도 25는 도 20의 나사 부재의 줄 부분이 균일한 면으로 꺾여 좌면을 이루는 모양의 도면, 도 26은 도 20의 나사 부재가 도 24의 사용예에 따라 취부되는 모양의 도면, 도 27은 배전반 하우징의 가운데에 중판이 취부되는 모양 및 중판의 용도를 설명하는 도면, 도 28은 도 20의 나사 부재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29는 청구항 10 기재의 볼트 형상의 나사 부재의 사시도, 도 30은 도 29에 나타낸 나사 부재의 줄 부분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 도 31은 도 29의 나사 부재로 하우징에 중판을 취부시킨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 나사 부재에 접지 단자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과 중판 양 방향의 접지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고, 도 32는 청구항 11 기재의 너트 형상의 나사 부재의 분해도를 그 사용예와 함께 나타낸 도면, 도 33은 청구항 12 기재의 너트 형상의 나사 부재의 분해도를 그 사용예와 함께 나타낸 도면, 도 34는 청구항 11 기재의 너트 형상의 나사 부재의 다른 예의 설명도, 도 35는 청구항 14 기재의 좌금 부재를 편입한 청구항 21 기재의 좌금 편입나사 부재의 분해도와 사시도, 도 36은 청구항 17 기재의 좌금 부재를 편입한 청구항 21 기재의 좌금 편입 나사 부재의 분해도와 사시도, 도 37은 청구항 18 기재의 좌금 부재를 편입한 청구항 21 기재의 좌금 편입나사 부재의 분해도, 도 38은 도 37에 나타낸 좌금 편입 나사 부재에 편입되는 좌금 부재의 도면, 도 39는 도 37에 나타낸 좌금 편입 부재를 접지 단자의 접속에 사용한 사용예로, 접지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커버를 다시 덮은 것이고, 도 40은 청구항 19 기재의 좌금 부재를 편입한 청구항21 기재의 좌금 편입 나사 부재의 분해도, 도 41은 청구항20 기재의 좌금 부재를 편입한 청구항 21 기재의 좌금 편입 나사 부재의 분해도, 도 42는 청구항 23 기재의 연결재에 나사 부재를 체결한 모양의 설명도,도 43은 도 42에 나타낸 연결재를 사용하여 전선관을 배선반 하우징의 접합구에 접합하는 모양의 설명도, 도 44는 도 42에 나타낸 연결재를 사용하여 전선관을 배선반 하우징의 접합구에 접합하는 모양을 단면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 45는 너트 부재에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은 용수철을 계합시켜 나사 부재가 느슨해 지는 것을 막는 설명도, 도 46은 너트 부재에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은 용수철을 계합시켜 나사 부재가 느슨해 지는 것을 막는 설명도, 도 47은 연결재의 다른 예의 사시도, 도 48은 단자판의 예의 사시도, 도 49는 단자판의 다른 예의 사시도, 도 50은 잠금 너트의 주위에 청구항 9에 따른 나사 부재를 나사 체결하는 설명도, 도 51은 청구항 26 기재의 연삭구의 설명도, 도 52는 청구항 26 기재의 연삭구의 설명도, 도 53은 청구항 27 기재의 연삭구의 설명도, 도 54는 청구항 27 기재의 연삭구의 설명도, 도 55는 청구항 32 기재의 연삭구의 설명도, 도 56은 청구항 28 기재의 연삭구의 설명도.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에 나타낸 칼날 부재 1은 두께 약 0.8mm의 동판 4로 이루어지며 폭 약 1 cm, 길이 약 9 cm의 띠 형상으로 절단해 낸 것으로, 이 동판의 긴 쪽 방향 한 변에 높이 약 5 mm, 폭 약 5mm의 ∧자형 톱날 형상의 날 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각종 소경으로 감아 붙이는 것에 의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통상 또는 원환상의 연삭재를 형성할 수 있어 간단하게 소경의 줄로 금속 표면의 도료, 오물, 녹 등을 연삭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삭재 3의 연삭 동작은 어떠한 모양이라도 좋지만, 원하는 장소에 눌러 닿게 하여 소경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동작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삭재 3의 칼날 2는 가압에 저항 강도를 가지면서도 순차적으로 꺾여 가는 소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 예로, 이와 같이 꺾이는 것에 의해 원하는 장소를 빠짐없이 연삭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감아 붙여 원통상 등으로 되는 ∧자형 연삭재의 칼날 2를 소경의 축심 방향으로 약간 경사지게 내측으로 약간 좁혀 두면 칼날 2가 모두 내측으로 쓰러지기 때문에, 감아 붙인 경우의 원통 단면적에 대응하는 연삭면이 얻어져 바람직하다. 또한, 소경으로 감아 붙이는 것은 어떤 모양이어도 좋고, 소경을 생략한 도 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다중감아 붙여 계지편 4a,4b를 이용하여 칼날 부재 1 종단에서 감아 저지하는 방법이 있다. 도 3에서는 한 겹으로 감아 붙인 소경의 측민에서 칼날 부재 1의 양단 R, T를 계지시키고 있다. 도 4에서는 칼날재의 기단측 R에 손톱부 5를 관철시키고, 종단측 T에는 이 손톱부 5를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큰 손톱 구멍 6이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감아 붙인 경우에는 손톱부 5를 일으켜 이것을 손톱 구명 6에 통과시켜 계지하고, 이어서 손톱부 5를 꺾어 굽혀 종단측 T를 감아 저지시키는 방법도 좋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포트 용접으로 감아 붙인 칼날 부재를 소경으로 용접하여도 좋다.
또한, 칼날 부재에 동 계열의 형상 기억 합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연삭재의 칼날이 꺾이기 전의 형상을 기억시켜 두면, 꺾임에 의한 변형 후에도 가열을 하여 형상 기억 효과에 의해 윈래의 형상으로 되돌릴 수 있으므로, 반복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도 5∼8은 철, 전기동 등의 통전성을 갖는 청구항 3∼6 기재의 볼트 형상의 나사 부재 1Oa로서, 피취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단자용의 나사 구멍에 나사 체결하여 취부시키고, 다시 그 위로부터 코드 단자 50을 나사 체결하여 단자대로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 나사 부재 10a는 두부 11의 하면측에 작은 직경의 견부(肩部) 12와, 이견부 12로부터 돌출하여 나사부를 이루는 축부 13을 갖고 있다. 그리고, 견부 13에 칼날 부재 1을 감아 붙여 줄 부분 14를 형성하고 있다. 사용하는 칼날 부재 1은 대략 띠 형상의 동판이고, 긴 쪽 방향 한 변이 대략 톱날 형상의 칼날 2를 형성하고 있으며, 칼날 부재 1의 일단을 기단측 R로서 견부 12 측면의 계지홈 15에 계지시켜 감아 붙이고 있다. 그리고, 감아 붙여 낸 원통상의 연삭재 3의 주변에 코일 용수칠 51이 덮여 있다. 이 코일 용수철 51은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되지 않지만, 감아 붙여진 칼날 부재 1이 열리지 않도록 하고 나사 부재 1Oa를 체결한 경우 느슨해 지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나사 부재 10a의 두부 상면 16에는 나사 부재 1Oa를 나사 체결할 경우에 사용되는 끼워 맞춤부로 되는 드라이버홈 17이 설치되어 있고, 그 상면 16의 중앙에는 코드 단자용의 나사 구명 18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볼트상의 나사 부재 10a는, 하나의 예로서 배전반 등의 하우징에 나사 체결하여 접지 코드 단자의 단자대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하우징 90의 나사 구명 91에 나사 체결하면, 줄 부분 14는 피취부면에 회전 가압되므로 피취부면이 연삭재의 날 2로 고르게 연삭되어, 녹, 오염, 도장 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줄 부분 14는 나사 부재 10a의 조임력으로 칼날 2가 피취부면에 회전가압되어 꺾여져 대략 균일한 면으로 되고, 체결 정지되는 때에는 이 대략 균일하게 되는 면이 새로운 좌면으로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착되어 양호한 통전성이 얻어진다. 최후에 나사 부재 상면 16의 나사 구멍 18에 판 와셔(washer) 52를 개재하여 코드 단자 50을 나사 53으로 나사 막음하면 된다. 물론, 접지의 단자대로서의 용도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전기 회로 접속부분에 단자대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끼워 맞춤부로서의 드라이버홈은 나사 부재를 체결하여 돌리기 위한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십자홈, 육각 렌치 등을 위한 렌치 구멍 등 공지의 수단에 의해 체결하여 돌리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다른 예로서 연삭재의 주위를 덮는 코일 용수철 대신 도 9에 나타낸 모양의 링 부재 19를 끼워 맞춘 것도 좋고, 끼워 맞춘 링의 내주경 A를 펀치로 코킹시키면 원통상으로 감겨 있는 연삭재 3의 주변에 정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칼날 부재의 기단측을 계지시키기 위한 계지홈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마찬가지 방법으로 작은 나사 형의 나사 부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링 부재 대신에 도 10에 나타낸 모양의 통 부재 20을 끼워맞추는데, 작게 감아 붙인 작은 연삭재에 억지로 통재를 덮어씌우지 않고 덮어씌우기 쉬운 통재로 덮어씌워도 편지로 통재 20의 측면을 코킹시키면(P) 확실히 감아붙이게된다.
또한, 다른 예로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삭재의 주변에 느슨해지는 것을 막는 코일 용수철 51을 덮고 통 모양의 커버 54를 녹 방지를 위해 밀폐용으로 덮어 씌우는 것도 좋다.
[실시예 3]
다음에 도 12∼14은 청구항 7에 따른 나사 부재 10b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의 나사 부재 10b는 대부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두부 11과 견부 12와 측부 13을 갖고 있다. 그리고, 견부 12에 칼날 부재 1을 감아 붙여 줄 부분 14를 이루고 있다. 다른 점은 두부 11의 외주면에 수나사 21을 갖고 있는 점이다. 이 나사 부재 1Ob는 실시예 1의 설명과 마찬가지의 나사 체결을 하는데 사용되지만, 나사 부재 10b의 두부 11에 시판되는 너트 55를 조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나사 부재 1Ob가 느슨해 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나사 부재 1Ob를 피취부면에 조인 후에 너트 55를 역시 피취부면에 조이는 것이다. 최후에 상면 16의 나사 구멍 18에 원하는 코드 단자 50 등을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로 나사 막음하면 된다.
나사 부재 상면 16에 나사 막음된 코드 단자는 나사 53을 느슨하게 재차 푸는 경우도 있을 수 있지만, 이 때 나사 부재 10b가 나사 53과 함께 이동하여 느슨해 지는 일이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두부의 측면을 평면으로 깎아 내어 불완전 나사부를 형성하여 두면 여기에 스패너 등을 걸 수 있는데, 이와같이 하여 스패너로 나사 부재 10b를 회전 멈춤하고 나사 53을 느슨하게 하면 나사부재가 함께 도는 일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나사 부재에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주가 줄 부분으로 메워지는 것이 가능한 스카트재를 고무재 등의 탄성체로 형성하여 이를 메우는 것으로 하면, 피취부면과의 접속 장소를 이 스카트재로 밀폐할 수 있어 습기가 있는 장소라든가 물이 닿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 사용할 때 녹 방지 효과가 있다.
[실시예 4]
상기 너트의 좌면에 패킹재 등을 점착한 것 등을 이용하면 도 16∼19에 나타낸 바와 같은 나사 부재 1Oc로 되어, 조여진 줄 부분과 피취부면의 접속 부분이 밀폐상태로 될 수 있다. 따라서, 습도가 높은 곳 등에서 녹방지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청구항 8은 이와 같은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도시된 나사 부재 10c는 볼트재 22와, 이 볼트재 22에 나사 결합된 너트재 23과, 이 너트재 23의 나사결합에 의해 너트재 23과 하우징 90 사이를 밀착시키는 밀착 수단으로서의 패킹재 24로 된다. 볼트재 22는 청구항 7의 나사 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너트재의 좌면측에는 약 1 mm 두께의 고무판을 너트재의 평면형상으로 자른 패킹재가 점착되어 있다.
[실시예 5]
도 20∼22는 청구항 9에 따른 볼트상의 나사 부재 10d이다. 이 나사 부재 10d는 이상에서 기술한 나사 부재와는 다른 것으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 체결에 따른 진행 방향측(도 20 하방측)으로 되는 나사 부재 10d의 선단에 줄부분 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나사 부재는 표리를 관통하고 있는 원하는 나사 구멍에 나사 체결하면 나사 부재의 선단이 나사 구멍의 이면으로 돌출하는데, 이 돌출부 앞에 다른 도체가 있어 여기에 가압되는 것을 상정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거의 원주 형상의 나사 부재는 수나사 21을 갖는 두부 11과, 선단에 두부 11 보다 작은 직경의 견부 12로 되고, 이 견부 12에 칼날 부재 1을 감아
붙여 칼날 부재 1의 긴쪽 양단 R, T를 견부 12에 새겨진 계지홈 15에 계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칼날 부재를 감아 붙인 견부 12의 단면 12a는 평면이 되어 있어, 꺾여진 줄 부분의 칼날 2에 의해 좌면이 형성되기 쉽다. 견부 12에는 작은 오목부 25가 설치되어 있어, 감아 붙여진 연삭재 3을 펀치로 변형시킬 때(도 20의 P)의 표적이 된다. 이와 같이 변형시키면 연삭재 3의 주변에 정지시키는 것이 한층 확실하게 된다. 또한, 나사 부재 10d의 상면 16에는 코드 단자용의 나사 구명 18과 드라이버홈 17이 설치되어 있다. 이 나사 구멍 18은 바닥이 있는 구멍이라도, 줄 부분 14 측으로의 관통공이라도 좋다.
이상의 줄 부분 14는 어느 것이라도 칼날 부재를 감아 붙여 되지만, 도 23에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 13의 선단을 줄 부분 14로 하여 잘라내어도 좋은데, 이 경우에는 나사 부재의 선단에만 다른 담금질을 하는 등, 줄 부에 적절한 강도와 소성을 갖게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은 나사 부재 10d의 사용예로서는 도 24∼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전반 94의 하우징 90 중에 설치된 중판 93에 사용하는 예가 있다. 중판 93은 도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부되어 각종의 전기 기구를 취부하기 위한 것으로, 이 중판 93에 설치된 나사 구멍 91에 나사 체결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에서 중판 93은 하우징 90으로부터 5∼10 mm 정도의 간격으로 취부되어 있고, 한편 나사 부재 10d는 나사 체결하면 하우징 90에 부딪혀 선단의 줄 부분 14에서 가압할 수 있는 길이이다. 따라서 나사 부재 10d를 나사 체결하면 줄 부분 14와의 대면 위치에 위치한 하우징 90의 피취부면에 회전 가압된다. 이에 의해 도료 등이 깎여 떨어져 지금이 노출된 하우징 90에 가압된다. 이와 같이 나사 부재 10d를 조임 완료하면서 나사 부재 상면 16의 나사 구멍 18을 사용하여,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지의 코드단자 50을 취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나사 부재 1Od의 이용 장소는 이상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나사 부재의
두부와 줄 부분이 전기적 접속을 시키는 2 개의 도체에 각각 접촉하게 되는 어떠한
장소에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판에 브레이커라든가 분전기 등의 전기 부품을 취부하는 경우, 이 전기 부품의 다리 부분에 본 발명의 나사 부재를 위한 나사 구멍을 준비하고 여기에 나사 부재 10d를 나사 체결하는 것에 의해, 이 전기 부품도 접지되어 한층 안전하게 된다. 물론, 접지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전기 회로의 구성에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다른 이용예로서 전선관의 접속을 위한 잠금 너트에 사용하는 예가 있는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 14에서 전선관에 대하여 언급하기 때문에 거기에서 기술하기로 한다.
[실시예 6]
도 29∼31은 청구항 10 기재의 볼트 형상의 나사 부재 10e이다. 이 나사 부재 10e는 볼트 부재 26에 코일 용수철 27로 붙인 판상의 연삭재 28을 편입시킨 것이다. 볼트 기재 26은 두부 11과, 두부 11 보다 직경이 작은 원주 형상의 견부 12와, 견부 12의 축심과 동축상으로 돌출한 축부 13을 갖고 있다. 또한 견부 12에는
견부 12의 축심을 중심으로 한 방사상의 간극 29가 4개 패어 있고 간극 29 각각에는 판상의 연삭재 28이 수납되는데, 이 경우 연삭재 28의 칼날 30이 좌면 31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견부 12에 끼워지는 코일 용수철 27은, 일단이 두부 11에 당접되고 타단이 연삭재 28의 계지 오목부 32에 당접되어 연삭재 28을 도면 하방으로 붙이고 있다. 또한, 두부 11의 상면 16에는 나사 부재의 나사 체결용 드라이버홈 17이 설치되어 있고, 이 상면의 중앙에는 코드 단자용의 나사 구멍 18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볼트상의 나사 부재 10e를 하우징 90 등의 피취부면 92의 나사 구명 91에 볼트 체결하면, 나사 부재 10e의 나사 체결과 함께 줄 부분 14가 피취부면 92에 회전 가압되므로 이 면을 연삭하는 것이 가능하다. 체결 정지시 연삭재 30은 간극의 가운데로 눌려서 돌려져 수납되고, 좌면 31이 피취부면 92에 직접 조여지므로 통전성이 높아진다.
[실시예 7]
도 32는 청구항 11 기재의 너트 형상의 나사 부재 10f이다. 이 나사 부재 1Of는 육각 너트 형상을 이루고, 좌면측에 육각 이면폭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견부 12와, 이 견부 12에 취부되는 줄 부분 14를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견부 12의 측면에 계지홈 15가 패이고, 상기의 대부분과 마찬가지의 대략 띠 형상의 동판으로 되는 칼날 부재를 감아 붙이고 있다. 감아 붙여진 연삭재 3에는 코일 용수철 51이 씌워 지는데, 이 코일 용수철 51은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되지는 않지만 감아 붙인칼날 부재가 열리지 않도록 나사 부재 1Of를 체결하는 경우 느슨해 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 나사 부재 10f를 취부할 경우에는, 앵글재 95 등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관통공 96의 이면측 B로부터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볼트 56을 표면측 F로 통과시키고, 이 볼트 56에 표면측 F로부터 너트상의 나사 부재 1Of를 나사 체결한다. 이때, 조이기 전에 회전 가압된 줄 부분 14가 각종의 절연물을 연삭하고 그 후에 조여진다. 다음에, 조여진 나사 부재 10f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볼트 56에 코드 단자 50 등을 통과시키고, 마지막으로 그 위에 판 와셔 52를 개재하여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너트 55로 코드 단자 50을 접속한다.
[실시예 8]
도 33은 청구항 12 기재의 너트 형상의 나사 부재 10g의 실시예로서, 사용방법은 상기의 실시예 7과 마찬가지이다.
이 나사 부재 10g는 너트 기재 33에 코일 용수철 27로 붙여지는 판상의 연삭재 28을 편입한 것이다. 너트 기재 33은 두부 11과, 두부 11 보다 직경이 작은 원주 형상의 견부 12로 되고, 견부 12의 축심과 동축상으로 설치된 편개구의 너트 구멍 34를 갖고 있다. 또한 견부 12에는 너트 구멍 34를 중심으로 한 방사상의 간극 29가 4 개 패여 있어 간극 29 각각에는 판상의 연삭재 28이 수납되는데, 이 경우 연삭재 28의 칼날 30이 좌면 31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견부 12에 끼워지는 코일
용수철 27은, 일단이 두부 11에 당접되고 타단이 연삭재 28의 계지 오목부 32에 당
접되어 연삭재 28을 도면 하방으로 붙이고 있다. 또한, 두부 11의 상면에는 나사
부재 10g의 나사 체결용 드라이버홈이 설치되어 있고, 이 상면의 중앙에는 도시되
지 않은 코드 단자 접속용으로 나사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너트 구멍은 상면으로 관통하지 않는 편개구이지만, 물론 관통하는 너트 구멍이어도 좋다.
이상의 줄 부분은 어느 것이라도 칼날 부재를 감아 붙여 되지만, 도 34에 나
타낸 바와 마찬가지로 너트 상의 나사 부재 1Og의 좌면측에서 줄 부분을 깎아 낸것도 좋다. 이 경우에는 T자 너트를 중간 형성물로 하고 T자의 다리 부분에만 다르게 담금질을 하여 두는 등, 줄 부분에 적절한 경도와 소성을 갖게 하여 칼날을 깎아 내어도 좋다.
[실시예 9]
도 35는 청구항 13∼14 기재의 좌금 부재 200a를 나사 110a에 편입시킨, 청구항 21 기재의 좌금 편입 나사 부재 100a이다. 좌금 부재 200a는 동(銅)제로 원형의 줄 소재 201의 원주 부분을 꿰뚫어 ∧자형의 칼날 202를 다수 주변에 설치하고, 이 줄 소재 201을 구멍이 있는 원판 203에 겹쳐 칼날 202를 도면 하방향으로 꺾어 도립 왕관상으로 형성시킨 것이다. 또한, 겹쳐진 줄 소재 201은 나사 110에 계지 시키기 위한 계지 수단으로서 계지용의 서 있는 손톱 204가 관철되어 있다. 나사 110a는 두부 111과 축부 113을 갖는 볼트 형상의 나사 110a인데, 두부 111에 29는 좌금 부재 200a의 서 있는 손톱 204를 계지시키는 계지공 11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금 부재 200a를 서 있는 손톱 204가 계지공 112에 계지시키도록 편입되어 좌금 편입 나사 부재 1OOa를 형성하고 있다.
[실시예 10]
도 36은 청구항 17 기재의 좌금 부재 200b를 나사 110b에 편입시킨, 청구항21 기재의 좌금 편입 나사 부재 100b이다. 좌금 부재 200b는 두부 211을 갖는 구멍이 있는 짧은 원주의 견부 212에, 청구항 1 기재의 칼날 부재 1을 감아 붙이고 있으며, 또한 상면 216에는 계지 수단으로서 계지공 213이 설치되어 있다. 나사 110b는 두부 111과 축부 113을 갖는 볼트 형상의 나사 110으로, 두부 111의 하면에는 끼워 맞춤 구멍 114가 설치되어 핀 115가 끼워 맞춰져 있다. 그리고, 좌금 부재 200b를 나사 110b로 통과시키면 계지공 213에 핀 115가 계지하는 모양으로 되어있다.
[실시예 11]
도 37은 청구항 13,14,18 기재의 좌금 부재 200c를 나사 110c에 편입시킨, 청구항 22 기재의 좌금 편입 나사 부재 100c이다. 나사 110c는 볼트 형상을 이루고, 축부 113에는 긴쪽 방향의 전체 길이에 이르도록 설치된 1 개의 계지홈 116을 갖고 있다. 좌금 부재 200c는 금속의 구멍이 있는 원판을 꿰뚫어 손톱 상으로 칼날이 서 있는 줄 부분 214가 관통공 6을 사이에 두고 2 곳에 설치되어 있고, 나사 113을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공 217의 내주에는 상기 계합홈 116에 계합되는 볼록부 218을 갖고 있다. 또한, 이 칼날 4a는 관철하여 칼날이 서 있기 때문에 관철 방향의 반대로부터 가압하면 칼날이 서기 전의 상태로 넘어가 꺾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좌금 부재 200c의 일면측에는, 최종적으로 도 39와 같이 수납되는 커버부 60(이것은 발명의 구성으로는 되지 않는다)이 편의를 위해 취부되도록 취부 편 21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버부 60은 플라스틱으로 편개구의 원통형상을 이루는데, 내주면에 링 상의 돌기 60a가 설치되어 있어 좌금 부재 200c에 강하게 눌러붙이면 취부편 219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 커버부 60의 표면에는 접지 마크61이 인쇄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좌금 편입 나사 부재 10Oc는 다음과 같이 사용되어 취부된다. 먼저 나사 100c를 접지의 코드 단자 50에 관통시키고, 다음에 이 나사 100c를 좌금 부재 200c에 관통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이 코드 단자 50과 좌금 부재 200c를 통과하고 있는 상태의 나사 110c를 하우징 90의 나사 구멍 91에 삽입하고 드라이버로 나사 110c를 나사 체결한다. 그러면, 좌금 부재 200c가 하우징 90에 가압되면서 나사 110c와 함께 돌려진다. 이와 같이 하면 좌금 부재 200c를 관철하여 칼날이 세워진 손톱상의 줄 부분 214로 하우징 90의 도장을 깎는 것이 가능하다.
더구나, 좌금 부재 200c의 회전 방향과 가압이 함께 하여, 손톱 상의 칼날 220은 칼날이 서기 전의 상태로 넘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관철 전의 위치로 되돌아 온다. 따라서, 줄 부분의 칼날 220이 꺾여져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금 부재 200c는 대략 균일한 면으로 되고, 도장이 깎여 떨어진 하우징에 압착된다.
오목부와 이것에 계합하는 계합홈을 2 개, 또는 그 이상으로 증가시켜도 좋다. 줄부분도 2 개소에 한정되지 않고 몇 개라도 좋다.
[실시예 12]
도 40은 청구항 19 기재의 좌금 부재 200d를 나사 110d에 편입시킨, 청구항21 기재의 좌금 부재 편입 나사 부재 100d이다. 좌금 부재 200d는 대략 원주 형상을 이루는 좌금재 221과, 이 좌금재 221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재 223과, 이 너트재 223의 좌면측에 약 1 mm 두께의 고무판을 너트재의 평면 형상으로 잘라낸 패킹재를 밀착 수단으로 점착한 것이다. 좌금재 221은, 대략 원주 형상과 동심축상으로 나사 110d가 나사 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 225와, 외주면에 수나사 226을 갖고, 또한 대략 원주 형상의 일단측이 약간 작은 직경의 견부 212로 되어 있고, 여기에 청구항 1 기재의 칼날 부재 1을 감아 붙인 것에 의해 줄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좌금 부재 200d의 암나사는 나사 110d의 회전에 운동하기 위한 계지 수단으로 되어 있다. 요컨대, 좌금 부재 200d를 나사의 두부 111의 좌면에 닿을 때까지 나사 결합시켜 두면, 좌금 부재 200d는 나사 110d와 운동하여 회전하는 것이다. 실제로는, 나사 100d와 좌금 부재 200d의 사이를 비워 코드 단자 50을 느슨하게 끼운 상태로 나사 체결하고, 마감할 때에 좌금 부재도 나사 두부에 닿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마감할 최후에는 코드 단자도 운동하여 약간 회전한다. 그러나, 코드를 운동시키는 상태에서 회전량이 많게 되면 부적당하다. 따라서 줄 부분이 피취부면에 당접하면서 정지할 때까지의 회전량이 작게 완료되도록, 즉 칼날이 곧바로 꺾여 마무리 되어 정지하도록 등이 낮은 칼날이 적당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좌금 부재 200d는 피취부면 92의 녹이라든가 오물의 정도가 적은 것에 적당하고, 접촉면의 녹방지를 주체로 하는 경우에 적당하다.
접속 부분의 녹방지가 이 좌금 부재에 의해 달성되어도 상면 216에 취부된 코드 단자 50 자신은 밀폐되지 않고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점에서 녹 발생의 우려가 남는다. 그러나 대략 원주 형상의 재질을 전기동 등으로 하면 철 정도로 녹이 쉽게 나지는 않고, 또 알루미늄 도금 등을 시행하는 것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드 단자측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도금이 되어 있어, 철의 피취부면이 밀폐되는 일 없이 녹이 나버리는 경우 등과 비교하면 녹방지성이 있다. 따라서, 코드 단자를 밀폐하지 않고 피취부면과의 접속 부분만 밀폐하는 것이 문제로 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3]
도 41은 청구항 20 기재의 좌금 부재 200e를 나사 110e에 편입시킨, 청구항
21 기재의 좌금 부재 편입 나사 부재 100e이다. 좌금 부재는 통전성을 갖는 대략
원주체로 되는데, 이 대략 원주체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는 관통공 228
과, 상기 대략 원주체 형상의 외주면에 수나사 226을 갖는 좌금부 227과, 상기 수나사 226에 나사결합하는 너트재 223과, 이 너트재 223의 좌면에 점착된 밀착 수단으로서의 패킹재 224를 갖는 모양으로 된다. 이는, 피취부면 92의 통전성이 양호하고 전기적 접속 자체는 문제가 없어도, 그 후에 접속 부분이 녹이 나서 통전성이
열화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피취부면 92의 도료 등이 연삭되어
제거된 장소에 사용하는 것에 의해, 그 후의 녹방지가 가능하다.
[실시예 14]
다음, 도 42∼50은 청구항 23에 따른 연결재 300과 그의 일부를 이루는 청구항 24에 따른 단자판 301을 나타낸 것이다. 연결재 300은 전선관을 배전반 등으로
부터 인출하도록 배관한 경우, 이 전선관 80을 상기 배전반 등에 접합하기 위한 접합 부분 81에 연결시키고, 상기 전선관 80과 상기 배전반 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연결재 300이다. 연결재 300은 계지부 330과 취부부 334를 갖는 단자판 301과, 이 취부부 334에 탈착가능하게 취부된 너트 부재 333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취부부 334와 너트 부재 333에 의해 너트부 332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판 301은 1 매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40,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선관 80의 접합 부분 81에 계지되기 위한 링 형상의 계지부 330과, 이 계지부 330으로부터 연결 설치되는 동시에 너트 부재 333을 수납하기 위하여 암컷 형상으로 오목하게 설계된 취부부 334로 되어 있다. 오목 설계된 취부부 334의 저면에는 너트 부재 333이 회동불능하게 관통시킨 탭 구멍 335가 설치되어 있다. 계지부 330은 링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링의 일부를 잘라낸 U자 형상도, 또는 후크 형상의 것도 좋으며, 그 밖에 전선관 80에 접촉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면 어떠한 모양의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너트 부재 333은 도 40에 나타낸 모양의 T자 너트로, 이 너트축부 336은 그 외주의 일부가 축방향을 따라 평면상으로 잘라낸 절결부 336a를 이루고 있다. 이 너트축부 336 측으로부터 취부부 334에 들어가 T자너트 333을 수납시키면, 절결부 336a에 의해 취부부 334 저면의 탭구멍 335에 회동불능하게 채워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결재 300의 사용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행한다. 우선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선관 80의 접속 부분 81을 배전반 94 등의 접합구 97에 외측으로부터 꽂으면 접속 부분 81 외주의 악부 83에서 정지한다. 다음에, 접합구 97로부터 배전반 94 등의 내측으로 돌출한 접속 부분 81에 단자판 301의 계지부 330을 삽입하여 계지시킨다. 이 때, 단자판 301의 취부부 334에는, 너트 두부 337측을 하우징 90 측으로 향한 T자 너트 333을 수납시켜 둔다. 다음에 그 위로부터 잠금 너트 82를 접속 부분 81에 나사 결합하면, 배전반의 하우징 90과 단자판 301이 악부 83과 잠금 너트 82에 내외로부터 협지되어 전선관 80이 접합된다. 최후에 청구항 9에 따른 나사 부재 10d를 너트부 332에 나사 체결하여 취부가 완료되어, 각각 도 42에 나타낸 바와같은 위치 관계로 된다. 이에 따라, 전선관 80, 단자판 301, 너트 부재 333, 나사 부재 10d, 하우징 90의 순서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단자판 301에는 나사 부재 10d에 의한 하우징 90으로부터 들어 올린 힘이 가해져서 잠금 너트 82가 느슨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하우징 90의 당해 표면을 사전에 줄로 제거하어 도료 등을 제거하였으면 본원의 나사 부재 1Od를 사용하지 않고 시판되는 일반적인 볼트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너트 부재 333에 도 45,4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나사홈 339를 설치하고 여기에 계지되는 소용돌이 용수철 340으로 나사 부재를 닫는 방향으로 붙여주는 것에 의해 나사 부재 1Od가 느슨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재는 상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원의 취지의 범위내에서 어떠한 모양이라도 좋은데, 예를 들어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지부 330의 연결 설치 부분에 기존의 너트를 용접 등으로 고착한 것도 좋다.
단자판 301도 상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역시 본원의 취지의 범위내에서 어떠한 모양도 좋은데, 예를 들면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지부 330으로부터 단차 338을 개재하여 링 형상의 취부부 334가 연결 설치된 것도 좋고, 또한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지부 330으로부터 단차 338을 개재하여 U자 형상의 취부부 334가 연결 설치된 것도 좋으며, 그 밖에도 어떠한 모양으로 하여도 좋다. 단자판 301은 두께가 있는 것이어도 좋은데, 예를 들면 판이라고 하기에는 두꺼운 것도 본원의 취지의 범위내에 있으면 포함된다.
연결재 300의 너트부 332라든가, 단자판 301의 취부부 334는 1 개소에 한정되지 않고 몇 개를 설치하여도 좋다.
연결재 및 단자판의 실시예는 아니지만, 본원의 연결판을 사용하는 대신 도5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잠금 너트를 사용하여 전선관의 접합을 행하면, 이 잠금 너트의 주위에 설치된 나사 구멍에 청구항 5 기재의 나사 부재를 나사 체결하는 것에 의해 전선관과 하우징 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15]
다음에, 청구항 25,26,30 및 33 기재의 연삭구 20의 발명에 대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연삭재 400a는 도 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약 13 cm의 봉재로 되는 본체 401과, 이 본체 401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선단 방향으로 줄 면을 향한 줄부분 402와, 본체 401의 기단에 본체와 직각으로 설치하여 T자형으로 형성한 조작부로서의 손잡이부 403으로 되어 있다.
줄 부분 402는 나사를 갖는 화병상의 감아 붙임부 406과, 이 감아 붙임부에칼날 부재 1을 감아 붙인 상태의 연삭재 405와, 이들을 장착하기 위하여 본체의 선단 방향으로 개구한 장착부 404로 이루어져 있어, 선단이 줄 면을 형성하고 있다.또한, 감아 붙임부 406의 두부 407은 장착부 404에 들어가는 큰 원판으로 되어 있다. 칼날 부재 1은 전술한 ∧자형의 칼날을 갖는 것으로, 긴 칼날 부재를 사용하여 비교적 축심 가까이 까지 칼날 부재 1이 임박해 있는 다중 감은 상태로 되어 있다. 대략 원주 형상으로 된 ∧자형의 줄 부분의 칼날 408을 중심 방향으로 약간 기울여 앞을 오므린 것이다. 줄 면의 대략 중앙에는 감아 붙임부 406의 선단이 돌출하여 체부부 409로 되어 있다.
이 연삭구 400a는 앞서 기술한 본원의 나사 부재가 주위에 없는 경우 시판되는 나사로 코드 단자를 관통하여 접속하도록 한 경우를 상정한 예이다. 또는, 피취부면 92의 도료라든가 녹이 용이하게 연삭되지 않는 정도로, 본원의 나사 부재만으로는 연삭이 불충분한 경우에도 나사 체결 전의 보조적 연삭에 사용될 수 있다. 이 연삭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선단의 조임부 409를 하우징 90 측의 접지단자용으로 설치되어 있는 나사 구멍 91에 나사 결합시키고 조임부 409를 조이는 방향으로 연삭구 400a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피취부면 92의 연삭이 행하여진다.
이 때, 조임부 409는 나사 구멍 91로의 위치 결정 및 조임력을 발생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 경우, ∧자형의 칼날 408의 선단이 다소 꺾이지만, 대략 원주 형상으로 감긴 연삭재 405는 비교적 축심 가까이 까지 칼날 부재 1이 임박하고 있기 때문에 꺾는 힘으로의 저항력이 있고, 이 연삭구 400a를 수회 사용한 정도로는 꺾여 나가지 않으므로, 도장을 깎아 제거하는 효과는 저하되지 않는다. 게다가, 출원인이 시험한 바에 의하면, 칼날 408이 꺾여도 꺾인 칼날의 근방이 새로 칼날로서 기능할수 있어 도료를 깎아 제거하는 효과가 지속된다.
연삭재 405에 상기의 화병상의 감아 붙임부 406에 감아 붙인 외에, 칼날 부재를 묶기 쉽게 하기 위한 여러 가지 부재를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자유이다.
[실시예 16]
다음에, 도 53,54에 나타낸 청구항 25,27,30,33 기재의 연삭구 400b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대부분이 실시예 15와 공통되는데, 다른 점은 줄부분 402의 감아 붙임부와 관련된 구성이다. 즉, 실시예 15의 「하우징 90의 나사구멍 91에 나사 결합하는 조임부 409」를 도 53, 도 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90의 나사 구멍 91에 삽입하여 축에 이르는 심부 410」로 대치한 것으로, 손잡이부 403을 누르면서 좌우로 회동하면 도장을 깎아 게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줄 부분 402와 하우징 90의 간격이 상기 청구항 5의 연삭구가 나사체결에 의해 체결되는 것과는 다른데, 간단히 나사 구멍 2에 삽입하는 것 만으로 조임부에 조여 붙이는 힘에 의해 칼날이 꺾이는 것은 적게 된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꺾이는 줄의 눈과는 달리 줄 부분은 줄의 눈이 꺾이지 않는 단단한 재질의 것도 좋다.
[실시예 17]
도 55는 청구항 32 기재의 연삭구 400c이다.
이 실시예도 대부분이 실시예 15와 공통인데, 다른 점은 줄 부분의 장착부에장착된 부분의 구성이다. 즉, 이 연삭구 400c 선단에는 연삭구의 선단 방향으로 붙여진 동시에 눌러 되돌리는 것이 가능한 줄 부분이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장착부 404의 중앙에 연삭부 411이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연삭부 411은 원주 형상의 견부 412와, 그의 선단 가압면 중앙에 선단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조임부 413과, 견부 412의 후단에 견부보다 큰 원판상의 두부 414가 설치되어 있다. 견부 412에는 조임부 413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간극 415가 설치되어 있고, 이 중앙에 판상의 연삭재 416이 견부 412의 단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모양으로 수납되어 있다. 견부 412의 후방 위치에 끼워지는 코일 용수철 417은 후단이 두부에 당접하고 선단이 연삭재 416을 선단 방향으로 붙이고 있다.
이 연삭구 400c를 피취부면의 나사 구멍 등에 누르고 손잡이부를 잡아 가압하면서 회동하면 피취부면의 표면을 연삭하는 것이 가능하다. 줄의 연삭이 약하면 줄 부분을 수압부로부터 떼어 내고 줄을 새 것으로 교환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임부 대신 심부로 하여 피취부면의 나사 구멍이라든가 관통공에 계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예 18]
다음에, 청구항 25,28 기재의 연삭구 400d의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연삭구의 용도로서는, 당초 코드 단자의 취부를 예정한 것이 아니고, 따라서 나사 구멍도 설치되지 않은 장소에 설계 변경 등의 이유로 접지를 취부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이 연삭구 400d는 도 5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나사를 갖는통 부재 418을 하우징 90 등의 원하는 장소 표면에 세운 모양으로 하여 흡착시키기위한 고정부 420과, 선단에 줄 부분 421을 갖고 통 부재 418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결합부 422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나사 결합부 422가 수나사부 423과, 수나사부 선단의 줄 부분 33과, 수나사부 기단측의 손잡이부로 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 420은 하우징 90등의 표면에 흡착시키기 위한 고무제 흡반으로 되는 흡착부 425와, 철 계열 금속의 원통 내통에 암나사를 깎아 나사 결합부 422를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통 부재 418로 되어 있다.
이 연삭구 400d에 의하면, 원하는 위치에 고정부 420의 통 부재 418을 위치시켜 두고, 여기에 나사 결합부 422를 나사 결합시켜 나사를 넣으면 고정부 420으로 끌어 당겨져 하우징 90에 가압된다. 가압력이 충분하지 않으면 손으로 누르는
힘으로 보조하면 된다.
흡착부는 상기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작은 흡반을 나사 구멍을 중심으로
하여 복수개 배설한 것도 좋고, 또는 자력 부착에 의하거나 그 밖의 어떠한 것도
좋다.
상기 연삭구 400a,400b,400d의 칼날 부재에 청구항 2에 기재된 형상 기억합금을 사용한 것이 가능한데, 감아 붙여진 상태의 꺾이기 전의 형상을 기억시켜 두면 꺾임에 의한 변형 후에도 가열을 하여 형상 기억 효과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 오므로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청구항 3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줄 부분을 스프링
용수철 등에 의해 줄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붙여 두면, 줄 부분은 도장을 깎아 제거하기에 적절한 가압력을 안정하게 얻을 수 있다.

Claims (33)

  1. 소경(小徑)으로 감길 수 있는 가요성(可撓性)을 갖는 금속판으로, 이 금속판
    을 상기 소경으로 감아 붙여 대략 원통 형상을 형성하는 경우, 이 대략 원통 형상의 일단측에 대응하는 상기 금속판의 한쪽 변이 연삭 강도를 갖는 대략 톱날 형상의 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를 연삭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칼날 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칼날 부재를 형상 기억 합금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칼날이 꺾이기 전의 형상을 기억시키는 것에 의해, 연삭에 의한 꺾임 등의 변형이 생긴 날을 형상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를 연삭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칼날 부재.
  3. (삭제)
  4. (정정) 통전성을 갖는 나사 부재에 있어서, 이 나사 부재의 피취부면에 면하는 줄부분을 갖고, 이 줄 부분이, 상기 나사 부재의 나사 체결시 상기 피취부면에 회전 가압되면서 줄 부분의 칼날이 꺾여서 대략 균일한 면의 좌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나사부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줄 부분이, 청구항 1 또는 2기재의 칼날 부재를 감아 붙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나사 부재.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두부와 나사부를 이루는 축부를 갖는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두부가 상면에 나사 구멍을, 좌면측으로 되는 하부에 상기 줄부분을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나사 부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두부가 외주면에 수나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나사 부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두부의 외주면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와, 이 너트재의 좌면과 상기 피취부면 사이를 밀착시키는 밀착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나사 부재
  9.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나사 체결에 따른 진행방향측으로 되는 상기 볼트 형상의 선단측에 상기 줄 부분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나사부재.
  10. 통전성을 갖는 볼트 형상의 나사 부재에 있어서, 이 나사 부재의 피취부면에 면하는 줄 부분을 갖고, 이 줄 부분은, 상기 나사 부재에 각인 설치된 간극에 수납하여 좌면으로부터 돌출시킨 연삭재와 이 연삭재를 상기 돌출 방향으로 붙이는 용수철을 갖고, 또한 나사 체결시 상기 피취부면에 회전 가압되면서 상기 좌면의 안쪽 방향으로 눌러 돌려져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나사 부재.
  11.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너트 형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나사부재.
  12. 통전성을 갖는 볼트 형상의 나사 부재에 있어서, 이 나사 부재의 피취부면에
    면하는 줄 부분을 갖고, 이 줄 부분은, 상기 나사 부재에 각인 설치된 간극에 수납하여 좌면으로부터 돌출시킨 연삭재와 이 연삭재를 상기 돌출 방향으로 붙이는 용수철을 갖고, 또한 나사 체결시 상기 피취부면에 회전 가압되면서 상기 좌면의 안쪽 방향으로 눌러 돌려져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나사 부재.
  13. (정정) 통전성을 갖는 좌금부재에 있어서, 이 좌금 부재를 사용하는 나사의 피취부면에 면하는 줄부분을 갖고, 상기 줄 부분은, 상기 좌금 부재를 사용하여 나사 부재를 나사 체결하는 경우 상기 피취부면에 회전 가압되면서 줄 부분의 날이 꺾여 대략 균일한 면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좌금 부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이 좌금 부재를 사용하는 나사에 계지시켜 상기 나사부재의 회전에 운동하기 위한 계지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송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좌금 부재.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드라이버, 렌치 등의 도구 등에 계지되어 상기 피취부면에 가압 회전되기 위한 계지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좌금 부재.
  16. (삭제)
  17. 청구항 13 내지 15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줄 부분이 청구항 1 또는 2의 칼날 부재를 감아 붙여 되는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좌금 부재.
  18. 청구항 13 내지 15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줄 부분이 상기 좌금 부재의 재료판을 두드려 빼서 손톱 형상으로 날을 세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좌금 부재.
  19. 청구항 13 내지 15, 17 및 18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략 원주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 대략 원주 형상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동시에 상기 좌금 부재를 사용한 나사가 나사결합 가능한 암나사와, 상기 대략 원주 형상의 외주면에 수나사를 갖고, 또한 이 수나사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재와, 이 너트재의 좌면과 상기 피취부면 사이를 밀착시키는 밀착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좌금 부재.
  20. 통전성을 갖는 대략 원주체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대략 원주체의 외주면에 수나사를 갖는 좌금부와, 상기 수나사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재와, 이 너트재의 좌면과 상기 좌금부를 사용하는 나사 체겨의 피취부면 사이를 밀착시키는 밀착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좌금 부재.
  21. 나사에 청구항 13 내지 15 및 17 내지 20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좌금 부재를 편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좌금 편입 부재.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축부에 계합홈을 설치한 볼트 형상의 상기 나사와, 이나사를 관통하는 관통공의 내주에 상기 계합홈에 계합하는 볼록부를 갖는 상기 좌금 부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좌금 편입 부재.
  23. 전선관을 배전반 박스 등으로부터 인출하도록 배관하는 경우, 상기 배전반
    박스 등에 접합시키는 전선관의 접합 부분에 계지시켜 상기 전선관과 상기 배전반
    박스 등을 전기적으론 접속시키기 위한 연결재에 있어서, 상기 전선관의 접합 부분에 계지되는 계지부와, 이 계지부의 연결 설치 부분에 설치되는 암나사 구멍을 갖는 너트부를 갖는 연결재로서, 이 연결재를 배전 박스 등의 접합 구멍에 차입한 상기 전선관의 접합 부분에 계지시키는 경우, 상기 암나사 구멍이 상기 배전반 박스 등의 판면에 대략 수직방향으로 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암나사 구멍에 나사 체결하는 볼트 형상의 나사의 선단측을 상기 배전반 박스 등에 조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연결재.
  24. 전선관을 배전반 박스 등으로부터 인출하도록 배관하는 경우, 상기 배전반 박스등에 접합시키는 전선관의 접합 부분에 계지시켜 상기 전선관과 상기 배전반 박스 등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단자판에 있어서, 상기 전선관의 접합 부분에 계기되는 계지부와, 이 계지부의 연결 설치 부분에 설치되는 취부부를 갖는 단자판으로서, 상기 취부부가 상기 암나사 구멍을 갖는 너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취부하는 것에 의해 청구항 23의 연결판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에 사용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단자판.
  25. 각종 도체의 윈하는 장소에 코드 단자 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경우, 상기 원하는 장소의 표면을 연삭하여 도료, 녹, 오염 등 절연성의 피장물을 제거하기 위한 연삭구에 있어서, 줄 부분과, 이 줄 부분의 줄 면을 상기 원하는 장소에 가압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줄 부분이, 상기 원하는 장소에 회전 가압되면서 줄 부분이 날이 꺾여 대략 균일한 면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를 연삭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연삭구.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줄 부분이 상기 줄 면의 대략 중앙에 돌출하여 상기 원하는 장소에 설치된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를 연삭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연삭구.
  27.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줄 부분이 상기 줄 면의 대약 중앙에 돌출하여 상기 원하는 장소에 설치된 구멍에 삽입 축지되는 심부(芯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를 연삭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연삭구.
  28. 청구항 25에 있어서, 암나사를 갖는 통부(筒部)와, 이 통부를 상기 원하는 장소의 표면에 세우도록 흡착시키기 위한 흡착부를 갖는 고정부와, 선단에 줄 부분을 갖는 상기 통부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 결합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를 연삭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연삭구.
  29. (삭제)
  30. 청구항 25 내지 28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줄 부분이 청구항 1 또는 2의 칼날 부재를 감아 붙인 연삭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를 연삭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연삭구.
  31. 청구항 25 내지 28 및 30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줄 부분이, 줄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눌러 돌리는 것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를 연삭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연삭구.
  32. 각종 도체의 원하는 장소에 코드 단자 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경우, 상기 원하는 장소의 표면을 연삭하여 도료, 녹, 오염 등 절연성의 피장물을 제거하기 위한 연삭구에 있어서, 줄 부분과, 이 줄 부분의 줄 면을 상기 원하는 장소에 가압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줄 부분에는, 원주 형상의 견부와, 이 견부에 각인 설치된 간극에 수납하여 상기 견부의 단면으로부터 돌출시킨 연삭재와, 이 연삭재를 상기 돌출 방향으로 붙이는 용수철을 갖는 연삭부가 설치되고, 상기 연삭재가 눌러 돌리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장소를 연삭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연삭구.
  33. 청구항 25 내지 28 및 30 내지 32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재가 교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소를 연삭하여 통전성을 얻기 위한 연삭구.
KR1019980701436A 1995-09-04 1996-09-02 전기적접속장소에사용하여통전성을얻기위한부재및도구 KR100310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651895 1995-09-04
JP07/226518 1995-09-04
JP7/226518 1995-09-04
JP8/79048 1996-04-01
JPP08-79048 1996-04-01
JP7904896 1996-04-01
JP8/125623 1996-05-21
JP12562396 1996-05-21
JPP08-125623 1996-05-21
PCT/JP1996/002474 WO1997009751A1 (fr) 1995-09-04 1996-09-02 Pieces et instrument permettant d'obtenir une conduction au niveau d'un branchement electr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200A KR19990044200A (ko) 1999-06-25
KR100310804B1 true KR100310804B1 (ko) 2001-12-17

Family

ID=27302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436A KR100310804B1 (ko) 1995-09-04 1996-09-02 전기적접속장소에사용하여통전성을얻기위한부재및도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4) US6129492A (ko)
EP (1) EP0849827B1 (ko)
JP (1) JP3060116B2 (ko)
KR (1) KR100310804B1 (ko)
CN (1) CN1101979C (ko)
AT (1) ATE213361T1 (ko)
CA (1) CA2228509C (ko)
DE (1) DE69619251T2 (ko)
HK (1) HK1015968A1 (ko)
WO (1) WO19970097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222Y1 (ko) 2011-11-30 2013-06-07 김근효 통전용 볼트와 계측용 리드 단자봉의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1407A (ja) * 1997-10-03 1999-04-23 Fujitsu Ltd コネクタの表面実装方法およびコネクタ
GB2331403A (en) * 1997-11-15 1999-05-19 Kingavon Limited A magnetic mounting for an electrical component
US6846140B2 (en) 2000-10-25 2005-01-25 Nissan Design America, Inc. Flexible truck bed tie-down system
US6712568B2 (en) 2000-10-25 2004-03-30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Tie-down system with deformation region
JP4608155B2 (ja) * 2001-09-28 2011-01-05 中洲電機株式会社 電気的接続用螺子
FR2874455B1 (fr) * 2004-08-19 2008-02-08 Soitec Silicon On Insulator Traitement thermique avant collage de deux plaquettes
FR2839385B1 (fr) 2002-05-02 2004-07-23 Soitec Silicon On Insulator Procede de decollement de couches de materiau
US6827531B2 (en) * 2003-01-03 2004-12-07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Track slot fastener
US7175377B2 (en) * 2003-01-03 2007-02-13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Track slot fastener
DE202005004308U1 (de) * 2005-03-17 2006-07-27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Erdanschluss-Vorrichtung für ein Metallprofil
NZ540457A (en) * 2005-05-31 2006-07-28 Schneider Electric Nz Ltd Modular electrical insert with removable fascia plate
US8092129B2 (en) * 2006-04-21 2012-01-10 Hubbell Incorporated Bonding washer
DE102006056065B4 (de) * 2006-11-20 2018-08-09 Newfrey Llc Vormontierte Kontaktiereinheit und Befestigungsanordnung
US7874774B2 (en) * 2007-09-20 2011-01-25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cargo arrangement
DE102007054798B3 (de) * 2007-11-16 2009-04-16 Ludwig Hettich & Co.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ewindeeinsatzes mit Innen- und Außengewinde und Gewindeeinsatz
CN101660726B (zh) * 2008-08-29 2013-06-05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发光二极管组合
DE102008061186B4 (de) * 2008-12-09 2010-07-29 Leoni Bordnetz-Systeme Gmbh Elektronische Kontaktverbind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ischen Kontaktverbindung
US8579535B2 (en) 2009-09-15 2013-11-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icro-coupling active release mechanism
JP2011146353A (ja) * 2010-01-18 2011-07-28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装置
CN102275158A (zh) * 2010-06-10 2011-12-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机器人
DE102010026842A1 (de) * 2010-07-12 2012-01-12 Fujitsu Technology Solutions Intellectual Property Gmbh Montagescheibe für Schrauben und Leiterplatte
JP5617444B2 (ja) * 2010-08-31 2014-11-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接地構造及び記録装置
US8475185B2 (en) * 2011-03-24 2013-07-02 Solar Mounting Solutions, LLC Solar panels grounding clip
CN103022735B (zh) * 2011-09-27 2015-09-09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垫片
US8979557B2 (en) 2011-11-10 2015-03-17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Liquid-tight conduit fitting with grounding element
US9350154B2 (en) 2011-11-10 2016-05-24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Liquid-tight conduit fitting with grounding element
US20130139870A1 (en) 2011-12-02 2013-06-06 Cooper Technologies Company Pier connection sytem for pier caps of photovoltaic system
US8726587B2 (en) 2011-12-02 2014-05-20 Cooper Technologies Company Module rail for photovoltaic system
US8701372B2 (en) 2011-12-02 2014-04-22 Cooper Technologies Company Clip fastener for photovoltaic system
US8997336B2 (en) * 2012-09-10 2015-04-07 Renewable Energy Holdings, Llc Air-tight and water-tight electrical bonding device
US9065191B2 (en) 2013-02-25 2015-06-23 Hubbell Incorporated Single fastener electrical connector
US8888431B2 (en) 2013-03-15 2014-11-18 Hubbell Incorporated Adjustable bonding washer
US10432132B2 (en) 2013-07-01 2019-10-01 RBI Solar, Inc. Solar mounting system having automatic grounding and associated methods
JP6101592B2 (ja) * 2013-07-31 2017-03-22 株式会社カネカ 結線構造、接続部材、並びに、接続工法
CN104566004A (zh) * 2013-10-29 2015-04-29 深圳市海洋王照明工程有限公司 灯具
TWM475794U (en) * 2013-12-02 2014-04-01 Giga Byte Tech Co Ltd Stud
US9520657B2 (en) 2014-07-31 2016-12-13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terminal
CN104454911B (zh) * 2014-11-27 2016-08-24 宁波福士汽车部件有限公司 发动机油管组件中过油螺栓的防尘及防脱落装置
ES2552589B2 (es) * 2015-05-07 2017-11-13 Airbus Defence And Space, S.A.U. Arandela para establecer continuidad eléctrica
US10338518B2 (en) * 2016-07-29 2019-07-02 Lexmark International, Inc. Redundant electrical contact between a fastener and a component
US11482800B2 (en) * 2017-04-18 2022-10-25 National Christmas Products Llc Safety grounded artificial tree stand
DE102018006532A1 (de) * 2018-08-17 2020-02-20 Diehl Aviation Laupheim Gmbh Elektrische Kontaktierung eines Bauteils aus CFK-Material
WO2020092250A1 (en) * 2018-10-29 2020-05-07 Hubbell Incorporated Bonding washer
CN112253602A (zh) * 2020-09-18 2021-01-22 卓越紧固系统(上海)有限公司 一种刮漆导电螺栓
CN112620182B (zh) * 2020-12-21 2022-09-02 三明学院 一种钣金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250U (ko) * 1975-07-11 1977-01-29
JPS6179465U (ko) * 1984-10-30 1986-05-27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962A (en) * 1907-07-05 1908-05-19 Hermann Reisner Bung-bushing for casks.
US1224793A (en) * 1914-06-15 1917-05-01 Laura V Robinson Scraping device.
US1933871A (en) * 1930-05-31 1933-11-07 Shakeproof Lock Washer Co Lock washer
US2014231A (en) * 1933-12-20 1935-09-10 George K Garrett Washer
US2289066A (en) * 1940-01-04 1942-07-07 Illinois Tool Works Fastener unit
US2778399A (en) * 1953-04-24 1957-01-22 Edward L Mroz Washer having biting teeth on inner and outer periphery thereof
US2763312A (en) * 1953-05-14 1956-09-18 Martin H Redmer Nut and biting-toothed locked washer with a shearable connection
US2868256A (en) * 1954-09-23 1959-01-13 Illinois Tool Works Helically formed resilient lock washer with inner nut engaging and outer work engaging teeth
US3097679A (en) * 1959-12-07 1963-07-16 Jordan Ernst Split self-locking washer
JPS5213250A (en) 1975-07-21 1977-02-01 Fuorarukuranaru Ab Load treating device
JPS5650164Y2 (ko) * 1977-12-23 1981-11-24
JPS5915372B2 (ja) 1978-01-20 1984-04-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金属化フィルム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58110977A (ja) 1981-12-25 1983-07-01 富士電機株式会社 冷蔵オ−プンシヨ−ケ−ス
JPS58110977U (ja) * 1982-01-25 1983-07-28 新神戸電機株式会社 電線接続器
JPS6179465A (ja) 1984-09-26 1986-04-23 株式会社 ミドリ十字 蛋白質分画方法及び装置
FR2579379B1 (fr) * 1985-03-19 1988-02-26 Souriau & Cie Element de raccordement entre un conducteur electrique et un contact de connecteur
JPS634422A (ja) 1986-06-23 1988-01-09 Hitachi Ltd 磁性塗料の製造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磁気記録媒体
JPS634422U (ko) * 1986-06-27 1988-01-12
US4730968A (en) * 1986-09-08 1988-03-15 David Diperstein Self-tapping, self-aligning thread repair insert
JPS6453610U (ko) * 1987-09-30 1989-04-03
US4880343A (en) * 1987-09-30 1989-11-14 Matsumoto Kokan Co., Ltd. Lock nut having lock member of shape memory recovery alloy
JPS6453610A (en) 1988-07-25 1989-03-01 Hitachi Ltd Structure of antenna equipment
FR2642801A1 (fr) * 1989-01-17 1990-08-10 Hallouin Jean Insert concu pour etre mis en place dans les materiaux friables a l'aide d'un dispositif de vissage
US4971497A (en) * 1990-03-02 1990-11-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Fastener system
US5109564A (en) * 1990-11-28 1992-05-05 Horvath Robert J Manual valve cleaner for removing deposits from intake and outtake valv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FR2675859A1 (fr) * 1991-04-24 1992-10-30 Rapid Sa Rondelle avec dents d'accrochage.
US5160225A (en) * 1991-08-23 1992-11-03 Chern T P Structure of a self-drilling threaded insert for use on drywall
DE9315490U1 (de) * 1993-10-13 1994-11-10 Hoechst Ag Formkörper mit elektrischem Kontakt
US5513411A (en) * 1994-07-22 1996-05-07 Simon; Douglas Battery contact cleaning to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250U (ko) * 1975-07-11 1977-01-29
JPS6179465U (ko) * 1984-10-30 1986-05-2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222Y1 (ko) 2011-11-30 2013-06-07 김근효 통전용 볼트와 계측용 리드 단자봉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13361T1 (de) 2002-02-15
US6290443B1 (en) 2001-09-18
US6368038B1 (en) 2002-04-09
CN1101979C (zh) 2003-02-19
CA2228509C (en) 2002-11-12
CA2228509A1 (en) 1997-03-13
CN1195427A (zh) 1998-10-07
EP0849827B1 (en) 2002-02-13
KR19990044200A (ko) 1999-06-25
EP0849827A1 (en) 1998-06-24
HK1015968A1 (en) 1999-10-22
JP3060116B2 (ja) 2000-07-10
EP0849827A4 (en) 1998-11-18
US6129492A (en) 2000-10-10
DE69619251T2 (de) 2002-10-02
US6338599B1 (en) 2002-01-15
DE69619251D1 (de) 2002-03-21
WO1997009751A1 (fr) 199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804B1 (ko) 전기적접속장소에사용하여통전성을얻기위한부재및도구
US6077096A (en) Weld stud
US6357110B1 (en) Stud electrical connection method
JP2006340456A (ja) 短絡接地器具
US8069754B2 (en) Socket wrench with washer gripping arms
US5595510A (en) Snap-on battery cable connector
US20090212034A1 (en) Dual power pin connector assembly for a mig welding machine
US7717741B2 (en) Junction bolt, junction element, and electrically conductive coupling device
CA1206246A (en) Spring-biased connector for electrically bonding a device to a supporting wall
MX2012014061A (es) Herramienta de insercion para inserto helicoidal espiral sin espiga.
JP2016208572A (ja) 架空線保持装置
CA2444233A1 (en) Configurable securing assembly for neck of welding gun
KR100271529B1 (ko) 회전 연결부 조립체
CN113036656B (zh) 一种导线临时固定绝缘操作杆
US5697797A (en) Device for grounded securing of an element at a hole in a metal plate
JP2006340457A (ja) 短絡接地器具のための操作絶縁棒
WO2018020539A1 (ja) 接地用具、及び、これを用いたアースフック
US8969740B2 (en) Electric control or signaling device
US10166662B2 (en) Hose clamp support tool
KR102324160B1 (ko) 용접기용 접지 장치
CN210137027U (zh) 一种接地钳
US20130075442A1 (en) Snap installation tool adaptor
JPH1133732A (ja) 電気溶接機用アース側接続装置
CN215869826U (zh) 一种穿刺线夹安装金具
CN113725631A (zh) 一种穿刺线夹安装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